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수석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oyang, 10223, Korea



신축이음장치, 보수성, 윤하중, 피로시험, 방수시험
Expansion joint, HRS, Wheel load, Fatigue test, Waterproof test

1. 서 론

교량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는 온도에 의한 교량의 신축량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와 활하중 등에 의한 교량의 수평이동, 지점침하 또는 지진과 같은 예기치 못한 변위 등에 의한 교량 상부의 이동 및 회전을 수용하여 원활한 수평이동 및 회전이 확보되도록 작동하여야 하며, 노면과 일체로 차륜을 지지하여 원활한 주행성과 불연속부의 방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교량의 기능 및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는 장치이다(Dexter et al., 1997).

신축이음장치는 교량형식별로 많은 종류가 사용되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에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종류를 살펴보면, 중소지간 교량에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사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장지간 교량에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증가하는 교통량과 유지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로 유지관리와 교체 용이성이 주요 선정 기준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늘어나는 교통량을 소화하고 교통통제에 의한 사회 간접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설 및 교체 시에 내구성이 뛰어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무조인트 교량 및 무조인트 보수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신축량이 작은 교량에만 적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량에서는 일반적인 신축이음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이론적, 실험적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며, 대부분이 유간 산정이나 종류 등을 언급하였을 뿐, 신축이음장치 자체에 대한 내구성 평가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Kim et al., 2009). 따라서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과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신축이음장치의 유지관리 및 교체 용이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간을 절감하고, 차선별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시스템(Hybrid Replacement System, 이하 HRS)의 내구성을 규명하고자 KS F 4425와 단체표준(SPS-F KOCED 0020-7486)을 적용한 성능검증시험과 윤하중 성능평가 실험을 통해 내구성에 대한 신뢰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2. HRS 신축이음장치

2.1 HRS 신축이음장치 특징

보수성이 개선된 HRS 신축이음장치는 개방형 서포트박스를 설치하여 후타 콘크리트를 제거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 파손 등 문제점 발생 시 본체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제품이다. Fig. 1은 HRS 신축이음장치의 개념 및 설치순서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신축이음장치 교체공법은 후타 콘크리트를 전면 해체 후 교체하기 때문에 보수시간이 증대되어 교통통제시간 증가 및 하부 구조물의 손상, 소음 및 분진에 의한 민원 발생 등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장대교량에 사용되는 신축량이 큰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내구성은 우수하지만 유지보수 및 교량 상부에서 교체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RS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부에 매립되는 서포트박스를 개방형으로 변경하여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고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개방형 서포트박스 설치로 신축이음장치 파손 시 본체만 교체 가능

- 기존 신축이음장치 형식과 상관없이 적용 가능

- 차선 별 부분교체 가능

- 후타 콘크리트 제거 및 타설 공정 없음

- 소음, 분진 등 민원발생 최소화

- 기존 교체공법 대비 교체시간 30% 이상 절감 가능

Fig. 1 Replacement method of HRS expansion joint
../../Resources/ksm/jksmi.2023.27.2.1/fig1.png

2.2 HRS 신축이음장치 설계

2.2.1 내구성 검증 시험체

HRS 신축이음장치 시험체는 신축량 800 mm의 저소음형 신축이음장치로 도로교설계기준(2015, 이하 KHBDC(Korea highway bridge design code))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시험체 제원 및 도면은 Table 1Fig. 2에 나타내었다.

KS F 4425 및 SPS-F KOCED 0020-7486 규정에서는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평가를 위해 수축신장 시험 및 피로반복 시험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수축신장 시험은 설정된 설계 신축량의 정도와 변형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며, 피로반복 시험은 소정의 하중을 연속적으로 재하 및 제거를 반복한 후 상태를 관찰하여 내구성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Fig. 2 Hybrid replacement system(DBHRS800)
../../Resources/ksm/jksmi.2023.27.2.1/fig2.png
Table 1 Test specimen

DBHRS 800

Width

3,800 mm

Maximum length

2,878 mm

Minimum length

2,078 mm

Neutral length

2,478 mm

Design extension length

800 mm

2.2.2 윤하중 검증 시험체

HRS 신축이음장치는 교체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방형 서포트박스가 설치되어 마감을 위한 덮개판이 추가된 구조이다. 개방형 서포트박스 마감을 위한 덮개판은 신축이음장치 본체와 연결하기 위해 볼트이음을 사용하고 있다. 본 검증실험에서는 개방형 서포트박스 덮개판에 차륜에 의한 반복하중이 적용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윤하중 성능검증 실험을 계획하였다.

윤하중 성능검증 실험은 덤프트럭 후륜을 사용하여 차륜하중을 모사하므로 시험체 폭은 1.0 m, 길이는 차륜하중이 ±1.0 m (전체 이동거리 2.0 m)를 왕복주행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여 3.457 m로 설계하였다(Fig. 3, Table 2).

Fig. 3 Wheel load a test specimen(DBHRS 400)
../../Resources/ksm/jksmi.2023.27.2.1/fig3.png
Table 2 Test specimen

DBHRS 400

Width

1,072 mm

Maximum length

3,857 mm

Minimum length

3,457 mm

Neutral length

3,657 mm

Design extension length

400 mm

3. HRS 신축이음장치 내구성 평가 시험

3.1 작동성능평가 시험

3.1.1 작동성능평가 시험방법

HRS 신축이음장치 작동성능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은 KS F 4425에 설계신축량의 1/3에 해당하는 신축량 만큼의 변위를 갖도록 하여 최소(수축) 및 최대(신장)에 대하여 각각 2,500회씩 반복 실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때 이동속도는 100 mm/min 이하이다. 그러나 단체표준 “모듈러 신축이음장치 성능평가 시험방법[SPS-F KOCED 0020-7486]”에서는 중립축 상태에서 설계신축량을 5,000회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RS 신축이음장치에 더 가혹한 조건을 적용하기 위해 단체표준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작동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Photo 1).

Photo 1 View of contraction-expansion performance evaluation test
../../Resources/ksm/jksmi.2023.27.2.1/pho1.png

3.1.2 작동성능평가 시험결과

Fig. 4는 HRS 신축이음장치의 중립축 상태에서 설계신축량의 80%인 650 mm를 이동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작동성능시험에서 설계신축량을 이동량으로 적용하고자 하였지만 간격유지재의 저항에 의한 하중 증가로 이동량을 축소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동성능 반복회수와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축이음장치에 작용하는 마찰저항 하중의 크기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마찰저항에 따른 하중의 크기가 반복회수와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보여주는 것은 HRS 신축이음장치의 작동성능에 대하여 충분한 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성능시험 완료 후 HRS 신축이음장치 하부 및 베어링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Photo 2) 간격유지기 및 봉함재의 탈락 등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고, 반복회수 증가에 따라 베어링의 마모가 발생되었다. 베어링에 발생된 마모는 마찰저항에 의한 윤활제의 산화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제품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따라서 HRS 신축이음장치는 KS F 4425 규정에 따른 작동성능에 있어 충분한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Fig. 4 Load hystere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raction- expansion cycles
../../Resources/ksm/jksmi.2023.27.2.1/fig4.png
Photo 2 State of moving bearing
../../Resources/ksm/jksmi.2023.27.2.1/pho2.png
Photo 3 View of fatigue test
../../Resources/ksm/jksmi.2023.27.2.1/pho3.png

3.2 수직하중 피로시험

3.2.1 수직하중 피로시험 방법

HRS 신축이음장치의 수직하중 피로시험 성능평가는 KS F 4425(2001) [교량 신축이음장치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강재형 신축이음장치인 경우 신장 수축과 관계없이 1개의 중간보 즉, 레일에 대하여 최소 22.54 kN, 최대 116.62 kN의 하중을 가감하는 조작을 1사이클로 하여 3 Hz 이하의 주파수로 200만회 반복 재하한 후 실험체의 내구성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때 재하하중의 접촉 면적은 길이 방향으로 510±10 mm 이내로 하여야 한다.

수직하중 피로시험에서 하중재하는 설계위험단면에서의 피로응력이 설계 시 충격을 포함한 활하중 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변동 응력보다 크게 되도록 재하위치와 하중 진폭을 결정하여야 한다. KHBDC(2015)에서는 차륜의 접지면은 표준트럭하중의 각 차륜에 대해 면적이 $\dfrac{12500}{9}{P}({mm}^{2})$인 하나의 직사각형으로 간주하며, 이 직사각형의 폭과 길이의 비는 2.5 : 1 로 하고 있다. 여기서 P는 차륜의 중량(kN)이다. 따라서 하중 재하판의 크기와 하중진폭은 차륜 접지면적과 충격계수에 관한 규정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Fig. 5).

- 하중 재하판 크기 설정

접지면적(A) = $\dfrac{12500}{9}{P}({mm}^{2})$, 차륜중량(P) = 96 kN

${A}=\dfrac{125}{9}\times 96=1333.33 {cm}^{2}$

폭(a) : 길이(b) = 2.5 : 1

${b}=\sqrt{\dfrac{{A}}{2.5}}=\sqrt{\dfrac{1333.33}{2.5}}=23.094{cm}$,

${a}=2.5\times{b}= 2.5\times 23.094=57.74{cm}$

- 수직하중 피로시험 하중진폭 설정

: KHBDC(2015)에 따르면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충격계수는 0.3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충격을 포함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최대설계활하중과 하중진폭을 설정하였다.

${P}_{\max}={P}_{24}\times(1+{i})=96\times(1+0.3)= 124.8{k N}$

$\Delta{P}=0.75{P}_{\max}=0.75\times 124.8= 93.6{k N}$

${P}_{\min}={P}_{\max}-\Delta{P}= 124.8 - 93.6 = 31.2{k N}$

Fig. 5 Loading plate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3.27.2.1/fig5.png

3.2.2 수직하중 피로시험 성능평가 결과

HRS 신축이음장치에 피로반복하중을 소정 회수만큼 재하한 후 변형률과 변위를 계측하였다. 계측단계는 초기, 100회, 1000회, 5000회, 1만회, 5만회, 10만회, 50만회, 100만회, 150만회, 200만회로 하였다. 정적으로 충격계수를 고려한 반복 최대하중인 124.8 kN 까지 정적으로 재하하고 계측을 수행하였다.

HRS 신축이음장치의 200만회 피로시험 성능평가 결과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이상 변형은 발생되지 않았다. Fig.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와 200만회 완료 후에도 중앙부 레일이 가장 크게 측정되고 있다. 이는 KHBDC (2015)에서 규정하고 있는 윤하중 분담율(Table 3)에 따라 적절하게 하중이 분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RS 신축이음장치는 중간보(레일 중앙부)에서 약 53%를 부담하고 있어 설계기준에도 잘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7, Table 4는 피로반복 회수에 따른 하중-변형률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중간보의 하중 분담율은 하중-변위 관계와 마찬가지로 약 60%를 부담하고 있다. 또한 200만회 피로반복하중 재하 완료 후의 최대 변형률은 849 με으로 응력으로 환산하면 약 169.8 MPa 정도로 환산이 가능하다. 이는 HRS 신축이음장치 레일의 항복강도 355 MPa의 47.8% 수준이다. 따라서 HRS 신축이음장치는 200만회 피로반복하중 재하에 있어서 이상거동 및 파괴거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피로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6 Load-displacement history
../../Resources/ksm/jksmi.2023.27.2.1/fig6.png
Fig. 7 Load-strain history
../../Resources/ksm/jksmi.2023.27.2.1/fig7.png
Table 3 Wheel load sharing rate of middle rail(KHBDC, 2015)

Middle rail

upper flange width (mm)

Load distribution (%)

1 st

Wheel load

(96 kN)

2 st

Wheel load

(72 kN)

3 st

Wheel load

(54 kN)

65 >

50

60

70

75

60

70

80

100

70

80

90

120

80

90

90

Table 4 Peak displacement and peak strain at rail bottom according to number of fatigue cycles

Number of cycle

Rail disp. (mm)

Bottom strain (με)

Front

Center

Rear

Front

Center

Rear

Initial

2.9

7.1

3.0

322

926

228

1.0E+02

2.8

6.2

2.8

298

816

227

1.0E+03

2.8

6.2

2.8

291

815

228

5.0E+03

3.3

6.3

2.4

400

783

157

1.0E+04

3.3

6.3

2.5

405

801

173

5.0E+04

3.4

6.7

2.4

414

829

181

1.0E+05

3.4

6.7

2.5

391

843

159

5.0E+05

3.2

6.1

2.4

386

771

163

1.0E+06

3.3

6.6

2.2

350

807

157

1.5E+06

3.3

6.8

2.4

330

829

155

2.0E+06

3.4

7.0

2.5

309

849

174

3.3 방수성능시험

3.3.1 방수성능시험 방법

신축이음장치 방수성능시험은 단체표준 모듈러 신축이음장치 성능평가 시험방법[SPS-F KOCED 0020-7486]에 따라 수행하였다. 방수성능시험은 노면으로부터 우수가 신축이음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봉함재와 신축이음장치의 연결부 방수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축이음장치 중립축 상태에서 상면 50 mm 이상 높이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30 mm 이상 물을 채운 후 6시간 동안 지속하여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방수성능평가는 작동성능 평가시험 및 강도성능시험을 수행한 후 각 부위에 이상 변형이 없는 것을 확인한 동일 시험체로 수행하여야 한다.

3.3.2 방수성능시험 결과

Photo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이음 상면 50 mm 거푸집을 설치하여 30 mm 까지 물을 주입하였다.

방수성능시험 규정에는 6시간 동안 방수성능시험을 수행하도록 제시하고 있지만 본 시험에서는 약 15시간 동안 방수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Photo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체 하부 및 개방형 서포트박스 내부에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신축이음장치 누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교좌장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요구조건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Photo 4 State of waterproof
../../Resources/ksm/jksmi.2023.27.2.1/pho4.png
Photo 5 State of waterproof
../../Resources/ksm/jksmi.2023.27.2.1/pho5.png

4. 윤하중 성능검증 실험

4.1 윤하중 성능검증실험 방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하중 실험동이 보유하고 있는 윤하중 실험장치는 플라이휠을 회전시켜 크랭크 로드로 덤프트럭 후륜을 왕복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가력기(Actuator)는 주행 시에는 500 kN, 정지 시에는 1,000 kN을 재하 할 수 있다. 실제 덤프트럭에 사용되고 있는 2개의 타이어(금호타이어 KRA01, 120 psi)를 사용하여 윤하중실험을 수행하였다.

KHBDC(2015)에서 표준트럭하중의 축하중은 192 kN, 후륜하중은 96 kN이다. 그러나 타이어에 재하 할 수 있는 허용하중은 제조회사에서 제시한 규격에 의하면 최대 60 kN 정도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체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방형 서포트박스가 설치되어 마감을 위한 덮개판이 추가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에서 차륜에 의한 반복하중이 적용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 및 볼트 체결부의 내구성 파악을 위한 것이므로 50 kN까지 하중을 재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Photo 6), 윤하중 성능검증 실험을 위한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hoto 6 View of wheel load test
../../Resources/ksm/jksmi.2023.27.2.1/pho6.png

4.2 윤하중 성능검증실험 결과

HRS 신축이음장치의 윤하중 피로반복하중을 소정 회수만큼 재하한 후 실험체의 형상 변화 및 개방형 서포트박스 덮개판과 체결된 볼트의 풀림을 검사하였다. 계측단계는 초기, 100회, 1000회, 1만회, 5만회, 10만회, 15만회, 20만회, 30만회, 50만회로 하였다. Photo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하중 피로반복하중을 재하하고 각 재하단계에 따른 변화를 검사한 결과 덮개판 볼트의 풀림, 후타 콘크리트 균열, 지지빔, 베어링 등에서 이상 변형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는 HRS 신축이음장치가 윤하중에 대해 영향이 거의 없고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Fig. 8은 각 하중단계에 따라 지지빔의 최대변위를 계측한 결과로 윤하중 피로반복회수에 관계없이 변위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이동베어링이 윤하중 반복재하에 따라 수직하중 피로시험과 동일하게 탄성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윤하중 피로반복회수에 따른 최대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5만회까지 감소하다가 윤하중 피로반복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세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의 추세선을 Fig. 9에 나타내었고 추세선 곡선식은 다음과 같다.

$\delta(N)= -0.034\ln(N)+ 1.3539$

이 추세식을 이용하면 윤하중 피로반복 50만회 이후 200만회까지 변위증가량은 약 0.047 mm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HRS 신축이음장치는 윤하중 피로하중에 대해 영향이 거의 없으며 충분한 윤하중 피로내구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Fig. 8 Peak displacement at rail bottom
../../Resources/ksm/jksmi.2023.27.2.1/fig8.png
Fig. 9 Load-displacement history
../../Resources/ksm/jksmi.2023.27.2.1/fig9.png
Photo 7 State of bolt after completion of wheel load
../../Resources/ksm/jksmi.2023.27.2.1/pho7.png

5. 결 론

HRS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 평가를 위해 KS F 4425, 단체표준 모듈러 신축이음장치 성능평가 시험방법[SPS-F KOCED 0020-7486]에 따라 작동성능시험, 강도성능시험, 방수성능시험과 윤하중 피로반복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작동성능시험 기준에 따라 중립축상태에서 설계신축량의 80%인 650 mm를 5,000회 반복한 후 HRS 신축이음장치의 구성부품을 육안 검사한 결과 이상변형이나 결함은 발생하지 않았고, 마찰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도 ±50 kN으로 일정한 값으로 나타났다.

2. 피로반복시험 기준에 따라 작동성능시험을 완료한 시험체에 대해 최대 124.8 kN, 최소 31.2 kN, 하중진폭 93.6 kN으로 200만회 피로반복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완료 후 각 구성품에 대한 육안 조사결과 이상변형이나 결함은 발생하지 않았고, 최대변위(7.1 mm)와 최대변형률(926 με)을 측정한 결과 실험 전후에 있어 변화폭이 크지 않고 일정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200만회 피로반복하중 재하 완료 후의 변형률을 응력으로 환산해 보면 약 170 MPa로 HRS 신축이음장치 항복강도의 47.8% 수준이다. 따라서 보수성이 개선된 HRS 신축이음장치는 200만회 피로하중에 대하여 안전함을 알 수 있었고, 피로하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방수성능시험의 규정에 따라 작동성능 및 강도성능시험을 완료한 동일한 시험체로 신축이음장치 상부 3 cm까지 물을 주입한 후 약 15시간 경과 후의 누수여부를 검사하였고, 시험체 하부 및 개방형 서포트박스 내부에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신축이음의 누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교좌장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요구조건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4. HRS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장치 교체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방형 서포트박스와 덮개판을 볼트 체결하는 구조로 차륜하중에 대한 볼트 및 덮개판의 내구성 확보가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이러한 내구성 확인을 위해 윤하중 피로반복실험을 수행하였고 50만회 윤하중 피로실험을 수행한 결과 볼트풀림, 후타 콘크리트 균열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덮개판과 볼트의 피로내구성은 충분히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신축이음장치 교체 용이성을 위해 개발된 HRS 신축이음장치는 KS F 4425(2001) 등 신축이음장치 내구성 평가 규정에 따라 성능검증시험을 수행한 결과 구조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18CTAP-B132914-02) 및 대봉비엠텍㈜의 시험체 제공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ASHTO. (2014),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URL
2 
Dexter, R. J., Connor, R. J, and Kaczinski, M. R.(1997), Fatigue design of modular bridge expansion joints, NCHRP Report 402, National Academy press.URL
3 
Korea road Association. (2015),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Limit State Design), Sejong South Korea.URL
4 
Korea Standards Association. (2001), KS F 4425, Testing method for bridge expansion joint, Korean Standards Association.URL
5 
Yoo, S. W., (2018), An Experiment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Expansion Joint with Rotation Fing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2(6), 170-175.URL
6 
Na, J. S., Lee, T., Han, E. S., Sung, W. K., and Lee, J. S. (2017), Fatigue Durability Evaluation of Refraction Expansion Joi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6),10-15.URL
7 
Kim, K. Y., Kim, Y. J., Ahn, D. G., and Kim, C. H. (2009), Evaluation of Fatigue Endurance on Expansion Joint Manufactured Fe-Mn Damping Alloy, Journal of Korean Society Civil Engineers, KSCE, 29(4D), 483-489.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