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주성이앤씨 기술연구소 연구소장, 교신저자
  2. 정회원,㈜주성이앤씨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3. 정회원,아이에스동서㈜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원심성형, 초고강도, 각형보, 재하시험, 피암터널
Centrifugal molding, Ultra high strength, Prismatic beam, Standard loading test, Avalanche tunnel

1. 서 론

국내의 건설시장은 여러기관에서 후퇴기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건설 수주 감소세가 심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내 PC(Precast Concrete)공법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 공법에 비해 노동력 감소와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원심성형으로 생산되는 부재는 강도가 높고, 수밀성에 의해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제작되어 균일한 품질이 확보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구조부재를 원심성형으로 제조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왔다.

국내에서 원심성형기술이 주로 적용되는 분야는 파일, 전신주 등이며 최근 건축물에 PHC파일을 기둥 부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현재 엔지니어링사 주도로 원심성형 기둥이 적용된 상황이며, 이중 지상층에 사용된 일부 건물에서는 Photo 1과 같이 PHC 파일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활용하여 시공된 사례가 있다(Kim, 2012).

또한 대림C&S(주)와 포스코기술연구소는 원심성형을 이용한 각형기둥을 공동개발하여 지하차도의 차수벽 및 연속 벽체로 활용한 사례가 보고되었다(Mah et al., 2012). 합성형 벽체파일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는 PHC파일과 CT형강을 합성시킨 부재이다(Photo 2). 합성형 벽체 파일은 일본의 PC벽체를 토대로 개발되었지만, 기존의 PHC파일의 생산 설비로 제작할 수 있도록 PC강봉의 배치를 원형으로 하고, CT형강을 합성시키는 등의 구조상세 변경을 통해 일본의 PC벽체를 국내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구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둥부재나 벽체파일과 같은 압축부재가 아닌 원심성형 기법을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휨부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Fig. 1과 같은 형상의 구조용 각형보를 기본 개념으로 설계, 생산기술 그리고 현장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기술은 PHC 파일 생산 시 적용되는 원심력을 이용한 부재성형방법으로 콘크리트의 치밀성을 높여 기존 콘크리트 대비 적은 시멘트량으로 콘크리트강도를 10~30% 이상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설계압축강도 100 MPa 고강도 콘크리트 보(Beam)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인성을 증가시켜 철근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멘트 사용저감에 따른 탄소저감에 효과적인 친환경적인 기술이 될 수 있다. 공장에서 제작된 원심성형 각형보는 우선 피암터널의 상부구조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보로 활용될 계획이다.

단면의 휨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면의 중공률은 10%이하로 하며 이를 위하여 기존의 원심성형 파일에 사용하는 빈배합(slump 0 mm)상태의 콘크리트가 아닌 고슬럼프(150~200 mm)의 물성을 가지며 설계강도가 100 MPa이상인 콘크리트 배합비를 개발하여 적용하고(Kim et al., 2021), 원심성형 각형보를 제작하기 위한 특수거푸집을 제작하여 원심성형 각형보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원심성형 각형보는 원심성형 부재의 표준 휨 및 전단 시험기준에 따라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Fig. 1 3D Shape of centrifugal formed beam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1.png
Photo 1 Centrifugal formed columns in domestic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1.png
Photo 2 Outline of composite PHC pile for wall structure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2.png

2. 원심성형 각형보의 설계 및 제작기술

2.1 원심성형 각형보의 설계

압축부재인 PHC말뚝은 지상에서 전달되는 압축력과 휨에 대해서 성능을 발현하지만, 일반적으로 보(Beam)부재는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받게된다. 특히 압축에 대해 우수한 콘크리트는 반대로 인장에 대해서 취약하기 때문에 인장영역에 철근으로 보강하거나 PS(PreStress)부재를 배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보강하게 된다. 원심성형 기법으로 제작되는 부재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최대 30 %이상 높일 수 있는 반면에 제작단계에서 중공부가 발생되기 때문에 기존의 말뚝과 같은 생산방식으로는 휨부재로서 강성을 발휘하는 것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휨강성을 발현하면서 현장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원심성형 각형보를 개발하기 위해 설계와 생산에서 발생되는 Table 1과 같이 변수를 우선 조사하여 원심성형 각형보를 생산하는 데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원심성형 각형보는 제작상의 한계(원심성형 능력, 공장내 크레인 용량 등)를 고려하여, 표준단면으로 현재 시공 중인 갑산지구의 피암터널을 참고하여 Fig. 2와 같이 각형보의 높이 및 폭을 결정하였으며, 길이는 12 m 이하로 제한하였다. Fig. 2에 대한 공칭설계강도는 건축설계프로그램 BEST. Pro (ver.3.0)의 BEST. PSC Prestress Beam으로 산정하였으며, Table 2와 같다.

Fig. 2 Geometric section properties of centrifugal formed prismatic beam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2.png
Table 1 Variables in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stages of centrifugal formed beam

Division

Problem

Improvement

Design

・Restrictions of Section and length

☞Class 3 bridge, limited to less than 15m in length

・Insufficient cross-sectional rigidity due to the presence of a hollow part

☞10% hollowness through change of concrete property

・Composite and connect the deck slab

☞Composite formed steel attached with shear connector

Fabrication

・Centrifugal molding with hollowness less than 10%

☞Production of special formwork for inputting high slump concrete

・Safety due to asymmetric PS steel bar arrangement

☞Reinforcing design of formwork through stability analysis

・Whether or not to composite with the end and inner formed steels during centrifugal molding

☞Expose the shear rebar and fix the formed steel to the formwork surface

Table 2 Nominal design strength of centrifugal formed beam

Bending Strength (kN·m)

Shear Strength (kN)

$\phi M_{n}$=1257.4

$\phi V_{n}$=330.6

2.2 원심성형 각형보의 거푸집 개발

2.2.1 각형보 거푸집의 설계 및 제작

Photo 2와 같은 기존의 원심성형 각형기둥을 생산하는 사례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직경 900 mm, 1200 mm PHC 파일의 원심성형 거푸집 내부에 강판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단면으로 내부거푸집을 형성하여 생산하였다. 그러나 Fig. 1과 같은 구조용 보에서는 강봉이 비대칭되며, 중공률을 10%이하로 최소화하고 상부슬래브와의 합성 및 타 부재와의 이음을 간소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PHC파일 거푸집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원심성형기에 올려지는 거푸집은 원심성형 시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2분절로 구성하며 중공률을 10%이하로 하기 위해서 기존과 달리 빈배합이 아닌 고슬럼프의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위해서 거푸집 하단에 개폐식 홀(hole)을 마련하고, 원심성형 전 덮개판을 볼트로 체결하여 폐쇄하는 구조로 제작하였다.

Fig. 3과 같은 단면형상을 갖는 원심성형 거푸집을 개발하여, Photo 3와 같이 원심성형 특수거푸집에 대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Fig. 3 Formwork cross-section for centrifugal molding of prismatic beam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3.png
Photo 3 Prototype shape of centrifugal molding formwork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3.png

2.2.2 거푸집의 안전성 검토

각형보에 배치된 강봉이 상·하부에서 불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강봉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시에 거푸집은 편심에 의한 휨변형이 발생된다. 이같은 휨변형은 원심성형 시에 거푸집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에 범용해석프로그램(MIDAS FEA)을 사용하여 원심성형 각형보 거푸집에 대한 정적해석과 좌굴해석을 Fig. 4와 같이 수행하였다.

원심성형 거푸집(Photo 3) 형상을 421,184개의 판요소(Plate Element)를 사용하여 구성한 수치해석 모형을 나타내고 있다. 재료의 물성은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KRTA, 2010)에서 제시하고 강재의 물성을 반영하였고, 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은 Fig. 4(a)와 같이 첫 번째와 마지막 다이아 하단부에 수직방향(Z방향) 변위와 수평방향(X방향) 변위를 구속하였다.

각형보에 배치된 강봉이 상하부에서 불균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강봉에 인장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일괄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인장쉬프트(shift)를 거푸집의 중심축에서 71.5 mm 아래로 이동시켰으며, 이에 따라서 거푸집에 작용하는 긴장력에 의한 압축력을 Fig. 4(a)와 같이 3860 kN이 아래로 약 71.5 mm의 편심을 갖고 작용하도록 재하하였다.

기하학적인 비선형해석(좌굴해석)을 통해서 29본의 PC강봉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거푸집으로 전달되는 편심재하 압축력에 대해서 거푸집은 좌굴없이 안정적으로 미소변형(5 mm 이하)만이 발생되며, 이 미소변형으로 인한 원심성형 간에 고속회전에 대한 안전성은 시제품 생산과정에서 검증되었다. 또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력에 의한 특수거푸집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Photo 4와 같이 변위계(LVDT)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입긴장력에 따른 처짐량을 측정하였다. Table 3과 같이 상·하연의 강봉배치를 변화하면서 강봉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5가지 경우에 대한 휨변형을 계측하였다.

거푸집 보강과 강봉배치 조정에 의한 원심성형 각형보 거푸집 수정 후 거푸집의 휨변형에 대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Table 3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상 ·하연에 적정량의 강봉을 배치하여 원심성형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부족한 휨강성은 하연에 항복강도 500 MPa 이상의 22 mm 철근을 강봉대신 배치하여 목표로 하는 원심성형 각형보의 공칭휨강도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Fig. 4 Analysis of Formwork F.E. Model for stability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4.png
Photo 4 Deformation measurement of formwork undergo prestress loads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4.png
Table 3 Flexural deformation of Centrifugal form under prestress load

Arrangement of steel bars

upper/low(total)

16/21 (37)

14/21 (35)

12/21 (33)

12/16 (28)

10/16 (26)

Eccentric (mm)

-25.8

-35.3

-45.9

-15.7

-27.7

Prestress Force (kN)

459.7

434.8

410.0

347.9

323.0

Maximum deflection (mm)

1.513

2.100

2.551

1.119

1.467

3. 원심성형 각형보의 시험생산

3.1 원심성형 각형보의 생산과정

원심성형 각형보 시제품은 음성에 위치한 IS동서(주) 원심성형파일공장에서 Photo 5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었다. 상단거푸집에 형강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강봉과 철근을 배치하고 인장장치에 연결한 후에 하단거푸집을 체결하고 콘크리트 투입구를 개방하였다. 공장 내 콘크리트 투입시설로 이동하여, Table 4와 같은 배합비의 고슬럼프 콘크리트를 투입한 후에 투입구를 폐쇄하고 강봉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였다.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푸집은 원심대에서 저속→중속→고속으로 회전하여 단면을 형성하고, 잉여수분을 재측으로 축출하여 콘크리트가 침리되어 수밀성이 높아져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비해 강도가 10~30 %이상 증진된다(Lee et al. 2021; 2022). 일정 시간이상 원심성형된 거푸집은 12시간 정도 증기양생을 실시하고, 다음날 형강부 고정너트와 거푸집 고정너트를 해제한 후 인장판을 고정한 너트를 해제하여 원심성형 각형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후에 상부거푸집을 해체 탈형 후, 완성된 원심성형 각형보(Photo 6)를 거푸집에서 꺼내 보관장소에 이적하였다.

Photo 7과 같이 시제품의 표면은 일반 PC와 달리 미소공극 없는 PHC 파일과 같이 밀실한 표면을 확보하고 있으며, 좌·우측 단면 모두 지름 200 mm 내 중공을 형성하여 중공률 10 %를 확보하였다.

Photo 5 Fabrication of prototype centrifugal molding beam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5.png
Photo 6 Prototype of Centrifugal Formed Beam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6.png
Photo 7 Surface of Centrifugal Formed Beam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7.png
Table 4 Concrete mixing ratio

W/C (%)

W (kg/m3)

C1 (kg/m3)

C2 (kg/m3)

BFS (kg/m3)

H (kg/m3)

S (kg/m3)

G (kg/m3)

AD (%)

25.6

125

153

336

31

92

722

1,092

1.2

4. 원심성형 각형보의 성능시험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시제품에 대한 구조성능시험은 공인시험기관인 한양대학교 초대형구조시험동에서 원심성형 말뚝의 시험기준에 맞춰 가력하중 2,000 kN 오일잭을 사용하여 4점 재하 휨 성능시험과 전단성능 시험을 각각 2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휨시험체는 Fig. 5와 같이 중앙부에 단면에서 차이를 갖는다. FH시험체가 T형강을 중앙부 상면에 배치하는 대신에 FP시험체는 강판에 스터럽 철근을 점용접하여 일정 간격(200 mm)으로 배치하여 단면을 형성하였다. 전단시험체 2본은 모두 FP시험체로 제작되었다.

Fig. 5 Shape of specimens section on middle part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5.png

4.1 시험체의 사용재료 및 제원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KRTA, 2016)의 규정에 따라 설계된 휨 및 전단시험체의 제원 및 형상은 Fig. 5에 나타내었으며, 사용재료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Properties of materials

Material

Member

Property

Concrete

Beam

fck=100 MPa

Formed Steel

H-beam, Plate

SS400

PS Steel bar

SWPC 7B

28 EA

Re_bar

Beam (H22)

SD600

4.2 시험체의 기초시험결과

실험에 사용된 원심성형 각형보 콘크리트는 100 MPa의 콘크리트로 설계하였다. 시험체에 적용된 철근은 SD600, 강봉은 SBPD 1275/1420이며, 재료 실험결과는 Table 6과 같다(Kim et al., 2023).

원심성형 각형보의 압축강도 확인을 위해 총 3회 공시체를 제작하여 Photo 8과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설계강도 100 MPa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Photo 8 Compressive strength test of centrifugal formed concrete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8.png
Table 6 Results of strength test

Content

Design strength

(fck, fu, fy : MPa)

Compression/ Yield / Tension

strength (fc, fu, fy : MPa)

No.1

No.2

No.3

Average

Beam

100

102.9

101.7

101.2

101.9

PC Steel bar

1275/1420

1,297

/ 1,457

1,297

/ 1,473

1,303

/ 1,429

1,296

/ 1,453

rebar

600

726.1

707.6

749.7

727.8

4.3 계측 및 재하시험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는 제품의 휨, 전단 실험은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는 PHC 파일의 실험방법을 준용하여 KS F 4306에 제시된 휨, 전단 실험방법을 적용하여 Fig. 6과 같이 시험체 길이의 3/5을 지간으로 하여 지지하고 지간의 중앙에 연직하중 P를 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제어는 단조가력으로 하였으며, 시험체 변위 측정을 위해 시험체 중앙부와 양 지점과 하중재하점 사이 1/2지점에 각각 LVDT를 배치하였다. SP2 시험체의 전단강도 실험은 단부에 위치한 H형강을 지점조건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휨 시험체의 변위는 시험체 중앙, 하중 재하점과 지점 중앙부에 LVDT를 설치하여 시험체의 최대 처짐과 좌/우 시험체의 대칭거동 조사를 위해 위치를 설정하였다(Photo 9). 하중, 균열에 따른 중립축의 위치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단면 A, B 측면에 콘크리트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Fig. 7).

전단시험체 SP1은 시험체의 중앙, 하중재하점과 지점 중앙부에 LVDT를 설치하였고, 시험체의 전단범위 내 중앙 측면에 콘크리트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SP2 시험체는 단부인 H형강에 지점을 두고 형강과 콘크리트 합성부의 전단강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형강에 변형을 측정하기 위해 형강 하부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에 총 8개의 변형률게이지를 부착하였으며, Photo 10과 같다. SP1과 SP2 시험체는 형상 및 제원이 모두 동일하며, Fig. 8과 같이 재하위치만 달리하였다.

Fig. 6 Test method of PHC pile (KS F 4306)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6.png
Fig. 7 Strain gauges & LVDT of flexural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7.png
Fig. 8 Strain gauges & LVDT of shear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8.png
Photo 9 Flexural strength test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9.png
Photo 10 Shear strength test
../../Resources/ksm/jksmi.2023.27.4.11/pho9.png

4.4 휨성능 재하시험 결과

4.4.1 하중이력과 변위곡선

Fig. 9는 휨강도 시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을 나타내었다. 두 시험체 모두 원심성형 각형보의 공칭휨모멘트인 1,257.4 kN·m 이상으로 나타나 충분한 휨강성을 확보한 결과를 보였으며, 균열 휨모멘트도 하중-변위 곡선의 첫 번째 변곡점 이하로 나타나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Fig. 9에서 각 단계별 하중값은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를 등가집중하중으로 치환하여 계산한 값이다. 원심성형 각형보 FP 시험체는 최대하중 1,232.27 kN에서 33.97 mm의 변위를 나타내었고, FH 시험체는 최대하중 1,138.12 kN에서 38.04 mm의 변위를 보여 유사한 거동을 보였으나, 철근 스트럽이 배치된 FP 시험체의 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2가지 유형의 휨시험체에서 모두 공칭휨강도를 넘어서는 결과(Table 7)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충분한 공칭강도 확보 측면에서시험체 FP 형상을 기본 단면으로 결정하였다.

Fig. 9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9.png
Table 7 Comparison of flexural strength design/experimental values

Specimens

Design

(kN·m)

Experimental

(kN·m)

ⓑ / ⓐ

FP

1,243.5

(φMn-Md)

1,386.2

1.11

FH

1,280.4

1.03

4.4.2 시험체의 변형률

Fig. 10(a)~(c)는 FP시험체에서 계측된 콘크리트 및 강재의 하중-변형률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FP시험체의 중앙부 측면에서 응력은 중립축(yt=245 mm)을 기준으로 초기균열 전까지 압축 및 인장변형률을 나타내고 있다. 균열이 깊어짐에 따라서 상연은 압축변형률이 커지고 중립축에 근접한 BC-03 게이지의 경우 균열 후 인장변형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체 중앙부 하면에서는 재하하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대칭적으로 인장응력이 증가하다가 좌측(BC-07)에서 초기균열이 먼저 발생되고, 우측에서도 균열이 발생되며 변형률이 급작스럽게 증가하는 것을 Fig. 10(b)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시험체 상면에서는 콘크리트 면과 강판에 부착된 게이지에서 모두 선형적인 압축변형을 보였으며, 하면에서 초기균열이 나타난 후에 강판에 부착된 게이지에서 변형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박판인 강판이 콘크리트 부착면에서 박리되면서 변형이 증가하여 콘크리트 면에서 측정된 변형률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와 같은 거동은 사용한계상태에 해당하는 하중단계 이후에 거동으로 사용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Fig. 10(c)).

Fig. 10 Load-strains relations of FP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10.png

4.4.3 균열분포도

원심성형 각형보 FH 시험체와 FP 시험체는 모두 재하하중 500.0 kN 부근에서 중앙부 하단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하였다. 두 시험체 모두 중앙부에서 지점 방향으로 균열이 확장되었으며, 초기에는 휨 수직균열이 이후에는 휨-전단균열이 발생하였다. 균열의 깊이는 보 높이의 3/4 위치까지 확장된 후에 파괴되었다.

원심성형 각형보 내부에 스트럽(전단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FH 시험체의 경우 Fig. 11(a)의 균열도와 같이 수직방향의 휨 균열과 함께 45도 기울기의 사인장에 의한 휨-전단 균열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스트럽이 200 mm 간격으로 배치된 FP 시험체(Fig. 5(b)) 의 경우 파괴 시 상대적으로 휨-전단균열의 분포가 적고 휨균열에 해당하는 수직균열이 집중적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같은 균열분포를 통해서 휨-전단균열에 효과적인 수직전단철근이 보강된 FP시험체가 더 높은 하중강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 Cracking pattern of flexure test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11.png

4.5 전단성능 재하시험 결과

4.5.1 하중이력과 변위곡선

중앙부 단면에 대한 전단강도를 시험한 SP1 시험체는 재하장비의 최대하중인 1,761.39 kN에 도달할 때까지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이 완료되었다.

Fig. 12는 형강이 매립된 위치에 대한 전단시험체인 SP2에 대한 하중-변위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SP2 시험체는 최대하중 812.26 kN에서 25.13 mm의 변위가 계측되었으며, 초기균열이 발생한 385.0 kN에서 약 11.19 mm의 변위가 발생하면서 변위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4.5.2 시험체의 변형률

전단시험체 SP2에서 수직전단이 가장 큰 위치인 단부형강 A-A단면에서 변형률의 변화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하부플랜지 상연에서는 압축상태를 유지하다가 좌측부에 먼저 균열이 발생한 후 비대칭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하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파괴하중에 도달한 후에는 형강부에 변형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균열이 확장되면서 콘크리트와 형강이 분리되어 변형이 증가하면서 형강의 변형률로 동시에 증가하는 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시험체 SP2의 파괴 시에서 형강부의 변형은 모두 항복 변형률(1,150 με) 이하로 유지되었으며, Table 8과 같이 설계공칭전단강도보다 20 %이상 높은 하중까지 안정적인 전단거동을 보였다고 판단된다.

Fig. 12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SP1&SP2)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12.png
Fig. 13 Load-strains relations of SP2 specimen(Sec. A-A)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13.png
Table 8 Comparison of shear strength design/experimental values

Specimens

Design

(kN)

Experimental

(kN)

ⓑ / ⓐ

SP1

330.6

812.3

2.66

SP2

406.1

1.23

4.5.3 균열양상

SP1 시험체는 공칭강도 330.6 kN에서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험 종료 하중인 1,763.9 kN, 전단하중 880.7 kN에서도 Fig. 14(a)와 같이 시험체 좌/우면 어느 곳에서도 균열이 발견되지 않았다.

SP2 시험체는 SP1과 같은 시험체로 SP1 시험체가 충분한 전단강성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되어, SP2 시험체는 지점을 변경하여 원심성형 각형보의 양단부 H형강 연결부의 전단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우측 지점을 H형강 하단으로 변경하여 전단지간내 H형강이 위치하도록 하였다. 초기균열은 385 kN에서 H형강 하부플랜지와 콘크리트 접합부에서 발견되었으며, 최대하중 812.26 kN에 시험체 콘크리트 단부에서 중앙부로 1.2 m 지점까지 균열이 이어지며 균열폭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Fig. 14 Cracking pattern of shear test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3.27.4.11/fig14.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혼화제 투입 없이 일반배합으로 설계된 콘크리트를 원심성형 제작방식으로 생산한 각형보에 대한 제작기술 및 단면성능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1)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원심성형 제작법으로 PC강봉으로 보강된 각형보를 개발하기 위해 전용거푸집을 제작하였으며, 기존의 원심성형 부재에서 사용하던 콘크리트 빈배합 배합비를 조정하여 원심성형에 의해 발생되는 단면의 중공률을 10 %이하로 유지하고 콘크리트 설계강도가 100 MPa 이상인 10.0 m 길이의 PSC 원심성형 각형보의 시제품을 생산하는 데 성공하였다.

2)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시제품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공인기관에서 구조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원심성형 각형보의 휨 시험을 2회 수행한 결과 공칭 휨모멘트 보다 1.1배 이상으로 나타나 충분한 휨강성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단시험에서는 시험 종료 시까지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 공칭전단강도보다 2.66배 이상 큰 전단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원심성형 각형보와 접합부인 벽체와의 H형강 하단을 지점으로 시공단계별 전단 실험을 수행한 결과 H형강이 돌출된 보 단부에서 원심성형 각형보의 공칭 전단강도 보다 1.23배 높은 전단강도를 보여 원심성형 콘크리트와 형강의 합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초재료시험과 휨-전단 성능시험을 통해서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압축강도 100 MPa급 프리스트레스 각형보의 설계공칭강도 요구성능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암터널이나 저류조의 상부구조와 같은 길이 10 m 내외의 구조물에 효율적인 부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1년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100 MPa급 초고강도 직사각형 보의 제작기술 및 이를 상부구조로 하는 피암터널 공법개발(21TBIP-C161317-02)’를 통해 수행된 연구입니다. 연구지원에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Kim, T. H. (2012), Development of High Stregnth Cetrifugal Foremd Concerte Column, DAELIM Technical Review Architectual Engineering, 132-136.URL
2 
Mha, H. S., Won, J. H., and Cho, H. S. (2012), A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Composite PHC pile with CT Structural Ste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24(2), 233-243 (in Korean).URL
3 
Kim, J. H., Kim, D. H., and Park, Y. S. (2021), A Study on the Mix Proportion of Concrete of Centrifugal Molding Beam, Proceedings of 2021 KCI Conf., KCI, 305-306 (in Korean).URL
4 
Lee, D. S., Kim, Y. J., Kim, J. H., Kim, D. H., and Park, Y. S. (2021), A Study on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Square Beams manufactured by Cetrifugal molding, Proceedings of 2021 KSCE Conf., KSCE, 619-620 (in Korean).URL
5 
Kim, J. H., Kim, D. H., Park, Y. S., Lee, D. S., and Kim, Y. J. (2021),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Centrifugal Force for Application of Precast Concrete Beam to Cetrifugal Molding System, Proceedings of 2021 KSMI Conf., KSMI, 14 (in Korean).URL
6 
Lee, D. S., Kim, S. J., and Kim, J. H. (2022),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Ultimate Behavior of an Avalanche Tunnel Corner Rigid Joint Composited with a Centrifugal Formed Bea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6), 128-138 (in Korean).URL
7 
Lee, D. S., Kim, S. J., and Kim, J. H. (2023), The Experimental Study of Full-scale Centrifugal Formed High Strength Concrete Primatic Beam(CFPB) Compoited with Deck Slab,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1), 19-29 (in Korean).URL
8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9),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KS F 4306.URL
9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KRTA) (2010),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in Korean).URL
10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KRTA) (2016),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in Korean).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