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수석연구원
  2. 정회원,경성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전자기장, 솔레노이드, 파괴에너지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Electro-magnetic field, Solenoid, Fracture energy

1. 서 론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재료적 성능의 우수성과 필요성은 지난 수십년간 검증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구조물에 적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경제성과 성능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아직도 큰 상태이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상태이다. 강섬유보강콘크리트에서 경제성과 성능개선에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강섬유의 방향이다. 균열에 직각으로 배열된 강섬유가 우수한 균열저항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이는 강섬유의 배열 방향에 따라 균열에 저항하는 유효한 섬유의 매입길이(Embedded length)가 달라지기 때문에 균열면에 직각으로 섬유를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섬유의 방향에 따라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만큼 강섬유의 방향을 강제적으로 조정하려는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Blanco et al.(2015)은 강섬유보강 슬래브의 크기와 타설 방향에 따른 강섬유의 배열상태를 코어를 채취하여 조사하였으며, 슬래브의 크기가 작아 Wall effect가 클수록 강섬유 배열 방향의 등방성이 낮아진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슬래브가 클 때 중앙에서 타설하게 되면 흐름의 직각방향으로 강섬유가 배열되는 경향을 가짐을 보여줬다. Kang and Kim(2012)은 보 시험체의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따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서 타설 방향이 강섬유의 배열에 영향을 주며, 이에 따라 휨강도도 변화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한편, 적극적으로 강섬유의 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전자기장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적극적인 방법으로 코일을 감싼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강섬유를 코일방향의 직각으로 배열시키는 방법이다. Michels and Gams(2016), Javahershenas et al.(2021), Hajforoush et al.(2020), Ferràndez et al.(2019) 등이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균열의 직각방향으로 강섬유 방향을 조정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솔레노이드의 설계에 따라 강섬유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시험체의 규모가 아직은 매우 작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강섬유의 방향을 정렬하는 방법을 100mm×100mm 단면의 휨공시체에 적용하여 강섬유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배열하고 휨파괴 실험을 통해 이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2. 실 험

2.1 강섬유보강콘크리트

2.1.1 콘크리트 배합

노치보를 제작하기 위한 콘크리트는 설계기준강도 $f_{ck}$를 30MPa로 설정하여 배합설계를 하였으며, 배합표는 다음 Table 1과 같다. 6개의 표준공시체의 압축강도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평균압축강도는 47MPa±4.9MPa로 설계강도 대비 충분한 압축강도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Table 1 Mix proportion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f_{ck}$

(MPa)

W/B

(%)

S/a

(%)

Unit weight (㎏/㎥)

W

B

S

G

30

51

40

207.1

406.5

690.4

1041.9

2.1.2 강섬유

강섬유는 일반 후크타입의 강섬유로서 제원은 Table 2와 같다. 본 실험에서는 3개의 형상비를 사용하였다. 강섬유의 인장강도는 제작자로부터 제공 받은 자료를 제시하였다.

Table 2 Steel fibers used

ID

Dia.

(mm)

Length

(mm)

Aspect Ratio

Tensile Strength

(MPa)

60

0.5

30

60

1,100

65

0.55

35

65

80

0.75

60

80

../../Resources/ksm/jksmi.2023.27.6.193/tb2-1.png

2.2 전자기장 장치 설계 및 제작

2.2.1 솔레노이드 전자기장 해석

전자기장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의 제작을 위하여 우선 전자기장 해석을 ADINA Electro-Magnetics를 사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1과 같이 100mm×100mm 단면의 휨공시체를 감쌀 수 있는 크기, 순직경 200mm, 높이 200mm의 플라스틱 몰드를 모델링하였으며, 통과전류 5A의 전류를 기준으로 예상되는 전자기장을 계산하였다.

Fig. 2는 코일의 방향과 전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며, 단면 중심의 상단(Top-center)과 단면 중심의 중앙(Middle-Center)의 해석결과를 도표로 나타내고 있다. 단면중심 중앙부(Middle-Center)에서 0.5T의 전자기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22,500 횟수의 코일회전수가 필요하며, 단면중심 상단(Top-center)에서는 거의 30000 회전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일의 회전수가 지나치게 크게 되면 장비의 제작이 어렵고, 무게가 증가하므로 코일의 회전수를 늘리기 보다는 인가전류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에서 강섬유를 회전정렬 시키는데 요구되는 전자기력에 대한 해석적 고찰을 다음장에 제시하였다.

Fig. 1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modeling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1.png
Fig. 2 Electro-Magnetics analysis results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2.png

2.2.2 강섬유 방향조정을 위해 필요한 전자기력 결정

콘크리트 내부에 보강된 강섬유에 전자기장이 작용할 때 작용하는 힘들이 Fig. 3에 제시되어 있다. 강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중력 G가 작용하며, 부력 F가 작용한다. 이 두 힘은 균형을 이루며, 전자기력에 의한 힘 $f_{m}$, 또한 전자기력에 의한 움직임을 저항하려는 drag force인 $f_{r}$가 작용한다.

(1)
$f_{m}=\dfrac{B^{2}\bullet s}{2\bullet\mu_{0}\bullet l}$
(2)
$f_{r}=2\bullet\pi\bullet\eta\bullet\omega\bullet x\bullet\left(\ln\left(\dfrac{l}{d}\right)+\ln(2)-0.5\right)$

$f_{m}$에 의한 회전력은 Eq. (3), 이에 저항하는 저항모멘트 $M_{r}$은 Eq. (4)와 같다.

(3)
$M_{m}=2\bullet\int_{0}^{l/2}\dfrac{B^{2}\bullet s\bullet\sin(\theta)}{2\bullet\mu_{0}\bullet l}x dx$ ($N\bullet m$)
(4)
$M_{r}=2\bullet\int_{0}^{l/2}2\pi\bullet\eta\bullet\omega\bullet\left(\ln\left(\dfrac{l}{d}\right)+\ln(2)-0.5\right)\bullet x^{2}dx$

상기 Eq. (1)~(4)에서 $B$는 전자기력(Tesla), $s$는 강섬유의 단면적(m2), $\mu_{0}$는 진공투자율($N/A^{2}$), $l$는 강섬유의 길이(m), $\theta$는 강섬유의 시간 t에서의 회전각(deg), $\eta$는 콘크리트의 점성($Pa\bullet s$), $\omega$는 강섬유의 각속도($\theta /t$), $t$는 전자기장 노출시간(sec), $d$는 강섬유의 직경($m$), $x$는 강섬유의 중심에서 거리($m$)을 의미한다.

각 변수에 대한 입력치는 Table 3과 같다. 이때 콘크리트의 점성은 Banfill(2005)의 연구에 근거하였다. $M_{m}$>$M_{r}$인 전자기력 $B$를 구하면 약 0.05T 정도의 전자기력에 5분간의 노출이면 충분히 강섬유를 코일의 직각 방향으로 회전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2.2.1장의 해석에서 요구되는 코일회전수의 1/10로도 충분한 것으로 계산된다. 솔레노이드에 인가하여할 전류는 Eq. (5)로부터 구할 수 있다. 계산 결과 약 3.1A의 인가전류가 필요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5)
$I=\dfrac{BL}{\mu_{0}n}$
Fig. 3 Forces acting on a steel fiber mixed in concrete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3.png
Table 3 Input parameters required to align steel fibers

Steel fibers

(l/d)

d

(mm)

s

(mm2)

$\mu_{0}$

(H/m)

$l$

(mm)

$\eta$

(Ps·s)

m

(kgf/m3)

60

0.50

0.196

$ \begin{align*} 4\pi \\ \times 10^{-7} \end{align*}$

30

12.65

7,850

65

0.55

0.238

35

80

0.75

0.442

60

2.2.3 솔레노이드 제작

순직경 200mm의 원통의 아크릴 보빈을 제작하였다. 원형 보빈의 길이는 200mm이며, 아크릴판의 두께는 2mm이다. 아크릴 보빈에 코일을 감는 것은 보빈의 고정을 위한 장치를 제작(Fig. 4(a))하여 기계에 고정하고, 회전력을 이용하여 코일을 표면에 감았다(Fig. 4(b)). 코일 회전수는 2500회로 하였으며, 코일의 직경은 1mm이다.

Fig. 4 Fabrication of a solenoid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4.png

2.3 노치보 제작 및 전자기장 노출

2.3.1 노치보 제작

노치보 제작을 위한 몰드는 전자기력의 손실과 전자기장의 교란을 막기 위하여 플라스틱 몰드를 사용하였다. 노치보의 높이와 폭은 100mm이며, 전체 길이는 400mm, 실험시 지점간의 길이는 300mm이다. 콘크리트 배합은 잔골재와 강섬유를 먼저 투입 후 1분 이상 믹서를 회전하여 교반한 후 시멘트를 투입하고, 이후 곧바로 굵은 골재와 물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배합하였다. 몰드에 타설할 때는 3층으로 나누어 타설하였으며, 매층 마다 다짐봉을 이용하여 10회 이상 다짐을 실시하였다. 타설 이후 1일간 기건 양생하였으며, 2일째부터 수조에 7일 이상 수침시킨 후 일주일 후 탈형하였다. 동일한 변수에 대하여 3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총 18개의 노치보를 제작하고 실험하였다.

2.3.2 전자기장 노출

전자기장 노출을 위하여 제작한 솔레노이드 장치의 코일 저항을 테스트 미터를 이용하여 10회 측정하였으며, 평균 저항값은 134$ohm$로 매우 높은 저항치를 나타내었다. 전자기장 노출은 700volt 용량의 DC 파워서플라이를 이용하였다. 전자기장에 감긴 코일의 양단에 +극과 –극을 연결한 뒤 전압을 인가하였다. 전압을 100volt에서 서서히 올려 500volt에 도달하여 유지하였으며, 타설 이후 5분이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몰드를 원형코일의 중앙에 관통시켜 지지하였다(Fig. 5(a) 참고). 이후 5분간 500volt를 유지하였다. 전자기장의 노출 중에는 통과 전류를 관측하였으며, 3A를 상회하는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출중에는 코일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코일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 인가전류의 양이 다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3A 이하로 감소하지는 않았다.

솔레노이드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F.W. Bell사의 Model 8010 가우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류 3A에서 측정된 전자기력은 0.0527T~0.0565T의 범위로 측정되었다(Fig. 5(c) 참고). 또한 이때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혼입된 강섬유는 노치보의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표면에 있는 강섬유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였다(Fig. 5(b) 참고).

Fig. 5 Work for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5.png

2.4 실험변수 및 실험방법

2.4.1 실험변수

실험변수는 Table 4에 정리하였다. 강섬유의 형상비는 60, 65 및 80이며, 강섬유의 혼입량은 0.3%Vol., 0.4%Vol., 0.5%Vol.로 하였다. 0.5%Vol.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전자기장에 노출된 경우(with MF)와 그렇지 않은 경우(No_MF)에 대한 강섬유 형상비의 영향을 비교하였으며, 형상비 60의 강섬유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전자기장 노출과 그렇지 않은 경우의 강섬유 혼입량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Table 4 Test variables

Specimen

ID.

Magnetic

field

$l/d$

Mix ratio(%Vol.)

0.3

0.4

0.5

NMF-60

NMF

60

NMF-65

65

NMF-80

80

MF-60

MF

60

MF-65

65

MF-80

80

2.4.2 실험방법

실험방법은 ASTM C 1609/C 1609M의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reinforced concrete (using beam with third-point loading)”에 따라 수행되었다. 시험규정에 따라 3점 재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체의 중앙에는 노치가 있으며, 노치는 폭 2mm, 깊이 25mm로 제작하였다. 시험중 노치의 CMOD(Crack Mouth Open Displacement)를 크랙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보의 수직변위를 LVD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ig. 6 참고). 하중가력장치는 2000kN의 UTM을 사용하였으며, 측정치는 TDS301 장비로 취득하여 정리하였다.

Fig. 6 Set-up for beam test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6.png

3. 휨강도 시험결과

3.1 하중-CMOD 그래프

노치보 실험을 통해 획득한 일부 시험체의 하중-CMOD의 결과는 Fig. 7~Fig. 11과 같다. 전자기장의 노출 여부에 상관없이 전반적인 거동은 유사하다. 대부분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MOD가 0.05mm에 도달하기 전에 급격한 하중증가가 발생하여 최대하중에 도달하였으며,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급격한 하중감소를 보여준다. 그러나 강섬유의 앵커링에 의하여 하중이 계속적으로 감소하지 않고 CMOD만 증가하는 연화구간이 나타난다. 모든 시험체의 하중-CMOD 그래프에서 전자기장에 노출된 MF와 노출되지 않은 NMF의 거동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연화구간이 시작되는 하중은 MF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동의 차이는 균열을 가로지르는 강섬유의 수가 전자기력에 의하여 강섬유가 균열방향에 직각으로 정렬됨으로서 앵커링의 효과가 작동됨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강섬유 혼입률이

0.3%Vol., 0.4%Vol, 0.5%Vol.로 단계적으로 증가하여도 이와 같은 하중-CMOD의 전반적인 거동은 동일하게 나타난다. Fig. 10Fig. 11의 비교를 통해 강섬유의 형상비에 따른 영향을 알 수 있다. 이 그래프에서 형상비가 큰 섬유를 사용하였을 경우 균열발생 이후에도 급격한 하중 감소가 발생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중이 증가하거나 혹은 매우 점진적으로 하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형상비가 큰 강섬유는 앵커링 효과에 의하여 확실한 성능의 개선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ig. 10의 MF 그래프를 보면, 균열발생 이후 하중이 증가하는 경화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형상비가 큰 강섬유가 사용되었을 때 전자기장 노출에 의하여 연화거동이 경화거동으로 바뀔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 7 Load-CMOD graphs for MF-60-0.3 and NMF-60-0.3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7.png
Fig. 8 Load-CMOD graphs for MF-60-0.4 and NMF-60-0.4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8.png
Fig. 9 Load-CMOD graphs for MF-60-0.5 and NMF-60-0.5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9.png
Fig. 10 Load-CMOD graphs for MF-65-0.5 and NMF-65-0.5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10.png
Fig. 11 Load-CMOD graphs for MF-80-0.5 and NMF-80-0.5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11.png

3.2 휨강도, CMOD와 파괴에너지

Eq. (6)은 노치보의 휨강도 $f_{p}$의 계산식을 나타내고 있다. Eq. (6)에서 $F_{peak}$는 실험으로 부터 획득한 하중-CMOD 곡선에서 CMOD(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가 0.05mm 이전에 하중이 최대치에 도달할 경우에는 최대치를 $F_{peak}$로 계산하며, 최대하중 이후 경화현상이 발생하여 CMOD 0.05mm 이후에서 최대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CMOD 0.05mm에 해당하는 값을 $F_{peak}$로 하여 계산한다. $L$은 경간장(mm)으로 본 실험에서는 300mm, $b$는 실험체 폭(mm)으로 본 실험에서는 100mm, $h_{sp}$는 노치의 상단 끝에서 실험체의 상단까지의 높이(mm)를 의미하며, 본 실험에서는 75mm이다.

(6)
$f_{p}=\dfrac{3F_{peak}L}{2bh_{sp}^{2}}$

노치보의 실험결과로부터 획득한 하중-CMOD 그래프의 면적을 이용하여 파괴에너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파괴에너지는 파괴의 인성(Toughness)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인자로서, 이 값이 크다는 것은 인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 평가모델은 Barros et al.(2001)의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식은 Eq. (7)과 같다.

(7)
$G_{F}=\dfrac{W_{f}+m(1-a^{2})g S_{u}}{b(d-a_{0})}$

여기서, $G_{F}$는 총파괴에너지(N/m), $W_{F}$는 하중-CMOD 그래프의 면적(mm2), $m$은 시험체의 질량(kg), $a$는 시험체의 총길이와 경간길이의 비, $a_{0}$는 노치의 깊이(mm), $b$와 $d$는 각각 노치시험체의 폭과 높이(mm), $g$는 중력가속도(=$9.8m/\sec^{2}$), $S_{u}$는 측정된 최대 CMOD로서 본 해석에서는 4mm이다.

휨강도, CMOD와 파괴에너지 결과는 Table 5에 정리하였다. Table 5에서 CMOD는 균열발생시 CMOD 값을 의미한다. 제시된 비(Ratio)는 전자기장에 노출되지 않은 NMF에 대한 전자기장에 노출된 MF의 비이다.

모든 시험체의 결과에서 MF의 휨강도는 NMF의 휨강도에 비하여 4%에서 59%까지 큰 것으로 나타났다. CMOD 결과에서도 MF가 NMF에 비하여 5%에서 201%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섬유의 형상비가 65와 80으로 클 때 그 영향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자기장의 효과로 강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균열발생 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파괴에너지의 결과는 전자기장 노출로 인한 강섬유 정렬의 영향을 더욱 명확하게 보여준다. 전자기장 노출로 인한 파괴에너지의 증가율은 12%에서 최대 250%까지 증가한다.

Table 5 Summary of $f_{p}$, CMOD at peak load and fracure energy

Specimen

ID.

$f_{p}$

CMOD_peak

$G_{F}$(N/m)

(N/m)

Mean

Ratio

Mean

Ratio

Mean

Ratio

MF-60-0.3

7.11

1.59

0.08

1.35

1.74

3.54

NMF-60-0.3

4.47

-

0.06

- 

0.49

 -

MF-60-0.4

6.18

1.14

0.10

1.50

3.19

1.93

NMF-60-0.4

5.44

-

0.06

- 

1.66

 -

MF-60-0.5

6.50

1.07

0.07

1.05

2.24

1.12

NMF-60-0.5

6.06

- 

0.07

- 

2.00

-

MF-65-0.5

7.00

1.17

0.13

2.01

3.59

1.76

NMF-65-0.5

6.71

- 

0.06

- 

2.04

 -

MF-80-0.5

6.50

1.04

0.21

2.91

3.96

1.30

NMF-80-0.5

5.54

- 

0.07

- 

3.04

-

4. 보강지수에 따른 영향 고찰

다양한 혼입률과 형상비의 강섬유가 사용되었을 때 전자기장 노출로 인한 강섬유방향 정렬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보강지수를 통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강지수는 강섬유의 혼입비와 형상비 및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서로 다른 경우 종합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지수로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Eq. (8)과 같이 정의하였다. 동일한 배합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으므로 지수 정의에서 콘크리트 인장강도는 배제하였다.

(8)
$RI=V_{f}\times\dfrac{l}{d}/100$

4.1 휨인장강도 및 CMOD

Fig. 12~Fig. 13은 RI에 따른 휨인장강도와 최대하중에 해당하는 CMOD값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Fig. 12에서 휨강도 변화를 살펴보면, NMF는 RI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나, MF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전자기장에 의한 강섬유의 정렬이 휨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RI와 관계없이 일정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 결과는 최대하중에서의 휨강도 값은 강섬유의 방향에는 큰 영향이 없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Zhang et al, 2023). 즉, 강섬유의 방향이 정렬되어도 모든 RI범위에서 휨인장강도는 큰 영향이 없다.

한편, 최대하중에 해당하는 CMOD값의 변화는 RI가 증가할 때 NMF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 반면, MF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기장 노출로 균열면에 직각으로 정렬된 강섬유가 균열발생을 억제하는데 기여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Fig. 12 Changes in $f_{p}$ according to RI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12.png
Fig. 13 Changes in CMOD at $F_{peak}$ according to RI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13.png

4.2 파괴에너지

Fig. 14는 RI에 따른 파괴에너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에서 전자기장의 노출 유무와 관계없이 MF와 NMF 모두 RI가 증가함에 따라 파괴에너지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파괴에너지의 수준이 MF가 훨씬 큰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파괴에너지의 증가는 섬유의 방향 정렬에 기인한 것이 명확하다. 특히 하중-CMOD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균열 발생 후 MF의 잔존강도가 NMF 보다 큰 것이 파괴에너지 개선에 직접적인 원인이다. Medeghini et al.(2022)은 특수제작된 기계적 장치를 통해 휨공시체에 삽입되는 강섬유의 방향을 조정하여 휨파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균열에 직각으로 강섬유의 방향을 조정한 시험체(well-orientaed)의 잔존강도가 등방으로 정렬된 시험체(Isotropic)에 비하여 2배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도 거의 동일한 수준의 파괴에너지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Medeghini et al.(2022)의 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이는 기계적 방법과 전자기적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기적 방법을 통해 기계적 방법을 적용한 수준으로의 강섬유의 정렬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4 Changes in Fracture energy according to RI
../../Resources/ksm/jksmi.2023.27.6.193/fig14.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휨공시체에 타설된 굳지 않은 상태의 강섬보강콘크리트에 혼입된 강섬유의 방향을 균열의 직각방향으로 정렬하는 시도를 하였으며, 이와 같은 강섬유의 방향 정렬이 휨파괴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휨파괴 실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본 실험적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자기장에 노출된 시험체의 휨파괴 거동에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휨강도, 최대하중에서의 개구변위 및 파괴에너지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파괴에너지의 증가는 전자기장에 의해 강섬유가 정렬된 시편의 결과에서 최대하중 이후 급격한 하중저하가 개선된 것이 주된 원인으로 파악된다.

2) 강섬유의 혼입률과 형상비를 곱한 보강지수에 따른 거동비교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3) 이상의 실험결과를 기반하여 평가할 때, 솔레노이드를 활용한 전자기적 방법을 통해 강섬유의 정렬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성능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3006881).

References

1 
Blanco, A., Pujadas, P., De la Fuente, A., Cavalaro, S. H. P., and Aguado, A. (2016), Influence of the type of fiber on the structural response and design of FRC slab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42(9), 04016054.DOI
2 
Kang, S. T., and Kim, J. K. (2012), Investigation on the flexural behavior of UHPCC considering the effect of fiber orientation distribu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8(1), 57-65.DOI
3 
Michels, J., and Gams, M. (2016), Preliminary study on the influence of fibre orientation in fibre reinforced mortars, Gradevinar, 68(8), 645-655.URL
4 
Javahershenas, F., Gilani, M. S., and Hajforoush, M. (2021), Effect of magnetic field exposure time on mechanical and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SFRC),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35, 101975.DOI
5 
Hajforoush, M., Kheyroddin, A., and Rezaifar, O. (2020), Investigation of engineering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exposed to homogeneous magnetic field,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2, 119064.DOI
6 
Ferrández, D., Saiz, P., Morón, C., Dorado, M. G., and Morón, A. (2019), Inductive method for the orientation of steel fibers in recycled morta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22, 243-253.DOI
7 
Banfill, P. F. G. (2005), The rheology of fresh mortar-a review. In 6th Brazilian and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rtar Technology.URL
8 
AO Barros, J., and Sena Cruz, J. (2001), Fracture energy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and Structures, 8(1), 29-45.DOI
9 
Zhang, P., Wang, C., Gao, Z., and Wang, F. (2023), A review on fracture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105975.DOI
10 
Medeghini, F., Guhathakurta, J., Tiberti, G., Simon, S., Plizzari, G. A., and Mark, P. (2022), Steered fiber orientation: correlating orientation and residual tensile strength parameters of SFRC, Materials and Structures, 55(10), 25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