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혁
(Jun-Hyuck Choi)
1
장승엽
(Seung-Yup Jang)
2†
유승원
(Seung-Won You)
3
김도엽
(Do-Yeop Kim)
4
김형조
(Hyung-Jo Kim)
4
-
정회원,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사과정
-
정회원,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교신저자
-
정회원,한국철도공사 차장,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사과정
-
정회원,한국철도공사 과장,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사과정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철도 궤도, 수명주기비용 (LCC), 유지보수, 피로, 손상
Key words
Railway track, Life-Cycle Cost (LCC), Maintenance, Fatigue, Damage
1. 서 론
철도 궤도는 열차 하중을 지지하고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열차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면 궤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는 피로
손상이 누적되고, 점차 보수량이 증가한다(Jang, 2014). 손상의 진전 속도는 열차속도, 하중, 궤도 구조의 성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경제적인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계획 단계부터 철도
운영 조건에 따른 궤도 손상의 진전 속도를 합리적으로 추정하고 이에 따른 궤도 보수량과 보수 비용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또한 유지관리
단계에서도 궤도 보수량을 예측하여 체계적인 보수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유럽에서는 각국 철도운영기관의 주도로 궤도 수명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 분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EU의 재정 지원으로
진행된 REMAIN 프로젝트에서는 철도 운영비용의 절감을 위해 신뢰도 중심 유지보수기법과 상태평가기법을 도입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간단한
LCC 분석모델을 제안하였다(IITB, 1998). 이 모델에서는 초기비용(initial cost)과 유지보수 및 운영비용(maintenance and operating cost) 외에 지연비용(delay
cost)과 위험비용(hazard cost)을 고려하였다. 또 다른 EU 프로젝트인 IMPROVERAIL 프로젝트에서는 철도 유지보수와 갱환(renewal)
주기를 고려한 선로 용량 최적화와 합리적인 선로 사용료 산정을 위해 LCC 모델을 활용하였다(Putallaz, 2003). 또 UIC에서 주관한 INFRACOST 프로젝트에서는 철도 인프라 비용 절감을 위해 유럽, 북미, 동아시아 철도에서의 초기 투자비용, 유지보수
및 갱환비용 등을 분석하여 주요 비용 요인을 분석하였다(UIC, 2003). 이 밖에도 다양한 궤도 LCC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Zoeteman, 2004; Nissen, 2009).
국내에서도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을 중심으로 LCC 평가 연구가 진행되었다(Yang, 2001). Jang(2016)의 연구에서는 궤도 LCC 평가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경부고속철도의 자갈궤도와 콘크리트궤도의 LCC를 상호 비교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LCC 모델은 전체 철도시스템 또는 철도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궤도 LCC 평가 모델은 단순화된 모델에 기초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보다 합리적인 보수비용의 추정을 위해서는 궤도 구성요소, 특히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레일의 피로 손상과 자갈도상의 침하 진전을 고려한
모델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보다 합리적인 철도 궤도의 LCC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실제 경부고속철도의 궤도 유지보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 하중의 반복에 따른
레일의 피로 손상과 자갈 침하 진전을 고려한 보수량 추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Jang, 2016)에서 제시한 철도 궤도 LCC 모델을 수정 보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수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궤도 품질 수준에 따른 유지보수량과 수명주기비용을 분석하였다.
2. 궤도 LCC 평가 모델
2.1 모델 개요
Jang(2016)의 연구에서와 같이 궤도 LCC는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여기서, 초기 시공비는 궤도를 최초로 시공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하고, 교체 비용은 궤도의 총 수명 중 발생하는 구성품의 교체 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명이 경과한 후 해체, 재시공 비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2.2 교체 비용
교체 비용은 식 (2)에 의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Crn,i는 구성요소 i 의 단위 거리당 교체 비용, Lrn,ij는 구성요소 i 의 trn,ij년에서의 교체 거리를 나타내고, n, m은 각각 총 교체 횟수, 교체할 구성요소의 수, d는 실질 할인율을 나타낸다. 교체 시기
trn,ij는 j ×[i 항목의 교체 주기(누적통과톤수)] / 연간통과톤수(Ta)가 된다.
2.3 운영 비용
운영 비용은 유지보수비(maintenance cost, MT)와 리스크 비용(risk cost, RK)으로 나눈다. Jang(2016)의 연구에서 유지보수비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 시행하는 보수 비용으로, 리스크 비용은 불규칙적으로 초기결함(시공하자)이나 사고, 천재지변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을 복구하는 비용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유지보수비 중 열차 하중에 반복 작용에 의해 피로 손상이 진전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일정 주기로 일정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통행량(누적통과톤수)에 따라 보수량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지보수비를 아래와 같이 통행량에 관계없이 매년 일정
비용을 지출하는 정기적 유지보수비와 통행량에 따라 비용과 횟수가 달라지는 비정기적 유지보수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정기적 유지보수비
여기서, Cmtr,i는 정기적 유지보수 i번째 항목의 단위 거리당 보수비용, Lmtr,i는 i 보수 항목의 연간
보수 거리, Fmtr,i는 i 항목의 연간 보수 빈도(회/년)이며, l은 정기적 유지보수 항목 수 그리고 N은 총 LCC
평가기간(년)이다.
⦁비정기적 유지보수
여기서, Cmti,i는 i번째 비정기적 유지보수항목의 단위 거리당 보수비용, Lmti,i는 해당 항목의 연간 보수
거리, p, q는 각각 총 보수 횟수와 비정기적 유지보수 항목의 수를 나타낸다.
유지보수 항목은 궤도 구조 형식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리스크 비용은 비정기적 유지보수와 마찬가지로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항목이므로 각 항목별 손상의 발생시기와 발생확률, 그리고 보수 거리를 각각 가정하여
식 (5)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Crk,i는 초기결함(시공하자)이나 사고, 천재지변에 의해 발생하는 i번째 손상 항목의 단위 거리당 보수비용, Lrk,ij는 해당 항목의 trk,ij년에서의 보수 거리, Pi는 해당 항목의 발생 확률이다. r, s는 각각 총 손상
보수 횟수와 손상 항목의 수를 나타낸다.
3. 궤도 보수량 추정 모델
3.1 피로 손상 진전을 고려한 레일 보수량 추정
3.1.1 레일의 피로 손상도
레일에는 열차하중의 반복 작용에 의해 피로 손상이 누적된다. 레일 표면에서는 구름접촉피로(rolling contact fatigue, RCF)에 의한
피로 손상이 발생하고, 레일 저부에는 열차하중에 의한 휨응력(bending stress)이 작용하여 피로 손상이 발생한다. 레일 표면의 손상은 주기적인
레일 연마를 통해 관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레일 수명은 휨응력에 의한 피로 손상 진전을 고려하여 산정한다(Sung, 2010).
Ishida(1990)에 따르면 레일 휨응력 크기 s에 따른 확률밀도함수를 f(s)라고 하고, 레일의 S-N선도에 의해 정의되는 피로 파괴가 발생하는 반복횟수를
N(s)라고 할 때, 레일의 피로 손상도는 Miner 가설에 따라 아래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D는 레일의 피로 손상도, ntotal은 총 하중반복횟수(차축통과횟수)를 나타낸다. Ishida(1990)는 아래와 같이 반대수(semi-logarithmic) 그래프로 S-N선도를 정의하고, 피로한도(endurance limit, Se in
Fig. 1) 전후의 그래프 기울기가 다른 Haibach's rule을 적용하였다.
Fig. 1 Types of S-N curve
여기서, a와 b는 각각 S-N선도의 기울기와 S축 절편을 나타낸다. Sung(2010)은 UIC 60 레일의 테르밋 용접부에 대해 실물 휨피로 시험을 실시하여 S-N선도를 Table 1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 값을 평균으로 보아 파괴확률 50%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실험의 표준편차로부터 파괴확률 5%에 해당하는 S-N선도를
산정할 수 있다(Table 1, Fig. 2 참조).
Fig. 2 S-N curve for UIC 60 rail
레일의 휨응력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하면,
여기서, ¯s, σs는 레일 휨응력의 평균, 표준편차이다.
차축통과횟수는 누적통과톤수로부터 아래 식 (9)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
Table 1 S-N curve for Thermite welding of UIC 60 rail
Failure probability
|
S-N curve
|
Se(MPa)
|
S≤Se
|
S>Se
|
50%
|
S = 1132.49-147.68× Log N
|
S = 667.25-73.84× Log N
|
202
|
5%
|
S = 1098.82-147.68× Log N
|
S = 633.57-73.84× Log N
|
168.3
|
여기서, T는 누적통과톤수, Wa는 정적축중이다.
한국철도공사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한 2004년부터 2016년까지의 경부고속철도 자갈궤도 구간의 연간누적통과톤수(단위 : million gross ton,
MGT)는 Fig. 3과 같다.
Fig. 3 Annual tonnage for ballasted track in Gyeongbu high-speed line (2004-2016)
3.1.2 레일 휨응력
정적 윤중(wheel load)에 의한 레일 휨응력의 평균값은 Zimmermann 모델에 의해 산정할 수 있다(Esveld, 2001).
여기서, ¯y는 레일 단면 중심에서 레일 저부까지의 거리, I는 레일의 단면2차모멘트, Q는 정적 윤중, L은 궤도
특성길이이다. 궤도 특성길이는 Zimmermann 모델에 의해 아래 식 (11)과 같이 정의된다(Esveld, 2001).
여기서, E는 레일의 탄성계수, a는 침목간격, kd는 레일지지 스프링계수이다.
레일 휨응력의 표준편차는 [10]KR C-14030에 제시된 동적할증계수(dynamic amplification factor, DAF)로부터 구할
수 있다. 동적할증계수는 아래 식 (12)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u(x)는 단위계단함수(unit step function)이고, t는 신뢰도 지수로, t=1일 경우 초과확률 15.8%, t=2일
경우 초과확률 2.2%, t=3일 경우 초과확률 0.1%가 된다. σP는 윤중변동 표준편차를 의미하며, 열차속도(단위는 km/h)
V와 궤도품질 영향계수(track quality factor) ϕ의 함수로 주어진다. KR C- 14030에 따르면, ϕ는 궤도 유지관리 상태에 따라 0.1~0.3의 범위에서 정할 수 있으며, 매우 양호한 경우 0.1, 양호한 궤도는 0.2,
불량한 궤도는 0.3을 추천하고 있다. 식 (11)로부터 윤중변동 표준편차 σP를 구할 수 있고, 여기에 레일 휨응력의 평균값을 곱하면 레일 휨응력의 표준편차가 산정된다.
3.1.3 레일 피로 손상도와 레일 보수량 관계
앞서 설명한 레일 피로 손상도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경부고속철도의 2004년부터 2016년까지 누적된 피로 손상도를 산정하면 Fig. 4(a)와 같다. 그림에서 연간 교통량의 증가로 초기 기울기를 연장한 선 보다 연간 피로손상도가 더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Fig. 4(b)는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광명-동대구)의 레일 교체 보수량(거리)을 나타내고 있다. 2004년 개통 직후 레일 교체 작업이 있었지만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교체 작업이 없었고, 이후에는 연간 거의 유사한 양의 교체 작업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제 필요한 양의 보수를 매년 시행했다고
보기는 어렵고 주어진 예산에 따라 제한된 보수작업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Fig. 4(b)의 데이터는 향후 더 많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4(a)에서 구한 피로 손상도와 Fig. 4(b)의 누적 레일 보수량의 관계를 Fig. 4(c)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개통 직후를 제외하고, 2010년까지는 레일 교체작업이 거의 없었으므로 레일 피로손상이 일정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는 보수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2010년 이후의 데이터를 선형으로 회귀분석하였다. 이 관계를 이용하면 레일 피로 손상도의 예측값으로부터
레일 보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
Fig. 4 Prediction model for rail maintenance amount according to rail fatigue damage evolution (Gwangmyong-Dongdaegu, Gyeongbu high-speed line)
3.2 자갈다짐 보수량 추정
3.2.1 자갈다짐 보수 주기 추정 모델
자갈궤도의 자갈도상은 열차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면 지속적으로 침하하고, 자갈층의 다짐도, 노반의 상태 등에 따라 각 침목 위치에서 침하량이 다르므로
궤도틀림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궤도틀림이 보수한계에 도달할 때 마다 다짐 작업(ballast tamping)을 통해 궤도 선형을 복구하는 과정을
거친다. 자갈층의 침하속도가 빠를수록 더 자주 보수를 실시해야 하므로 보수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자갈궤도의 LCC 평가를 위해서는 자갈다짐 보수
주기를 산정해야 한다.
Jang(2016)은 아래 식 (13)의 ORE 모델을 이용하여 자갈다짐 보수 주기를 산정하였다(ORE, 1988).
여기서, e0는 자갈다짐 보수 직후 발생하는 즉시 침하(instant settlement), k는 경험상수, T는 누적통과톤수, 2Q는
축중(axle load, Q는 윤중), V는 열차속도, α, β, γ는 궤도 특성에 의존하는 경험상수이다.
자갈층의 침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할 때 자갈다짐 보수를 실시하므로 다짐보수 주기 Tt는 식(14)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Jang, 2016).
여기서, Pb는 윤중에 의해 침목 하부 자갈도상에 작용하는 힘이고, 첨자 ref는 다짐보수 주기가 알려진 기준 조건의 값을 의미한다.
ORE D161 RP3(1988)에서는 식 (12)에서 동적 윤중을 적용할 경우 열차속도에 따른 영향이 포함되어 열차속도에 의한 영향이 중복되므로 γ = 0을 적용하도록 하고, α=1,
β=3을 적용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면 식 (14)는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Zimmermann 이론에 의하면 동적 윤중에 의한 침목 1/2 길이에 작용하는 힘 Pb는 식 (16)에 의해 산정할 수 있다(Esveld, 2001).
여기서, DAF는 식 (12)에서 초과확률 15.8%에 해당하는 t = 1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3.2.2 자갈다짐 보수주기와 자갈 압력 기준값
식 (14)를 이용하여 자갈다짐 보수주기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자갈다짐 보수주기와 자갈 압력의 기준값을 설정해야 한다.
Fig. 5는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에서 궤도품질지수(track quality index, TQI)에 따라 선로를 7개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의 연평균
다짐 보수횟수를 산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QI는 선로유지관리지침(KRNA, 2012)에 따르면 200m 구간의 고저틀림 표준편차로 정의된다. 연평균 다짐보수 횟수는 총 보수거리를 실제 거리와 경과년수로 나눈 값으로 MTT (multiple
tie tamping) 장비를 이용한 자갈다짐 작업실적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한국철도공사(KORAIL)의 2014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면 전 구간의
TQI 평균은 1.43으로 나타났다. Fig. 5에서 TQI 평균 1.43에 해당하는 연평균 다짐 보수횟수는 약 2.15회이고, 2014년의 총 누적통과톤수가 24.4MGT이므로 다짐 보수주기 기준값
Tt,ref는 11.34MGT로 추산된다.
Fig. 5 Relationship between TQI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ballast tamping
Fig. 6 Relationship between TQI and standard deviation of dynamic wheel load variation
앞서 식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궤도품질에 따라 윤중 변동이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동적 윤중의 크기가 달라진다. 이를 고려하여 자갈다짐 보수주기를 산정하려면
궤도품질 영향계수(ϕ)와 자갈다짐 보수주기 기준값과의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Fig. 6은 실제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에서 측정한 동적 윤중 데이터(Kim, 2017)와 TQI와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Fig. 5와 동일하게 선로를 7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 TQI 평균값과 이 때 윤중변동 표준편차 측정값을 도시한 것이다.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TQI
평균값 1.43에 해당하는 윤중변동 표준편차는 0.22이고, 식 (11)로부터 궤도품질 영향계수 ϕ는 0.12로 산정된다. 이 값을 식 (12)과 식 (16)에 대입하면 Pb,ref를 산정할 수 있다.
4. 적용 : 경부고속철도 자갈궤도 LCC 평가
4.1 개요
앞서 서술한 LCC 평가 모델과 궤도 보수량 추정 모델을 이용하여 경부고속철도 자갈궤도 구간을 대상으로 LCC를 평가하였다. 대상 시스템 경계는 Fig. 7과 같이 레일과 침목, 자갈도상으로 정의한다. 대상 구간의 선로 조건을 고려하여 토공, 교량, 터널의 비율은 3: 4 : 3, 직선과 곡선구간의 비율은
7:3으로 설정하였다. 연간누적통과톤수는 25MGT로 가정하였다.
Fig. 7 Definition of system boundary for ballasted track on Gyeongbu high-speed railway
분석의 주요 변수는 궤도 품질수준과 열차속도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궤도 품질수준은 궤도틀림의 상태로 정의하고, 식(12)의 궤도품질 영향계수 ϕ를
0.1~0.3의 범위에서 다르게 설정하였다. 열차속도는 250 ~ 350km/h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간 실질 할인율은 예비 타당성 조사 일반지침(Ahn, 2008)을 참조하여 5.5%로 가정하고, LCC 분석 기간은 Jang(2016)의 연구와 같이 60년으로 설정하였다.
4.2 항목별 비용 산정
4.2.1 초기 시공비
초기 시공비는 표준품셈에 따라 단가를 산정하여 계산하였다(Jang, 2011). 2011년 시공비 단가를 기준으로 자갈궤도의 시공비는 5.7억/km으로 여기에는 지급자재, 간접경비와 부가세를 모두 포함된다. 자갈궤도는 직선,
곡선 및 구간에 따른 공사비의 차이가 크지 않아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4.2.2 교체비용
자갈궤도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레일, 레일패드와 레일체결클립을 비롯한 레일체결장치, 자갈과 침목이 있다. 각 구성요소의 교체주기는 선로유지관리지침(KRNA, 2012)를 기초로 Table 2와 같이 가정하였다. Jang(2016)의 연구에서와 같이 곡선 구간은 직선 구간보다 열화의 진행속도가 2배 빠른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 레일 패드와 레일 클립은 레일을 교체할 때 함께
교체하고, 1200MGT 마다 레일체결장치 전체를 교체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침목의 교체주기는 레일의 교체주기(600MGT)와 같고, 자갈의 교체주기는
레일 교체주기의 절반인 300MGT로 가정하였다.
Table 2 Replacement periods of track components
Components
|
Code
|
Replacement period (MGT*)
|
Straight
|
Curve
|
Rail
|
re1
|
600
|
300
|
Rail pad
|
re2
|
600
|
300
|
Rail clip
|
re3
|
600
|
300
|
Ballast
|
re4
|
300
|
300
|
Sleeper
|
re5
|
600
|
600
|
*million gross ton
4.2.3 운영 비용
가. 유지보수 비용
유지보수 항목을 Table 3과 같다. 정기적인 유지보수는 검측차를 이용한 궤도검측(궤도 선형오차의 검측을 의미한다), 선로 순회점검, 궤도틀림 정정 등을 포함한 경미한 보수작업과
레일 연마 등이다. 손상 진전에 의한 비정기적 유지보수는 레일 부분 교체 작업과 자갈다짐 보수로 구성된다.
Table 3 Maintenance mode and period
Classification
|
Code
|
Mode
|
Maintenance period
|
Regular maintenance
(not dependent on tonnage)
|
m1
|
Small maintenance
|
4 times / year
|
m2
|
Track geometry inspection
|
12 times / year
|
m3
|
Rail grinding
|
1 times / 3 years
|
Irregular maintenance
(dependent on tonnage)
|
m4
|
Rail replacement
|
Immediately after found defects
|
m5
|
Ballast tamping
|
Before the reaching settlement limit
|
정기적인 유지보수 주기는 Jang(2016) 연구와 선로유지관리지침(KRNA, 2012)을 참조하여 설정하였다. 검측 주기는 실제 경부고속철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로 월 1회(년 12회)로 가정하였고, 순회점검과 궤도틀림 정정 등 경미한
보수작업 등은 분기당 1회, 즉 년 4회 시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레일 연마는 선로유지관리지침(KRNA, 2012)에 따라 3년에 1회 시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비정기적 유지보수에 해당하는 레일 부분교체와 자갈다 짐보수 작업의 주기는 3장에서 제시한 보수량 추정 모델을 기초로 산정하였다. 3장에 제시한 모델에
따르면 열차속도, 궤도 품질영향계수 등에 따라 레일의 피로 손상도와 자갈층의 침하 진전속도가 달라진다. 연간 누적통과톤수에 따라 식 (6)에 의해 산정된 레일 피로 손상도가 산정되고, Fig. 4(c)에 제시한 모델에 의해 연간 레일 교체 보수량이 결정된다. 또, 동적하중의 크기와 연간누적통과톤수에 따라 식 (15)에 의해 연간 자갈다짐 보수횟수가 산정된다.
나. 리스크 비용
자갈궤도의 예상되는 손상 항목을 초기 결함(시공하자)에 의한 손상과 사고나 천재지변에 의한 손상으로 나누고 Jang(2016)의 연구를 참고하여 발생율, 발생 시기, 발생 확률을 Table 4와 같이 가정하였다. Jang(2016)의 연구에서는 피로 손상 진전에 따른 보수 비용을 리스크 비용으로 분류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2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정기적 유지보수비용에 포함하였다.
Table 4 Risk probabilities, time and lengths for repair
Classification
|
Code
|
Description
|
Quantity
|
Year
|
Probabilities
|
Risks by initial defects
|
r1
|
Small settlements(track geometry correction)
|
10.0%
|
2.0, 10.0
|
100.0%
|
r2
|
Track lifting with additional ballast
|
10.0%
|
5.0, 17.0, 29.0, 41.0, 53.0
|
100.0%
|
Risks by accidents
|
r3
|
Damage of rail fastening(renewal)
|
0.2%
|
10.0 , 40.0
|
100.0%
|
r4
|
Damage of sleeper
|
0.1%
|
10.0, 40.0
|
30.0%
|
r5
|
Damage of roadbed (ballast renewal)
|
0.1%
|
10, 40
|
100.0%
|
r6
|
Small settlement of substructure
(track geometry correction by fastening)
|
10.0%
|
5.0
|
50.0%
|
r7
|
Large settlement of substructure
|
1%
|
10.0
|
25.0%
|
4.2.4 교체 및 보수비 단가 산정
시공비 단가와 마찬가지로 교체비용과 보수비의 단위 거리당 단가는 상대 비교를 위해 Jang(2016)의 연구와 동일하게 2011년을 기준으로 초기 시공비의 단가에 야간 할증과 1일 작업량을 고려하여 비용을 산정하였다(Table 5 참조).
Table 5 Unit costs for renewal, maintenance and repair for damage due to risk (ballasted track)
(a) Renewal
(b) Maintenance
(c) Repair for damage due to risk
Activities
|
Unit costs (thousand Won/km)*
|
re1: Rail renewal
|
269,712
|
re2: Rail pad renewal
|
30,120
|
re3: Rail clip renewal
|
36,000
|
re4: Ballast renewal
|
107,640
|
re5: Sleeper renewal
|
151,643
|
Activities
|
Unit costs (thousand Won/km)*
|
m1 : Track geometry inspection
|
60
|
m2 : Small maintenance
|
545
|
m3 : Rail grinding
|
5,978
|
m4: Rail replacement
|
269,712
|
m5: Ballast tamping
|
25,826
|
Activities
|
Unit costs (thousand Won/km)*
|
r1: Small settlements(track geometry correction)
|
27,728
|
r2: Additional ballast
|
107,640
|
r3: Damage of rail fastening(renewal)
|
33,427
|
r4: Damage of sleeper
|
151,643
|
r5: Damage of roadbed (ballast renewal)
|
727,767
|
r6: Small settlement of substructure(track geometry correction by fastening)
|
27,728
|
r7: Large settlement of substructure
|
107,640
|
* All unit costs are evaluated based on 2011.
4.3 결과 분석
4.3.1 궤도 품질수준과 열차속도에 따른 궤도 보수량
실제 궤도 품질수준은 보수 전후에 달라지고, 계속 변화한다. 그러나, 궤도틀림 진전 속도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는 한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궤도
품질이 나쁜 구간에서는 궤도틀림이 더 빠르게 커지므로 평균값은 어느 정도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Fig. 8은 경부고속철도 자갈궤도구간의 TQI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서 열차 하중의 누적에 따라 TQI가 증가하고, 보수 후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평균 TQI가 클수록 변동폭도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평균 TQI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궤도 품질수준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궤도 품질수준과 열차속도가 궤도 보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Fig. 8은 궤도품질 영향계수와 열차속도에 따른 휨응력에 의한 레일의 연간 피로 손상도와 교체 보수량을 보여준다. Fig. 8(a)에서 알 수 있듯이 열차속도가 증가하면 레일 휨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연간 누적되는 피로 손상도도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낮으면 열차속도에
따른 레일 피로 손상도의 증가 기울기가 낮고,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커질수록 기울기가 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Fig.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교체 보수량도 열차속도와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8 Examples of temporal variation of track quality index in Gyeongbu high-speed railway
Fig. 9 Annual rail fatigue damage and replacement length according to track quality factor and train speed
또한 연평균 자갈다짐 보수횟수도 Fig. 9와 같이 열차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레일 교체 보수량과 마찬가지로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크면 그 증가폭도 커지는데,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0.3까지
증가하면 자갈다짐 보수횟수가 열차속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궤도품질 영향계수는 레일 손상도나 레일 교체 보수량보다 자갈다짐
보수횟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4.3.2 궤도 품질수준과 열차속도에 따른 LCC
비정기적 유지보수에 투입되는 보수비를 비교해보면 Fig. 10에서 알 수 있듯이 열차속도 증가에 따라 비정기적 유지보수비는 점차 증가하는데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커질수록 열차속도 증가에 따른 보수비 증가 폭이
점차 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0 Average annual number of ballast tamping according to track quality factor and train speed
Fig. 11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rack quality factor and train speed
Fig. 12 Composition of calculated LCC
또한 Fig. 11에서 알 수 있듯이 비정기적 유지보수비는 전체 운영비용 및 LCC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9.2%이고, 열차속도와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커질수록
비중도 점차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체비용은 Table 2의 교체주기에 따라 결정되고, Risk 비용은 Table 4의 시행시기, 보수거리, 발생확률에 따라 결정되므로 궤도 품질과 열차속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 12는 1km당 소요되는 LCC를 경과시간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열차속도가 클수록 LCC도 커지고, 그 증가폭이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크면 열차속도에
따른 LCC 증가폭이 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궤도 품질수준과 열차속도에 따른 보수량과 보수비의 증가에 기인한다.
12.5년을 주기로 계단 형태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Table 2의 교체주기에 따라 300 또는 600MGT 마다 각 궤도 구성요소들을 전 구간 교체하는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이다. 연간 누적통과톤수를 25MGT로
가정했으므로 300MGT는 12.5년에 해당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궤도품질 영향계수는 LCC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레일 보수량 보다는 자갈다짐 보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열차속도에 따른 영향도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운영속도를 높이려면 궤도 품질수준이 높게 관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able 6은 실제 운영조건(궤도품질 영향계수 0.12, 열차속도 300km/h)에서 구한 LCC 계산결과에서 연간 평균 운영비용을 산정하여 2007년에서 2009년까지의
실제 경부고속선의 연간 유지보수비용과 비교한 것이다. 유지보수비용 산정을 위한 단가는 2011년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으므로 비교를 위해 통계청에서 고시하고
있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2009년 기준 비용으로 환산하였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경부고속선의 유지보수비와 약 3.8%의 오차가 나타났으나
연간통과톤수가 25MGT로 실제 2007~2009년의 연간통과톤수보다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계산결과와 실제 소요비용이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Jang(2016)의 연구와 비교할 때 별도의 고정비(경상비)를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유지보수비가 더 증가한 결과이다.
Fig. 13 LCC according to track quality factor and train speed
Table 6 Annual costs of ballasted track
Item
|
Annual cost (1/10 billion won)
|
Calculated cost
(train speed = 300km/h and ϕ = 0.12)
|
Actual cost (2007-2009)
(Jang, 2016)
|
Renewal Cost
|
Maintenance Cost
|
Risk Cost
|
Sum
|
Sum
(converted for 2009*)
|
2007
|
2008
|
2009
|
Average
|
Cost per 1km
|
0.21
|
0.62
|
0.03
|
0.85
|
0.81
|
0.80
|
0.75
|
0.80
|
0.78
|
*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was 2.8 % in 2009 and 2.9 % in 2010
(Korea Statistics, 2023).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철도 궤도의 LCC를 보다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경부고속철도의 궤도 유지보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 하중의 반복에 따른 레일의
피로 손상과 자갈 침하 진전을 고려한 궤도 보수량 추정 모델을 제시하여 기존 궤도 LCC 모델을 수정 보완하였다. 그리고 수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궤도
품질수준에 따른 유지보수량과 수명주기비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레일의 피로 손상 진전과 자갈 침하 진전을 고려한 궤도 보수량 추정모델을 적용한 결과 유지보수비를 실제 유지보수 비용에 가깝게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2) 이 연구에서 제시한 궤도 보수량 추정 모델에 따르면 궤도 품질수준을 나타내는 궤도품질 영향계수는 레일 보수량 및 자갈다짐 보수량 그리고 결과적으로
유지보수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레일 보수량 보다 자갈다짐 보수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열차속도가 증가하면 레일 보수량과 자갈다짐 보수량이 증가하고,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클수록 열차속도에 따른 보수량의 증가율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에 따라 LCC 또한 궤도품질 영향계수가 클수록 열차속도가 커질수록 시간에 따른 증가속도가 빠르고, 유지보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궤도 유지보수 데이터가 더 축적된다면 궤도 보수량 추정 모델을 더 보완할 수 있고, 실제 유지보수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24년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
References
Ahn, S. H. (2008), Amendment and Complement of General Guidelines for Pre-feasibility
Study, Research Report, 5th e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orea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 Korean).
Esveld, C. (2001), Modern Railway Track, 2nd ed., MRT- productions, Zaltbommel.
Ishida, M. (1990), Relationship between Rail Surface Irregularity and Bending Fatigue
of Welded Part in Long Rails, RTRI Report, 4(7) (in Japanese).
IITB (1998), Remain: Modular System for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Management
in European Rail Transport, Transport Research Fourth Framework Programme, Rail Transport
DG VII – 74.
Jang, S. Y. (2011),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Track Technology (Precast
Concrete Slab Track and Paved Track), Research Repor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Jang, S. Y. (2014), Types of cracks and damage of concrete track at early ages in
Kyeong-Bu high speed railways and its counter- asur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1), 54-58 (in Korean).
Jang, S. Y. (2016), Analysis of Life Cycle Costs of Railway Track : A Case Study for
Ballasted and Concrete Track for High-Speed Railwa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2), 110-121 (in Korean).
Kim, M. C. (2017), Condition Evaluation of Gyeongbu High- Speed Railway Track and
Development of Renovation Strategy, Research Repor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in Korean).
Yang, S. C. (2001), A Study on Track Life Cycle Cost Evaluation and Design Technology,
Basic Technology Research for Railroad Systems, Research Repor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KR C-14030 (2021), Ballasted Track Structure, Korea National Railway (in Korean).
KRNA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2012), Guidelines for Track Maintenance (in Korean).
Nissen, A. (2009), Development of Life Cycle Cost Model and Analyses for Railway Switches
and Crossings, Doctoral dissertation, Division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Engineering,
Department of Civil, Mi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Luleå University of Technoloy.
ORE (1988), Question D161, Dynamic vehicle/track phenomena,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ck maintenance, Report No.3, Final report, Office for Research and Experiments
(OR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UIC).
Putallaz, Y., and Rivier, R. (2003), Modelling long term infrastructure capacity evolution
and policy assessment regarding infrastructure maintenance and renewal, IMPROVERAIL
- Infrastructure Capacity and Resources Management, 3rd Swiss Transport Research Conference,
Monte Verità / Ascona, March 19-21, 2003.
Statistics Korea (202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https://kosis.kr.
Sung, D. R. (2010),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ail Fatigue Life through Vehicle/Track
Interaction Analysi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in Korean).
UIC (2003), UIC Study Targets Infrastructure Cost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59(3), 130-132.
Zoeteman, A. (2004), Railway Design and Maintenance from a Life-Cycle Cost Perspective:
A Decision-Support Approach, TRAIL Thesis Series No. T2004/7, The Netherland TRAIL
Research School, Delft, The Nether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