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일반환경에서 시멘트 및 시멘트 페이스트의 XRF 분석 결과
Table 1은 시멘트 원재료와 시멘트 페이스트 그리고 시멘트 페이스트의 물시멘트비 변화에 따른 XRF 분석 결과로써 S8 tiger series 2 모델이 가지고
있는 100% 정규화 기능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먼저, Table 1의 정규화 기능을 적용하지 않은 결과에서는 시멘트 원재료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경우 각 구성원소의 함량과 총량에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시멘트 페이스트의
물시멘트비 변화에 따라서는 모두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XRF 장비의 정규화 기능을 적용하여 총량을 100으로 보정한 경우에는 이상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던 시멘트 원재료와 시멘트 페이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각 원소의 함량 비율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F 장비는 원소 분석 분야에서 신뢰성이 높다. 시멘트 원재료와 시멘트 페이스트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측정결과가 동일하게
나온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Table 1에서 정규화 기능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 시멘트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분석결과가 다르게 나온 이유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한편, 물시멘트비 변화에 따른 영향성은 정규화 기능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분석결과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시멘트와 다양한 물시멘트비를 갖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의 종류와 함량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변하지 않고 동일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Table 1에서 XRF 장비의 정규화 기능을 적용했을 경우 이러한 사실이 기술적으로 자동 반영됨에 따라 결과가 동일하게 도출된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팀은 XRF 분석 측면에서 고려할 때 시멘트 원재료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차이는 결과론적으로 화학적 결합수의 유무가 유일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일반 환경과 고온 환경에 각각 노출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차이 역시 유사한 원리에 의해 단순하게 구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팀은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XRF 장비를 이용하여 온도조건별 고온피해를 입은 시멘트 페이스트를 대상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1 Results of XRF analysis for raw cement and cement paste with W/C ratios of 0.4, 0.5 and 0.6,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auto normalization process in S8 tiger series 2
Mix.
|
CaO
|
SiO2
|
Al2O3
|
Fe2O3
|
SO3
|
MgO
|
TiO2
|
SrO
|
P2O5
|
MnO
|
ZnO
|
K2O
|
Na2O
|
Cr2O3
|
Sum
|
Before
|
Raw cement
|
62.56
|
19.93
|
4.64
|
3.77
|
2.58
|
2.80
|
0.25
|
0.08
|
0.25
|
0.10
|
0.10
|
1.02
|
0.19
|
0.02
|
98.30
|
Paste
|
W/C 0.4
|
51.87
|
16.88
|
3.89
|
3.25
|
2.22
|
2.29
|
0.25
|
0.06
|
0.23
|
0.09
|
0.09
|
0.10
|
0.06
|
0.02
|
81.29
|
W/C 0.5
|
51.43
|
16.88
|
3.87
|
3.26
|
2.20
|
2.30
|
0.23
|
0.05
|
0.22
|
0.09
|
0.09
|
0.08
|
0.05
|
0.02
|
80.77
|
W/C 0.6
|
50.19
|
16.88
|
3.88
|
3.25
|
2.32
|
2.30
|
0.22
|
0.05
|
0.22
|
0.09
|
0.09
|
0.08
|
0.04
|
0.02
|
79.62
|
After
|
Raw cement
|
63.64
|
20.28
|
4.72
|
3.84
|
2.63
|
2.85
|
0.25
|
0.08
|
0.26
|
0.10
|
0.10
|
1.04
|
0.19
|
0.02
|
100.00
|
Paste
|
W/C 0.4
|
63.62
|
20.53
|
4.79
|
4.35
|
2.66
|
2.90
|
0.34
|
0.08
|
0.28
|
0.12
|
0.12
|
0.13
|
0.07
|
0.03
|
100.00
|
W/C 0.5
|
63.48
|
20.65
|
4.78
|
4.40
|
2.66
|
2.94
|
0.31
|
0.07
|
0.27
|
0.12
|
0.12
|
0.11
|
0.06
|
0.03
|
100.00
|
W/C 0.6
|
62.83
|
20.94
|
4.87
|
4.47
|
2.84
|
2.98
|
0.31
|
0.06
|
0.27
|
0.12
|
0.12
|
0.11
|
0.05
|
0.02
|
100.00
|
4.2 고온 노출 피해를 입은 시멘트 페이스트의 XRF 분석결과
본 섹션에서는 고온환경에 노출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XRF 분석 결과를 검토하였는데, 온도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샘플에서 공통적으로 측정된 Ca, Si,
Al, Fe, S, Mg, Ti, Sr, P, Mn, Zn, K의 총 12종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먼저, Fig. 6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12종 원소들의 총합을 검토하였는데, 시멘트 페이스트의 피해온도가 증가할수록 원소의 총합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이때의
R-squared 값이 0.98을 나타냄으로써 각각의 피해온도와 이때 원소들의 합에 의해 나타난 값 사이의 관련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value 값이 253.3을 나타내며 독립변수인 화학분석 결과와 종속변수인 온도조건과의 관계에서 독립변수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래프에서 95% 신뢰구간을 표시함에 따라 더 직관적으로 결과에 대한 선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95% 신뢰구간이라 하면, 표본 변화에 따라
변하는 신뢰구간 중에서 약 95%는 모평균 m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상온 샘플과 비교하여 온도피해를 입은 샘플의 경우 원소의 총합이 약 80 ~ 95%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고온에 노출된
시멘트 페이스트일수록 더 많은 양의 화학적 해리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멘트 페이스트에는 시멘트 원재료와 물의 혼합으로 실리케이트(Silicate), 알루미네이트(Aluminate), 페라이트(Ferite) 등의 핵심
반응으로 C-S-H, Ca(OH)2, C-A-H, Fe2O3·H2O, CaO·Al2O3·CaSO4·H2O 등의 수화물들이 여러 구조와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entz, 1997). 시멘트 페이스트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수화물은 위 분자 기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화학적결합수(H2O)를 포함하고 있다. 극히 일부는 H2O와 결합하지 못하고 미수화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산화물 형태 또는 대기 중에 일정기간 노출되었을 경우 이산화탄소의 침투로 CaCO3와 같이 H2O의 영향을 받지 않은 물질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XRF 분석에 있어서 시멘트 원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원소들과 결합되어 있던 물질 중 H2O를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dominant factor)로 보았고, Fig. 6은 H2O의 절대적인 영향성이 반영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하였다. 즉, 특정온도에서 H2O의 화학적 결합력이 얼마나 많이 유지되었는지에 따라 총합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XRF 분석에 있어서 이러한 H2O의 영향성은 앞서 Table 1에서 시멘트 원재료와 시멘트 페이스트를 비교할 때 결과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고, 후술할 시멘트 페이스트에 존재하는 12종
원소분석 결과도 같은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Fig. 7은 시멘트 페이스트 전체의 약 70~80%를 차지하는 CaO와 SiO2의 XRF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aO와 SiO2의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 앞서 Fig. 6에서 측정된 결과와 거의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냈는데, 피해온도가 증가할수록 CaO와 SiO2의 구성비율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의 R-squared 값도 0.98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때의 T-value
값은 각각 251.2, 262.5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Fig. 8은 시멘트 페이스트에서 CaO와 SiO2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Al2O3와 Fe2O3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해당원소들은 일반 대기 환경에서 시멘트 페이스트의 3~4%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Al2O3와 Fe2O3는 CaO와 SiO2와 비교할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지만 대부분 H2O와 결합된 형태로 대기 중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고온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앞서 분석한 Fig. 6과 7의 결과들과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피해온도와 해당 원소의 구성비율 사이의 R-squared 값 또한 0.98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의 T-value 값은 각각 292.0, 197.9를 나타내었다.
Fig. 9는 시멘트 페이스트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은 편에 속하는 기타 원소 중 SO3, MgO, TiO2, SrO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원소들은 약 0.2~2.0% 범위로 매우 낮은 비율에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SO3와 MgO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95% 신뢰구간(Confidence band)에 대부분의 데이터들이 포함되었으나 TiO2와 SrO은 선형성을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alue 값 역시 SO3와 MgO의 경우는 240.8, 238.1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TiO2와 SrO의 경우는 2.5, 40.2의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ig. 10은 마지막으로 시멘트 페이스트에서 0.05~0.20% 수준의 가장 미량으로 존재하는 기타 원소로 P2O5, MnO, ZnO, K2O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2O5와 MnO의 경우는 R-squared 값이 비교적 높은편으로 피해온도와의 비례관계가 일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nO와 K2O는 온도증가에 따라 0.05~0.08%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데이터의 신뢰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value는 P2O5와 MnO의 경우는 각각 142.8, 258.6를 나타내었고, ZnO와 K2O는 16.1, 71.6으로 그래프의 경향과 유사한 수준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시멘트 페이스트 내부에서 수화물 형태로 존재하는 각 원소의 구성 비율은 화재와 같이 고온피해를 입었을 경우 특정 피해 온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의 중요한 의미는 고온환경 조건이 잘 통제된 상황에서 추가실험을 통해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면 특정 피해온도에서 특정한 구성비율을 갖는 원소들의 고유한 값을 도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이러한 고유한 값을 이용할
수 있다면 단 한 개의 원소만을 분석함으로써 고온피해를 입은 시멘트 페이스트 전체의 특징을 예상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Fig. 6 Sum of elements by XRF
Fig. 7 CaO and SiO2contents by XRF
Fig. 8 Al2O3and Fe2O3contents by XRF
Fig. 9 SO3, MgO, TiO2and SrO contents by XRF
Fig. 10 P2O5, MnO, ZnO and K2O contents by X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