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박사후연구원
  2. 정회원,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
  3. 정회원,국립순천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4. 정회원,뉴콘텍이앤씨㈜ 대표이사
  5. 정회원,한국방재안전기술 대표이사



지하합성벽, 전단연결재, CSB, 전단성능
Underground composite wall, Shear connector, Confined socket bolt, Shear performance

1. 서 론

건축물의 지하 공사는 일반적으로 흙막이 가설공사를 통해 지하공간의 확보 후 지하구조물의 구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흙막이 가설공법 중 현장타설 말뚝(cast in placed pile, CIP), 소일시멘트벽체(soil cement wall, SCW) 공법은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하며, 단순 가설구조로 사용하고 있다. 지하 구조물 공사 이후 시공된 지하외벽은 지진과 같은 외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지하벽체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타설 말뚝을 지하외벽과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구(Balasubramanian and Rajaram, 2016; Pallarés and Hajjar, 2010; Seo et al., 2010;Seo et al., 2008)가 많이 수행되어지고 있으며, 일체화를 위해 전단연결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주를 이룬다(Choi et al., 2022; Pavlović et al., 2013; Saleh and Majeed, 2022). 이러한 기술은 CIP를 지하외벽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지하공간에 대한 유효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지하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흙막이용 CIP를 영구 지하외벽으로 활용하기 위해 일체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CSB (confined socket bolt) 전단연결재를 제시하였다(Fig. 1). 제시된 CSB 전단연결재의 시공은 기존 CIP 시공 절차에서 H-형강 및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배치와 함께 소켓 앵커를 설치하며, 지하외벽 콘크리트 타설 전에 소켓에 CSB 전단연결재를 설치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다. 그리고 CSB 전단연결재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한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여 CIP 심부 콘크리트의 구속 및 결합면과의 밀착을 통해 합성벽의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개발된 전단연결재를 지하합성벽 형성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CIP 말뚝과 지하외벽의 일체화에 따른 전단성능의 평가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CIP를 영구적인 지하외벽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시한 CSB (confined socket bolt) 전단연결재의 전단 성능 평가이다. CSB 전단연결재의 전단 성능 평가는 EC4 (2004) 기준을 참고하여 푸쉬아웃(push-out)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가력부는 CIP 말뚝을 모사하기 위해 H-형강 및 철근콘크리트로 나누었다. CSB 전단연결재의 전단 성능은 파괴모드, 전단하중-상대 미끄러짐 관계, 균열 발생 하중 및 최대 내력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최대 내력에 대해서는 KDS 기준에 대한 전단마찰내력 및 공칭전단력 결과와 비교하였다.

Fig. 1 CSB shear connector for underground composite walls
../../Resources/ksm/jksmi.2023.27.2.8/fig1.png

2. 푸쉬아웃(push-out) 실험

2.1 실험 계획

CSB 전단연결재의 전단 성능 평가를 위한 푸쉬아웃 실험은 CIP의 종류에 따라 H-형강 및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 나누었다(Fig. 2). H-형강 말뚝은 H - 298 × 201 × 9 × 14를 사용하였으며, 철근콘크리트 말뚝은 300 mm × 200 mm × 700 mm 크기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H-형강 및 철근콘크리트 말뚝 옆에는 지하외벽을 모사하기 위해 200 mm × 400 mm × 650 mm 크기의 철근콘크리트를 제작하였다. 이에 따라 전단면의 크기는 200 mm × 550 mm이었다.

H-형강 말뚝 실험체의 주요 변수는 CSB 전단연결재 종류, $L/d$, 무근 콘크리트 및 방수재이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의 주요 변수는 H-형강 말뚝 실험체의 변수와 함께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압축강도에 대한 변수를 추가하였다(Table 1). CSB 전단연결재 종류는 일반강도 볼트, 고강도 볼트 및 이형철근으로 계획하였다. 일반강도 및 고강도 볼트는 M20을 이용하였으며, 이형철근은 D19로 직경 18 mm로 나사 가공하였다. 이형철근의 CSB 전단연결재의 단부는 90도로 구부려서 갈고리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전단연결재의 길이는 KDS 14 31 10(2017)에 따라 몸체직경의 5배인 90 mm로 계획하였으며, $L/d$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단연결재의 길이가 120 mm인 실험 변수를 추가하였다. CSB 전단연결재의 배치는 철근 콘크리트 말뚝의 경우 중심선에 맞추어, H-형강 말뚝의 경우 웨브로 인해 중심선에서 30 mm만큼 떨어진 위치에 엇갈리게 배치하였다. CSB 전단연결재의 전단 거동시 지하외벽의 수평 철근에 대한 간섭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실험체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CIP 말뚝과 지하외벽사이에서의 차수 성능확보를 위해 일반강도 볼트 및 이형철근의 CSB 전단연결재를 사용한 실험체는 전단면에 방수재를 추가 시공하였다. 푸쉬아웃 실험에서 지하외벽을 모사한 외부 콘크리트의 목표 압축강도는 모두 30 MPa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목표 압축강도는 18 MPa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압축강도 영향 평가를 위한 실험체의 목표 압축강도는 18 MPa, 21 MPa 및 30 MPa로 하였다.

Fig. 2 Details of push-out test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3.27.2.8/fig2.png
Table 1 Details of push-out test specimens

Type

Specimen

CSB shear connector

Concrete strength (MPa)

Type of CSB shear connector

Head type

Length

(mm)

Concrete pile

RC wall

H-beam pile

CSB shear connector

S-N90

Normal strength bolt (4.8)

Stud

90

-

30

S-H90

High strength bolt (6.8)

S-D90

Deformed reinforcing bar (SD400)

90° Hook

$L/d$

S-N120

Normal strength bolt (4.8)

Stud

120

Plain concrete

S-N90-N

90

Waterproofing

S-N90-W

S-D90-W

Deformed reinforcing bar (SD400)

90° Hook

Reinforced concrete pile

CSB shear connector

RC-N90

Normal strength bolt (4.8)

Stud

90

18

30

RC-H90

High strength bolt (6.8)

RC-D90

Deformed reinforcing bar (SD400)

90° Hook

$L/d$

RC-N120

Normal strength bolt (4.8)

Stud

120

Plain concrete

RC-N90-N

90

Waterproofing

RC-N90-W

RC-D90-W

Deformed reinforcing bar (SD400)

90° Hook

Concrete strength

RC18-N90

Normal strength bolt (4.8)

Stud

RC21-N90

21

RC30-N90

30

2.2 재료 특성

지하외벽을 모사한 외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약 30.8 MPa이었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압축강도는 19.2 MPa 이었으며,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압축강도 영향 평가를 위한 실험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19.7 MPa, 25.2 MPa 및 32.4 MPa이었다. CSB 전단연결재의 역학적 특성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일반강도 볼트는 4.8 규격으로, 측정된 항복강도($f_{y}$) 및 인장강도($f_{u}$)는 각각 약 380 MPa 및 437 MPa이다. 그리고 고강도 볼트는 6.8 규격으로, $f_{y}$ 및 $f_{u}$는 각각 약 554 MPa 및 652 MPa이다. 이형철근은 SD400으로, $f_{y}$ 및 $f_{u}$는 각각 약 462 MPa 및 567 MPa이다.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CSB shear connector

Type of CSB shear connector

$f_{y}$(MPa)

$f_{u}$(MPa)

Normal strength bolt (4.8)

380

437

High strength bolt (6.8)

554

652

Deformed reinforcing bar

462

567

2.3 가력 및 측정 상세

푸쉬아웃 실험의 가력 및 측정상세는 Fig. 3에 나타내었다. 가력은 2,000 kN 용량의 오일잭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1,000 kN 용량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체 상부에는 300 mm × 300 mm 크기의 구좌를 설치하여 실험체에 가해지는 편심을 최소화하였다. 실험체 하부에는 L-형강 및 고장력 전산볼트를 설치하여 푸쉬아웃 실험 중 실험체의 벌어짐을 방지하였다. 상대 미끄러짐 변위는 실험체 중앙부에 50 mm 용량의 변위계 4개로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으로 산정하였다.

Fig. 3 Push-out test set-up
../../Resources/ksm/jksmi.2023.27.2.8/fig3.png

3. 실험결과 분석

3.1 전단하중-미끄러짐 관계

H-형강 말뚝 실험체의 파괴모드는 모두 전단연결재의 파단으로 실험을 종료하였다(Fig. 4(a)).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의 파괴모드는 RC21-N90 및 RC30-N90 실험체를 제외하고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파괴로 실험을 종료하였다(Fig. 4(b)). 반면, RC21-N90 실험체는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파괴 및 CSB 전단연결재의 파단(Fig. 4(c))으로, RC30-NV90 실험체는 전단연결재의 파단(Fig. 4(d))으로 실험을 종료하였다.

H-형강 말뚝 실험체들의 전단하중-미끄러짐 관계는 초기 균열 발생 하중 이전까지 상대 미끄러짐의 발생이 미미하였으며, 초기 균열 발생 하중 이후 최대 내력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였다. 최대 내력 발생이후 H-형강 말뚝 실험체들의 하중은 급격한 기울기로 감소하였다(Fig. 5(a)). 실험체 S-H90 및 S-D90의 최대 내력 이후 하중 감소 기울기는 S-N90 실험체에 비해 가파랐다(Fig. 5(a)). 그리고 최대 내력 이후 하중 감소 기울기에 대해 전단연결재의 길이, 철근 중첩 및 방수재의 영향은 미미하였다(Fig. 5(b), (c) and (d)).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들의 전단하중-미끄러짐 관계도 H-형강 말뚝 실험체들과 유사하게 초기 균열 발생 이후 최대 내력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최대 내력까지 하중 증가 기울기는 H-형강 말뚝 실험체들에 비해 다소 완만하였으며, 최대 내력 이후 하중 감소 기울기도 완만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들에서 최대 내력 이후 하중 감소 기울기에 대한 CSB 전단연결재 종류에 따른 영향은 H-형강 말뚝 실험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Fig. 5(a)). 그리고 최대 내력 이후 하중 감소 기울기에서도 전단연결재의 길이, 철근 중첩 및 방수재의 영향이 미미하였다(Fig. 5(b), (c) and (d)).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강도가 21 MPa 미만에서 최대 내력 이후 하중 감소 기울기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1 MPa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5(e)).

Fig. 4 Failure mode of push-out test
../../Resources/ksm/jksmi.2023.27.2.8/fig4.png
Fig. 5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ed shear load and relative slip
../../Resources/ksm/jksmi.2023.27.2.8/fig5.png

3.2 균열 발생 하중(Table 3 and 4)

실험체 S-N90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99.7 kN이었다. S-H90 및 S-D90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각각 약 135.8 kN 및 136.2 kN으로 S-N90 실험체에 비해 각각 1.36배 및 1.37배 높았다. S-N120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105.8 kN으로 S-N90 실험체의 1.06배 수준이었다. S-N90-N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89.4 kN으로 S-N90 실험체의 0.90배 수준이었다. 그리고 S-N90-W 및 S-D90-W 실험체의 최대 하중은 각각 81.1 kN 및 91.6 kN으로 방수재를 시공하지 않은 실험체(각각 S-N90 및 S-N90)의 0.81배 및 0.67배 수준이었다.

실험체 RC-N90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96.8 kN이었다. RC-H90 및 RC-D90 실험체의 균열발생 하중은 각각 약 138.8 kN 및 139.7 kN으로 RC-N90 실험체에 비해 각각 1.43배 및 1.44배 높았다.RC-N120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105.4 kN으로 RC-N90 실험체의 1.09배 수준이었다. RC-N90-N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85.9 kN으로 RC-N90 실험체의 0.89배 수준이었다. RC-N90-W 및 RC-D90-W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각각 80.4 kN 및 89.1 kN으로 방수재를 시공하지 않은 실험체(각각 RC-N90 및 RC-N90)의 0.83배 및 0.64배 수준이었다. RC18-N90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약 101.9 kN으로 RC-N90 실험체의 1.05배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RC21-N90 및 RC30-N90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각각 117.1 kN 및 126.1 kN으로 RC18-N90 실험체에 비해 각각 1.15배 및 1.24배 높은 수준이었다.

Table 3 Test results for H-beam pile specimens

Specimen

Failure mode

Cracking load

(kN)

Peak load

(kN)

Ratio to control

Cracking load

Peak load

S-N90

Shear failure of shear connector

99.7

392.8

1.00

1.00

S-H90

135.8

479.2

1.36

1.22

S-D90

136.2

469.4

1.37

1.20

S-N120

105.8

403.4

1.06

1.03

S-N90-N

89.4

371.4

0.90

0.95

S-N90-W

81.1

371.2

0.81

0.95

S-D90-W

91.6

419.4

0.67

0.89

Table 4 Test results for RC pile specimens

Specimen

Failure mode

Cracking load

(kN)

Peak load

(kN)

Ratio to control

Cracking load

Peak load

RC-N90

Concrete failure

96.8

344.2

1.00

1.00

RC-H90

138.8

378.8

1.43

1.10

RC-D90

139.7

400.3

1.44

1.16

RC-N120

105.4

359.5

1.09

1.04

RC-N90-N

85.9

330.0

0.89

0.96

RC-N90-W

80.4

325.9

0.83

0.95

RC-D90-W

89.1

350.4

0.64

0.88

RC18-N90

101.9

351.6

1.05

1.02

RC21-N90

Concrete failure, Shear failure of shear connector

117.1

373.4

1.15

1.06

RC30-N90

Shear failure of shear connector

126.1

383.7

1.24

1.09

3.3 최대 내력(Table 3 and 4)

실험체 S-N90의 최대 내력은 약 392.8 kN이었다. S-H90 및 S-D90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각각 약 479.2 kN 및 469.4 kN으로 S-N90 실험체에 비해 각각 1.22배 및 1.20배 높았다. S-N120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약 403.4 kN으로 S-NV90 실험체의 1.03배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S-N90-N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약 371.4 kN으로 S-NV90 실험체의 0.95배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S-N90-W 및 S-D90-W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각각 371.2 kN 및 419.4 kN으로 방수재를 시공하지 않은 실험체(각각 S-N90 및 S-D90)의 0.95배 및 0.89배 수준이었다.

실험체 RC-N90의 최대 내력은 344.2 kN으로, S-N90 실험체의 0.88배 수준이었다. RC-H90 및 RC-D90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각각 약 378.8 kN 및 400.3 kN으로 RC-N90 실험체에 비해 각각 1.10배 및 1.16배 높았다. RC-NV120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각각 약 403.4 kN 및 359.5 kN으로 RC-NV90 실험체의 1.04배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RC-N90-N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약 330.0 kN으로 RC-N90 실험체의 0.96배 수준이었다. RC-N90-W 및 RC-D90-W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각각 325.9 kN 및 350.4 kN으로 방수재를 시공하지 않은 실험체(각각 RC-N90 및 RC-D90)의 0.95배 및 0.88배 수준이었다. RC18- N90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약 351.6 kN으로 RC-N90 실험체의 1.02배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RC21-N90 및 RC30-N90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각각 373.4 kN 및 383.7 kN으로 RC18-N90 실험체에 비해 각각 1.06배 및 1.09배 높은 수준이었다.

4. 기준 비교

4.1 전단마찰설계 기준(KDS 14 20 22)

KDS 14 20 22(2022)에서 전단마찰 내력설계는 전단내력에 대해 전단마찰철근만을 고려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sin과 cos함수를 통해 전단마찰철근의 배근각도를 고려하고 있다. 그리고 전단마찰거동에서 철근콘크리트의 영향은 철근콘크리트 강도의 20% 수준으로 상한값을 두고 있다.

(1)
$ V_{n}=A_{sc}f_{y}\left(\mu\sin\theta_{s}+\cos\theta_{s}\right)\\ \;\;\;\;\;\le\min\left(0.2f_{ck}A_{c},\: \left(3.3+0.08f_{ck}\right)A_{c},\: 11A_{c}\right) $

여기서, $V_{n}$은 전단내력을, $A_{sc}$는 전단연결재량을, $f_{y}$는 전단연결재의 항복강도를, $\theta_{s}$는 전단면과 전단연결재 사이의 각도를, $\mu$는 마찰계수(일체타설 된 콘크리트 = 1.4, 거친 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 1.0, 부드러운 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 0.6,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강재단면 = 0.7)를, $A_{c}$,는 전단면 단면적을 나타낸다. 실험결과에 대한 KDS 14 20 22(2022)의 전단마찰 예측값($\left(V_{n}\right)_{Exp}/\left(V_{n}\right)_{Pre}$)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H-형강 말뚝 실험체의 경우 각각 약 1.45 및 0.10으로,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의 경우 각각 약 1.31 및 0.15로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였다(Table 5 and 6).

Table 5 Comparisons of test result and prediction for H-beam pile specimens

Specimen

Test result

(1)

Prediction

(1) / (2)

(1) / (3)

KDS 14 20 22

(2)

KDS 14 31 10 (3)

RC-N90

344.2

255.4

301.8

1.35

1.14

RC-H90

378.8

372.3

301.8

1.02

1.26

RC-D90

400.3

310.5

301.8

1.29

1.33

RC-N120

359.5

255.4

301.8

1.41

1.19

RC-N90-N

330.0

255.4

301.8

1.29

1.09

RC-N90-W

325.9

255.4

301.8

1.28

1.08

RC-D90-W

350.4

310.5

301.8

1.13

1.16

RC18-N90

351.6

255.4

307.7

1.38

1.14

RC21-N90

373.4

255.4

314.6

1.46

1.19

RC30-N90

383.7

255.4

314.6

1.50

1.22

Average

1.31

1.18

Standard deviation

0.15

0.07

Table 6 Comparisons of test result and prediction for RC pile specimens

Specimen

Test result

(1)

Prediction

(1) / (2)

(1) / (3)

KDS 14 20 22

(2)

KDS 14 31 10 (3)

S-N90

392.8

255.4

314.6

1.54

1.25

S-H90

479.2

372.3

430.2

1.29

1.11

S-D90

469.4

310.5

408.2

1.51

1.15

S-N120

403.4

255.4

314.6

1.58

1.28

S-N90-N

371.4

255.4

314.6

1.45

1.18

S-N90-W

371.2

255.4

314.6

1.45

1.18

S-D90-W

419.4

310.5

408.2

1.35

1.03

Average

1.45

1.17

Standard deviation

0.10

0.08

4.2 전단연결재 공칭내력(KDS 14 31 10, 2017)

KDS 14 31 10(2017)에서 노출형 합성보의 전단연결재 전단내력은 최대 인장력의 75%(골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수준으로 평가하며,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대해 상한선을 두고 있다.

(2)
$V_{n}=\min\left(0.5A_{sc}\sqrt{f_{ck}E_{c}},\: 0.75A_{sc}f_{u}\right)$

여기서, $E_{c}$는 콘크리트 탄성계수를 나타낸다. H-형강 말뚝 실험체에 대해 전단연결재 전단내력은 모두 전단연결재($0.75A_{sc}f_{u}$)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에 대해 전단연결재 전단내력은 RC21-N90 및 RC30-N90 실험체를 제외하고 모두 콘크리트 상한($0.5A_{sc}\sqrt{f_{ck}E_{c}}$)에 의해 지배되었다. 실험 결과에 대한 KDS 14 31 10(2017)의 전단응력재 전단내력 예측값($\left(V_{n}\right)_{Exp}/\left(V_{n}\right)_{Pre}$)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H-형강 말뚝 실험체의 경우 각각 약 1.17 및 0.08로,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의 경우 각각 1.18 및 0.07로 실험결과를 과소평가하였다(Table 5 and 6).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지하 합성벽 설계를 위해 수행한 푸쉬아웃 실험을 통해 CSB 전단연결재의 전단 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형강 말뚝 실험체들의 파괴모드는 모두 CSB 전단연결재의 파단이 나타났다. 철근콘크리트 말뚝 실험체들의 파괴모드는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목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1 MPa 및 30 MPa인 실험체를 제외하고 모두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파괴가 나타났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목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1 MPa 및 30 MPa인 실험체는 CSB 전단연결재의 파단이 나타났다.

2. 고강도 볼트 및 이형철근의 CSB 전단연결재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응력재에 상관없이 일반강도 볼트의 CSB 전단연결재 실험체에 비해 약 1.36 ~ 1.43배 및 1.37 ~ 1.44배 높았다. 그리고 고강도 볼트 및 이형철근의 CSB 전단연결재 실험체의 최대 내력은 일반강도 볼트의 CSB 전단연결재 실험체에 비해 강재 응력재의 경우 약 1.22배 및 1.20배 높았으며, 철근콘크리트 응력재의 경우 약 1.10배 및 1.16배 높았다.

3. 푸쉬아웃 실험에서 균열 발생 하중 및 최대 내력에 대해 전단연결재의 길이 및 철근 중첩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4. 방수재를 시공한 일반강도 볼트 및 이형철근의 CSB 전단연결재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방수재를 시공하지 않은 실험체의 약 0.81 ~ 0.83배 및 0.64 ~ 0.67배 수준이었으며, 최대 내력은 방수재를 시공하지 않은 실험체의 약 0.95배 및 0.88 ~ 0.89배 수준이었다.

5.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목표 압축강도가 21 MPa 및 30 MPa인 실험체의 균열 발생 하중은 목표 압축강도가 18 MPa인 실험체에 비해 각각 1.15배 및 1.24배 높은 수준이었으며, 최대 내력은 각각 1.06배 및 1.09배 높은 수준이었다.

6. KDS 기준의 전단마찰내력 및 노출형 합성부재의 전단연결재 전단내력에 대한 $\left(V_{n}\right)_{Exp}/\left(V_{n}\right)_{Pre}$의 평균은 1.31 ~ 1.45 및 1.17 ~ 1.18로 실험결과를 안전측으로 평가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S-2021-KA161331).

References

1 
Balasubramanian, B., and Rajaram, B. (2016), Study on Behaviour of Angle Shear Connector in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16(3), 807-811.DOI
2 
British Standars Institution (2004), Eurocode 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EN1994-1-1:2004, CEN-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London, UK.URL
3 
Choi, Y. H., Heo, B. W., and Chae, J. Y. (2022),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hear Connectors for Basement Composite Wal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34(3), 173-184. (in Korean).DOI
4 
KDS 14 20 22 (2022), Concrete Structural Design Code - Shear and Torsion, Korea Construction Standard Center, Seoul, South Korea. (in Korean).URL
5 
KDS 14 31 10 (2017), Specificat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LRFD), Korea Construction Standard Center, Seoul, Korea. (in Korean).URL
6 
Pallarés, L., and Hajjar, J. F. (2010), Headed steel stud anchors in composite structures, Part I: Shear,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66(2), 198-212.DOI
7 
Pavlović, M., Marković, Z., Veljković, M., and Buđevac, D. (2013), BoLted Shear Connectors vs. Headed Studs Behaviour in Push-out Test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88, 134-149.DOI
8 
Saleh, S. M., and Majeed, F. H. (2022), Shear Strength of Headed Stud Connectors in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 Buildings, 12(5), 1-13.DOI
9 
Seo, S. Y., Kim, S. S., and Yoon, Y. D. (2010), The Effect of Composite Ratio and Wall Thickness on the Shear Behavior of Composite Basement Wal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4(1), 93-101. (in Korean).URL
10 
Seo, S. Y., Kim, S. S., Yoon, Y. D., and Ha, K. J. (2008),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Strength of Form Tie Connector Linked by Stud Couple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5), 573-581. (in Korean).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