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홍섭
(Hongseob Oh)
1†
-
종신회원,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고성능 시멘트계 그라우트, 전단키, 연결부, 풍력지지구조
Key words
High-performance cementeous grout, Shear key, Transition pieces, Wind tower support
1. 서 론
지난 수십년간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비약적인 증대가 이루어져 왔으며, 많은 부분을 풍력과 태양광이 차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재생에너지 이용률은 태양광
17 %, 육상풍력 25 % 수준인데 반하여, 해상풍력의 이용률은 40 % 이상이며,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특성상 대단위 해상풍력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아직까지 전체 풍력발전중 해상풍력발전의 누적설치용량은 전체 8 % 정도이나, 향후 20.7 GW의 해상풍력발전사업이 계획되고 있으며,
현재도 다수의 해상풍력단지들이 시공되고 있다. 1기의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및 시공시 지지구조물과 기초의 시공비용은 전체 건설비의 30~40 %로서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10여년 동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모노파일이나 자켓식 지지구조에 대한 설계 및 시공기술 등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API, 2008; EWEA, 2011). 그러나 지지구조 가설시 기초와 상부타워가 연결되는 연결부 그라우트 재료의 개발, 실제 거동특성 및 설계방법 등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국외의 기술과 재료 등을 적용하고 있는 수준이다. 현재 해상풍력의 발전추세는 5 MW 내외의 발전기를 사용하여 수심 30 m 이내에
단지를 개발하던 방식에서 점차 10 MW 이상의 대용량 발전기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부유식
해상풍력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태이며, 5 MW 용량의 터빈을 사용한 발전단지가 건설 및 운용 등에 있어 가장 일반적이고 경쟁력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AREC, 2004).
해상풍력 기초에서 많이 사용되는 강재 기초의 형태는 모노파일(Monopile), 트라이포드(Tripod)과 자켓(Jacket) 등이 있으며, 트라이포드와
자켓식은 수심 60 m 내외까지 시공이 가능하고, Fig. 1과 같이 단면이 단순하고 시공성이 높은 모노파일형은 수심 30 m 내외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PI, 2008; EWEA, 2011; Kurian, 2010).
모노파일 형태의 풍력타워는 터빈을 직접 지지하는 타워의 하중을 모노파일을 지반으로 전달하게 되며, Fig. 1과 같이 연결부(Transition Pieces, TP)를 통해 상부타워의 응력이 하부 파일로 전달된다. 따라서 연결부는 동적으로 작용하는 수직 및
휨응력을 동시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연결부에 충진되는 그라우트 강도뿐만 아니라 그라우트의 충진성, 연결부 내부 전단키의 형상과 간격 등의 영향을
받는다(Anders, 2007; Jonkman et al., 2009).
해상풍력용 TP 그라우트는 고강도와 균열저항성이 높으면서 수분침투성, 내산성, 중성화 깊이, 염소이온 투과성, 전기저항성 등이 뛰어나야 한다. 또한
연결부에 전단키를 사용함으로써 지지력이 높아지고, Pile과 Sleeve 사이에서 그라우트 주입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풍력발전기 구조물의 무게가
줄어 경제적인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전단키가 있는 연결부의 경우, 균열이 전단키를 따라 수직으로 발생하거나, 균열이 sleeve 내측 전단키에서
시작하여 pile 외측 전단키까지 대각선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단지지력은 전단키의 높이와 전단키 간격간의 비율이 중요하다. 전단키의 간격이 조밀하면
전단키 머리 쪽을 따라 수직 전단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전단키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전단키가 완벽히 작용하지 않는다(Anders, 2007; Espinosa, 2012; Lohaus and Anders, 2006; Nedžžad, 2009).
Fig. 1 Monopile foundation for windpower tower
연결부의 거동 특성에 대해서는 실험실 수준에서 소형 모델에 대해서는 진행되고 있으나, 일정크기 이상의 연결부에 대한 거동 특성은 하중의 대형화와 실험체
크기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형 5 MW 풍력발전기 지지구조의 연결부 제원의 약 1/12.5 축소모형
실험체를 제작하여 고성능 그라우트로 충진한 후 전단키의 간격 등에 따른 압축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기존의 설계식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DNV,
2014; IEC 2009, NORSOK, 2012).
2. 풍력타워 연결부 설계조건
풍력지지구조는 상부의 터빈 제원과 외력 등이 상황에 따라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제시한 기본 제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1에는 NREL에서 제시한 5 MW급 풍력발전기와 연결부의 일반 제원을 정리하였다(Jonkman et al., 2009). sleeve와 pile의 외경은 각각 6 m와 5.65 m이고, 그라우트의 두께는 125 mm이다. 지지구조에 작용하는 수직력은 약 6,450
kN의 순수자중이 연직하중으로 작용하고, 바람, 파도, 조류 등에 의한 동적횡력이 작용하게 된다(EREC, 2004). 따라서 Table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 10 m 내외의 연결부에서 기초와 타워의 수직도를 조정하게 되며, 외력은 지반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
내부에 충진되는 일반적으로 100 MPa 이상의 무수축 시멘트계 그라우트로 충진하게 되며, 외력은 내부의 전단키와 그라우트의 부착전단강도로 저항하게
된다(Kang et al., 2010; Lee 2011; Lee and Park, 2011).
Table 1 Shape specification and transition piece geometry of NREL standard 5 MW wind turbine(Jonkman, 2009;Nedžžad Dedićć, 2009)
Rotor size (m)
|
126
|
Typical TP Diameter (m)
|
6.0
|
Tower Height (m)
|
90
|
Typical Pile Diameter (m)
|
5.65
|
Rotor and Nacelle Weight (kN)
|
4,200
|
Grout Thickness$(t_{g})$ (mm)
|
125
|
Tower Weight (kN)
|
2,250
|
Grout Length$(L_{g})$ (m)
|
10
|
|
연결부의 전단응력에 대한 설계방법은 기준마다 차이를 갖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반경험적 부착전단강도식을 제안하고 있는 DNV-OS-J101(2014)와
NORSOK Standard(2012) 등의 설계식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라우트로 충진된 연결부 파괴는 축력,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의 조합에 의하여 Fig. 2와 같이 발생하기 때문에 (a) 전단키가 없는 경우의 미끄러짐에 의한 파괴($f_{kf}$), (b) 전단키가 있는 경우의 미끄러짐과 기계적 맞물림
작용에 의한 복합파괴($f_{kf}+ f_{ks}$), (c) 그라우트의 전단파괴($f_{kg}$)로 정의할 수 있다(Lotsberg, 2010).
Fig. 2 Failure modes of axially loaded grouted joints (Hordyk 1996;Lotsberg, 2010)
DNV(2014)와 NORSOK(2012)에서는 축력을 받는 연결부의 전단응력은 식 (1)과 같이 산정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각 파괴형태에 대한 부착전단강도는 식 (2)~(6)에 따라 해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tau_{sa}$는 축력에 의한 전단응력, $L_{g}$는 그라우트연결부의 길이, $P$는 계수하중에 의한 축력, $R_{P}$는
파일의 내측반경
Norsok(2012)의 식 (3)은 전단키가 있는 경우의 계면부착전단강도와 미끄러짐 강도의 합으로 표현된 것으로 DNV(2014)의 식 (2)와 동일한 파괴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DNV-OS-J101(2014); Interface shear strength due to shear key :
NORSOK(2012); Interface shear strength due to shear key :
Strength of grout matrix at failure :
Shear strength of grout :
여기서, $E_{g}$는 그라우트 탄성계수(MPa), $E_{s}$는 강재 탄성계수(MPa), $R_{s}$는 TP의 외측 반지름, $h$는 전단키
높이, $f_{ck}$는 그라우트 압축강도(5 cm 입방체), $k$는 방사형 강성 매개변수, $s$는 전단키 간격, $t_{g}$는 그라우트
두께, $t_{p}$는 파일두께, $t_{s}$는 TP의 두께 (Table 1 참조), $f_{bk}$는 전단키에 의한 부착전단강도, $f_{kg}$는 그라우트 부착전단강도, $C_{I}$는 표면 요철(0.084 mm),
$m$는 강재와 그라우트의 탄성계수비 일반적으로 18적용), $C_{f}$는 유연도 계수로서 (=$\dfrac{R_{p}}{t_{p}}+\dfrac{E_{s
t_{g}}}{E_{g}R_{p}}+\dfrac{R_{s}}{t_{s}}$), $C_{p}$는 파일의 크기계수 (=1.5: $R_{p}<150mm$,
$(R_{p}/500)^{2}-(2\bullet R_{p}/500)+2$ : $150<R_{p}<500mm$, 1.0 : $R_{p}\ge 500mm$),
$C_{s}$는 반경에 대한 강성계수 $k$.
3. 연결부 축소모형 실험체의 부착전단성능
3.1 고성능 시멘트 그라우트
연결부 충진 및 강도확보를 위하여 충분한 유동성과 10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는 고성능시멘트계 그라우트(HPCG)를 사용하였으며, 화학조성과
배합비는 Table 2와 3에 정리하였다(Oh et al., 2014). 잔골재는 최대치수 2.0 mm 이하의 제강슬래그를 사용하였으며, 연결부 그라우트의 기본 물성 실험은 물의 비율을 Water/Dry Mortar
= 9.0 wt%로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Table 2 Chemical properties of cement grout
Design Strength
(MPa)
|
SiO2
(%)
|
Al2O3
(%)
|
Fe2O3
(%)
|
CaO
(%)
|
MgO
(%)
|
BaO
(%)
|
SO3
(%)
|
Ig-loss
(%)
|
140
|
20.30
|
14.70
|
1.33
|
41.50
|
1.63
|
0.00
|
18.70
|
1.84
|
Table 3 Mix proportion of TP grout
W/(B+A)
wt.
(%)
|
Fiber volumn fraction
(%)
|
Weight (kg/m3)
|
Binder
(B)
|
Fine agg. (A)
|
Water
(W)
|
Steel fiber
(F)
|
9
|
0.9
|
1337
|
1139
|
223
|
74
|
그라우트 시험방법은 KS F 4044 인 “수경성 시멘트 무수축 그라우트” 방법에 따라 성형된 공시체는 항온항습기에 1일 양생한 후 탈형하여 1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수중에서 재령 3일, 7일, 28일 동안 양생시켜서 재령에 따른 강도를 측정하였다. 강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Flow값은
340 mm이고, 응결은 초결 145분, 종결 170분으로 측정되었다. 연결부의 연성과 파괴시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섬유를 결합재량의 9 % 추가하였으며,
사용된 강섬유의 비중은 8.0 g/cm3, 직경은 0.3 mm이고, 형상비($l/d$)가 53(16 mm)이다.
Table 4에는 강섬유를 혼입한 경우와 혼입하지 않은 그라우트의 인장, 휨 및 압축강도를 재령별로 정리하였다. 강섬유를 혼입한 그라우트의 28 일 압축강도는
141 MPa로 목표강도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장강도와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4 %와 15 %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Mechanical of cementeous grout with and without steel fiber
|
Tensile strength (MPa)
|
Flexural strength (MPa)
|
Compressive strength (MPa)
|
1 d
|
7 d
|
28 d
|
1 d
|
7 d
|
28 d
|
1 d
|
7 d
|
28 d
|
w/o fiber
|
5.1
|
7.6
|
7.4
|
13.4
|
19.4
|
21.9
|
99.0
|
126.5
|
132.0
|
With fiber
|
5.6
|
7.5
|
9.7
|
11.8
|
17.4
|
21.4
|
109.7
|
137.2
|
141.1
|
3.2 TP 시험체 제작 및 시험방법
해상풍력 지지구조 연결부에 대한 제한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DNV의 최소규정을 고려하여 Table 1 제원의 1/12.5 스케일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5-75(5 mm) 시험체의 치수 및 형상은 Fig. 3과 같다. 전단키의 형상은 제작의 편리성을 위하여 사각형의 전단키로 제작하였으며, h/s비를 달리하여 전단키의 간격, 크기 및 개수에 따라 실험 변수를
구성하였다. 실험 변수에서의 변수명은 #5-75 (5 mm)의 경우 외측 강관 sleeve부분의 전단키 크기 5×10 mm인 전단키가 5개, 간격이
75 mm인 시험체이다. #5-100(7 mm), #5-125(5 mm) and #6-100 (5 mm) 시험체는 상하부 파일에서 좌굴과 국부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Fig. 3(d)와 같이 내부는 콘크리트로 충진하였으며, 하부 외부 연결부는 강재 보강재(stiffener)를 설치하였다.
Fig. 3 Dimension and Section geometry of 1/12.5 scaled transition pieces specimens(#5-75(5 mm))
Fig. 4 Configurations and Installation of strain gauges for specimens
변형률 게이지는 Fig. 4와 같이 내·외측 설치된 전단키 사이에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1열에 3개씩 부착하여 측정하였다. 변위는 하중 재하부 상면을 기준으로 하부 하면의 4방향에
LVDT를 설치하여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다.
고성능 그라우트로 충진된 지지구조 연결부의 부착전단강도 측정을 위해 상단(연결강관외부)과 하단(연결강관내부) 시험체를 제작한 후 섬유보강그라우트를
충진하였다. 섬유보강 그라우트는 믹서로 혼합 배합절차에 따라 혼합한 후, 스크류 형태의 주입장치를 사용하여 TP부 상부에서 자유낙하 형태로 충진하였다.
실제 모노파일 TP 부는 그라우트 충진을 위해 연결부 하부에 탄성고무재를 설치한 후 그라우트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실험체에서는 TP
하부에 아크릴판을 설치한 후 그라우트를 충진하였으며, 강섬유 볼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입장치 스크류의 속도를 조절하였다. 상부에서 양생후 실험체의
압축시험은 Fig. 5와 같이 최대 용량 10,000 kN의 Actuator를 이용하여 연결부 상면에 변위제어 방식으로 재하속도 0.05 mm/sec로 고정하여 실시하였다.
좌우측 기둥 프레임은 Actuator의 수직도 유지를 위해 시험체의 설치가 가능한 최소 한계이내로 설치하였다.
Fig. 5 Test setup of TP specimen
3.3 설계 부착전단강도
DNV-OS-J101(2014)와 NORSOK (2012)에서는 설계 부착전단강도를 Eq. (2)와 (3)에 의한 전단부착강도와 식(4)에 의한 그라우트강도 중 작은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초기강도, 최대강도 및 슬립량 등의 실험결과와 설계값은 Table 6에 정리하였다.
전단부착강도는 Eq. (2)에 의한 전단강도가 Eq.(3)보다 전체적으로 작게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표면 요철등에 대한 영향을 과대 평가하고 , 그라우트와 강재의 탄성계수 특성이 과소평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전단키의 높이가 높았던 #5-100(7 mm) 변수의 경우 Eq. (4)의 그라우트강도가 Eq.(2) 또는 Eq.(3)의 전단강도부착강도보다 낮게 산정되어 그라우트의 강도와 함께 연결부 설계시 전단키 높이가 주요 설계인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계강도와 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국부좌굴이 발생한 변수는 설계강도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상하부가 보강된 변수 #5-125(5 mm) 와 #6-100(5 mm)는
DNV-OS-J101(2014)의 설계 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라우트 강도에 파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던 #5-100(7 mm) 변수는
설계강도보다 낮은 하중에서 파괴되어 연결부 그라우트가 전단키 사이에 밀실하게 충진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단키와 그라우트의 맞물림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Experimental variables for TP grouted section
Specimen
|
Rp
|
Rs
|
Rg
|
tp
|
ts
|
tg
|
h
|
w
|
s
|
Lg
|
#5-75(5 mm)
|
205
|
250
|
245
|
5
|
5
|
40
|
5
|
10
|
75
|
600
|
#5-100(5 mm)
|
205
|
250
|
245
|
5
|
5
|
40
|
5
|
10
|
100
|
800
|
#5-100(7 mm)
|
205
|
250
|
245
|
5
|
5
|
40
|
7
|
14
|
75
|
600
|
#5-125(5 mm)
|
205
|
250
|
245
|
5
|
5
|
40
|
5
|
10
|
125
|
600
|
#6-100(5 mm)
|
205
|
250
|
245
|
6
|
6
|
40
|
5
|
10
|
100
|
600
|
Table 6 Peak loads and slip at peak loads for specimens
Specimen
|
H
(mm)
|
S
(mm)
|
Lg
|
Initial Strength
|
Ultimate strength
|
Theoretical strength (Mpa)
|
Stress(MPa)
|
Slip (mm)
|
Stress(MPa)
|
Slip (mm)
|
Eq.(2)
|
Eq.(3)
|
Eq.(4)
|
#5-75 (5 mm)
|
5
|
75
|
600
|
3.88
|
0.44
|
3.91
|
0.58
|
6.14
|
7.13
|
7.77
|
#5-100 (5 mm)
|
5
|
100
|
800
|
2.67
|
0.23
|
2.79
|
0.24
|
5.01
|
5.75
|
8.05
|
#5-100 (7 mm)
|
7
|
100
|
600
|
4.86
|
1.28
|
6.15
|
6.79
|
7.83
|
9.20
|
7.33
|
#5-125 (5 mm)
|
5
|
125
|
600
|
4.47
|
1.28
|
5.85
|
8.31
|
4.30
|
4.88
|
8.21
|
#6-100 (5 mm)
|
5
|
100
|
600
|
4.52
|
0.77
|
6.07
|
7.69
|
5.25
|
6.18
|
8.05
|
3.4 정적 부착전단 거동 평가
각 변수별 하중-변위 관계를 Fig. 6에 정리하였다. 슬립량은 TP 실험체 측면 4부분에서 측정한 후 평균을 사용하였다. 연결부 내부가 콘크리트로 보강되지 않은 #5-75(5 mm)와
#5-100 (5 mm)의 정적 부착전단응력이 약 3.91 MPa와 2.79 MPa 내외까지 거의 선형으로 증가한 후, 연결부 강재 좌굴에 의해
급격히 내력이 저하되는 형태를 나타났다. 또한 최대 하중시의 슬립량은 0.58 mm와 0.24 m 내외이고, 하부 파일의 국부좌굴에 의해 33 mm와
43 mm내외의 최종변위가 발생하였다. 실험 결과 및 파괴 양상은 Fig. 7에 정리하였다. 강관 내외측에 설치된 변형율 게이지의 측정을 통해 충진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전단키에서의 변형은 발생되지 않고, 연결부 하부의 내측
강관의 좌굴이 발생한 것을 Fig. 7(a)와 (b)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관내부가 콘크리트로 보강되지 않은 #5-75(5 mm)와 #5-100 (5 mm) 실험체는 동일한 전단키의 형상과
개수(5개)를 갖고 있으나, 전단키의 간격과 연결부 길이는 각각 75 mm, 600 mm와 100 mm, 800 mm로 다르게 적용되었다. 전단키
간격이 작았던 #5-75(5 mm) 변수의 최대강도가 간격 100 mm 변수보다 40% 이상 크게 발현되어 동일한 전단키 간격/부착길이에서 전단키
간격이 강도에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Relationship of loads and slip of TP specimens
Fig. 7 Failure pattern of TP specimens
Fig. 8 Relationship of vertical stress and strain of outer TP specimens
Fig. 9 Relationship of vertical stress and strain of inner pile section
TP 상부와 하부를 콘크리트로 보강한 #5-100(7 mm), #5-125 (5 mm), #6-100 (5 mm) 변수들은 약 1.0 mm 내외까지
선형 변화된 후, 부착전단강성의 감소로 슬립량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강도 이후 TP 내부 그라우트는 Fig. 7(c)에 나타난 것과 같이 TP 하부에서 그라우트의 파열(bursting)이 발생하여, 그라우트가 연결부 외부로 탈락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콘크리트로 보강되지
않은 TP 상부의 좌굴이 발생하여 파괴되었다. 최대 강도는 5.85 MPa에서 6.15 MPa 정도이고, 최대강도시의 슬립은 최대 8.31 mm까지
증가한 후, 20 mm 이상의 변형에서 파괴되어 일정이상의 연성도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5-125(5 mm) 실험체는 Fig. 7(d)와 같이 내부 파일 의 콘크리트 보강부가 끝나는 지점의 용접부가 국부좌굴과 인장응력에 의해 찢어지면서 파괴되었다. 3 변수 중 전단키의 높이가 가장
큰 #5-100 (7 mm)의 강도가 조금 크게 나타났으며, 연결부 간격이 제일 큰 #5-125 (5 mm) 변수의 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중-변위 곡선을 확인한 결과 하중가력 초기에는 선형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전단키와 그라우트의 맞물림에 의한 응력 전달을 통해 비선형 거동으로
변화된 후 극한 하중에 도달하였다. 이때 그라우트 내부 균열이 발생한 후 섬유의 균열 억제 및 골재의 맞물림 등에 의해 내력이 점차 감소하면서 파괴되었다.
#5-100(5 mm), #5-125(5 mm), #6-100(5 mm)의 시험체는 유사한 전단거동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5-100와 #5-125를
비교하면 전단키의 간격이 증가됨에 따라 최대 하중은 다소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5-100(5 mm)과 #6-100(5 mm)를 비교하면
전단키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최대 강도 차는 약 0.34 MPa로 거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단키의 간격은 각 전단키와 그라우트의
응력 전달을 위해 일정 이상의 간격을 확보하여야 하고, 전단키의 개수는 그라우트와 전단키 사이의 응력 전달에 대한 일정 간격 내에서의 개수가 확보되면
전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Fig. 8과 9에는 연결부 외측 파일 내부와 내측 TP의 외부 중앙부 전단키 사이의 수직 변형률을 나타내었다. 외측 TP의 수직변형률은 전단키에 의해 그라우트
맞물림 전단 강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된 #5-100(7 mm) 변수가 원활한 응력전달에 의해 최대강도에서 항복변형에까지 도달한 후 소성변형이 발생하였다.
이에 반하여 #5-75(5 mm)와 #5-100(5 mm) 변수는 초기 변형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하중 증가시 거의 선형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일의 두께가 큰 #6-100(5 mm) 변수는 하중에 따른 강재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단키의 간격이 제일 큰 #5-125(5
mm) 변수는 소성상태에 도달한 #5-100(7 mm)를 제외하고 외부 강재의 최대 강도 이후 잔류변형률이 제일 크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응력전달이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내부 파일의 변형률은 5개 변수 모두 비슷한 형태로 변형이 발생하였으며, #5-125 (5 mm) 변수의 잔류
변형이 제일 크게 측정되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타워 연결부의 압축거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고성능 그라우트로 충진된 축소모형 실험체를 제작하여 전단키의 형상과 간격, 그리고 연결부
길이에 대한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용된 고성능그라우트는 연성을 위하여 강섬유를 혼입한 상태에서 압축강도 140 MPa와 340 mm의 흐름값을 갖고 있으며, 현장에서 혼합 충진되었다.
실험결과 타워와 파일 연결부의 길이, 전단키의 형상과 관계없이 압축하중하에서 슬립 1.0 mm 내외까지 선형거동을 한 후 최대강도까지 비선형 거동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섬유 등에 의한 영향으로 최대 강도이후 취성파괴가 발생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로 보강한 변수들의 최대강도시
슬립량은 7.0 mm 내외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결부 길이보다 전단키의 간격이 강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단키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파괴 형태가 계면전단파괴에서 그라우트의
파괴로 변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단키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그라우트 충진시 전단키에 공극이 발생하여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적강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전단키의 형상과 간격에 따른 부착전단강도와 그라우트 강도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탄소 고분자 부식ZERO 철근대체재 기술개발 연구사업(21CFRP-C163399-01)의 지원에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2008), API RP14F: Recommendation of Electrical System
for Offshore Production Platforms, 284.
Anders, S. (2007), Von der Fakultät für Bauingenieurwesen und Geodäsie der Gottfried
Wilhelm, PhD Dissertation,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
Atlantic Renewable Energy Corporation, AWS Scientific, Inc. (2004), New Jersey Offshore
Wind Energy: Feasibility Study, New Jersey Board of Public Utilities, 236.
Det Norske Veritas (2011), Offshore Standard DNV-OS-J101, Design of Offshore Wind
Turbine Structures, 213.
Espinosa, J. G. (2012), Design and Calculu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of an Offshore
Monopile Wind Turbine, Universitat Polotecnica de Catalunya, 85.
EWEA (2011), Wind in our Sails, EWEA Offshore 2011, Amsterdam, 92.
IEC 61400, (2009), International Standard Wind turbines–Part 3: Design requirements
for offshore wind turbines,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68.
Jonkman, J., Butterfield, S., Musial, W., and Scott, G. (2009), Definition of a 5-MW
Reference Wind Turbine for Offshore System Development, NREL, 75.
Kang, S. T., Park, J. J., Ryu, G. S., and Kim, S. W. (2010), The Effect of Steel-Fiber
Reinforcemen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UHPCC)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4(5), 110-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urian, V. J., Ganapathy, C. (2010), Monopile Foundations for Offshore Wind Turbin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Building and Infrastructure, ICSBI, Kuala
Lumpur, Malaysia, 15-17.
Lee, B. Y. (2012), 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Low Viscosity Suitable
for Grouting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6(1),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ee, J. H., and Park, C. G. (2011), Effect of Fiber Volume Fraction on Bond Properties
of Structural Synthetic Fiber in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5(4), 125-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ohaus, L., and Anders, S. (2006), Static and Fatigue behaviour of High-Performance
Concrete in “Grouted Joints” for hybrid structures, Proceedings of the 2nd Int. fib
Congress, Naples.
Lotsberg, I. (2010), Developments of Grouted Connections in Monopile Foundations,
IABSE Seminar, Copenhagen.
Nedžžad Dedićć (2009), Analysis of Grouted Connection in Monopile Wind Turbine Foundations
Subjected to Horizontal Load Transfer, Aalborg University.
NORSOK standard (2012), Design of Steel Structures Annex K Special Design Provisions
for Jackets, 151-193.
Oh, H. S., Seo, G., Kim, S. H., Ko, S. J., and Lee, H. G. (201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ing Characteristic of Steel Tubular Joint Connection filled with
Fiber Reinforced High Performance Cementeous Grou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8(6), 2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