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연구교수
  2. 정회원,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전임연구원
  3. 정회원,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연구교수, 교신저자



주기하중 프로토콜, 엘보 요소,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 한계상태 평가, 배관시스템
Cyclic loading protocol, Elbow component, Flexible groove joint, Limit state evaluation, Piping system

1. 서 론

지진의 발생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형 지진의 발생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구조물의 내진설계는 구조요소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최근에 발생한 지진피해는 구조요소가 아닌 비구조요소에서 집중되고 있다(Perrone et al., 2019).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건물은 지진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내진 보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구조요소들은 설치조건 및 경계조건의 제약으로 인하여 설치 후에는 내진 보강이 어렵다. 이러한 비구조요소들은 엘리베이터, 천장재, 배관, 스프링클러, 기계설비, 전기 및 통신 장비 등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와 종류가 다양하다. 지진하중으로 인한 비구조요소의 손상은 고유한 기능이 상실됨으로 인해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Dhakal, 2010).

배관시스템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는 중요한 설비로서 상수도 및 소방 등과 같이 생활 및 안전과 관련된 일상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배관시스템은 건축물 및 시설의 주요 구조부에 고정되어 있으나 외부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며 주어진 고유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비구조요소이다(Perrone and Filiatrault, 2017). 배관시스템은 지진하중으로 인하여 가스누출 및 단수 등과 같이 2차 피해가 발생하며 이는 경제적인 피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anzano et al., 2014). 특히 중·소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구조물의 붕괴로 인한 피해가 아닌 전력, 통신 및 소화설비 등의 기능 상실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1989년 미국 캘리포니아 로마 프리에타 지진으로 상ㆍ하수도관, 송전선 및 가스관 등 생활과 관련된 배관시스템에 심한 손상이 발생하였고 지진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하여 큰 피해가 나타났다(O'Rourke et al., 1991). 또한 1995년 일본 효고현 남부지진에서는 건물, 고속도로 및 철도 고가의 파괴와 도심 중심부 상가 등에서 수일간 화재가 발생하였다(Kitaura and Miyajima, 1996). 따라서 구조물의 붕괴로 인한 피해가 아니라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소화설비의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은 필요하다(Blasi et al., 2018; Han et al., 2020). 지진하중으로 인한 배관시스템의 주요 손상은 배관시스템의 피팅과 조인트에서 많이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Soroushian et al., 2015; Kim et al., 2020).

비구조요소인 배관은 정적, 동적 및 진동대를 이용한 실험방법 중에서 적합한 방법으로 내진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 중 진동대를 이용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은 구조요소 및 비구조요소의 내진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방법이나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가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엑츄에이터 또는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등을 이용한 정적인 가력장비를 이용하여 내진성능의 평가가 가능하다면 경제성과 접근성이 높을 것이다.

배관시스템의 피팅과 조인트는 지진하중에 취약한 대표적인 요소이다. 구조물의 변형 및 지반의 붕괴 등으로 배관시스템의 피팅과 조인트에서 변위허용량을 초과하는 상대변위가 손상의 주요 원인이다. 이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로서 지진하중으로 인한 입상배관의 주요요소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Kim et al., 2021). 구조물의 2층의 층간변위를 모사할 수 있는 강재 프레임을 제작하고, NFPA 13(NFPA, 2013)과 소방시설의 내진설계기준(MPSS, 2016)을 참조하여 그루브 조인트가 적용된 입상배관을 설치하였다. 입상배관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소방설비의 사용압력을 고려하여 2MPa의 내압을 가압하였다. 면내방향으로 최대 허용 층간변위에 대한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여 지진에 취약한 부위인 엘보와 티의 변형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직배관시스템에서 허용 층간변위로 인한 변형은 엘보에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직배관시스템에서 엘보의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큰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직배관시스템에서 피팅과 조인트를 포함하는 엘보 요소를 분리하여 면내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여 엘보 요소의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평가하였다.

2. 그루브 조인트

무용접 조인트는 건축, 소방 및 급수 배관 등에 가장 적합한 시공 방법으로 기존의 용접 방법보다 우수한 시공성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무용접 조인트는 유지관리가 쉬우며 건축 및 플랜트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압착식 조인트와 그루브 조인트는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무용접 조인트이다.

그루브 조인트는 위생, 공조 및 소화배관 등의 다양한 배관에 가장 적합한 공법으로 용접 공법에 비해 3~4배 이상의 시공성 향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탄소강관 및 스테인리스 강관을 경제적이고 빠르게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배관시스템의 온도 및 진동에 대한 배관의 변화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루브 조인트는 Fig. 1과 같이 배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끝의 일정한 거리에 홈을 내고 두 관의 사이에 고무링을 삽입한 후 조인트 커버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어있다.

Fig. 1 Groove joint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1.png

그루브 조인트는 홈을 낸 두 배관을 맞대어 가스켓과 하우징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크게 유동식과 고정식 조인트로 구분할 수 있다.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는 배관의 신축, 팽창, 휨 및 굽힘 등의 응력이 발생하는 배관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조인트이다. 고정식 그루브 조인트는 배관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플랜지 또는 용접 공법과 같이 배관을 고정할 수 있는 조인트이다. 그루브 조인트는 시공 시 기술자의 숙련도에 좌우되지 않고 균일한 품질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 완성도가 우수하다.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된 배관은 조인트 커버 연결 방법으로 인해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보수가 필요할 경우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현재 축 방향 변위가 1° 이상에는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반복되는 하중으로 인한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된 엘보의 변형을 고려하기 위해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를 적용하였다.

3. 엘보의 한계상태 평가

선행연구에서 2층 구조물의 층간변위를 모사할 수 있는 강재 프레임을 제작하고 지진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최대 허용 층간변위에 대하여 수직배관시스템의 지진안정성을 평가하였다(Kim et al., 2021). 지진안전성평가를 위한 최대 허용 층간변위(SECE/SEI, 2016)는 $0.02h_{sx}$이며 $h_{sx}$는 $x$층의 층고이다. 그러나 수직배관시스템에서 피팅과 조인트의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대변위를 모사하기 위한 높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엑츄에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지진하중에 취약한 배관시스템의 피팅과 조인트의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피팅 및 조인트를 포함하는 요소 단위의 실험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요소 단위의 실험을 이용하여 엘보의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확인하였다.

3.1 실험적 설정

이 연구에서는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된 피팅인 엘보에 대한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Fig. 2와 같이 직관부와 90° 엘보로 구성되는 엘보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Table 1은 제작된 엘보 시험체의 상세사항을 Table 2는 사용된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엘보 시험체에서 직관부의 길이는 배관 직경의 약 3.2배이다. 직관부의 양 끝에 핀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지그를 제작하여 용접으로 부착하였으며, UTM의 유압 웨지 그립에 고정된 지그와 핀으로 Fig. 3(a)와 같이 연결하였다. 각 지그와 이를 연결하기 위한 핀은 실험의 정확도를 위하여 최대한 공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하게 제작하였다. 핀 중심에서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까지의 길이는 직경의 약 4배이다. 엘보 시험체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내압을 가압하기 위하여 양단부에 탭을 설치하고 벨브를 연결하였다. 또한 외력에 의한 엘보 시험체의 변위좌표는 일반적인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Fig. 3(a)와 같이 이미지계측시스템(IMI Technology, IMC- 3622US)을 이용하였다. Fig. 3(b)는 이미지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와 엘보 시험체에서 변형각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었다.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변위좌표를 측정하기 위한 영상처리방법은 DIC(Digital Image Correlation)의 NSSD(Normalized Sum of Squared Differenc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Kim et al., 2020). DIC는 구조물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변형 전과 변형 후 이미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기준점들에 대한 변형을 찾는 방법이다. 또한 변형각은 그루브 조인트에서 1D(Diameter) 지점인 $\theta_{1}$과 3D 지점은 $\theta_{2}$ 및 가력 변형각인 $\theta_{3}$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변형각은 각각의 타겟에서 측정된 변위좌표를 선형적인 직선으로 가정하였다. 지진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배관시스템의 손상은 상대변위로 인한 배관의 피팅과 조인트에서 변위허용량의 초과로 인한 저진동수 피로파괴이다. 엘보 시험체에서 변형이 집중되는 배관의 피팅인 엘보의 크라운 중심에 3축 변형률 센서(FRA-5-11-5L, Tokyo Sokki)를 설치하여 변형률 및 von Mises 응력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그루브 조인트는 형상과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변형률을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그루브 조인트의 손상에 의한 누수를 점검하였다.

엘보 시험체는 수직배관시스템과 같이 사용 압력을 고려하기 위해 2MPa의 내압을 가압하였으며 실험 중에 내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반복가력실험은 면내방향으로 닫힘모드와 열림모드가 발생하도록 120 mm/min의 속도로 가력하였다. 엘보 시험체의 피팅인 엘보에서 비선형 거동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엘보 시험체의 손상인 누수가 발생할 때까지 수행되었다. UTM과 변형률 센서는 10Hz로 측정하였으며 이미지계측시스템은 5472×3648 픽셀 이미지를 초당 2프레임으로 획득하였다.

Fig. 2 Fabricated elbow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2.png
Fig. 3 Experimental setup and deformation angle measurement position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3.png
Table 1 Specifications of elbow specimen

Part name

Specifications

Flexible groove joint

STS 304, 100A, 6.0T

Elbow

STS 304, 100A, 6.0T, 90° elbow

Pipe

Steel, ASTM A536 Grade 65-45-12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elbow specimen

Specification

Elastic of modulus

(MPa)

Poisson's ratio

($\nu$)

Yield strength

(MPa)

Tensile strength

(MPa)

Elongation

(%)

STS 304

193,000

0.29

283

631

56

3.2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하중 프로토콜

배관시스템은 건축구조물과 연결되어 있지만 외부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며 주어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설비이다. 배관시스템은 두 지지점 사이의 서로 다른 거동으로 발생하는 위상차로 인한 상대 변위의 영향을 받으며 변위 지배적인 반복거동 때문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배관시스템에서 지진에 취약한 요소인 피팅과 조인트에 대한 내진성능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면 주요 요소에서 상대변위로 발생하는 변형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수직배관시스템은 지진에 의한 배관의 피팅과 조인트에 가해지는 하중은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지진으로 인해 반복되는 구조물의 변형을 가력조건으로 하였다(Kim et al., 2021). 요소 단위는 수직배관시스템의 결과를 고려하여 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한 수직배관시스템에서 발생 가능한 변형각을 가력 조건으로 정의하였다.

Fig. 4 Input deformation angle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4.png
Fig. 5 Calculation of forced displacement using deformation angle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5.png

비구조요소 및 비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엘보 시험체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FM-1950의 주기하중 프로토콜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FM-1950은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흔들림방지 버팀대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주기 하중 프로토콜이다(ANSI, 2016). 이 주기 하중 프로토콜에서는 초기진폭에 대하여 15회의 주기 하중을 적용한 후, 진폭의 크기를 지수함수를 이용하여 증가시킨다. 여기서 15회 사이클의 초기진폭은 예상되는 손상 하중의 50% 이하여야 한다. FM-1950의 주기하중 프로토콜은 변위가 아닌 힘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실험적인 관점에서 힘을 제어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Fig. 4(a)와 같이 진폭이 증가함에 따라 엘보 시험체의 내진성능을 정량화하기 위한 가력 조건은 큰 편차를 나타내므로 FM-1950의 주기하중 프로토콜을 사용하기에 제한적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Fig. 4(b)와 같이 주기하중 프로토콜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주기하중 프로토콜은 엘보 시험체의 변형에 대한 저주기 피로파괴를 위한 충분한 주기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진폭에 대하여 15회 반복되는 사이클로 구성하였다. 주기하중에 대한 입력 변형각은 ±0.5°에서부터 15회 사이클을 ±0.5°로 증가시키며 면내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Fig. 5와 같이 요소 실험에서 수직 방향의 가력된 변위를 이용하여 가력 변형각을 산정하였다. 직관부의 길이($a$)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수직 방향의 변위로 인하여 수직 길이($l$), 수평 길이($b$)는 변화하게 된다. 가력 변위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직 길이와 변형각($\theta$)을 변수로 적용하였다.

3.3 엘보 시험체의 내진성능 평가

이 연구에서는 엘보 시험체의 기능 상실을 유발하며 구조적인 손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누수를 파괴모드로 정의하였다. Table 3은 면내반복가력시험에서 가력된 변위, 가력된 변위를 이용하여 산정된 입력 변형각 및 엘보 시험체에서 이미지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된 가력 변형각을 나타내었다.

그루브 조인트의 손상에 의한 누수는 Fig. 6과 같이 하부 그루브 조인트에서 나타났으며 입력 변형각이 ±6°에서 발생하였다. Fig. 7(a)는 UTM의 내부에 설치된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에서 측정된 변위와 이미지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핀에서 측정된 변위를 비교하였으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7(b)는 UTM에서 측정된 힘−변위(P−D) 에 대한 이력곡선을 나타내었다.

Fig. 6 Leakage position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6.png
Fig. 7 Forced displacement and hysteresis loop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7.png
Table 3 Forced displacement and forced deformation angle

Forced displacement (mm)

Forced deformation angle (Degree)

Measured force deformation angle, $\theta_{3}$ (Degree)

±3.8

±0.5

±0.46

±7.6

±1.0

±0.98

±11.4

±1.5

±1.50

±15.2

±2.0

±2.04

±19.0

±2.5

±2.58

±22.8

±3.0

±3.11

±26.6

±3.5

±3.65

±30.4

±4.0

±4.18

±34.2

±4.5

±4.72

±38.0

±5.0

±5.25

±41.8

±5.5

±5.79

±45.6

±6.0

±6.33 (Failure, 3.25 cycles)

Fig. 8은 엘보 시험체의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에서 1D 및 3D 떨어진 지점에서 이미지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된 변형각을 나타내었다. Fig. 8의 변형각에서 초기 내압을 적용하면 배관의 길이가 늘어나 변형이 발생하는 스테이크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4는 엘보 시험체에서 측정된 변형각의 최소, 최대 및 폭을 나타내었다. 선행연구에서 2층 수직배관시스템의 그루브 조인트에서 1D 떨어진 지점의 최대 변형각의 폭은 1층의 상부엘보이며 변형각의 범위는 약 1.8°이다. 수직배관시스템에서 1층 상부엘보의 그루브 조인트에서 3D 떨어진 지점에서의 변형각의 범위는 약 3.4°이다(Kim et al., 2021). Table 4에서 1D 떨어진 지점에서의 변형각의 폭은 8.57°이며, 3D 떨어진 지점의 변형각의 폭은 11.97°이다.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된 엘보는 최대 허용 층간변위에서 발생하는 최대 변형각보다 약 3.5배 이상의 상대 변형각에서 손상이 발생하였으므로 평가된 내진성능은 지진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여유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8 Deformation angle measured at 1D and 3D points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8.png
Table 4 Deformation angle values measured at 1D and 3D points

Position

Deformation angle (degree)

Maximum

Minimum

Range

1D ($\theta_{1}$)

4.26

-4.31

8.57

3D ($\theta_{2}$)

5.96

-6.02

11.97

Fig. 9(a)는 엘보 시험체에서 엘보의 크라운 지점의 중심에서 측정된 변형률을 나타내었으며, Fig. 9(b)는 배관의 재료인 STS 304의 탄성계수 (E : 193,000 MPa), 포아송 비 ($\nu$ : 0.29) 및 측정된 3축 변형률을 이용하여 산정된 von Mises 응력을 나타내었다. Table 5는 엘보에서 측정된 변형률의 최소, 최대, 폭과 von Mises 응력을 나타내었다. Fig. 9에서 반복하중을 받는 변형률 센서의 측정한계(0.0015 $\mu m/m$)와 배관재료의 항복응력(283MPa)을 초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가 적용된 엘보 시험체는 변형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거동하므로 측정된 변형각과 비교하여 von Mises 응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Measured strain and calculated von Mises stress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9.png
Table 5 Comparison of strain and von Mises stress values

Orientation

Measured strain($\mu m/m$)

von Mises stress (MPa)

Maximum

Minimum

Range

Allowable

Measured

Axial

1566.94

-1804.87

3371.81

283

341.56

Hoop

855.80

-519.50

1375.30

Cross

941.54

-889.61

1831.16

3.4 엘보 시험체의 한계상태 평가

이 연구에서는 주기하중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엘보 시험체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평가된 엘보 시험체의 내진성능이 실제 어느 정도의 여유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내진성능 평가에서 사용된 주기하중 프로토콜에서 엘보 시험체의 손상이 발생한 가력 변형각인 ±6°로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여 한계상태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변형각의 크기에 따른 저주기 피로 수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7° 및 ±8°를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정한 진폭의 가력된 변위, 가력된 변형각, 파괴모드인 누수가 발생한 사이클($N_{f}$) 및 누수가 발생한 그루브 조인트의 위치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Fig. 10에서 한계상태 평가를 위한 실험에서는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과 같이 그루브 조인트의 손상으로 누수가 발생하였다. Table 6에서 가력 변형각이 ±6°에서 17.25$N_{f}$이며, ±7°에서는 6.25$N_{f}$ 및 ±8°에서는 1.25$N_{f}$로 나타났다. Table 6에서 고유기능의 손상을 유발하는 누수가 발생할 때까지는 내진성능 평가에서 측정된 변형각인 ±6°와 비교하여 충분한 여유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0 Leakage positions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10.png
Fig. 11 Hysteresis loop for P−D relationship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11.png
Table 6 Forced displacement, forced deformation angle, number of cycles to failure, and failure position

Forced displacement (mm)

Forced deformation angle (Degree)

Number of cycles to failure ($N_{f}$)

Failure position (Groove joint)

±45.6

±6.0

17.25

Upper

±53.2

±7.0

6.25

Lower

±60.8

±8.0

1.25

Lower

가력 변형각이 ±6° 및 ±7°에 대한 엘보 시험체의 힘과 변위 관계에 대한 이력 곡선들을 Fig. 11에 나타내었다. 이력 곡선의 면적은 소성변형으로 인해 소실되는 에너지이며 Fig. 11에서 모두 사이클이 진행될수록 하중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보 시험체의 초기 가력 방향에 대한 변형으로 P−D 관계가 비대칭으로 나타났다.

Table 7 Deformation angle measured at 1D and 3D points

Forced deformation angle

(Degree)

Failure position (Groove joint)

Position

Deformation angle (Degree)

Maximum

Minimum

Range

±6.0

Upper

1D ($\theta_{1}$)

3.79

-4.75

8.53

3D ($\theta_{2}$)

6.36

-6.39

12.75

±7.0

Lower

1D ($\theta_{1}$)

5.05

-5.18

10.23

3D ($\theta_{2}$)

7.49

-7.49

14.99

±8.0

Lower

1D ($\theta_{1}$)

5.94

-6.00

11.94

3D ($\theta_{2}$)

8.57

-8.54

17.11

Fig. 12는 엘보 시험체의 가력 변형각이 ±6° 및 ±7°에 대한 엘보 시험체의 3D 지점에서 측정된 변형각을 나타내었다. Table 7은 가력 변형각에 대한 1D, 3D 지점에서 측정된 최대 변형각, 최소 변형각 및 변형각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7°로 일정한 진폭으로 가력한 경우 $N_{f}$는 6.25이며 3D 지점에서의 변형각의 폭은 14.99°로 나타났다. 이는 내진성능 평가에서 3D 지점에서의 최대 변형각인 11.97°와 비교하여 상대 변형각에 저항하는 충분한 여유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2 Measured deformation angle at 3D point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12.png
Fig. 13 Strain measured at elbow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13.png

Fig. 13은 가력 변형각이 ±6° 및 ±7°에 대한 엘보에서 측정된 변형률이며 Fig. 14는 von Mises 응력을 나태내었다. Table 8은 각각의 가력 변형각에서 측정된 변형률의 최소, 최대, 폭과 von Mises 응력을 나타내었다. Fig. 14에서 첫 번째 사이클부터 반복하중을 받는 변형률 센서의 측정한계(0.0015 $\mu m/m$)와 배관재료의 항복강도(283MPa)를 초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배관재료의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소성변형으로 인한 영구변형이 발생한다. 지진하중으로 인한 배관시스템의 소성변형은 엘보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파괴모드는 라체팅 변형률이 발생하는 저주기 피로이다. Fig. 14에서 엘보에서 측정된 von Mises 응력은 항복강도를 넘었으나 Fig.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라체팅 변형률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그루브 조인트는 하중 전달 효과가 낮으므로 배관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된 엘보가 첫 번째 사이클부터 재료의 항복강도를 초과하였어도 내진성능에 대한 충분한 여유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4 Von Mises stress measured at elbow
../../Resources/ksm/jksmi.2024.28.3.91/fig14.png
Table 8 Strain and von Mises stress values at forced deformation angle

Forced deformation angle (Degree)

Orientation

Measured strain ($\mu m/m$)

Von Mises stress (MPa)

Maximum

Minimum

Range

Allowable

Measured

±6.0

Axial

1980

-745

2725

283

375

Hoop

427

-466

893

Cross

742

-528

1270

±7.0

Axial

2652

-1400

4052

518

Hoop

1065

-212

1277

Cross

1306

-715

2021

±8.0

Axial

4513

-3825

8338

869

Hoop

1248

-4

1252

Cross

2558

-2094

4651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수직배관시스템에서 분리된 피팅과 조인트를 포함하는 엘보 시험체에 대하여 내진성능과 한계상태를 평가하였다. 선행연구에서 2층 수직배관시스템에서 최대 허용 층간변위에 대한 최대 변형각은 1층의 상부 엘보로 나타났다. 엘보 시험체는 90° 배관 엘보의 양단에 직관부를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하여 제작하였다.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주기하중 프로토콜은 입력 변형각을 ±0.5°에서부터 15회 사이클을 ±0.5°로 증가시키며 면내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평가된 내진성능에 대한 여유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누수가 발생한 변형각을 일정한 진폭의 주기하중을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여 한계상태를 확인하였다.

2층 수직배관시스템의 지진안전성평가에서 상부 엘보의 3D 지점에서의 최대 변형각의 폭은 3.4°이며 내진성능 평가에서 3D 지점에서는 최대 변형각의 폭은 11.97°로 약 3.5배 이상의 상대 변형각에서 손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로 연결된 엘보 시험체의 내진성능은 지진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여유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계상태 평가를 위한 일정한 진폭으로 가력한 경우 3D 지점에서 측정된 변형각의 폭이 12.75°일 때 17.25$N_{f}$이며 변형각의 폭이 14.53°일 때 6.25$N_{f}$로 평가된 내진성능에 대한 여유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동식 그루브 조인트는 변형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거동하므로 내진성능 및 한계상태 평가에서 측정된 엘보의 von Mises 응력은 가력 변형각과 비교하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직배관시스템에서 지진하중에 취약한 요소인 피팅과 조인트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이 아닌 요소 단위의 실험으로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팅과 조인트에 대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고자 할 때 적절한 하중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2R1I1A1A01067056).

References

1 
Perrone, D., Calvi, P. M., Nascimbene, R., Fischer, E. C., and Magliulo, G. (2019), Seismic Performance of Non-Structural Elements During the 2016 Central Italy Earthquake,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17(10), 5655-5677.DOI
2 
Dhakal, R. P. (2010), Damage to Non-Structural Components and Contents in 2010 Darfield Earthquake, Bulletin of the New Zealand Society for Earthquake Engineering, 43(4), 404-411.DOI
3 
Perrone, D., and Filiatrault, A. (2017), Automated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Elements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84, 166-175.DOI
4 
Lanzano, G., Salzano, E., Santucci de Magistris, F., and Fabbrocino, G. (2014), Seismic Vulnerability of Gas and Liquid Buried Pipelines,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8, 72-78.DOI
5 
O'Rourke, T. D., Stewart, H. E., Gowdy, T. E., and Pease, J. W. (1991), Lifeline and geotechnical aspects of the 1989 Loma Prieta Earthquake,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Advance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aint Louis, 1601-1612.URL
6 
Kitaura, M., and Miyajima, M. (1996), Damage to Water Supply Pipelines, Soils and Foundations, 325-333.DOI
7 
Blasi, G., Aiello, M. A., Maddaloni, G., and Pecce, M. R. (2018), Seismic Response Evaluation of Medical Gas and Fire-Protection Pipelines’ Tee-Joints, Engineering Structures, 173, 1039-1053.DOI
8 
Han, Z., Ma, D., Hou, B., and Wang, W. (2020), Seismic Resilience Enhancement of Urban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Restoration Priority of Pipeline Damages, Sustainability, 12(3), 914.DOI
9 
Soroushian, S., Zaghi, A. E., Maragakis, E. M., Echevarria, A., Tian, Y., and Filiatrault, A. (2015), Seismic Fragility Study of Fire Sprinkler Piping Systems with Grooved Fit Joint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41(6), 04014157.DOI
10 
Kim, S. W., Yun, D. W., Cheung, J. H., and Kim, S. D. (2020), Limit State Assessment of SCH80 3-inch Steel Pipe Elbows Using Moment-Deformation Angle 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4(3), 122-129 (in Korean).DOI
11 
Kim, S. W., Yun, D. W., Kim, J. B., and Jeon, B. G. (2021), Experimental Study for Seismic Behavior Analysis of a Fire Protection Riser Pipe System with Groove Joi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2), 35-42 (in Korean).DOI
12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NFPA) (2013),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prinkler Systems(NFPA 13), NFPA, Quincy, USA.URL
13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MPSS) (2016), Seismic Design Criteria of Fire Fighting Facilities, Sejong, Korea.URL
14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ASCE)/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SEI) (2016),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SCE 7-16), ASCE/SEI, Reston, USA.URL
15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ANSI) (2016),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Seismic Sway Braces for Pipe, Tubing and Conduit(ANSI/FM Approvals 1950), FM Approvals, Norwood, USA.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