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호
(Jongho Park)
1
신유성
(Yooseong Shin)
2†
-
정회원,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박사후연수자
-
정회원,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대리, 교신저자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신축이음 유간, 설명 가능한 AI, 데이터 기반 유지관리, 인공지능
Key words
Expansion joint-gap, Explainable AI, Data-based maintenance, Artificial intelligence
1. 서 론
교량은 공용 기간 중 온도변화, 하중, 크리프, 건조수축 등에 의해 교축 방향으로 신축량이 발생하며, 이를 수용할 목적으로 신축이음 장치를 설치한다.
신축이음 장치의 설치는 설계온도를 기준으로 한 신축량과 시공오차, 구조물의 이상 변위 등의 여유량을 고려하여 충분한 유간을 적용하여야 하며, 실제
유지관리 수행 시 유간 측정을 통하여 협착 가능성을 평가한다(MOLIT, 2023a).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안전점검·진단편)(2023)’에서는 신축이음에 대해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MOLIT, 2023b). 다만, 유간부족 및 유간과다에 대한 손상을 명시하고 있으나 실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수행 시 동일 위치의 신축이음 유간을 2회 측정함으로써
유간이 남아 있다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신축거동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근거가 부족하다.
EX(2020)에서는 포장 팽창과 신축이음 파손 현상에 따른 교량 협착 원인을 분석하고 이상 폭염 현상을 반영한 신축이음 설치 기준과 관리 기준, 협착 교량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한 구조해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협착이 주로 발생하는 교대를 중점으로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세부항목별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교량 상부구조의 이상 거동을 사전에 분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Choi(2022)은 협착이 많이 발생하는 교대의 유지관리 사례를 다양하게 소개하며 신축이음부의 협착 방지를 유지관리의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Jung et al.(2021)은 상대적으로 유지관리에 취약한 RC 슬래브 교량의 신축이음부 유간 협착에 따른 손상이 바닥판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만, 단일 형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신축이음 장치의 손상을 판단하기 위한 근거가 한정적이다. Choi et al.(2020)은 4,821개 교량의 12,845개소의 신축이음 유간 자료를 바탕으로 DB 작성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량 형식별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다만, 설계기준을 중심으로 DB를 구성하고 해당 요인에 대해 주로 고려하여 교량의 이상 거동을 판별하기에는 어려움 있다.
이처럼 교량의 협착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사전에 알 수 있는 신축이음 유간의 평가와 손상에 대한 원인 파악, 이를 통한 유지관리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거동이 신축이음 장치, 받침, 교량 형식 등 다양한 요인의 복합 거동에 따른
결과이며, 개별 영향 요인을 특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은 인간의 두뇌 활동 방식에 기반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도구이다. 신경망은 주어진 데이터의 표현 또는 작업의 해결책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며 학습을 수행한다.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사용하는 학습 절차를 심층학습(deep learning, 딥러닝)이라 하며, 여러 개의 은닉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 딥러닝
알고리즘은 모델, 최적화 알고리즘, 손실 함수와 데이터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은닉층을 가진 심층 신경망은 모든 복잡한 함수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수학적으로 입증되었으며(Hornik et al., 1989), 신축이음 유간 평가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딥러닝의 예측 성능은 뛰어나지만 기존의 규칙 기반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입력된 데이터가
어떻게 예측에 기여하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영향인자를 분류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영향인자의 분류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처하여야하는
유지관리 분야에서는 딥러닝 도입 시 예측 결과를 이해하고 해석 가능한 지식을 추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XAI(eXplainable AI) 기술은
‘설명 가능한 AI’를 일컫는 것으로 입력에 따라 생성된 결과와 출력을 이해하여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딥러닝에 따른 예측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축이음 유간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 체계를 마련하고 수집된 유간 데이터를 활용한 신축이음 유간 평가 방안을
소개한다. 이후 교량을 구성하는 다양한 영향인자와 신축이음 유간의 상관관계를 딥러닝과 XAI를 통해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2. 신축이음 유간 평가 방안
2.1 유간 데이터
신축이음 유간(이하, 유간) 변화를 추적, 관찰하기 위하여 동일 신축이음의 계절별 유간 변화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한국도로공사의
‘이동식 신축이음 유간 측정장비’를 사용하였다. 해당 장비는 100 km/h 속도로 주행하며 유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센서 분해능은 1 mm 이하이다.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 거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소 4개의 유간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온도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하절기 및 동절기 2회씩
측정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년 동안 총 689개소의 신축이음 장치를 대상으로 유간 데이터를 확보하였다(EX, 2024).
2.2 유간 평가
Fig. 1에 다회 측정된 신축이음 유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된 유간 변화 평가 방안을 나타내었다(Park et al., 2024). 기준점을 중심으로 기준온도(15℃)에서 ±5℃의 여유를 둔 여유량 밴드(±5℃ Evaluation band)안에 4회 이상 측정된 유간 데이터가
존재하면 정상 거동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해당 영역을 벗어난 데이터가 있는 경우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나, 데이터의 추세가 신축이음장치의
지역 및 재료계수 등이 반영된 협착 한계선(Limit line)에 도달하지 않는 다면 유간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반대로 데이터 추세가
협착 한계선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면 유지관리 수행 시 추가 점검이 필요할 수 있다. Fig. 2에 유간 평가 그래프를 활용한 유간 거동 판단 기준을 나타내었다. Fig. 2(a) 및 (b)는 정상적 거동과 이상 거동에서의 협착 가능성 사례이며, Fig. 2(c) 와 (d)는 교량 상부구조 거동의 문제 발생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Fig. 1 Evaluation graph of expansion joint-gap
Fig. 2 Risk cases of evaluating expansion joint-gap
2.3 영향인자 평가
2.3.1 Multi-layer perceptron(MLP)
본 연구에서는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사용하였다. 은닉층은 4개로 구성하였다. 입력층의 노드 개수는 입력 데이터
특징 개수와 동일하며, 첫 번째 은닉층의 노드 개수는 1,024개, 두 번째와 세 번째 은닉층의 노드 개수는 512개, 네 번째 은닉층의 노드 개수는
256개, 출력층은 예측된 유간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였다. Table 1에 유간 예측에 사용한 입력 특징(feature, 영향인자)을 정리하였다. 교량 상부구조 형식, 신축이음 장치, 받침, 유간 설계 요인, 유간의 5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간은 MLP 학습을 통해 예측하고자 하는 목표값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고속도로에서 가장 많은 형식을 차지하는 PSC 교량을
I 거더(PSCI)와 BOX 거더(PSCB)로 구분하였으며, 그 외에 교량은 강교(ST), RC교(RC), 합성거더교(CG)와 특수교(Special)로
구분하였다. 신축이음 장치는 레일형(Rail), 핑거형(Finger), 모노셀(Mnocell)로 구분하였다. 무조인트(유)(Nojoint_y)은 설계형식은
일체식 교대 교량으로 신축조절부가 접속슬래브와 본선 포장부 사이에 설치된 사례이다. 받침은 탄성(Elastic), 포트(Pot), 스페리컬 및 고력황동받침(Oilless)을
구분하였고 받침의 종류가 명확하지 않거나(Etc_b) 시공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Non)를 정의하였다. 설계요인에는 온도에 따른 신축거동 계산
인자인 온도와 신축장(Length), 강 및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Steel, Concrete)를 정의하였다. 온도의 경우 측정장비에서 획득한 현장온도(Temp)와
기상청의 일평균온도(Temp_day)를 구분하여 측정 오차에 따른 영향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하중, 건조수축 및 크리프 등은 데이터 수집 대상이 이미
공용중인 교량임을 감안하여 제외하였다.
가중치는 모델 학습 전 Xavier uniform initializer를 통해 초기화 하였다(Glorot and Bengio, 2010). MLP 모델의 모든 층 사이에 ELU(Exponential Linear Unit)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였다. 최적화 도구로는 Adam optimizer를
사용하였고 손실 함수는 평균 제곱 오차(MSE)를 사용하였다.
$N$은 데이터의 수, $y_{i}$는 실제값, $\hat{y_{i}}$는 예측값이다.
Table 1 Input features for XAI
Category
|
Feature
|
Description
|
Bridge type
|
PSCI
|
PSC I girder(EX, IPC, and etc.)
|
PSCB
|
PSC box girder
|
ST
|
Steel I girder, Steel box girder, and etc.
|
RC
|
RC slab, RC hollow, and etc.
|
CG
|
Composite girder
|
Special
|
Arch, Extradosed, and etc.
|
Expansion joint
|
Rail
|
Single and Multi rail joint
|
Finger
|
Finger joint
|
Monocell
|
Monocell, New monocell, and etc.
|
Nojoint_y
|
Integral abutment bridge, but expansion joint was installed.
|
Bearing
|
Elastic
|
Elastic
|
Pot
|
Pot
|
Oilless
|
Spherical, Oilless
|
Etc_b
|
Not correctly identified
|
Non
|
Unidentified
|
Design
|
Temp
|
Temperature measured at site
|
Temp_day
|
Average daily temperature
|
Length
|
Expansion length
|
Concrete
|
Coefficient of thermal
|
Steel
|
Expansion joint-gap
|
Gap
|
Target value
|
2.3.2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SHAP)
설명 가능한 AI 방법 중 게임 이론의 Shapley value 개념을 활용하는 SHAP을 적용하였다([11]Štrumbelj and Kononenko,
2010; Lundberg and Lee, 2017).
Shapley value는 게임이론에 기반하여 주어진 특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고려한 후 해당 특징이 예측이 포함될 때의 기여도를 측정한 값이다.
입력 데이터의 각 특징값과 해당 예측을 각각 플레이어와 게임의 결과로 가정한 후 기여도를 구한다(Song et al., 2023).
MLP 결과에 각 특성이 미친 영향도를 식 (2)와 같이 additive feature attribution methods를 활용하여 선형 함수로 설명할 수 있다.
$g$는 주어진 특징들로 선형함수를 구성하여 기여도를 측정하고 특징들이 예측에 미친 영향도를 설명하는 함수, $M$은 특징의 개수, $z'$는 해당
특징의 존재 여부, $\phi_{0}$은 사용자가 정의하는 reference point로, 여기서는 데이터 내에서 해당 특징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phi_{i}$는 해당 특징이 존재할 때 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도로 shapley value를 사용한다.
DeepSHAP은 SHAP 종류 중 하나이며, 예측값에 대한 입력값의 효과를 계산하는 DeepLIFT(Deep Learning Important Features)에
Shapely value를 적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각 특징이 유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할 수 있다.
$F$는 가능한 모든 특징의 조합, $S$는 가능한 모든 특징 조합의 부분집합, $f_{S}$는 $S$ 특징 조합으로 학습한 학습 모델의 prediction
score이다. 따라서 $i$번째 특징의 shapley value를 구하기 위해 해당 특징이 포함되었을 때 가능한 모든 특징 조합과 포함되지 않았을
때 가능한 모든 특징 조합의 prediction score 차이를 이용해 영향도를 측정한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유간 평가 결과
2년간 신축이음장치 689개소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총 2,756개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Fig. 1의 신축이음 유간 평가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축이음 유간 중 협착 가능성 및 온도 신축거동 이상의 일부 사례를 신축이음 유간 평가
그래프와 현장 사진과 함께 Table 2에 나타내었다. 첫 번째 사례는 측정 유간 데이터 모두 여유량 밴드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설계 기준을 정확하게 따르고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온도 신축거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5℃ 기준선을 중심으로 40℃ 이전에 협착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이상고온 발생 빈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두 번째 사례는 동절기와 하절기에 측정된 유간이 여유량 밴드를 벗어난 사례이다. 특히 가장 높은 온도에서 측정된 유간은 작은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작아졌다. 검정 점선으로 나타낸 측정 데이터의 추세로 보아 설계온도범위 40℃이전에 유간이 0이 되며 신축이음 장치 및 후타 콘크리트의 파손이
예상된다.
세 번째 사례는 기능고장 사례이다. 측정된 유간 데이터가 온도 신축거동을 따르지 않는 사례로서 정상적 거동을 방해하는 요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상 거동에 따른 협착 발생 가능성은 없으므로 점검을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네 번째 사례는 신축이음 장치의 시공오류에 따른 이상 거동과 신축이음 장치의 재시공 사례이다. 신축이음 장치는 교축 방향으로 거동하여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량에 대응하여야 하나 해당 신축이음 장치는 교축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시공 과정에서 발생한 시공이음부를 따라 시공되었다. 결과적으로 신축이음
장치가 횡방향으로 거동하면서 유간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후 마지막 측정 당시 신축이음 장치가 재시공됨으로써 교축방향으로 충분한 유간을 확보하였다.
평가 사례를 통하여 신축이음 유간의 데이터 축적을 통해 다양한 이상사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전체 유간 데이터를 여유량 밴드와
비교한 결과, 교장 100 m 이상에서는 50% 만이 정상 거동을 보였다. 교장 100 m 이하에서는 7%만이 설계 범위 안에서 거동하였음이 확인되었다(Park et al., 2024). 본 연구에서 활용한 신축이음 유간 평가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는 없으나, 선제적 점검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3.2 영향인자 평가 결과
교량은 다양한 장치 및 부재가 결합되어 거동하므로 이상 거동의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수집 데이터를 통한 신축이음 유간 평가에서는 대다수의
교량이 평가 기준에 부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영향인자 평가는 2,756개의 유간 데이터 중 설계 범위 내에 존재하는 924개의
데이터만을 가지고 MLP 학습을 수행하여 향후 이상 거동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3.2.1 데이터 정규화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따른 차이를 왜곡하지 않도록 정규화를 진행하였다. 교량 형식, 신축이음 장치, 받침 등 범주형 데이터는 1과 0의 더미변수(dummy
variable)화를 진행하였다. 이후 전체 입력 특징에 대하여 표준화, min-max, Robust 정규화 방식을 검토하였다. 표준화 방식은 평균
0, 분산 1이 되도록 값을 조정하고, min-max 방식은 값의 범위를 0~1로 조정한다. Robust 정규화는 중앙값 0, 사분위수를 기준으로
정규화한다. 각 방법을 시험한 결과 표준화 방식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훈련세트와 테스트 세트는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계층화된 샘플링을 구현하였으며(Neyman, 1934), 훈련 데이터 8, 테스트 데이터 2의 비율로 나누었다.
3.2.2 예측 성능
MLP를 활용한 신축이음장치 유간 평가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등의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각 모델의 비교는 평균 절대 오차(Mean Absolute Error, MAE),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RMSE),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를 활용하였다. MAE와 RMSE 값은
낮을수록 성능이 좋으며, R2는 1에 가까울수록 성능이 좋다.
여기서 $\overline{y}$는 데이터 목표값의 평균값이다.
Table 3에 비교 결과를 나타내었다. 예측값의 오차를 나타내는 MAE 및 RMSE는 MLP 대비 비교군 3개 알고리즘이 매우 낮은 수준이다. MLP의 경우
예측값의 오차는 다소 큰 수준이다. 다만 결정계수는 0.9 이상의 값을 가지고 있어 SHAP 적용을 위한 충분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후의 영향 분석은 MLP 모델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Fig. 3(a)에 목표값과 MLP 학습에 따른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전반적인 오차가 확인되며, 추후 이상 거동의 원인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다만, 다소 오차가 증가하더라도 교량 상부구조의 복잡한 거동을 밝히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학습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Fig. 3(b)와 Fig. 3(c)에 테스트 샘플에 대한 각 특징의 평균값과 영향 정도를 나타내었다. Fig. 3(b)를 보면 신축이음 유간 계산에 활용되는 특징이 높은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장(length)이 가장 큰 영향을 보였으며, 측정온도(temp),
일평균온도 (temp_day)순으로 유간 변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측정온도와 일평균 온도의 영향도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열팽창계수를
반영한 재료 특징(steel, concrete)의 경우 계수 값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영향도가 낮게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에는 신축이음 장치
종류가 신축장 다음으로 유간 변화에 높은 영향을 끼쳤다. 신축장 100 m 이하에서는 주로 레일형(rail), 신축장 100 m 이상에서는 주로 핑거형(finger)이
설치된다. 즉, 길이와 연관된 신축장, 핑거형 및 레일형 신축이음 연관성이 밀접한 것으로 보아 모델의 학습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체식 교대 교량 중 신축이음부가 설치된 사례(nojoint_y)는 이상 거동과 높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인자이며, 정상 거동을 보여주는
데이터에서는 영향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전체 대비 2.6%에 그쳐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웠다. 상부구조 형식과 받침의
종류는 특정 경향 없이 분포되었다. 포트(pot) 받침이 비교적 상위권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받침은 중간 이하의 영향도를 가졌다. 상부구조
형식에서는 강교량(ST)이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강 열팽창계수의 영향이 가깝게 위치한 것을 볼 때 온도에 따른 신축 거동이 콘크리트
교량보다 명확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른 형식에서는 PSC box 거더교(PSCB)만이 강교량과 유사한 영향도를 보였다.
Fig. 3(c)에 각 특징별 테스트 데이터의 shap value를 나타내었다. 특징의 크기는 색상으로 나타내어져 파란색(low)에서 빨간색(High)이 그래프 상에서
오른쪽으로 변화하면 유간의 크기와 양의 관계를 가지며, 왼쪽으로 바뀌면 음의 관계를 가진다. 신축장(length)의 경우 신축량의 크기가 증가하면
온도 변화에 따른 변화량 또한 커지며, 동시에 100 m 미만에서 기본 신축량의 20%와 추가 10 mm의 여유랑, 신축장 100 m 이상 교량의
경우 30 mm의 고정 여유량을 산정하기 때문에 유간 크기와 양의 관계를 가진다. 온도의 경우 낮을수록 상부구조의 신축량이 작아지며 유간이 커지기
때문에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크기 변화에 따른 상관관계는 신축장을 제외하고 가장 확실한 관계를 보였다. 핑거형 신축이음 장치와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는 서로 반대의 관계를 가지며 영향도는 비슷하다. 모노셀(monocell)이 시공된 경우에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모노셀 또한 신축장 100 m 이하 교량에 많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포트 받침의 경우 음의 관계 비중이 조금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 외 특징의 경우
뚜렷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는 판단하기 어려웠으며, 상부구조 형식의 경우 목표 경간장에 따른 형식의 결정에 따른 영향이 나타났으나 RC, PSC
I 거더교(PSCI), 합성거더교(CG)에서는 뚜렷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 3 Results of MLP and SHAP
Table 3 Evaluation results
Model
|
MAE
|
RMSE
|
R2
|
Decision Tree
|
0.2029
|
0.3384
|
0.6875
|
Random Forest
|
0.1770
|
0.3011
|
0.7175
|
xgboost
|
0.1777
|
0.2996
|
0.7158
|
MLP
|
9.9727
|
14.1266
|
0.9062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신축이음 유간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유지관리 기준 및 평가 방안을 도출하고, 신축거동 영향 인자를 분류, 딥러닝을 통해 각 인자의 영향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축이음 유간 평가를 통한 교량 상부구조의 거동은 설계기준과는 상이함이 확인되었다. 실제 신축이음 장치에 국한된 평가 사례를 통해서도
하절기 협착 가능성이 매우 높거나, 상부구조에 기능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간 데이터의 지속적 관찰을 통한 유지관리는
선제적 점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점검 시기를 판단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및 설명 가능한 AI를 통한 영향인자
평가는 합리적 수준에서 신뢰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였다고 판단된다. 추후 모델의 개선을 통한 신뢰성 향상 및 이상 거동 데이터 활용 방안을 도출한다면,
이상 거동을 보이는 교량의 안전점검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23a), KCS 24 40 10 Expansion
Joint, Korea Road Association, Seongnam, 1-6 (in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23b), Detailed Guidelines
for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Part of Safety Inspection and Precise
Safety Diagnosis for Bridge),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Jinju,
1-18 (in Korea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EX). (2020), Research of Prope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Bridge Expansion Joints,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Hwaseong, 1-202 (in Korean).
Choi, J. W. (2022), A Case Study on the Maintenance of Bridge that Abutment and Deck
are Jammed, Proceedings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Seoul, 210 (in Korean).
Jung, H. J., An, H. J., Park, K. T., Jung, K. S., Kim, Y. H., and Lee, J. H. (202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amage of Expansion Joints and Response of Deck in RC
Slab Bridg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6), 245-253 (in Korean).
Choi, H. H., Kim, I. B., and Kim, M. O. (2020),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using Bridge Expansion Joint-gap Data, Proceedings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Seoul, 161-162 (in Korean).
Hornik, K., Stinchcombe, M., and White, H. (1989), Multilayer Feedforward Networks
Universal Approximators, Neural Networks, Elsevier, 2(5), 359-366.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EX). (2024), Maintenance strategy
for bridge expansion joint gap variatio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Hwaseong, 1-51 (in Korean).
Park, J. H., Shin, Y. S., and Nam, M. S. (2024), A Suggestion on Bridge Maintenance
by Evaluating Expansion Joint-gap, Proceedings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Seoul.
(Submitted) (in Korean).
Glorot, X., and Bengio, Y. (2010), Understanding the difficulty of training deep feedforward
neur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atistics (AISTATS), Proceedings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Italy, 249-256.
Štrumbelj, E., and Kononenko, I. (2010), An Efficient Explanation of Individual Classifications
using Game Theory,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11, 1-18
Lundberg, S. M., and Lee, S. I. (2017). A Unified Approach to Interpreting Model Predictions,
31st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NIPS 2017), USA, 4768-4777.
Song, Y. J., Kim, K. S., Park, S. H., Park, S. K., and Park, J. H. (2023), Analysis
of load-bearing capacity factors of textile- reinforced mortar using multilayer perceptron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Elsevier,
363, 129560.
Neyman, J. (1934), On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the Representative Method: The
Method of Stratified Sampling and the Method of Purposive Select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97(4), 558-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