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주임연구원
  2. 정회원,태성후렉시블 기술연구소 소장
  3. 정회원,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교신저자



벨로우즈, 피로예측, 전단 변형 에너지
Bellows, Fatigue life estimation, Shear deformation energy

1. 서 론

국내외적으로 지진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010년대에 규모 4.0 이상의 지진 16건, 규모 5.0 이상의 지진 5건이 발생하였다. 2017년 11월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과 2018년 2월에 추가로 발생한 규모 4.6 여진으로 재산피해 850억 원, 복구비용 1,800억 원이 발생되고 135명의 인명피해가 보고되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또한 상수도의 경우 40개소 누수, 6개소는 손상되었고 송유관은 6곳이 차단되었다. 상수시설의 경우 상수도설계기준에 따라 연약지반이나 구조물과의 접합부 등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배관에는 신축이음관을 설치하도록 권고되었다(KDS 57 00 00, 2022). 건축물에 설치된 배관의 경우 소방시설 내진설계 기준에 따라 지진에 의한 배관 변형을 대응하기 위해 지진분리이음이 권고되고 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6).

상수도 배관은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구조물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두 지점의 지반침하 차이가 발생되거나 지진시 운동의 지반변형운동의 차이로 인한 상대변위가 발생되고 배관연결부의 손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벨로우즈(bellows) 신축관이음은 배관시스템에서 온도 및 압력으로 인해 팽창·수축과 단층슬립(Fault slip) 및 지반침하와 같은 정적 상대변위로부터 대응하는 배관 연결 부재이다. 벨로우즈 신축관이음은 유연하고 강성이 낮아 강한 외력으로 인한 변형이 벨로우즈에 집중된다.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된 벨로우즈 신축관이음은 배관에 휨 또는 축 변형이 발생되면 벨로우즈에 변형이 집중되므로 배관의 내진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Lv et al., 2021(a); Lv et al., 2021(b)).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에 적용되는 신축관이음은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강 소재의 벨로우즈가 적용되고 있다. 벨로우즈는 주름 산(Convolution)으로 형성하여 물리적 변형에 유연하게 신축한다. 그리고 벨로우즈를 형성하는 관의 겹 수에 따라 한 겹은 단층(Single-layer, 이하 1-ply), 두 겹 이상은 다층(Multi-layer, 이하 N-ply)으로 구분되어 신축성과 강성을 조절한다. 벨로우즈의 성능은 주름 산의 형상, 개수, 높이, 두께, 폭, 겹 수 그리고 내부 압력 등에 따라 결정된다. 단일 및 다중 주름의 벨로우즈에 대해서 축방향 저주기 피로 하중 실험 및 해석적 연구를 통해 에너지 흡수는 주름의 수에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Xiang et al., 2017). 벨로우즈 내부 유체의 압력과 단층 및 다층 조건에서 피로 내구성과의 관계를 계산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Golovina, 2019). 두 겹 및 세 겹 금속 벨로우즈의 휨 변형 실험에서 영상기반분석을 통해 벨로우즈의 겹 수 증가에 따라 동일 크기의 하중상태에서 소성변형이 계속하여 증가하는 현상인 라체팅(Ratcheting) 변형이 저감되어 피로 수명이 증가하는 원리가 연구되었다(Kim, 2023(a); Kim, 2023(b)). 벨로우즈의 스프링상수는 벽의 두께, 주름 산의 높이 그리고 내경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Liu et al., 2018). 벨로우즈의 다양한 설계 매개요소와 배관시스템의 특성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Vinoth et al., 2016). 벨로우즈의 주요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는 첫 번째 주름 산으로, 이를 분산시키기 위해 중간의 주름산과의 높이를 변화시켜 벨로우즈의 휨 저주기 피로성능평가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Seo et al., 2023). 하지만 전단 변형에 성능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벨로우즈의 전단 하중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단층(이하, 1-ply)과 세 겹의 다층(이하, 3-ply)의 금속 벨로우즈를 대상으로 전단 단조하중실험(Monotonic loading test), 점증반복하중실험(Cyclic loading test), 피로반복하중실험(Fatigue cyclic loading test)을 수행하여 파괴모드 및 한계성능을 분석하였다.

2. 실험 시료 및 방법

벨로우즈를 성형하는 방법에는 기계식(mechanical) 성형과 유압식(hydraulic) 성형 방법이 있다. 기계식 성형방법은 튜브를 성형기계로 회전시켜 성형 롤(Roll)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각각의 주름 산을 하나씩 성형한다. 유압식 성형방법은 튜브 바깥쪽에 원형금형을 배치하고 내부에 물과 같은 매체를 유압장치로 압력을 가하여 금형모양으로 항복시켜 성형한다. 기계식 성형방법은 금형이 상부로 밀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가공경화가 발생하며, 개별 주름 산이 순차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주름 산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유압식 성형방법은 모든 주름 산을 동시에 성형하여 두께가 비교적 균일하고 주름 산의 높이가 일정하다(Kim,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압식 성형으로 제작된 1-ply 및 3-ply 벨로우즈를 대상으로 전단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U형 다층 적용 벨로우즈

벨로우즈는 주름 산의 형상에 따라 U형, Ω형, S형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제작되는 U형 벨로우즈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3-ply 벨로우즈의 형상을 Fig. 1에 나타내었다. 1-ply 벨로우즈는 두께가 다르고 형상이 동일하다. 일반적인 U형 금속 벨로우즈는 휨 또는 전단 반복 하중시 응력은 벨로우즈 내부벽 그리고 단부의 주름의 사이(root)에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이 발생된다(Hao et al., 2020; Hao et al., 2022). 따라서 5개의 주름 산이 가운데에서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주름 산 높이가 커지는 형상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설계는 첫 번째 주름 산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저감하고 산(crest) 끼리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Table 1은 벨로우즈의 주름 산의 높이, 관 두께, 간격, 배관 규격 제원이다. 금속 벨로우즈를 구성하는 소재는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 STS304를 적용하였다. STS304는 사전연구에서 사용된 동일한 소재의 벨로우즈로 항복강도(Yield strength)는 247 MPa이고,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653 MPa이며, 연신율(Elongation)은 68%이다(Seo, 2023).

Fig. 1 Geometry of three-layered U-shaped bellows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1.png
Table 1 Dimensions of bellows

Specification

Value

Inner diameter ($d$)

80 mm

Pitch ($p$)

18 mm

Length ($l$)

110 mm

Number of convolutions

5

Height of convolution

1st($h_{1}$)

18 mm

2nd($h_{2}$)

16 mm

3rd($h_{3}$)

14 mm

Thickness ($t$)

1-ply

0.6 mm

3-ply

1.8 mm

2.2 실험 방법

1-ply 및 3-ply의 전단 성능 평가 실험을 위해 1000 kN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활용하여 Fig. 2와 같이 벨로우즈와 지그를 설치하였다. 벨로우즈 한쪽 플랜지는 바닥 고정 지그에 설치되고 반대쪽 플랜지는 UTM에 연결된 가동단 지그에 볼트 체결 하여 고정 하였다. 실험 환경은 상온의 물을 내부에 채우고, 통상적인 배수관로의 수압은 0.2 MPa ~ 0.4 MPa를 적용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통상적인 수압의 최대치 0.4 MPa로 유지한 상태에서 수행되었다. 성능평가 실험 중 벨로우즈에서 한계이상의 연성으로 누수가 발생된 상태를 손상, 극심한 소성변형으로 변형능력이 상실된 상태를 파괴로 정의하였다.

Fig. 2 Monotonic and cyclic loading test set-up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2.png

2.2.1 단조하중실험

점증반복하중 실험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단방향 하중에 의한 손상 및 파괴모드와 한계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조 하중실험이 수행되었다. 1-ply, 3-ply 각각 5회 시행하여 한계상태를 평가하였다.

2.2.2 점증반복하중실험

The Applied Technology Council(ATC)에서 제안된 ATC-24 하중이력은 미국 서부지진의 지반운동에 의한 비선형 동적 응답 통계를 기반으로 제시된 하중재하방법으로 단층 드리프트 등과 같은 지면 운동 하에서 구조물의 무결성과 안전성을 입증하고, 합리적인 설계 기준 개발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권고된 하중재하방식 지침에 포함되어있다(Krawinkler, 1992; Nassar, 1991). 그리고 국제 시험 표준인 ISO-16670은 목재 구조물 및 기계적 장치를 대상으로 개발된 내진 실험 절차로 벨로우즈 성능 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었다(ISO 16670, 2003).

Fig. 3은 전단 저항성능시험에 적용된 ATC-24 및 ISO 하중이력이다. ATC-24는 단조변위 하중에 의한 최대 변형의 10% ($x_{0}$)를 점증 단위로 하는 하중이력이다. ISO는 초기변위 5 mm를 기준으로 5%($r=1.05$)를 배수로 점증하는 하중이력이다. 벨로우즈의 점증 변형에 의한 회복을 위해 3회 반복 후 점증하였다. 하중변형의 속도는 ISO 16670에서 허용하는 범위인 1mm/s로 하였다. 점증반복하중실험은 손상이 발생 될 때까지 진행되었다. 점증반복하중실험에 의한 손상 변위로 피로반복하중실험의 한계상태변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하중-변형 곡선으로부터 변형 에너지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하중이력 및 겹 수에 따른 손상 위치를 분석하였다. 일의 양은 힘과 변위의 곱이므로 변위-하중 곡선의 사이클 면적은 벨로우즈가 흡수한 변형 에너지이다. $n$번째 사이클에 대한 변형 에너지 산출 방법은 식 (1)과 같다.

(1)
$U(n)=\int_{-\Delta(n)}^{+\Delta(n)}P_{1}(\delta)d\delta +\int_{+\Delta(n)}^{-\Delta(n)}P_{2}(\delta)d\delta$

여기서, $n$번째 변위이력에 대해서 $-\Delta(n)$에서 $+\Delta(n)$까지 변위가 증가할 시 하중이력 $P_{1}(\delta)$와 $+\Delta(n)$에서 $-\Delta(n)$까지 변위가 감소할 시 하중이력 $P_{2}(\delta)$를 변위 $\delta$에 대한 적분의 합으로 계산된다.

Fig. 3 ATC-24 and ISO cyclic loading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3.png

2.2.3 피로반복실험

벨로우즈의 반복 변형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한 진폭으로 반복하중 조건의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한계상태변위는 3-ply를 기준으로 ATC 및 ISO 하중이력 점증반복하중실험을 통해 손상 직전의 점증 폭이 더 낮은 하중이력의 손상변위를 100% 기준 진폭으로 정의하고 20%, 40%, 60% 및 80%의 4가지 한계상태변위로 피로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변형 제어모드는 최대 8 mm/sec 속도의 구형파로 적용되었다. 반복하중은 손상이 발생될 때 까지 진행되었다. 벨로우즈의 전단 피로성능은 하중-변형 곡선으로부터 누적 변형 에너지 특성과 변형률과 피로 수명의 관계성 그리고 벨로우즈의 겹 수에 따른 평균 변형 에너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3. 시험결과

반복하중 시험을 통해 1-ply, 3-ply 겹 수에 따른 피로파괴 사이클을 관찰하고 변위-하중 곡선을 통해 식 (1)을 이용한 변형 에너지를 산출하여 복합적인 주름 산 높이로 설계된 벨로우즈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단 저항성능을 산정하였다.

3.1 단조하중실험 결과

전단 단조 하중 실험에 의한 하중-변위 곡선을 Fig. 4에 나타내었다. 1-ply와 3-ply의 전단 변형과정은 3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 변형과정에서의 전환되는 시점 (a), (b), (c)의 상태를 Fig. 5에 나타내었다. Stage Ⅰ은 주름산 변형시 좌굴(Buckling) 및 국부수축(Necking)이 발생하지 않은 구간으로 Stage Ⅰ에서 Ⅱ로 전환되는 (a) 변위에서는 화살표 위치에 가로의 주름이 발생하여 하중이 일시적으로 저감되었다. 이때 평균 변위와 하중은 1-ply가 44.7 mm, 5.7 kN 그리고 3-ply는 33.5 mm, 15.7 kN으로 측정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변위에서 주름 산의 변형이 발생하였다. Stage Ⅱ는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하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비탄성 구간으로 손상이 발생되는 변위까지로 정의하였다. 이때 손상이 발생 된 (b)의 손상 위치는 1-ply의 경우 첫 번째 주름 산의 crest에서, 3-ply의 경우 두 번째 crest에서 발생하였다. 손상이 발생 된 원인은 Stage Ⅱ에서 길이방향으로 발생된 소성변형이 심화되어 응력집중에 의하여 손상이 발생되었다. 3-ply의 경우 내압에 비해 높은 강성으로 주름 산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두 번째 crest에서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평균 변위와 하중은 1-ply가 118.2 mm, 30.4 kN 그리고 3-ply는 139.1 mm, 56.0 kN로 측정되었다. Stage Ⅲ은 손상 후 파괴까지의 구간으로 파괴가 발생한 (c)의 위치는 1-ply 및 3-ply 모두 첫 번째 주름의 단부 측의 root에서 발생하였다. 이때 평균 변위 및 하중은 1-ply가 125.4 mm, 33.5 kN로 최초 누수손상 이후 약 7.2 mm 진행하여 파괴가 발생하였다. 3-ply는 최소 누수손상 변위에서 43.1 mm 급격하게 하중과 변위가 증가하여 182.2 mm, 94.6 kN에서 파괴가 발생하였다. 높은 강성으로 인해 벨로우즈에 용접된 배관 단부가 휘어지면서 파괴 변위가 증가하였다. 또한 1-ply와 비교하여 벨로우즈의 직경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Fig. 4 Monotonic tes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4.png
Fig. 5 Failure mode of U-shaped bellows under monotonic loading condition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5.png

3.2 점증반복하중실험 결과

ATC-24 하중이력의 점증 단위는 단조변위 하중에 의한 최대 변형 140 mm의 10%인 ±7 mm($x_{0}=7$), ISO 하중이력은 5 mm($x_{0}=5$)를 초기변위로 5%($r=1.05$) 배수로 점증하여 각각 2회 수행하였다. ATC-24 및 ISO 하중이력에 의한 전단 성능의 비교는 손상 사이클, 손상 발생 변위 및 점증 변형이 회복된 최종 사이클의 변위-하중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변위-하중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Fig. 6에 나타내었다. 벨로우즈의 겹 수와 변형량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점증변형이 회복된 사이클에 대한 사이클의 변형 에너지를 산출하였다. Table 2는 ATC-24 및 ISO 하중 실험에서 손상이 발생한 사이클, 손상 발생시 사이클 변형량, 점증변형이 회복된 사이클에 대한 변형 에너지의 누적합이다. ATC-24 하중이력의 경우 손상 사이클은 3-ply가 1-ply보다 한 사이클 적게 평가되었고 손상 사이클 변형량이 20.0% 적은 변위에서 손상이 발생하였지만 누적 변형 에너지는 16.36% 높게 평가되었다. ISO 하중이력의 경우 3-ply가 1-ply보다 71.9% 높은 누수 사이클이 평가되었고 손상 사이클 변형량은 102.82% 높았으며 누적 변형 에너지는 686.47% 높게 평가되었다.

ATC-24 및 ISO 하중이력에 의한 1-ply 및 3-ply의 손상 위치를 Fig. 7에 나타내었다. 1-ply의 경우 모두 첫 번째 주름에서 단부 경계부의 root에서 손상이 발생하였다. 3-ply는 ISO 하중이력에서는 동일하게 첫 번째 주름의 단부 root에서 손상이 발생하였지만, ATC-24의 경우 첫 번째 주름의 crest에서 접힘이 발생하며 손상이 발생하였다. 벨로우즈의 중심에서 단부로 갈수록 주름 산 높이가 증가하는 구조는 전단 하중시 주요 손상 위치인 첫 번째 주름의 단부 root에 받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단조하중실험시 3-ply는 33.5mm 변위에서 첫 번째 crest에 길이방향의 주름이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큰 변형률로 점증하는 ATC-24 하중이력에서 35mm 변형률 사이클인 13~15 사이클에 crest에서 주름이 발생함과 동시에 누적된 소성으로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ATC-24 and ISO cyclic loading tes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6.png
Fig. 7 Failure mode of U-shaped bellows under cyclic loading conditions.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7.png
Table 2 Results of ATC-24 and ISO cyclic loading test

Test method

Leakage cycles

(cycle)

Leakage disp.

(mm)

Sum. of energy

(kN·m)

1st

2nd

1st

2nd

1st

2nd

ATC-24

1-ply

16

16

±42.0

±42.0

1.540

1.529

3-ply

15

15

±35.0

±35.0

1.806

1.765

ISO

1-ply

60

61

±12.635

±13.267

0.484

0.536

3-ply

105

103

±26.267

±26.267

3.972

4.050

3.3 피로반복 실험 결과

ISO 하중이력에 의한 손상직전 점증 폭은 1.25 mm 이고, ATC 하중이력의 경우 7 mm 로 ATC 하중이력에 의한 손상변위는 정밀한 한계상태변위로 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계상태변위는 3-ply가 ISO 하중이력에 의해 손상이 발생한 변위 ±26.267 mm를 100% 기준으로 ±5.25 mm(20%), ±10.51 mm (40%), ±15.76 mm(60%) 및 ±21.01 mm(80%) 4가지 한계상태변위로 피로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1-ply 또한 동일한 한계상태변위로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피로 반복하중에 의한 누수 위치는 모든 실험에 대해서 동일하게 첫 번째 주름 산의 단부 측의 root에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Fig. 8은 벨로우즈의 겹 수 및 변형률에 따른 누적 변형 에너지 총량을 나타내었다. 1-ply는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누적 변형 에너지는 증가하였고 3-ply는 감소하였다. 1-ply 벨로우즈의 모든 하중에 대한 평균 변형 에너지 누적량은 2.27 kN·m 이었고 3-ply는 9.35 kN·m로 약 4.11배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3-ply에서 40% 변형률의 누적 변형에너지는 20%를 기준으로 64.92%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수명과 변형률 및 평균회귀곡선을 Fig. 9에 나타내었으며, 결정계수는 1-ply, 3-ply 각각 0.99, 0.98로 높게 평가되었다. 변형률 20%, 40%, 60%, 80%에서 3-ply의 피로수명은 1-ply에 비해 4.11배, 2.33배, 2.60배, 1.78배 증가하였다. 이는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1-ply 및 3-ply의 수명은 비슷한 수준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누적 변형 에너지의 결과와 동일하게 변형률이 40%인 경우 3-ply의 피로성능이 다른 변형률 보다 낮은 것을 확인되었다. 3-ply의 변형률 40%에서 피로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누적 변형 에너지에 피로수명을 나누어 평균 사이클 당 변형 에너지를 산출하여 Table 3에 정리하였다. 벨로우즈의 겹 수 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여 벨로우즈에 손상을 최소화 하며 변형률 20%, 40% 및 60%에서 약 54.48~ 56.87% 증가하였다. 즉, 평균 사이클 당 에너지는 ±15.76 mm(60%) 변형률 범위 내에서 벨로우즈의 겹 수와 동일한 비율로 증가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3-ply의 40% 변형률에서 누적 변형 에너지가 다른 변형률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은 평균 사이클 당 에너지가 동일한 것을 고려하면 단순히 피로수명이 짧았기 때문이었고, 이는 시료 또는 실험의 불확실성에 의해 저평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Fig. 8 Fatigue total energy results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8.png
Fig. 9 Fatigue test results
../../Resources/ksm/jksmi.2024.28.1.39/fig9.png
Table 3 Summarized average of energy per cycle

Displacement range

(mm)

Average of energy per cycle

(kN·m)

Comparsion of

1-ply & 3-ply

(%)

1-ply

3-ply

±5.25 (20%)

7.96

12.48

56.87

±10.25 (40%)

33.50

51.74

54.48

±15.76 (60%)

85.46

133.44

56.14

±21.01 (80%)

142.66

261.45

83.27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단층(1-ply), 다층(3-ply) 구조를 가지는 벨로우즈 신축관이음을 대상으로 전단 하중에 대한 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단 하중 실험은 단조하중실험, 점증반복하중실험 그리고 피로반복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겹 수에 따른 벨로우즈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 단조 하중 실험에서 3-ply는 1-ply보다 두꺼운 적층 구조로 인해 내압 대비 높은 강성이 하중을 분산시켜 손상시 발생변위는 13.3% 증가하였다. 하지만 탄성구간에서 비탄성구간으로 전환되는 변위는 3-ply가 1-ply보다 33.43% 낮았다.

(2) 점증 반복하중 실험의 ISO 하중이력에서 1-ply 보다 3-ply가 더 많은 변형 에너지를 흡수하였다. 하지만 비교적 점증 변형률이 높은 ATC-24 하중이력에서 3-ply의 손상 사이클은 1-ply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전단 하중에 의한 주요 손상 위치인 첫 번째 주름 산 단부의 root가 아닌 첫 번째 crest에서 발생하였다. 벨로우즈의 전단하중시 주요 손상 위치가 첫 번째 주름 산 단부 root인 것을 고려하여 단부의 주름 산이 높게 설계되었지만, 단조하중실험시 주름 산의 변형이 더 낮은 변위에서 첫 번째 crest에 형성된 것과 관련하여 해당 위치에 누적된 소성이 변형과 동반하여 손상이 발생하였다.

(3) 피로 반복하중 실험에서 1-ply는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변형 에너지를 수용하였고 3-ply는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수용되는 변형 에너지는 감소하였다. 1-ply 보다 3-ply가 평균 4.11배 더 많은 변형 에너지를 수용하였다. 피로 수명은 변형률 20%, 40%, 60% 및 80%에서 3.88배, 2.36배, 2.58배, 1.74배 크게 나타났다. 변형량이 클 수록 겹 수에 따른 벨로우즈의 피로수명은 동일한 값으로 수렵하였다.

(4) 평균 사이클 당 변형 에너지는 60% 변형률 이내에서 벨로우즈의 겹 수에 따른 증가량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3-ply의 변형률이 40%인 경우 동일한 사이클 당 변형 에너지로 소성이 진행되었지만 피로수명이 짧게 평가되었고, 이는 시료 및 실험의 불확실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뢰성이 높은 변형 에너지 및 변형률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피로반복실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과제번호 : RS-2022-00143468).

References

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2017 Pohang Earthquake White Paper,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Sejong, Korea (in Korean).URL
2 
KDS 57 (2022), Design Criteria for Water Supply,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URL
3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6), Seismic Design Criteria of Fire Fighting Facilitie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ejong, Korea (in Korean).URL
4 
Lv, Y., Liang, L. R., Li, Y. W., Chen, Y., and Chouw, N. (2021), Experimental and Finite-Element Study of Buried Pipes Connected by Bellow Joint under Axial Cyclic Loading, Journal of Pipeline Systems Engineering and Prectice, 12(1), 04020069.DOI
5 
Lv, Y., Liu, C. F., Huang, X., Chen, Y., and Chouw, N. (2021), Experimental and Finite-Element Studies of Buried Pipes Connected by a Bellow Joint under Cyclic Shear Loading, Journal of Pipeline Systems Engineering and Prectice, 12(4), 04021057.DOI
6 
Xiang, X. M., Lu, G., Li, Z. X., and Lv, Y. (2017),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al Study on a Bellows Joint, Engineering Structures, 151(15), 584-598.DOI
7 
Golovina, N. Y. (2019), Optimization of Design Parameters of Bellows Expansion J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and Production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9(3), 1413-1420.URL
8 
Kim, S. W., Chang, S. J., Park, D. U., and Jeon, B. G. (2023a),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n Bending Deformation of 2-Ply and 3-Ply Bellows Expansion Pipe joi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2), 33-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URL
9 
Kim, S. W., Chang, S. J., Jeon, B. G., and Ju, B. S. (2023b), Limit state assessment for bending deformation of multi-ply bellows system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206, 107928.DOI
10 
Liu, J., Li H., Lv Y., Li, L., and Sun, C. (2018), “Size Effect” Related Hydroforming Characteristics of Thin-Walled 316-L Bellow considering Pressure Chang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95, 505-522.DOI
11 
Vinoth, A., Vignesh, B., Khurana, L., and Rai, A. (2016), A Review on Application of Bellows Expansion Joints and Effect of Design Parameters on System Characteristic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9(32), 1-8.URL
12 
Seo, Y. D., Lee, K. S., Yu, J. S., and Jeong, Y. S. (2023), Ultimate Bending Performance and Fatigue Life of Single-layer and Multi-layer Bellow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14(1), 9-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DOI
13 
Kim, J. D. (2016),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Forming Bellows for LNG Carriers, Nationa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Doctor of Engineering thesis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URL
14 
Hao, Z., Luo, J., Jin, Y., Wei, W., and Lei, L. (2020), Failure analysis of corrugated metal hose under ultimate repeated bending process, Engineering Failure Analysis, 109, 104295.DOI
15 
Hao, Z., Chen, Y., Chen, L., Cai, Y., and Luo, J. (2022), Ultimate bending performance and fatigue life of U-shaped metal bellows,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Science, 236(16), 9186-9199.DOI
16 
Krawinkler, H. (1992), Guidelines for Cyclic Seismic Testing of Components of Steel Structures, Applied Technology Council, Redwood City, CA, 14.URL
17 
Nassar, A. A. (1991), Seismic demands for SDOF and MDOF systems. Stanford University.URL
18 
ISO 16670 (2003), Timber Structures – Joints Made with Mechanical Fasteners – Quasi-Static Reversed – Cyclic Test Method,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Switzerland.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