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학생회원,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2. 정회원,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3. 정회원,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목재, 보강기술, 탄소섬유판, 부착강도, 섬유강화플라스틱, 정착
Timber, Reinforcing technology, CFRP plate, Bond strength, FRP, Anchoring

1. 서 론

건축구조물에서 목재는 국내외적으로 현대 시대의 콘크리트 및 강재가 활성화되기 이전까지 수천 년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구조재이다. 최근에도 인장, 압축, 휨에 대한 저항성능이 우수한 목재는 주택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 건축물에서 구조재로서의 활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구조가 활성하되기 위해서는 목구조의 신뢰성있는 신규 건축물의 구조설계방법도 중요하지만, 손상을 입을 경우 손상도 평가 방법 및 구조보강에 따른 보강효과 검증과 설계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의 경우 1962년 제정된 문화재관리법으로부터 주요 건축물들이 국보 또는 사적 등으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또한 근대 건축물에 대해서도 문화재로 지정된 일부 건축물들을 제외하고 2001년 제정된 등록문화재 보존관련법에 의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지원되고 있다.

국가지정 문화재가 아닌 목구조의 근대 건축물들은 건축물의 용도변화에 따라 사용되고 있어 보존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기존 문화재의 보수보강법으로 사용되어온 손상 목재의 신규 목재로의 치환 공법은 보강비용 및 보강기간이 크다.

따라서 근대 건축물의 경우 기존의 치환공법보다는 보수 필요가 있는 부재에 대하여 철거하지 않고 기존 목재의 외연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보강하는 방법이 현실적일 것이다.

손상을 입은 목재에 대한 보수보강방법에 관하여 근래에 강재 및 FRP 소재를 활용한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다(Kim et al., 2010; Yoon et al., 2016; Ho et al., 2016; Park et al., 2020). 이러한 강재 및 FRP 소재의 보수보강 공법은 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보강방법으로 개발된 것을 응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olymer,이하 FRP)를 이용한 보강방법은 1990년대 이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FRP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등 섬유의 종류에 따라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AFRP(Aramid Fiber Reinforced Polymer)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제품도 시트, 보강근, 보강판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졌다. 이러한 FRP를 활용한 보강재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보강방식은 그 시공성능 및 제반 역학적 성능이 우수하여 구조물의 보강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및 전단 보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FRP 보강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 부재 보강방법으로 두 가지 공법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Seo and Kim, 2013). 첫째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홈을 낸 후 철근을 대체하는 FRP 보강근 형태의 탄소섬유보강근 또는 유리섬유보강근 등을 삽입하는 표면매입공법(Near Surface Mounted method, NSM)이다. 둘째로 철근콘크리트 부재 표면에 FRP 보강판 형태의 탄소섬유판 또는 유리섬유판을 부착하고 단부를 정착하는 표면부착공법(Exterior Bonded Methods, EBM)이다. 이때, FRP 보강판은 경우에 따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목재에 대해서도 이러한 FRP 소재를 활용한 NSM 공법 및 EBM 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Fig. 1은 목재 단면에 대한 NSM 공법 및 EBM 공법의 CFRP 보강 예를 나타낸 것이다.

Lee et al.(2015)은 NSM 공법과 EBM 공법을 적용하여 CFRP 판을 보강한 소나무 및 집성목재 보 실험체를 제작 후 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인발실험을 통하여 소나무에 대한 평균접착강도는 NSM 공법과 EBM 공법에 대해 각각 4.89MPa, 9.04MPa로 평가되었으며, 집성재에 대해서는 각각 11.23MPa, 10.99MPa로 평가되었다. 소나무에 비하여 집성재가 CFRP 판의 부착성능이 우수하였으며, NSM 공법의 경우 수종에 따른 편차가 매우 컸다.

Yoon et al.(2016)은 CFRP 보강근을 NSM 공법으로 보강한 미송목재 보의 부착실험 및 휨압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부착강도는 피복두께가 30mm까지 증가하였고, 밑면 보강된 실험체군의 경우 무보강된 실험체 보다 최대내력이 1.21∼1.40배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Walline(2018)의 연구에서는 NSM 공법으로 FRP 보강근을 이용한 목재에 대한 보강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는 하중 유형, FRP 재료, 로드 직경, 노치 크기 및 접합 길이 등이 봉과 목재 재료 사이의 접합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부재 휨 실험과 접합면 전단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FRP 보강근을 축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면 보강근의 직경과 접합길이에 따라 5.4~13.3의 상대적인 부착강도 증가가 발생한다는 평가결과와 FRP 보강근의 극한 하중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정착길이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기존 연구에서 NSM 공법과 EBM 공법이 목재보의 보강공법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NSM 공법의 경우 목재 보의 수종에 따라 보강효과가 상이하고, 현실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휨을 받아 굴곡이 있는 목재에 홈을 내어 NSM공법으로 보강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EBM 공법의 경우 부착길이에 따라 정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강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BM 공법에 의한 목재 보의 보강에서 CFRP 판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력볼트를 이용하여 단부 구속상세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휨실험을 통하여 휨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NSM공법으로 보강한 보의 휨보강효과와 비교평가하였다.

Fig. 1 Flexural einforcement with EBM and NSM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1.png

2. 휨 실험

2.1 실험체 계획

CFRP 판을 사용한 목재 보의 휨보강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EBM 공법과 NSM 공법에 대하여 Table 1Table 2와 같이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Table 1Fig. 2에서 EBM 공법에 의한 휨보강 실험체는 CFRP 판의 폭, 단부구속방법 등을 변수로 계획하였다. 동일한 실험체 상세에 대하여 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도록 계획하였다.

사용된 목재는 레드파인(Red pine)으로 100mm×100mm의 정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CFRP 판의 폭은 50mm(SL50 계열 실험체), 30mm(SL30 계열 실험체) 등 두 가지로 계획하였으며, CFRP 판의 두께는 1.4mm이다.

CFRP 판의 부착력 향상을 위한 단부구속방법에 대하혀 실험체 부착구간 양단부에 인장강도 585MPa의 SM45C M8 고력볼트를 체결한 B계열 실험체와 단부구속상세가 없는 N계열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고력볼트 하부의 지압파괴를 방지하고 CFRP 판에 지압응력을 분포시키기 위하여 볼트와 실험체사이에 50mm 직경의 와셔를 체결하였다. SL0 실험체는 보강하지 않은 무보강 실험체이다.

Table 2Fig. 3에서 NSM 공법에 의한 휨보강 실험체는 CFRP 보강재의 종류와 보강 개수이다. 동일한 실험체 상세에 대하여 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CFRP 판의 보강개수가 2, 3개인 실험체는 목재 부족으로 1개의 실험체만 제작하였다. 사용된 목재는 목재수급 문제로 레드파인과 비교적 강도가 유사한 뉴송(Radiata pine)을 사용하였으며, 100mm× 100mm의 정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NSM 공법에 의한 CFRP 보강재의 종류는 10mm× 1.4mm의 스트립 형태를 가지는 CFRP 판, 이형철근과 유사한 형태의 D10 CFRP 보강근 등으로 계획하였다.

Fig. 2 Details of specimens with EBM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2.png
Fig. 3 Details of specimens with NSM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3.png
Table 1 List of specimens with EBM (Red pine)

Specimens

CFRP (mm)

Confinement detail at the end of the beam

Width (mm)

Thickness (mm)

SL50-N1

50

1.4

-

SL50-N2

50

1.4

-

SL50-B1

50

1.4

High strength bolts (8mm)

SL50-B2

50

1.4

High strength bolts (8mm)

SL30-B1

30

1.4

High strength bolts (8mm)

SL30-B2

30

1.4

High strength bolts (8mm)

SL0-1

-

-

-

SL0-2

-

-

-

Table 2 List of specimens with NSM (Radiata pine)

Specimens

CFRP

Depth and thickness of the groove

CFRP plate

CFRP bar

NP0-1

-

-

-

NP0-2

-

-

-

NP1-1

10mm×1.4mm 1ea

-

12mm×5mm

NP1-2

10mm×1.4mm 1ea

-

12mm×5mm

NP2

10mm×1.4mm 2ea

-

12mm×5mm

NP3

10mm×1.4mm 3ea

-

12mm×5mm

NB-1

-

D10

20mm×20mm

NB-2

-

D10

20mm×20mm

2.2 실험체 제작

Fig. 4에 실험체 제작과정을 나타내었다.

EBM 공법에 의한 휨보강 실험체는 먼저 목재 및 CFRP 판의 표면에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아세톤으로 닦은 후 에폭시레진을 도포한다. 이후 CFRP 판을 에폭시 레진이 도포된 목재 표면에 올리고 CFRP 판을 누려면서 공기를 제거하며 접착시킨 후 2일 이상 에폭시 경화기간을 가진다.

고력볼트를 단부 체결하는 실험체는 CFRP 판의 폭 중간에 수직으로 목재와 함께 천공하고 고력볼트와 와셔를 체결한다.

NSM 공법에 의한 휨보강 실험체는 CFRP 판과 CFRP 보강근 삽입을 위하여 보강 표면에 12mm×5mm 또는 20mm× 20mm의 깊이와 폭을 가지는 홈을 루터로 가공한다. 홈에 잔유된 톱밥 등을 제거한후 홈에 에폭시 레진을 삽입한다. 이후 CFRP 판과 CFRP 판을 매립하고 표면에 에폭시 레진을 채운다.

Fig. 4 Fabrication of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4.png

2.3 실험방법

EBM 공법 및 NSM 공법으로 휨보강된 목재보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Fig. 5와 같이 단순보 형태로 4점가력 방식을 선정하였다.

이와같은 4점가력방식은 부재 중앙부 휨모멘트를 일정하게하고 전단응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전단경간비 4.48이 되도록 하였으며, UTM을 사용하여 1mm/min 속도로 변위제어하였다.

Fig. 5 Test setup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5.png

2.4 재료적 특성

본 실험체에 사용된 목재에 대한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레드파인과 뉴송의 평균압축강도차이는 12.9%로 레드파인의 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보강재로 사용된 CFRP 판, CFRP 보강근 등의 재료적 특성과 에폭시 레진에 대한 재료적 특성을 각각 Table 4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3 Mechanical property of timber

Timber

Compressive strength

Test standard

Red pine

50.90 MPa

KS F 2206

Radiata pine

45.08 MPa

Table 4 Mechanical property of CFRP plate and CFRP bar

CFRP type

Mechanical property

CFRP plate

Tensile strength

3720 MPa

Modulus of elasticity

214.4 GPa

CFRP bar

Tensile strength

1959 MPa

Modulus of elasticity

121.0 GPa

Table 5 Mechanical property of epoxy resin

Mechanical property

Test standard

Compressive strength

127 MPa

ASTM D 695-15

Tensile strength

41.3 MPa

ASTM D 638-14

Flexural strength

78.6 MPa

ASTM D 790-17

Bond strength

8 MPa

KS F 4923: 2005

3. 실험결과 분석

3.1 파괴형상

EBM 공법에 의해 보강된 실험체들에 대한 파괴양상을 Fig. 6에 나타내었다. Fig. 6(a),(b)에서 단부구속되지 않은 CFRP 판 보강실험체의 경우 최대하중에 도달할 시 CFRP 판과 목재의 부착면이 떨어짐과 동시에 목재 쪼개짐이 발생하였다. Fig. 6(c)~(f)에서 고력볼트로 단부구속된 CFRP 판 보강실험체의 경우 최대하중에서 인장응력을 받는 부위에서 목재의 쪼개짐이 발생하였고, 실험종료후 하중을 제거하였을 때 영구변형에 의하여 CFRP 판과 접합면은 분리되었다. Fig. 6(g),(h)에서 무보강 실험체의 경우 인장응력이 가장 큰 부재 연단면에서 시작된 목재 쪼개짐에 의하여 휨파괴되었다.

NSM 공법에 의해 보강된 실험체들에 대한 파괴양상을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에서 무보강 실험체와 보강 실험체 모두, 휨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재 최외측 연단면의 목재 목재 쪼개짐에 의하여 휨파괴되었다.

Fig. 6 Failure shape of specimens with EBM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6.png
Fig. 7 Failure shape of specimens with NSM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7.png

3.2 하중-변위곡선과 최대하중

EBM 공법 및 NSM 공법에 의해 보강된 실험체들에 대한 하중-변위곡선을 Fig. 8에 나타내었다. Table 6Table 7에 실험결과에 의한 실험체별 최대하중을 나타내었다.

Fig. 8(d)~(e)에서 무보강 실험체들은 선형탄성변형 후 쪼개짐에 의하여 바로 취성파괴되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Fig. 8(a)~(c)에서 EBM 공법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탄성변형후 휨강성 기울기가 감소되며 최대하중에 도달하는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고력볼트로 단부구속된 실험체가 이러한 항복후 연성적인 거동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Fig. 8(f)~(h)에서 NSM 공법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50%정도에서만 탄성변형후 휨강성 저하가 크게 나타났다.

Table 6에서 EBM 공법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의 최대하중은 무보강 실험체들에 비하여 평균값($P_{\max}$)을 기준으로 보강량 및 단부구속방법에 따라 31.5~63.0% 증가하였다.

CFRP 판을 보강후 고력볼트로 단부구속한 SL50-B 계열 실험체들은 단부구속이 없이 동일한 폭 50mm CFRP 판으로 보강한 SL50-N 계열 실험체들에 비하여 24.0% 최대하중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무보강 실험체 대비 단부구속된 실험체들에 대한 CFRP 판 보강량에 따른 최대하중 증가율($P_{\max}$/$P_{\max -SL0}$)은 Fig. 9(a)와 같이 보강량에 비례하지 않았다.

Table 7Fig. 9(b)에서 NSM 공법으로 CFRP 판(10mm× 1.4mm 단면을 가지는 스트립) 보강된 실험체들의 최대하중은 무보강 실험체들에 비하여 평균값($P_{\max}$)을 기준으로 스트립 수에 따라 14.6~19.9% 증가하였다. CFRP 보강근으로 보강된 NB 계열 실험체들도 무보강 실험체에 비하여 7.0% 최대하중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NSM 보강방법은 보강량에 따른 하중증가효과의 연관성이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면 내부 10mm 이상 삽입된 보강재가 휨인장응력에 제대로 저항하기에 앞서 단면 하부 최외측면에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에 의한 목재의 파괴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다.

CFRP 판의 보강 단면적이 42${mm}^{2}$으로 동일한 NP3 실험체와 SL30 계열 실험체들을 비교한 결과, EBM 보강이 NSM 보강에 비하여 최대하중 증가율에서 2.67배 크게 나타났다.

Fig. 8 Load-displacement curves of specimens with EBM and NSM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8.png../../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8-1.png
Fig. 9 Increase of $P_{\max}$ by section area of CFRP plate or bar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9.png
Table 6 Test results of specimens with EBM

Specimens

Maximum load

(kN)

Average maximum load, $P_{\max}$ (kN)

SL50-N1

57.64

57.46 

SL50-N2

57.27

SL50-B1

72.95

71.23 

SL50-B2

69.51

SL30-B1

67.75

66.94 

SL30-B2

66.14

SL0-1

46.65

43.69 

(=P$_{max\_SL0}$)

SL0-2

40.73

Table 7 Test results of specimens with NSM

Specimens

Maximum load

(kN)

Average maximum load, $P_{\max}$ (kN)

NP0-1

42.65

44.24 

(=P$_{max\_NP0}$)

NP0-2

45.83

NP1-1

51.91

51.11

NP1-2

50.31

NP2

50.71

50.71

NP3

53.06

53.06

NB-1

48.46

47.32

NB-2

46.19

3.3 CFRP 보강재를 사용한 목재 보의 이론내력

국내 목구조설계기준(KDS 41 33 00)은 목재의 응력과 변형을 탄성해석에 의하여 산정하고 있다. 기준에서는 휨을 받는 목재 보의 설계허용휨응력 및 기준허용휨응력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하여 이론 휨강도를 추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목재의 경우 비균질 재료이며 옹이 등으로 인한 강도의 편차가 매우 커서, 설계허용응력에 높은 안전율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절에서는 보강되지 않은 목재 보의 탄성해석과 휨실험결과로부터 휨강도를 산정하고 이로부터 CFRP로 보강된 목재 보의 이론내력을 추정하고자 한다.

휨모멘트($M$)에 의한 단면의 휨응력($f_{b}$)은 식 (1)과 같이 단면2차모멘트($I$)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y$)를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1)
$f_{b}=\dfrac{M}{I}y$

Fig. 10에 EBM 공법과 NSM 공법에 의한 목재 합성보 단면 형상을 나타내었다.

(1)에서 SL0 계열과 NP0 계열의 무보강 실험체들에 대한 실험 최대휨모멘트($M_{\max}$)를 이용하여 무보강 목재 단면의 최대휨강도($f_{b0}$)를 산정한 결과, 각각 58.65MPa, 59.4MPa로 나타났다.

Fig. 10과 같이 CFRP 보강재로 보강된 목재 보는 합성보로 완전합성일 경우, CFRP 보강재를 목재의 단일재료로 환산한 단면변환법을 사용하여 휨강도를 산정할 수 있다.

단면환산에는 목재에 대한 CFRP 보강재의 탄성계수비(n)를 이용한다. 본 실험체에 적용된 목재의 압축강도는 45.08~50.90MPa로 안전율을 1/7~1/8로 가정하여 추정한 허용압축응력은 5.64~7.27MPa로서, 목구조설계기준의 소나무류 2등급에 대한 기준허용압축응력 4.5MPa를 상회한다. 이에 목재의 탄성계수를 소나무류 2등급에 대한 탄성계수 9,000MPa로 가정하여 n값을 구한다.

목재보 보강에 따른 합성단면에 대한 도심은 보강방법에 따라 식 (2)~(3)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식 (2)~(3)에서 도심($y_{c,\: EBM}$, $y_{c,\: NSM}$)은 목재 상부면에서의 거리이며, 단면의 형상치수에 대한 기호는 Fig. 10에 나타나 있다.

(2)
$y_{c,\: EBM}=\dfrac{b_{0}h_{0}\dfrac{h_{0}}{2}+nb_{f}h_{f}(h_{0}+\dfrac{h_{f}}{2})}{b_{0}h_{0}+nb_{f}h_{f}}$
(3)
$y_{c,\: NSM}=\dfrac{b_{0}h_{0}\dfrac{h_{0}}{2}+(n-1)b_{f}h_{f}(h_{0}-\dfrac{h_{f}}{2})}{b_{0}h_{0}+(n-1)b_{f}h_{f}}$

중립축(도심)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I_{c,\: EBM}$, $I_{c,\: NSM}$)는 식 (4)~(5)와 같이 산정한다.

(4)
$I_{c,\: EBM} =\dfrac{b_{0}h_{0}^{3}}{12}+b_{0}h_{0}(y_{c,\: EBM}-\dfrac{h_{0}}{2})^{2}+\dfrac{nb_{f}h_{f}^{3}}{12}\\ +nb_{f}h_{f}(h_{0}+\dfrac{h_{f}}{2}-y_{c,\: EBM})^{2}$
(5)
$I_{c,\: NSM} =\dfrac{b_{0}h_{0}^{3}}{12}+b_{0}h_{0}(y_{c,\: NSM}-\dfrac{h_{0}}{2})^{2}\\ +\dfrac{(n-1)b_{f}h_{f}^{3}}{12}\\ +(n-1)b_{f}h_{f}(h_{0}-\dfrac{h_{f}}{2}-y_{c,\: NSM})^{2}$

(4)~(5)를 이용하여 식 (1)에서 중립축으로부터 거리 y인 부분의 휨응력을 식 (6)~(7)로 산정할 수 있다.

(6)
$f_{b,\: EBM}=\dfrac{M_{\max ,\: EBM}}{I_{c,\: EBM}}y$
(7)
$f_{b,\: NSM}=\dfrac{M_{\max ,\: NSM}}{I_{c,\: NSM}}y$

CFRP 보강재의 경우 목재에 비하여 강도가 매우 크므로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목재의 휨강도에 의하여 합성목재의 강도가 결정된다. 식 (6)~(7)에서 휨응력($f_{b,\: EBM}$, $f_{b,\: NSM}$)을 무보강 목재 단면의 최대휨강도($f_{b0}$)로 놓고 이론 휨모멘트 내력($M_{t}$)을 산정하면 Table 8과 같다.

Table 8에서와 같이 이론 휨모멘트 내력($M_{t}$)에 대한 실험 휨모멘트 내력($M_{\max}$)비가 0.98~1.31로 나타나 이론내력이 실험내력을 비교적 안전측으로 평가하고 있다.

부착면에서 발생한 전단응력($\tau$)은 식 (8)에서와 같이 전단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식 (8)에서 $V$는 단면의 전단력, $Q$는 전단응력을 산정하고자하는 위치 외측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 $b$는 전단응력을 산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단면폭, $I_{c}$는 중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이다.

(8)
$\tau =\dfrac{VQ}{I_{c}b}$

(8)로부터 EBM 공법으로 보강된 보의 CFRP 판에 대하여 최대하중에서의 CFRP 판의 최대 전단응력을 산정한 결과, 3.47~4.82MPa로 나타나 제조사에서 제시한 에폭시 레진의 부착강도 8MPa를 고려할 때 이론적으로 완전합성거동을 위한 부착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실험에서는 목재 쪼개짐과 함께 CFRP 판의 박리가 일어난 실험체도 있어, 이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에폭시 레진의 부착강도는 CFRP 판과 부착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NSM 공법의 경우, CFRP 판을 수평접합하지 않고 단면에 수직방향으로 접합하고 있으며, 2면 부착으로 인해 부착성능이 커서, 실험에서와 같이 정착파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8 Theoretical bending moments of specimens

Specimens

$M_{\max}$

(kN·m)

$M_{t}$

(kN·m)

$M_{\max}$/$M_{t}$

SL50-N

12.86

12.30

1.05

SL50-B

15.94

12.30

1.30

SL30-B

14.98

11.46

1.31

NP1

11.44

10.36

1.10

NP2

11.35

10.77

1.05

NP3

11.87

11.14

1.07

NB

10.59

10.75

0.98

Fig. 10 Section details of composite beams
../../Resources/ksm/jksmi.2022.26.6.238/fig10.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 EBM 공법에 의한 CFRP 판의 목재 보 보강에 대하여 CFRP 판의 부착성능향상을 위한 고력볼트에 의한 단부구속보강상세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휨성능평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BM 공법에 의한 단부구속되지 않은 CFRP 판 보강실험체는 CFRP 판의 부착파괴와 목재의 쪼갬파괴가 동시에 일어났으며, 고력볼트로 단부구속된 CFRP 판 보강실험체는 목재의 쪼개짐에 의해 최종파괴되었다. NSM 공법에 의한 모든 실험체들은 최종파괴시 목재의 쪼개짐이 나타났다.

2) 하중-변위곡선에서 무보강 실험체들은 선형탄성거동을 하다가 최대하중 이후 취성파괴되는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EBM 공법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탄성변형후 휨강성 기울기가 감소되며 최대하중에 도달하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3) EBM 공법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의 최대하중은 무보강 실험체들에 비하여 31.5~63.0% 증가하였으며, 고력볼트의 단부구속에 따른 최대하중은 24.0%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CFRP 판의 보강량을 기준으로 EBM 보강이 NSM 보강에 비하여 최대하중 증가율에서 2.67배 크게 나타났다.

4) 목재 단면만의 휨실험 결과에 의한 휨강도를 이용하여, CFRP 판의 환산단면을 이용한 탄성해석으로부터 CFRP로 보강된 목재 보의 이론내력을 추정한 결과, 이론 내력에 대한 실험 내력비가 0.98~1.31로 나타나 이론내력이 비교적 안전측으로 실험내력을 평가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0년 한밭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과제명: FRP를 사용한 목구조의 보강 기술 개발, 과제번호: 202003650001).

References

1 
Ho, S. W., Yoon, S. J., and Kim, K. S. (2016),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wood frame joints strengthened with glass fiber sheet and carbon steel, Journal of the Architecut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8(2), 139-146.URL
2 
Kim, J. S., Cho, C. H., Shin, Y. S., and Cho, Y. H. (2010), Flexural strengthening characteristic of sleeper member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ance and Inspection, 14(2), 145-152.DOI
3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2016), Korean Design Standard KDS 41 33 00, Seoul, Korea.URL
4 
Lee, Y. T., Park, J. H., Hong, S. G., and Kim, S. H. (2015), A study of bond of structural timber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 Materials Science (MEDŽIAGOTYRA), 21(4), 563-567.DOI
5 
Park, K. S., Lee, S. S., and Kwak, M. K. (2020), Evaluation on flexural performance of steel plate reinforced GLT beam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20(2), 39-49.DOI
6 
Seo, S. Y., and Kim, M. S. (2013), Bond strength of near surface-mounted FRP plate in concrete corresponding to space and bond lengt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1), 37-43.DOI
7 
Walline, D. R. (2016), Bond Analysis Between Fibre Reinforced Polymer (FRP) Rods and Timber Beams, B.A.Sc.,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Kelowna.URL
8 
Yoon, S. J., Ho, S. W., and Kim, K. S. (2016), An experimental study about flexural behavior of timber beam with near surface mounted CFRP Bar, Journal of the Architecut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8(2), 131-138.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