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한국전력기술㈜ 구조부지기술실 차장, 교신저자
  2. 정회원,한국전력기술㈜ 구조부지기술실 차장
  3. 정회원,한국전력기술㈜ 구조부지기술실 실장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 보통중심가새골조, 내진보강
Self-centering viscous damper system,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 Seismic retrofit

1. 서 론

플랜트 시설물에 널리 적용되는 가새구조(Braced frames)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사이에 대각선방향의 가새부재(Bracing)를 추가함으로써 지진하중과 같은 횡하중에 저항하도록 하는 방식의 구조이다. 이 구조는 보와 기둥부재 축의 교차점이 가새부재 축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중심가새골조(CBF: Concentrically Braced Frame)와 편심가새골조(EBF: Eccentrically Braced Frame)로 나뉜다(ASCE, 2022; Ahn and Jin, 2013). 중심가새골조 중 특수중심가새골조(SCBF: Special Concen- trically Braced Frame)는 가새의 인장방향 항복을 통해 구조시스템에 연성을 제공하지만, 보통중심가새골조(OCBF: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에는 연성도 확보를 위한 부재가 별도로 설계되지 않아 지진하중에 대한 성능이 다른 시스템에 비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특수중심가새골조에 비해 부재연결부에 대한 설계가 간단한 이점으로 작은 건물 혹은 중약진 지진지역에서 보통중심가새골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통중심가새골조에서 가새부재는 인장에 대해서는 주변 연결부재의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한 제 역할을 하지만, 압축에 대해서는 항복 이전에도 좌굴이 발생할 수 있어 설계지진 이상의 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횡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저하된다. 이로 인해 구조물의 변위가 증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보-기둥 접합부나 거셋플레이트(Gusset plate)와 같은 연결부가 가지고 있는 기본 연성능력을 초과하게 만들어 구조물의 붕괴를 유발시킬 수 있다.

2016년 9.12 지진 이후 정부에서는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발표하였으며, 후속 작업으로 다부처공동 지진단층조사 연구개발사업에서 수행된 활성단층 조사결과(NDMRI, 2021)는 국가지진위험지도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설계기준지진 자체의 격상 또는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지진 발생에 대비한 내진보강 방안의 마련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플랜트 시설물에서 지진하중에 저항하는 주요 구조시스템인 보통중심가새구조의 내진성능 향상 및 내진보강을 위해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SCVDS: Self- Centering Viscous Damper System)을 개발하였다. 기존 보통중심가새골조와 내진보강을 위해 개발한 시스템으로 가새부재를 대체한 골조 시스템에 대한 내진해석을 수행하여 응답을 비교한 후, 개발한 시스템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다.

2.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

2.1 개요

점성감쇠기(VD: Viscous Damper)는 지진과 같이 짧은 시간에 작용하고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구조물 또는 기기의 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보통중심가새골조에서 지진하중에 대응하면서 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필수적이나, 압축 거동에 취약한 가새부재의 내진보강과 내진성능 향상을 위해 점성감쇠기가 도입되어 왔다. 점성감쇠기는 구조물의 최대변위에서 감쇠력이 최소가 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기존의 마찰댐퍼(Friction damper)(Kim et al., 2022)와 달리 시스템에 강성을 제공하지 않아 구조물의 고유주기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어 변위 및 가속도 응답을 저감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점성감쇠기 자체에는 원래 위치로 복원하려는 강성이 없으므로, 지진 시 점성감쇠기가 설치된 구조물에 잔류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잔류변위가 작을 경우 크게 문제 시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구조물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별도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형 스프링 시스템을 추가로 설치하여 잔류변위를 최소화하려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Naeem and Kim, 2018; Zhu et al., 2020; Liu et al., 2023; Yan et al., 2023).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설계변위(1~2% 층간변위율) 구간에서 선형, 탄성으로 거동하도록 대용량 장치를 제작, 설치하기는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선형 스프링 시스템이 추가될 경우, 전체 구조시스템의 강성을 증가시켜 유효주기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기존 구조물에 더 큰 지진하중을 유발시킬수 있어 기존 구조물의 내진보강 측면에서 볼 때 경우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기존 보통중심가새골조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Fig. 1과 같은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Fig. 1 Self-Centering Viscous Damper System (SCVD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png

2.2 원리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은 비선형 탄성 스프링과 점성감쇠기가 결합된 구조로서 가새부재를 대체하여 그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기존 보통중심가새골조에서는 지진하중 등의 가력에 의해 가새부재에 축방향 변위가 유발되나, 개발한 시스템으로 가새부재를 대체할 경우(Fig. 2(b) 참조) 가력작용에 의해 시스템 내 샤프트(Shaft)가 이동하면서 점성감쇠기와 연결된 피스톤이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Fig. 3과 같이 중앙부 볼 베어링이 이를 받치고 있는 오목한 곡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하부 유연보(Flexible beam)에 휨변형을 유발한다. 이때, 곡면받침에는 반발력이 생성되고, 곡면이 갖는 경사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분력을 갖게 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피스톤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따라 외부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피스톤이 항상 초기위치로 복원하며 구조물에 잔류변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Fig. 2 Frame system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2.png
Fig. 3 Flexural deflection of upper and lower beams caused by axial movement of shaft in SCVD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3.png

2.3 비선형 탄성 스프링

기술한 바와 같이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에서는 외부발생 변위에 대해 상·하부 유연보가 휨강성을 갖고 저항하면서 탄성 스프링 역할을 한다. 스프링의 강성 등 해당 메커니즘에 대응하는 역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작용하는 변위와 이로 인해 유연보에 가해지는 하중 사이의 관계 산정이 필요하다.

시스템이 초기 상태에 놓여 있을 때 볼베어링의 위치를 원점으로 가정한 후, 외부하중에 의해 볼베어링이 곡률반경 $R$을 갖는 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Fig. 4와 같이 점 $(x_{\theta},\: y_{\theta})$ 위치에 놓이게 되면, 단순보의 휨변위 관계로부터 곡면받침에 작용하는 힘의 $y$방향 성분인 $F_{y}$와 $x$방향 성분인 $F_{x}$는 각각 식 (1a) 및 식 (1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Gere, 2001).

(1a)
$F_{y}=\dfrac{48EI}{L^{3}}· y_{\theta}$
(1b)
$F_{x}=F_{y}·\tan\theta$

여기서, $E$, $I$ 및 $L$은 각각 유연보의 탄성계수, 단면이차모멘트 및 지간이고, $y_{\theta}=R(1-\cos\theta)$, $\theta =\sin^{-1}(x_{\theta}/R)$이며, $x_{\theta}$는 외부하중에 의해 시스템에 작용하는 축변위이다.

(1a), (1b)로부터 시스템의 축변위-하중 관계를 구해보면 Fig. 5와 같이 비선형-탄성 거동을 나타낸다. 즉, 변위가 없는 상태에서는 강성 또한 나타나지 않고, 변위가 커짐에 따라 강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점성감쇠기에 선형 스프링 시스템이 추가로 설치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이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경우 초기 상태에서는 강성이 발현되지 않아 구조물의 고유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가,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력 또는 시스템을 원래 위치로 유지시키려는 복원력을 또한 커지게 된다. 한편, 스프링의 비선형 하중-변위 특성은 유연보의 단면형상과 지간 및 곡면받침의 곡률반경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들의 적절한 조합에 따라 원하는 수준의 값을 확보할 수 있다.

Fig. 4 Forces acting on concave bearing support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4.png
Fig. 5 Force-displacement relation of nonlinear-elastic spring in SCVD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5.png

3. 수치해석을 통한 검증

3.1 해석모델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통중심가새골조와 개발한 시스템으로 가새부재를 대체한 골조에 대한 지진응답의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적 접근이 아닌 수치해석적 접근을 통해 개발한 시스템의 효과를 검토,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골조 시스템이 갖는 전형적인 거동을 모사하면서 단순화한 구조 시스템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Fig. 6(a)와 같이 3층 건물을 단순화한 골조 시스템을 예제로 채택하였다. 이 구조 시스템은 전형적인 보통중심가새골조의 형태로서 각 층별로 동일한 제원을 갖는 기둥, 보 및 가새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한 시스템의 내진보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ig. 6(a)의 가새부재를 개발한 시스템으로 대체한 골조 시스템을 Fig. 6(b)에 나타내었다.

철골 구조의 수치해석적 연구에서 대상 구조시스템이 갖는 거동을 보다 정확히 모사하기 위해서는 보-기둥 접합부나 가새-거셋플레이트 접합부에 대한 국부해석을 통해 해당 접합부가 갖는 강성 및 강도 감소효과가 반영된 비선형 하중-변위 관계를 도출한 후, 전체 구조시스템 모델링 시 반영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접합부의 국부적인 비선형 특성이 전체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 아닌, 전체 구조시스템에서 개발된 시스템이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 검토가 주된 목적이므로, 모델링 시 접합부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성과 부재 내 국부 좌굴 등에 의한 영향은 별도로 고려하지 않았다.

Fig. 6 Structural system for numerical analysi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6.png

3.2 입력변수

유한요소 모델링 및 해석을 위해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Dassault Systèmes, 2015)를 활용하였으며, 해석 목적상 Fig. 7(a)~(c)에 나타낸 3가지 경우에 대해 해석모델을 작성하였다. 보와 기둥 부재는 강결 접합을 가정하여 보 요소로 모델링하였으며, 가새부재는 힌지 연결을 고려하여 트러스 요소로 모델링하였다.

해석모델과 유사한 형태의 실 구조물에 적용된 단면을 고려하였으며, 모델링 시 정의된 각 부재의 단면 특성(AISC, 2005)과 재료 특성은 각각 Table 1Table 2와 같다. 비선형 해석 시 재료(강재)는 탄소성 재료로 정의하였고, 극한강도(Ultimate strength)에서 5%의 소성변형률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산업시설물 중 터빈건물과 같은 골조 구조물의 고유진동수(1~2 Hz)를 고려하여 각 층별로 120 kN·sec2/m의 질량을 부여하였다(절점별 40 kN·sec2/m).

이와 같이 구축된 해석모델의 기본적인 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고유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로부터 얻어진 X방향 주요모드의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은 Fig. 8과 같다.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직접적분법(Clough and Penzien, 2003)을 사용하였으며, Rayleigh 감쇠상수는 첫 번째 모드의 진동수와 영주기 가속도(ZPA: Zero Period Acceleration)의 진동수(33 Hz로 가정)에서 3%의 감쇠비(US NRC, 2007)를 갖도록 설정하였다.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이 받는 하중은 식 (2)와 같이 스프링이 부담하는 복원력과 점성감쇠기가 부담하는 복원력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F_{SCVDS}=F_{spr\in g}+C_{N}sign(v)| v |^{\alpha}$

여기서, $F_{spr\in g}$은 스프링이 부담하는 복원력으로 식 (1b)로부터 계산되고, $C_{N}$과 $\alpha$는 비선형 점성감쇠기의 특성을 규정하는 계수이며, $v$는 속도, $sign()$은 변수의 부호를 나타낸다. 수치해석 시 적용된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의 제원 및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제시된 값에 따른 스프링의 하중-변위 관계와 점성감쇠기의 하중-속도 관계는 Fig. 9와 같다.

Fig. 10은 1 Hz의 진동수를 갖고 진폭이 0.05 m인 Sine 곡선 형태의 변위하중을 개발된 시스템에 가했을 때, 점성감쇠기만 있는 경우(VD Only)와 개발한 시스템과 같이 스프링과 점성감쇠기가 함께 하중을 받는 경우(SCVDS)의 하중-변위 관계를 나타낸다.

Fig. 7 Analysis model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7.png
Fig. 8 Major modes in X-direction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8.png
Fig. 9 Mechanical properties of spring and viscous damper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9.png
Fig. 10 Force-displacement relation of SCVDS subject to cyclic sinusoidal displacement (frequency: 1 Hz, amplitude: 0.05 m)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0.png
Table 1 Sectional properties

Member

Shape

Material

Area, A (m2)

Moment of inertia, I (m4)

Shear Area, As (m2)

Column

W8×48

ASTM A572

9.097e-3

7.659e-5

2.194e-3

Beam

W4×13

ASTM A36

2.471e-3

4.703e-6

7.515e-4

Bracing

Table 2 Material properties

Material

Modulus of elasticity (kN/m2)

Yield strength (kN/m2)

Ultimate strength (kN/m2)

ASTM A572

2.000e+8

3.447e+5

4.482e+5

ASTM A36

2.482e+5

3.999e+5

Table 3 SCVDS properties

Upper & lower beam

Bearing support

Viscous damper

E

(kN/m2)

I

(m4)

L

(m)

R

(m)

CN

(kN·sec/m)

α

2.00e+8

1.00e-4

1.5

0.75

120

0.5

3.3 입력운동

동적해석을 위한 입력운동으로 1989 Loma Prieta 지진(Capitola CA, Component: 090)을 사용하였으며, 해당 지진의 가속도 시간이력과 응답스펙트럼 형상은 Fig. 11과 같다.

최대지반가속도(PGA: Peak Ground Acceleration)는 0.44g 수준이며, 40초의 지속시간과 0.005초의 시간간격을 갖고 있다. 해석을 통해 도출되는 지진응답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해석 목적에 따라 입력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 수준을 일정 비율로 저감시켜 사용하였다.

Fig. 11 Input motion (1989 Loma Prieta earthquake: Capitola CA, Component: 090)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1.png

3.4 해석결과

3.4.1 선형해석

개발한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 골조 시스템이 갖는 전형적인 탄성 상태의 거동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Fig. 7에 나타낸 3가지 경우에 대해 모든 부재가 탄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입력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를 0.11g 수준으로 조정하여 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Level 3 위치에서의 가속도와 변위이력, 그리고 밑면 전단력이력 등의 응답을 도출하였다.

먼저 가새부재가 있는 경우(Fig. 7(a))와 없는 경우(Fig. 7(b))에 대한 응답을 Fig. 12에 비교하였다. 가새부재가 없는 경우 구조 시스템의 고유진동수가 작아져 입력운동에서 해당 진동수의 현저하게 줄어든 스펙트럼 가속도로 인해 가새부재가 있는 경우에 비해 가속도 및 밑면전단력이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구조 시스템에서 변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가새부재가 제거됨에 따라 최대변위값은 감소 정도가 크지 않음을 볼 수 있다.

한편, 가새부재를 개발한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내진보강이 이루어진 경우, Fig.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도 및 밑면전단력 뿐만 아니라 변위값도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성감쇠기의 에너지 소산능력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Fig. 12 Comparison of seismic responses from linear analysis with bracing and without bracing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2.png
Fig. 13 Comparison of seismic responses from linear analysis with bracing and with SCVD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3.png

3.4.2 비선형해석

다음으로 구조 시스템 내 일부 부재가 탄성 한계를 벗어나는 설계지진 수준에서의 비선형 응답과, 개발한 시스템이 이 응답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가새부재 일부가 소성 상태가 되도록 입력운동의 최대지반가속도를 0.33g 수준으로 설정하여 선형해석 시와 마찬가지로 3가지 경우(Fig. 7 참조)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경우의 응답 비교에 앞서 비선형성 고려 유무에 따른 응답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가새가 있는 경우(Fig. 7(a))에 대해 선형 및 비선형해석을 통해 얻어진 가속도 및 변위 응답을 Fig. 14에 비교하였다. 비선형성을 고려한 해석 시 Level 1을 지지하는 최하단 가새부재에 소성변형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에너지 소산으로 가속도 및 변위응답의 최대값이 선형 결과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가새의 소성변형으로 해석이 끝난 시점에서도 잔류변위가 일부 존재함을 볼 수 있다.

참고로 가새부재의 최대 소성변형 발생 시점에서 각 구조부재의 변형률 분포를 Fig. 15에 나타내었다. 탄성범위 내의 낮은 변형률 수준인 기둥이나 보 부재와 달리 가새부재는 항복변형률의 3배가 넘는 수준의 변형률을 나타내었다.

선형해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선형해석 결과로부터 시간에 따른 Level 3 위치에서의 가속도와 변위이력, 그리고 밑면 전단력이력 등의 응답을 도출하였다.

가새부재 유무에 따른 응답을 Fig. 16에 비교하였으며, 비선형해석 결과에서도 구조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차이로 가새부재가 없는 경우의 가속도 및 밑면전단력이 가새부재가 있는 경우의 값에 비해 상당히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변위의 경우, 가새부재가 없는 경우의 최대변위가 가새부재가 있는 경우의 값보다 더 크게 산출되었다.

이와 달리 가새부재를 개발한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내진보강된 경우, Fig. 17과 같이 가새가 있는 경우에 비해 가속도 및 밑면전단력 뿐만 아니라 최대변위값 또한 감소함을 볼 수 있다. 이는 자가복원 스프링을 갖는 점성감쇠기의 에너지 소산능력에 따라 구조 시스템의 감쇠를 증가시켜 얻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에너지 소산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Level 1을 지지하는 최하단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의 하중-변위 관계를 Fig. 18에 나타내었다. 하중-변위 이력곡선으로부터 점성감쇠기와 비선형 탄성스프링의 거동이 결합된 형태의 응답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수준의 변위에서는 스프링의 강성이 작고 점성감쇠기의 거동이 지배적인 관계로 타원 형태의 이력곡선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변위가 커짐에 따라 점성감쇠기 뿐만 아니라 스프링 또한 거동에 기여하여 타원 형태에서 벗어난 이력곡선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4 Comparison of seismic responses from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with bracing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4.png
Fig. 15 Strain distribution at occurrence of maximum plastic strain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5.png
Fig. 16 Comparison of seismic responses from nonlinear analysis with bracing and without bracing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6.png
Fig. 17 Comparison of seismic responses from nonlinear analysis with bracing and with SCVD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7.png
Fig. 18 Force-displacement relation of SCVDS
../../Resources/ksm/jksmi.2023.27.6.70/fig18.png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보통중심가새골조의 내진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가새부재를 대체하기 위한 자가복원형 점성감쇠기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개발한 시스템이 철골 구조물의 지진응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탄성 스프링을 갖는 기존 점성감쇠기와 달리 외부 변위의 크기에 따라 강성과 저항력이 커지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구조물의 고유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지진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가속도 및 변위 응답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진보강을 목적으로 철골 구조물에 설치할 경우, 감쇠기를 복원시킬 수 있는 기능과 함께 효과적인 지진응답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해석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의 효과를 검토, 확인하였다. 선형해석 시 가새부재를 개발한 시스템으로 대체한 경우, 복원기능과 함께 점성감쇠기의 에너지 소산능력으로 가속도 및 밑면전단력 뿐만 아니라 변위값도 상당히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비선형해석 시 소성변형을 고려함으로 인해 가속도 및 변위응답의 최대값이 동일 조건의 선형결과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잔류변위가 일부 나타났다. 선형해석과 마찬가지로 가새부재를 개발한 시스템으로 대체한 경우, 자가복원과 에너지 소산에 따라 구조 시스템의 감쇠를 증가시켜 가속도, 밑면전단력 및 최대변위값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입력변수에 대한 추가적인 수치해석과 함께 개발된 시스템의 시제품 제작 및 성능시험을 거치면 보다 상세한 성능확보 및 시스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실 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 시 개발된 시스템이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과제번호 RS-2021-KA163162).

References

1 
ASCE (2022), Minimum Design Loads and Associated Criteria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SCE/SEI Standard 7-22,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Reston, VA, 167-186.URL
2 
Ahn, H. J., and Jin, S. M. (2013),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of Inverted V-type Braced Steel Fram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1), 1-9.DOI
3 
NDMRI (2021), Analysis Report of Multi-ministerial Joint Seismic Fault Investig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Ulsa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URL
4 
Kim, S., Kwon, H., and Lee, J. (2022),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Friction Dampers for Seismic Retrofitting of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6), 54-63.DOI
5 
Naeem, A., and Kim, J. (2018),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pring Viscous Damper Cable System, Engineering Structures, 176, 455-467.DOI
6 
Zhu, R., Guo, T., and Mwangilwa, F. (2020),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centering Fluidic Viscous Damper,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23(13), 2835-2849.DOI
7 
Liu, Q., Li, P., Yuan, C., Li, W., and Ding, S. (2023), Experimental and Analytical Modelling on a Novel Self-centering Viscous Damper,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75, 107020.DOI
8 
Yan, X., Alam, M. S., Shu, G., and Qin, Y. (2023), A Novel Self-centering Viscous Damper for Improving Seismic Resilience: Its Development, Experimentation, and System Response, Engineering Structures, 279, 115632.DOI
9 
Gere, J. M. (2001), Mechanics of Materials, Fifth Edition, Brooks/Cole, CA, 891-896.URL
10 
Dassault Systèmes (2015), Abaqus 2016 Analysis User’s Guide, Dassault Systèmes.URL
11 
AISC (2005), Steel Construction Manual, Thirteenth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URL
12 
Clough, R. W., and Penzien, J. (2003), Dynamics of Structures, Third Edition, Computers & Structures, Inc., CA.URL
13 
US NRC (2007), Damping Values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Regulatory Guide 1.61, Rev. 1,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Washington, DC.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