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2. 정회원,계룡건설 대리
  3. 정회원,(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4. 정회원,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3D 프린팅, 연성, HDCC, 내력, PE-mesh
3D print, Ductility, HDCC, Load carrying capacity, PE-mesh

1. 서 론

21세기 많은 연구자들은 기계, 복합소재, 의료기술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수천 년에 걸쳐 형성된 자연의 원리를 활용하여 기존의 과학적, 공학적 한계를 극복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의 공학적 특성을 모사하는 기술을 biomimietics 즉, 생체모방공학이라고 부른다(Choi et al., 2011). 생체모방공학의 대표적인 예로 천연 유기체로 만들어진 생물학적 구조 조직은 우수한 인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료개발을 위해 연구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아왔다. 그 중 조개, 전복 등과 같은 패류는 그들의 부드러운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단단한 껍질을 가지고 있다. 껍질의 주성분은 시멘트계 재료와 유사한 칼슘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지며, 총 질량 5 %내의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패류 껍질은 Fig. 1과 같이 얇은 다각형 구조의 칼슘카보네이트 평판들이 적층되어 있고, 인접한 평판들이 교차되어 있는 층들이 유기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Barthelat, 2007). 이러한 패류 껍질의 층 경계면 구조는 계면의 결합 구조를 견고히 하여 높은 연성 및 강도를 나타내는 특징을 지닌다.

패류 껍질층의 구조적 메커니즘은 재료의 파괴인성을 향상시켜 재료 파괴를 위하여 요구되는 에너지를 높일 수 있는데, 인장강도, 인장 변형성능 등의 개선이 주요한 역학적 인자로 보고된 바 있다(Kakisawa et al., 2012). 이러한 패류 껍질층의 구조적 메커니즘의 장점을 도입하기 위하여 섬유보강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를 활용하여 패류 껍질 적층 형태의 구조적 요소를 생체 모방하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Li et al., 1997; Kwon et al., 2018). 패류 껍질층의 경계면 형상을 모방하기 위해 활용된 재료인 고연성 시멘트 복합재료(Highly Ductile Cement Composite, HDCC)는 마이크로역학과 파괴역학을 기반으로 시멘트 복합체에 체적비로 2% 내외의 합성섬유를 혼입하여 높은 연성을 가지도록 설계된 시멘트계 재료이다. HDCC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취성적인 단점을 보완하여 우수한 인장성능과 균열제어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균열발생 이후 충분한 변위를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에너지 흡수 능력과 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HDCC는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큰 연성이 요구되는 구조요소나 소성힌지부, 신설구조물 등에 활용함으로써 부재의 연성, 회전능력, 손항저항성능, 구조물 강도 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Lin et al., 1999).

또한, 기존의 비정형 구조물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3D 프린팅 기술을 다양한 재료에 접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Seo et al., 2019; Seo et al., 2020; Boukhelf et al., 2022; Lee et al., 2022). 특히 합성섬유를 혼입한 고연성 재료를 활용하여 비정형 구조를 구현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Seo et al., 2022; Kim et al., 2023).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연구를 통하여 적층된 출력물을 제작하였으나, 층간의 연속성과 부재의 연성을 향상시키는 성능 개선이 필요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재료적인 단계에서 수행한 패류 껍질층의 경계면을 모방한 휨 성능 연구(Kwon et al., 2020)의 결과를 토대로 연성과 균열제어성능을 가진 HDCC를 활용하여 패류 껍질층의 경계면 형상을 모사하여 구조 부재에 적용하는 확장된 연구 수행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적층 슬래브의 경계면에 polyethylene으로 제작된 mesh(Fig. 3)를 배치하여 층상화하였고, 사용된 mesh의 물리적 특징은 Table 1과 같다. 이를 기반으로 층간의 연속성과 부재의 구조 연성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하였다. 제작된 실험체는 휨 실험을 통하여 구조성능 및 파괴형태를 규명함으로써 높은 연성 및 균열제어성능이 요구되는 건설 구조물과 3D 프린팅 제품에 적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 수행하였다.

Fig. 1 Microstructure of shell skin layers (Barthelat, 2007)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1.png
Fig. 2 Products 3D printed with cement-based composites(Lee et al., 2022)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2.png
Fig. 3 Polyethylene mesh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3.png
Table 1 Properties of polyethylene mesh

No.

Mesh size

(mm)

Width

(mm)

Density

(g/cm3)

Tensile strength

(MPa)

M7

7.3×7.7

3

0.91

33

2. 적층 슬래브의 제작 및 실험계획

2.1 적층 슬래브 실험체의 설계

실험체는 1방향 표준 RC 슬래브로서 슬래브 내부 층상화 조건을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실험변수로 RC 슬래브와(RC), HDCC로 제작된 슬래브(HDCC), HDCC 슬래브 내부에 Fig. 3 과 같은 체눈크기 7 mm의 PE-mesh를 20 mm 간격으로 삽입하여 패류 껍질층 경계면 형상을 모방한 슬래브(HDCC-M)로 실험변수를 설정하였다. HDCC 및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실험체 설계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두께 120 mm, 폭 300 mm, 길이 2,000 mm인 슬래브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설계된 실험체의 배근상세 및 각 실험체의 단면은 Fig. 4Fig. 5 와 같다. 모든 실험체는 동일한 철근비인 $\rho_{s}=0.84%$를 가지도록 설계하였으며, 변수 별로 3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Fig. 4 Details of rebar placement of slab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4.png
Fig. 5 Section details of test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5.png

2.2 사용재료의 특성

본 연구에서 패류 껍칠층의 경계면 형상을 모방한 슬래브 실험체를 제작하기 위해 활용한 HDCC 배합 및 일반 콘크리트 배합은 각각 Table 2Table 3 과 같다. 재료의 목표 배합강도는 교량의 연결슬래브, 접속슬래브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배합강도인 35 MPa이다. 각 배합은 3성분계 결합재를 활용하였으며, 주결합재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사용하였고, 유동성 및 작업성능 확보를 위하여 고로 슬래그미분말(BFS)와 플라이애시(FA)를 혼입하였다. 각 결합재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4와 같다. HDCC의 사용섬유로 Table 5 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지닌 PVA섬유를 활용하였으며, 시멘트 매트릭스 체적의 2 %를 혼입하였다. 또한, HDCC에 활용된 잔골재로 섬유의 분산성능 및 시멘트 매트릭스의 충전률을 높여 수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규사를 활용하였다. 혼화제로는 셀롤로스계 분리저감제와 폴리카본산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일반 콘크리트 배합의 경우 골재는 최대치수 13 mm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사용하였으며, 유동성 확보를 위해 카르복실계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배합 조건에 따라서 제조된 HDCC의 1축인장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Fig. 6과 같은 1축인장 실험 시편을 제작하여, 28일 습윤양생 후 1축인장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7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초기균열강도는 그래프의 첫 번째 응력저하가 발생된 시점으로 정의하였으며, 최대 인장응력을 인장강도로 정의하였다. 또한, 최대 인장응력시의 변형률 값을 인장변형성능으로 정의하였다. 실험결과 평균 3.5 MPa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하였고, 초기균열 이후 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변형률 경화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변형률 경화거동 과정에서 다량의 미세균열이 발생되었으며, 미세균열의 발생과 함께 응력저하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는 미세균열이 발생함에 따라 응력이완이 발생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인장강도 및 인장변형성능은 각각 평균 4..4 MPa. 5.3 %로 나타났다.

Fig. 6 Uniaxial tensile test specimen and test set-up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6.png
Fig. 7 Stress-strain curves in uniaxial tension of HDCC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7.png
Table 2 Mix proportion of HDCC

W/B

(%)

Water

(kg/m3)

Binder (kg/m3)

Silica Sand

(kg/m3)

SP

(kg/m3)

MC

(kg/m3)

Fiber volume faction

(%)

OPC

BPS

FA

32.8

380

691

461

115

308

3.46

6.91

2.00

Table 3 Mix proportion of concrete

W/B

(%)

Water

(kg/m3)

S/a

(%)

Binder (kg/m3)

S

(kg/m3)

G

(kg/m3)

Ad.

(kg/m3)

OPC

BPS

Fly ash

37.3

313

48

633

84

84

760

839

5.29

Table 4 Properties of binder

Binder

Density

(g/cm3)

Blaine

(cm2/g)

OPC

3.14

3,450

BFS

2.91

4,200

FA

2.21

3,400

Table 5 Properties of PVA fiber

Density

(g/cm3)

Diameter

(mm)

Length

(mm)

Tensile

Strength

(MPa)

Elastic mudulus

(GPa)

1.3

0.04

12

1,585

36

2.3 적층슬래브 실험체의 제작

패류 껍질층의 경계면 형상을 모방한 적층형 RC 슬래브 실험체 제작방법은 Fig. 8과 같다. 내면 치수가 300×120×2,000 mm인 거푸집에 직경 13 mm 의 종방향 철근 직경 6 mm 철선을 용접하여 조립된 철근을 배치하였다. 하중 재하시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해 종방향 철근의 중앙부 4개소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HDCC 배합은 분체재료를 건비빔 한 뒤 배합수를 첨가하여 시멘트 매트릭스의 유동성을 확보한 이후 섬유를 투입하여 섬유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였다. 배합시간은 총 8분으로 건비빔 2분, 습비빔 2분, 섬유 투입 후 4분으로 비빔하였다. RC 및 HDCC 실험체는 각각 일반콘크리트와 HDCC를 일체 타설하여 제작하였다. HDCC-M 실험체는 Fig. 8(e)와 같이 거푸집에 HDCC 타설시 높이 20 mm 마다 길이 1800 mm, 폭 300 mm의 PE-mesh 망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Fig. 8 Manufacturing process of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8.png

3. 슬래브 실험체의 휨 실험

패류 껍질층의 경계면 형상을 모방한 적층형 RC 슬래브 실험체의 휨 성능평가를 위해 최대용량 25 TON 의 UTM을 활용하여 Fig. 9와 같이 4점 재하 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체의 양측 지점에 회전단을 설치하여 순지간 1,800 mm인 단순지지 하였다. 2점 하중 가력점 사이 순수 휨 구간 거리는 300 mm로서, 이 영역에서 순수 휨이 작용하도록 하였다. 하중 가력은 변위제어 방식으로 1.0 mm/min의 속도로 부재의 내력이 상실될 때까지 가력하였다. 실험체의 처짐 및 변형률 측정을 위하여 각각의 변위계 및 변형률 게이지를 설치하였다. 실험체 중앙부의 수직처짐은 슬래브의 하단에 위치한 변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 9 4-point bending test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9.png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균열 및 파괴양상

휨 실험 결과 관찰된 균열패턴을 Fig. 10에 나타내었다. 일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인 RC 기준실험체는 재하 하중 6.5 kN 일 때 중앙부 인장연단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하였다. 이후 균열이 더 진전되면서 추가 휨균열이 발생하였다.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발생한 균열이 슬래브 상부로 진전하는동시에 균열폭도 증가하였으며, 철근의 항복 이후에 그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항복 이후 처짐 32 mm 내외까지 안정적인 거동을 보이다 슬래브 상부 중앙 콘크리트의 압축 영역이 파쇄되면서 최종 휨파괴에 도달하였다. HDCC로 제작된 HDCC 실험체의 경우 초기 선형구간에서 하중이 증가하다가 재하하중이 7.2 kN 일 때 중앙부 인장연단에서 초기균열이 관찰되었다. 이후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실험체 인장부 전단면에 걸쳐 많은 수의 미세균열이 관찰되었다. 철근의 항복 이후, 변형률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처짐량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다수의 미세균열이 압축부로 진전하였다. 이후 하나의 균열에 응력이 집중되어 균열폭이 증가하였다. 균열이 압축연단에 도달함과 동시에 하중이 급격히 감소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HDCC-M 실험체는 재하하중 7.6 kN 에서 초기균열이 관찰되었다. 이후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HDCC 실험체와 동일하게 인장부에 다량의 미세균열이 관찰되었다. 하중이 더욱 증가하면서 인장부에 발생된 미세균열이 PE-Mesh를 삽입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적층 경계면의 수평균열이 발생하였다. 수평균열의 발생 이후 인장부 균열이 수평균열에 도달시 압축부로의 진전이 지연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경계면의 수평균열이 파괴로 이어지지 않고, 다수의 반사균열과 함께 새로운 미세 수평균열이 추가로 관찰되면서 처짐이 증가하였다. 철근의 항복 이후 다수의 미세균열은 인장부 전단면에 걸쳐 더욱 증가하였으며, 수직 처짐 64.9 mm까지 안정적인 연성거동을 나타내었다. 이후 HDCC 실험체와 유사하게 압축부의 균열발생 이후 하중이 급격히 감소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HDCC-M 실험체는 실험종료시 까지 순수 휨구간에 발생된 균열이 압축부까지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중전달능력 및 처짐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Fig. 10 Typical Crack patterns of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10.png

4.2 하중-처짐 관계 특성

실험체의 하중 재하에 따른 초기균열, 철근항복 및 극한하중 단계에 따른 각 측정값을 Table 6 에 나타내었고, 하중-처짐 관계의 결과를 Fig. 11에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체의 초기 휨 강성은 2.5∼2.6 kN/mm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앞 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E-mesh를 활용하여 단면을 층상화한 HDCC-M 슬래브 실험체가 가장 우수한 하중전달능력 및 처짐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료 단계의 연구를 수행한 선행 논문(Kwon et al., 2020)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 바 있다. 이와 같이 우수한 변형성능과 함께 높은 하중 전달 능력이 나타난 것은 층간 경계면에 삽입한 mesh로 인하여 층 분리가 발생하면서 다수의 반사균열과 함께 처짐이 증가하면서 mesh 체눈 사이를 관통하는 다각형의 HDCC가 부착력을 확보하면서 각 층의 단면력 손실을 억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추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 11 Typical load vs. mid-span deflection curves
../../Resources/ksm/jksmi.2024.28.1.90/fig11.png
Table 6 Comparison between flexural test results

Specimen

Concrete crack

Reinforcement yielding

Maximum load

Load

(kN)

Displacement

(㎜)

Stiffness

(kN/㎜)

Load

(kN)

Displacement(㎜)

Stiffness

(kN/㎜)

Load

(kN)

Displacement

(㎜)

RC

6.5

0.79

8.22

27.7

10.6

2.61

30.8

32.2

HDCC

7.2

0.97

7.42

30.4

11.9

2.54

35.8

49.8

HDCC-M

7.6

1.03

7.84

33.1

11.8

2.58

43.2

64.9

4.3 극한 내력 및 연성 평가

Table 6 에서 극한상태에서의 실험체 내력 및 최대 처짐을살펴 보면, RC 실험체에 비해 HDCC 실험체는 약 1.5배 우수한 최대 처짐을 나타냈으며, HDCC-M 실험체의 경우 약 2.0배 높은 변형 능력을 보였다. 또한 최대내력은 RC 실험체에 비하여 HDCC 실험체와 HDCC-M 실험체는 각각 1.2배, 1.4배 높은 최대 내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HDCC-M 실험체가 우수한 변형성능과 함께 높은 하중 전달 능력은 보인 것은 4.2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층간 경계면에 삽입한 mesh의 역할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서 적층 경계면의 분리와 함께 다수의 반사균열이 발생하여 변형이 증가하였고, mesh의 체눈을 관통하는 HDCC가 층간의 부착력을 증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다각형 모양의 판형무기물이 단백질로 수직 연결된 패류 껍질층의 특성 및 거동과 유사하다고 판단된다.

실험체의 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변위 연성비를 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 식에서 $\mu$는 변위 연성비, $\delta_{u}$는 최대변위, $\delta_{y}$는 항복 변위를 의미한다. 계산 결과는 Table 7과 같다.

(1)
$\mu =\delta_{u}/\delta_{y}$

Table 7에 정리한 바와 같이, HDCC-M 실험체의 변위 연성비는 5.1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RC 실험체에 비하여 1.7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HDCC 실험체의 경우, RC 실험체 대비 1.4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HDCC로 제작된 실험체들은 HDCC 재료의 높은 연성과 다중미세균열이 슬래브 실험체의 처짐량을 증가시켜 RC 실험체에 비하여 우수한 연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HDCC-M 실험체의 경우 층간 경계면에 삽입한 mesh의 역할로 가장 우수한 변형성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Ductility ratio and stiffness at yielding

Specimen

Increase of load* (%)

Ductility

ratio

Secant stiffness at yielding

(kN/mm)

RC

-

3.0

2.6

HDCC

16.2

4.1

2.5

HDCC-M

40.2

5.1

2.6

* Increase of load was calculated based on maximum load of RC specimen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용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 HDCC를 활용하여 패류 껍질층 경계면 형상을 적용한 부재의 휨 성능을 평가하였다. PE-mesh를 실험체 내부에 삽입하여 패류 껍질층 경계면 구조를 모방한 HDCC-M 슬래브와 일체 타설한 방식으로 제작한 RC, HDCC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활용한 HDCC의 재료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축인장 실험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인장강도 및 평균인장변형률은 각각 4.4 MPa 및 5.3%로 우수한 인장성능을 확보하여 부재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슬래브 실험체의 균열 및 파괴양상을 분석한 결과 HDCC 및 HDCC-M 실험체는 RC 실험체와 다르게 인장부 전단면에 걸쳐 많은 수의 미세균열이 관찰되어 보다 우수한 연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HDCC-M 실험체의 경우 각 층의 경계면에서 층분리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층분리가 파괴로 이어지지 않고, 다수의 반사균열과 함께 새로운 미세 수평균열이 추가로 관찰되면서 처짐량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슬래브 실험체의 극한내력 및 변위 연성비를 비교한 결과, HDCC-M 실험체의 극한내력 및 최대 처짐량이 각각 43.2 KN 및 64.9 mm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HDCC-M의 변위 연성비는 RC에 비하여 1.7배, HDCC에 비하여 1.2배 우수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HDCC-M가 우수한 극한내력과 변위 연성비를 나타낸 것은 층간 경계면에 삽입한 mesh로 인하여 층 분리가 발생하면서 다수의 반사균열과 함께 변위 연성이 증가하고, mesh 체눈 사이를 관통하는 다각형의 HDCC가 부착력을 확보하면서 각 층의 단면력 손실을 억제하였기 때문인 내력이 증가하였다고 판단된다. 다각형 모양의 판형무기물이 단백질로 수직 연결된 패류 껍질층이 PE-mesh 층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4) 이 논문에서는 3D 프린팅용 HDCC를 활용하여 패류 껍질층 경계면을 모방한 적층 슬래브의 구조적 휨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3D 프린팅 출력물에 반드시 존재하는 취약부인 적층 경계면의 연속성, 하중 전달능력, 연성 등을 개선하는 데에 연구 결과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경계면 mesh의 역할에 대한 면밀한 규명과 다양한 층상화 방법의 적용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20R1A2C1101465).

References

1 
Choi, Y. C., Choi, J. S., and Cho, Y. W. (2011), Biomimetic Functional Materials: Find a Solution from Mother Nature,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2(5), 460-466 (in Korean).URL
2 
Barthelat, F. (2007), Biomimetics for next generation material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5(1861), 2907-2919.DOI
3 
Kakisawa, H., and Sumitomo, T. (2012), The toughening mechanism of nacre and structural materials inspired by nacre, Science and technology of advanced materials.URL
4 
Li, V. C. (1997), Damage tolerance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Elsevier Science Ltd.(UK), 619-629.URL
5 
Kwon, K. S., Bang, J. W., and Kim, Y. Y. (2018), Flexural Performance of Multi-layered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with Diverse Interface Shap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4), 429-435 (in Korean).DOI
6 
Lin, Z., Kanda, T., and Li, V. C. (1999), On interface property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RILEM J. Concrete Science and Engineering, 1, 173-184.URL
7 
Cho, C. G., Kim, Y. Y., Feo, L., and Hui, D. (2012), Cyclic responses of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strengthened in the plastic hinge region by HPFRC mortar, Composite Structures, 94(7), 2246-2253.DOI
8 
Hyun, C. J., Seo, J. S., and Kim, Y. Y.(2023), Flexural Experiments on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SHCC and Special Reinforce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1), 46-53 (in Korean).URL
9 
Hyun, J. H., Lee, B. Y., and Kim, Y. Y. (2018), Composite properties and micromechanical analysis of highly ductile cement composite incorporating limestone powder. Applied Sciences, 8(2), 151.DOI
10 
Boukhelf, F., Sebaibi, N., Boutouil, M., Yoris-Nobile, A. I., Blanco-Fernandez, E., Castro-Fresno, and E. Hall, A. (2022), On the Properties Evolution of Eco-Material Dedicated to Manufacturing Artificial Reef via 3D Printing: Long-Term Interactions of Cementitious Materials in the Marine Environment, Sustainability, 14(15), 9353.DOI
11 
Lee, B. J., Kim, B. K., and Kim, Y. Y. (2022), Strength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ow-alkali Mortar for Artificial Reefs Produced by 3D Print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1), 67-72 (in Korean).DOI
12 
Seo, J. S., Hyun, C. J., and Kim, Y. Y. (2022), Effect of polymer post-treatment on the durability of 3D-printed cement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5), 20-29 (in Korean).URL
13 
Kim, H. J., Lee, B. J., and Kim, Y. Y. (2023), Material Properties of 3D Printed Mortars Produced with Synthetic Fibers and Biopolym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4), 78-85 (in Korean).URL
14 
Kwon, K. S., Chun. J. Y., and Kim, Y. Y. (2020), Flexural Behavior of Highly Ductile Cement Composites Mimicking Boundary Conditions of Shellfish Skin Lay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4(1), 108-115 (in Korean).DOI
15 
Seo, J. S., Lee, B. C., and Kim, Y. Y. (2020), The Effects of Void Ratio on Extrudability and Buildability of Cement-based Composites Produced by 3D Print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7), 104-112 (in Korean).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