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두성
(Doo-Sung Lee)
1†
김성진
(Sung-Jin Kim)
2
김정회
(Jeong-Hoi Kim)
3
-
정회원,㈜주성이앤씨 기술연구소 연구소장, 교신저자
-
정회원,㈜주성이앤씨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
정회원,아이에스동서㈜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원심성형, 내하력, 현장재하시험, 초고강도 콘크리트, 라멘교
Key words
Centrifugal molding, Load carrying capacity, Field load test,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Rahmen bridge
1. 서 론
교량의 역학적 거동을 분석하는 방법은 Fig. 1과 같이 수치해석과 같은 이론적인 방법과 실험적인 방법(Photo 1)이 있다. 이론적인 방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구조물을 범용 해석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설계하중에 대한 교량의 거동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교량의
역학적 거동을 이론적인 방법으로 해석하는 경우에는 많은 가정을 통해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가정에 오류가 있다면 구조물의 실 거동은 이론적 거동과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성질이 변화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시공 품질 등 현재의 구조물 상태를 해석상에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구조 거동, 내구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간편한 방법은 현장에서 재하시험을
통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원심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100 MPa를 발현하는 수밀성이 우수한 구조용 콘크리트 각형보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원심성형 각형보에 대한 구조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2본의 휨시험체와 2본의 전단시험체에 대해 공인시험기관에서 PHC 파일의 실험방법을 준용하여
KS F 4306에 제시된 휨, 전단 실험방법을 적용하여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원심성형 각형보에 대한 구조적인 신뢰성을 입증하였고(Lee et al., 2023b), 원심성형 각형보 상부에 RC슬래브를 제작하여 합성시킨 실물모형 시험체에 대한 휨재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합성단면은 설계 공칭휨강도를 넘어 안정적인
합성거동을 하면서 파괴되어 구조적인 신뢰성을 입증하였다(Kim et al., 2023). 마지막으로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피암터널에서 원심성형 보와 벽체간에 연결부에 대한 우각부 고정장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캔틸레버 형식의 구조시험체 2본에 대한 실험과 해석을 통해서 구조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Lee et al., 2022)
피암터널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원심성형 보와 각 부재의 합성 및 연결구조에 대한 모의 시험을 통해서 구조적인 신뢰성을 확보한 원심성형 각형보를 영풍파일
음성공장에서 제작하여, 음성군의 소하천에 박스형 라멘교의 상부구조로 시공하였다. 원심성형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기령소하천교에 대한 현장재하시험
결과를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은 범용 해석프로그램인 MIDAS FEA를 사용하였으며, 대상교량의 모델링을 통한 해석
결과와 재하시험결과를 비교하여 원심성형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박스형라멘교의 거동을 분석함과 동시에 원심성형 각형보의 설계활하중에 대한 공용내하력
평가를 위한 응답보정계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재하시험과 해석결과를 기초로 기령소하천교의 공용내하력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원심성형 각형보의 시공
결과의 적절성을 확인하여 구조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Fig. 1 Numerical analysis of bridge
Photo 1 On-site loading test of bridge
2. 재하시험 대상교량의 현황
2.1 원심성형 PSC 각형보
현장재하시험을 통해 구조적인 신뢰성을 입증하고자 하는 기술은 원심성형 PHC파일 생산설비를 활용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휨(굽힘)강성을
갖는 구조부재인 보(beam)를 원심성형으로 제작되며, 생산된 원심성형 각형 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100 MPa이상으로 제작 3일 이후 현장으로
운송할 수 있어 피암터널의 상부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공 속도를 기존 기술에 비해 향상시켜 피암터널 전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공장에서 대량생산으로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Lee et al., 2023).
최근 건설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프리팩 구조에서 주요 부재인 PC 보를 공장에서 원심성형으로 생산하는 기술로, Photo 2는 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가 100 MPa인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원심성형으로 콘크리트 조직의 수밀성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원심성형 초고강도 프리텐션
각형보로 기령소하천교에 상부구조로 사용되었다. 특히, 제작단계에서 원심성형 거푸집 내부 단부위치에 형강을 배치하여 원심성형 단계에서 콘크리트 내부에
합성시켜 타 부재와 연결에서 일반적인 볼트이음이 가능하며, 상부슬래브와 일체 거동을 할 수 있도록 Fig. 2와 같이 강판 상하부에 ⊓형 합성 철근을 돌출시키고 거푸집 안쪽에 전단철근을 배치하였다.
원심성형 PSC 각형보는 φ13.0 mm 강봉 28본과 SD500 HD22 철근 5본을 배치하여 보의 휨인장을 보강하였다(Fig. 2). 단부에는 H형강(H440×300×11/18)을 배치하고, 중앙부에는 상하부에 H13철근을 상하부에 접합시킨 강판을 상부에 배치했다. 원심성형단계에서
발생되는 각형보내 중공부는 10 %이하로 하여 설계기준의 최소두께 규정 및 휨강성 확보를 위한 강봉배치를 위해 지름 200 mm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였다(Lee et al., 2023).
Fig. 2 Geometric section profiles of centrifugal formed prsmetric beam(Lee et al., 2023)
Photo 2 Profile of centrifugal formed prsmetric beam
2.2 계측대상 교량의 현황 및 제원
본 연구의 대상 교량인 기령소하천교는 충청북도 음성군에 위치한 원심성형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합성형 라멘교로 교폭은 8.0 m이며 경간장은 11.1
m로 소하천을 가로지르는 3등급 교량으로 KL510 표준차량 하중의 56.25 %(0.75×0.75)의 효과로 설계되었다(Table 1). 대상교량의 상세한 제원은 Table 1, 사용된 재료의 물성은 Table 2와 같으며, Photo 3과 Fig. 3은 각각 대상교량의 전경 및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원심성형 보 사이에 PC deck을 설치하고 벽체 우각부와 상부바닥판을 동시에 타설하여 라멘교가
완성되었다.
Fig. 3 Cross sectional view of the bridges
Photo 3 View of the Bridges
Table 1 Details of target bridge
Sortation
|
Content
|
Type
|
UCCM-B60 Rahmen
|
Width
|
8.0 m
|
Grade
|
3 class of KL510
|
Length
|
11.1 m
|
Girder space
|
5@ 1.5 m
|
Table 2 Material properties of target bridge
Sortation
|
Content
|
superstructure
|
RC Slab
|
Concrete
|
fck=35 MPa
|
Re_bar
|
fy=400 MPa
|
Centrifugal formed prsmetric beam
|
Concrete
|
fck=100 MPa
|
Strand
|
fpy=1,275 MPa
|
Substructure
|
Footing & Wall
|
Concrete
|
fck=27 MPa
|
Re_Bar
|
fy=400 MPa
|
2.3 계측 위치 및 장비
현장재하시험에 사용된 계측센서는 트럭하중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변형 및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트레인게이지, LVDT와 가속도계이다. 각 계측장비의
데이터 측정은 동적 데이터 로거를 연결하여 수행하였다. 가령소하천교의 현장재하시험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Table 3과 같다. 변위계(DT1~5), 변형률 게이지(ST1~8)의 부착 위치는 Fig. 4에 나타내었다. 가속도는 A-A’ 단면의 방호벽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였다.
Fig. 4 Sensor attachment location
Table 3 Main measurement and testing equipment
Type
|
Model
(standard)
|
Use & Image
|
Displacement meter
|
LVDT(CDP)
|
Use: Defelction measurement
|
Strain gauge
|
PL-60-11-1LJC
|
Use: Strain measurement
|
Accelerometer
|
ARF-20A
|
Use: Accelertation measurement
|
Data Logger
|
DS-NET-32, SIRIUS
|
Use: Static and dynamic data measurement
|
3. 교량 내하력 산정 방법 및 절차
재하시험은 대상구조물의 실거동을 파악하여 안전도 및 내하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를 획득할 목적으로 실시하므로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측정
부위(Photo 4) 및 재하방법의 선택이 중요하다. 재하시험은 하중의 재하방법에 따라 정적재하시험과 동적재하시험으로 크게 나뉜다.
정적재하시험은 작용 외력에 대한 대상 교량의 정적거동특성을 파악하고 정적변위의 응답비 등 내하력 평가를 위한 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며,
동적재하시험은 대상교량의 실충격계수를 측정ㆍ기록하여 교량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본자료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hoto 4 Measurement for static load test
3.1 정적재하시험
정적재하시험은 작용외력에 대한 대상교량의 정적거동상태를 파악하고 내하력 평가를 위한 처짐 및 변형률의 응답비 등을 구하기 위하여 실시하며, 미리
선정된 지점에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센서를 부착하고 시험차량을 교량 위 임의 위치에 재하 시켜 계측지점에 발생하는 수직처짐 및 휨ㆍ전단변형률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구조물의 정적거동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각종 센서의 부착위치 및 시험차량의 재하위치 등은 구조형식 및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가능한 센서별 최대응답 발생 부위로 하였다.
정ㆍ동적 현장재하시험에 사용된 차량은 교량의 응답 변형을 높이기 위해 적재부에 토사를 만재한 15톤 덤프트럭 1대로 차량의 축하중과 축거리는 Fig. 5와 같다. 정적재하시험 시 사용된 차량의 위치는 Fig. 6과 같이 변위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교량의 중앙부와 전단의 영향이 크게 발생하는 벽체 내측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 정하였다.
Fig. 6 Vehicle loading test by lane
3.2 동적재하시험
대상구조물에 대한 시험차량의 주행으로 동적거동을 조사하는 것은 실제 구조물이 보유한 강성, 저항능력 및 사용성의 한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수행하는 동적주행시험은 시험 차량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동적효과 및 동특성을 추정하여 대상교량의 안전성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실시한다. 동적재하시험은 가속도계와 같은 측정항목에 따른 센서를 선정위치에 부착하고 시험차량의 주행속도를 10 km/h부터 최고주행속도까지
10 km/h 간격으로 속도를 높여 주행하여, 이때 센서에 측정되는 처짐, 변형률 및 가속도 등을 취합·분석하여 교량의 동적거동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대상교량에 대한 동적재하시험은 Photo 5와 같이 주행속도 10 km/h부터 시작하여 최대 속도 30 km/h까지 10 km/h 씩 속도를 증가하면서 측정하였다. 다만, 지역 소하천 교량의
특성상 안전을 위하여 주행속도 30 km/h 이상으로 높이지는 못하였다.
Photo 5 Measurement for dynamic load test
4. 기령소하천교 현장계측시험 결과 및 내하력 평가
4.1 정적재하시험 결과
토사가 만재된 트럭을 이용한 교량 위 정적재하시험 결과에서 대상교량인 기령소하천교가 강성이 크고 교량의 길이가 짧은 박스형 라멘구조로 재하하중에 대한
변위가 크게 발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재하차량의 위치변동에 따른 변형은 예상할 수 있는 거동을 보였다.
차량 재하시 처짐과 변형률이 횡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되고 있는 것을 Fig. 7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 횡 분배 거동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7 Lateral distribution of deflection and strain when loaded at A-A’ cross-section
4.2 F.E.A 모델링 및 해석에 의한 처짐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정적재하시험에 의한 측정치와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산치의 응답비는 실측 및 이론에 의한 구조물의 강성비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처짐이 구조물의 강성에 비례하기 때문에 실제 구조물의 처짐을 고려한 실측 응답비는 구조계산을 통한 기본 내하력에 실측값을 바로잡음으로써 공용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내하력(공용내하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응답비 산정을 위한 정확한 해석값을 얻기 위하여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 FEA V3.4를 사용하여 3차원 솔리드요소 738,245개를 사용하여
Fig. 8과 같이 F.E.Model을 구성하여 선형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9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한 결과 정적재하시험(Loadcase-1)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한 위치와 동일한 지점에서 산정된 처짐값은
0.50 mm로 조사되었다.
Fig. 8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Fig. 9 Results of F.E.M. Analysis (MIDAS FEA)
4.3 현장재하시험 결과와 해석결과의 비교
정적재하시험과 해석결과를 비교하면 Table 4와 같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처짐의 산정결과는 해석결과와 재하실험결과 간의 차이가 각각 2 %, 9 %이며, 계측결과가 해석결과보다 작은 값으로 조사되었다.
두 값 사이의 차가 크지 않고 수치해석 시에 적용한 이론적인 가정들을 고려한다면, 유한요소해석 모델의 결과가 현장에서 수행된 실험결과를 잘 모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Comparison between static load test results and numerical
Load Case
|
Bending Moment
|
Response Ratio
|
Remark
|
Test
results
|
Analysis results
|
L.C.-1
|
-0.49
|
-0.50
|
1.02
|
DT1
|
L.C.-2
|
-0.42
|
-0.43
|
1.02
|
DT3
|
L.C.-3
|
-0.46
|
-0.50
|
1.09
|
DT4
|
4.4 동적 재하시험 결과
동적주행에 의한 처짐의 응답곡선 분석 결과, 각 속도별 동적주행 곡선이 Fig. 10과 같이 종방향으로 연속성을 나타내고 있어 종방향 강성분포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노면 상태 등을 고려한 실측 최대 충격계수가 0.092로
설계충격계수(0.240)보다 매우 작게 측정되어 차량 주행 시 충격의 영향은 설계하중 이내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 10 Deflection response ratio under dynamic loading
4.4.1 실측충격계수
최대 실측충격계수의 선정은 상대적으로 응답이 큰 계측값을 이용하였으며 Fig. 11과 같이 원심성형 보의 경우, 이론 충격계수 0.24보다 작은 0.056으로 도출되었으며, 슬래브의 경우, 설계 충격계수 0.24보다 작은 0.092로
도출되어 이동하중에 의한 영향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 충격계수와 재하시험에 의한 계측 충격계수의 차이는 응답 보정계수를 통해서 공용내하력을
산정하는 데 반영된다.
Fig. 11 Strain impact coefficient during dynamic loading
5. 내하력 평가
5.1 내하율 및 기본 내하력 산정
5.1.1 기본내하력
본 연구의 대상 교량은 도로교설계기준2016을 준용하여 한계상태 설계법으로 설계된 PSC 교량이다. 공용내하력을 산정하기 위해 먼저 내하율을 산정하였다.
여기서, $\gamma_{A,\: D}$: 평가고정하중 수정계수, $\gamma_{A,\: L}$ : 평가활하중 수정계수, $D_{i}$ : 실측
계수고정하중효과, $L(IM)$ : 충격하중효과를 포함한 계수활하중효과, $IM$ : 설계기준에 제시된 충격하중효과를 의미한다.
한계상태설계법에 기초한 설계도서에서 원심성형 보에 대한 기본내하력을 평가한 결과, Table 5와 같이 원심성형 보의 휨과 전단에 대해서 기본내하율이 1.0 이상으로 검토되어, 설계활하중(3등급, KL-510×0.75×0.75)에 대하여 기본내하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Beam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results by limit state
Beam
|
Analysis results(MPa)
|
Rating Factor
|
load
carrying
capacity
|
$R_{A}$
|
$\Sigma\gamma_{A,\: D}\gamma_{D}D_{i}$
|
$\gamma_{A,\: L}\gamma_{L}L(IM)$
|
Flexure
(kN.m)
|
2,225.3
|
301.2
|
334.1
|
5.75
|
3Grade↑
|
Shear
(kN)
|
1,038.3
|
74.145
|
191.70
|
5.03
|
3Grade↑
|
5.2 공용내하력의 평가결과
5.2.1 응답비 산정
시험차량에 대한 해석결과 얻어진 각형보 별 처짐값을 현장재하시험 시 획득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응답비를 산출하였으며 응답비 산출 시 실측된 응답량이
작은 센서는 응답비 산정 시 제외하였다. 이는 실측되는 응답량이 작을수록 측정상에서 얻어지는 오차, 온도영향, 저항, 습도 및 재하위치 등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내하력 산정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응답보정계수 ($K_{s}$) 산정 시 가장 불리한 상태의 응답비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5.2.2 응답비 산출결과
대상구조물에 대한 정적재하시험에 의한 측정치와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산치의 응답비는 실측 및 이론에 의한 구조물의 강성비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처짐이 구조물의 강성에 비례하기 때문에 실제 구조물의 처짐을 고려한 실측 응답비는 구조계산을 통한 기본 내하력에 실측값을 보정함으로써 공용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내하력(공용내하력)을 추정할 수 있다. 재하시험 측정값을 고려한 응답비 산출결과, Table 4에서와 같이 처짐에 의한 응답비는 1.02로 나타났다
5.2.3 응답보정계수 산정
재하시험 시 측정된 변형은 계측장비 및 센서의 정밀도, 측정 시의 기후조건, 교량의 기하학적 특성 및 차량 제하신 하중 집중으로 인한 국부적인 변형의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많은 오차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내하력 평가 시 사용하는 응답보정계수는 대상단면에서 측정된 응답 중에서 가장 큰 응답을
나타내는 하중조건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그중에서 안전 측으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delta_{계산}(\delta_{실측})$ : 이론적인 처짐량(실측 처짐량), $i_{계산}$ : 관련 설계기준에 의한 충격계수 ,
$i_{실측}$ : 동적재하시험으로부터 평가된 최대 충격하중계수를 의미한다. 기령소하천교의 현장재하시험을 통해서 산정된 응답보정계수는 식 (2)와 같이 1.158로 산정되었다.
5.2.4 공용내하력
공용내하력은 최종적으로 아래 식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P_{r}$ : 설계 활하중, $K_{s}$ : 응답 보정계수이다. 재하시험에 따라 공용내하력을 평가한 결과, 설계내하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Table 6에 공용내하력 결과를 나타내었다.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KRTA, 2016)을 기반으로 수행된 내하력 평가결과, 원심성형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박스형 라멘교의 설계 수명 내에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통계적으로 중요하다고 규정한 하중조합인 극한한계상태에서 설계하중인 교량 3등급(KL510×0.75×0.75)
이상의 내하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6 Calculation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beam
Beam
|
Basic load capacity
(ⓐ)
|
Correction factor
(ⓑ)2
|
ⓐ×ⓑ
|
Common load
carrying
capacity
|
Flexure
|
5.75
|
1.158
|
6.658
|
3Grade↑
|
Shear
|
5.03
|
1.158
|
5.082
|
3Grade↑
|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라멘교에 대한 현장재하시험을 통해서 안전성과 내하력을 산정하여 원심성형 보 및 라멘교량에
대한 구조적인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1) 원심성형 초고강도 각형보를 상부구조로 하는 합성형 라멘교에 대한 정ㆍ동적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고, 범용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대상교량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고 공용내하력을 조사하였다.
2) 15톤의 덤프트럭 차량을 하중으로 재하한 정적재하시험 결과 최대 0.49 mm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으로 계측되었다. 계측결과는 유한요소해석에서
산출된 0.50 mm 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어 대상교량에 대한 해석모델이 현장재하실험 결과를 잘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 기령소하천교의 설계도서(구조계산서)에 제시된 고정하중과 활하중(교량 3등교, 0.75×0.75×KL510)을 지지하는 원심성형 각형보의 휨강도를
계산하여 기본 및 공용내하력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기령소하천교 상부구조로 사용된 원심 성형 보는 3등교에 해당하는 설계활하중 하에서 충분한 내하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공장에서 생산되는 원심성형 각형보는 성형단계에서 원심력 다짐으로 수밀성이 높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은 신뢰성이 높은 부재로서, 이를 적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실 시공 현장에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고 수치해석을 통한 결과로 대상교량의 공용내하력과 안전성을 확보하여 구조적인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1년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100MPa급 초고강도 직사각형 보의
제작기술 및 이를 상부구조로 하는 피암터널 공법개발(21TBIP-C161317-02)’를 통해 수행된 연구입니다. 연구지원에 감사합니다.
References
Shin, J. I., Park, C. H., Lee, S. S., and Lee, B. J. (2007), An Improvement for Evaluating
Load Carrying Capacity by Passing Vehicles of PSC-BOX Bridg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1(4), 147-151 (in Korean).
Hwang, J. H., An, S. S., and Kim, J. H. (2011), A Feasibility Study of Loading Test
for Safety Assessment: Concrete Bridg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5(6), 147-155 (in Korean).
Kim, S.W., Cheung, J. H., Kim, S. D., Park, J. B., and Lee, M. J. (2017), Lateral
Load Distribution Estimation of a PSC Girder Bridge from Dynamic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1(3), 60-68 (in
Korean).
Kim, S. K., Jang, P. K., and Jang, I. Y. (2018), Evaluation of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Existing Bridges with Long Span Hollow Web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y Static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2(3), 97-102 (in Korean).
Yoon, S. G., and Shin, S. B. (2019), Evaluation of Bridge Load Carrying Capacity of
PSC Girder Bridge using Pesudo-Static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4), 53-60 (in Korean).
Kim, K. H., Yoo, M. S., Paik, I. Y., and Shin, S. B. (2021), Analysis on Application
of Limit State Design Method for Bridge Evaluation Considering PSC Beam Bridge Experiment
Resul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6), 235-244 (in Korean).
Lee, D. S., Kim, S. J., and Kim, J. H. (2022),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Ultimate
Behavior of an Avalanche Tunnel Corner Rigid Joint Composited with a Centrifugal Formed
Bea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6),
128-138 (in Korean).
Kim, J. H., Kim, S. J., and Lee, D. S. (2023), The Experimental Study of Full-scale
Centrifugal Formed High Strength Concrete Prismatic Beam(CFPB) Composited with Deck
Slab,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1),
19-29 (in Korean).
Lee, D. S., Kim, S. J., and Kim, J. H. (2023), The Development of a 100 MPa Class
Ultra-high Strength Centrifugal Molded Square Beam Design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4), 1-10
(in Korean).
Korean Concrete Institute (2010), Guidelines and Examples for Safety Assessment of
Operating Design Specifications for Structural Concrete Bridges, Seoul, Korea.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KRTA) (2016). Roa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in Korean).
Korean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2017), The Guidelines for
Safety Inspections and Full Safety Examinations., Jinju (in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2), Guidelines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etc.
Midas IT (2004), ANALYSIS &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