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대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자기치유 콘크리트, 생체광물형성작용, 탄산칼슘, 균열치유작용, 미생물, 내생포자
Self-healing concrete, Biomineralization, Calcium carbonate, Crack healing, Microorganism, Endospore

1. 서 론

최근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생체광물형성 미생물을 활용한 콘크리트 균열의 자기치유기술 개발에 있어 콘크리트 내부 박테리아의 생존과 활동은 균열치유의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미생물 기반 생체광물인 탄산칼슘 형성을 이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개발을 위해서는 강알칼리 환경의 시멘트 내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유지시키는 기술과 콘크리트 균열시 광물형성을 극대화하여 미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균열들을 치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 콘크리트 내 미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들 중 하나로 콘크리트 배합시 혼입된 미생물을 코팅하기 위한 다양한 미생물 담체(carrier)물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기술들은 콘크리트 환경하의 미생물의 생존성 및 광물형성조건의 한계로 인해 실제 현장 구조물에 범용적 활용이 가능한 미생물 담체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내 미생물을 보호하는 최적의 미생물 담체로서 세포 친화적이며 높은 수분 흡수율과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 조건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면서 균일한 제작 및 보관이 가능한 키토산 기반 고분자 미생물 비드 담체(bead carrier)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모르타르의 자기치유성능을 분석하였다.

2. 본 론

2.1 키토산 기반 하이드로젤 비드 담체의 개발

2.1.1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담체 소재의 결합 메커니즘

콘크리트 내부의 강알칼리 조건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균열 발생시 수분 흡수를 최대화하여 균열부위의 생체광물형성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미생물 담체로서 하이드로젤 고분자 소재를 고려할 수 있다(Kim et al., 2009; Kim et al., 2010). 이 연구에서는 여러 하이드로젤 후보군들 중에서 세포 친화적이면서 음전하를 갖는 알지네이트(alginate) 고분자와 양전하를 갖는 키토산(chitosan) 고분자를 추가로 적용한 하이드로젤 소재를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키토산은 새우, 게 등 갑각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키틴을 알칼리 처리하여 얻는 글루코사민 중합체로 당(sugar)의 일종이다. 키토산은 분자구조가 인체조직과 매우 유사하여 인체 친화성이 우수하며, 많은 아민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분친화력이 뛰어나다. 알지네이트 또한 키토산과 마찬가지인 당으로 이루어진 고분자이며, 키토산과 달리 카복실기를 포함하여 음전하를 가지고 있다. 알지네이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이드로젤은 동물세포 배양에 많이 이용되고 있어 미생물과 같은 세포의 활성을 유지하는데 최적의 담체를 제공할 수 있다.

Fig. 1은 이와 같이 키토산 및 알지네이트가 결합된 키토산 하이드로젤 담체를 구성하는 기본 고분자 화학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최종적으로 키토산 하이드로젤 비드 담체는 아민기가 포함된 미생물 적합 키토산과 카복실기가 포함된 알지네이트를 포함하여 Ca2+ 이온과의 이온결합에 의해 생성된다.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다중 폴리머(polymer) 고분자들은 각 성분의 질량 성분비를 조절하여 담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키토산을 포함하지 않고 알지네이트와 Ca2+ 이온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젤 고분자도 생성할 수 있을 정도로 이온결합력이 탁월하다. 여기서, Ca2+ 이온은 화학반응식에서 이온결합의 가교제(cross linking agent)의 역할을 한다.

Fig. 1 Chemical constitution of chitosan-alginate hydrogel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1.png

2.1.2 고분자 소재에 기반한 하이드로젤 비드 개발

이 연구에서는 스포어 형태의 미생물을 하이드로젤 내 포함하고 균일한 크기의 담체 비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아래 Fig. 2와 같이 알지네이트 고분자 용액에 스포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비드 제작 방법을 적용하였다. 콘크리트에 혼입 전 스포어 활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이드로젤 제작을 냉장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알지네이트 용액과 키토산/Ca2+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따로 준비하고,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크기의 비드를 형성하도록 drop-wise addition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비드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하이드로젤 비드 내에 혼입된 미생물 영양세포의 생체광물형성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Fig. 3과 같이 여러 조건의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환경하에서 생성된 생체광물을 SEM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Fig. 2 Production of chitosan-alginate hydrogel bead carrier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2.png
Fig. 3 SEM monitoring microbial activity in hydrogel beads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3.png

Fig.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키토산을 함유한 경우 미생물의 영양분 성분 중 urea 및 CaCl2의 공급 없이도 생체광물이 형성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콘크리트의 자기치유를 위한 균열치유물질인 탄산칼슘 생성량을 하이드로젤 비드에 포함되는 영양성분인 yeast extract와 urea 및 CaCl2의 조절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2 미생물 비드 담체의 최적화

2.2.1 담체 혼입을 위한 최적 균열치유 미생물 선정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균열의 자기치유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미생물군 선정을 위해 대전 소재 야산의 토양을 채취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토양 입자에 흡착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1xPBS buffer(pH 7.4) 100ml에 시료 5g을 넣고 1시간 동안 200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채취한 후 내생포자의 열저항성이 높은 특성을 이용하여 시료를 7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수행하였고, 이를 Nutrient agar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30℃, 24시간). 배지에 자란 미생물 콜로니를 채취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동정하여 bacil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3종을 Fig.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분리하였다(Lee et al., 2023; Yu et al., 2023).

Fig. 4 Three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soil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4.png
Fig. 5 Bacteria endospores of three bacillus species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5.png

이렇게 분리한 3종의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내생포자(endospore) 형성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Table 1과 같은 조성의 DSM(Difo sporulation medium)에 30℃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고, Fig.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계열의 길쭉한 영양세포 내에 생성된 둥근 형태를 갖는 내생포자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모양이 길쭉한 간균에 속하는 바실러스 계열의 박테리아 영양세포내에서 원형형태의 내생포자의 생성유무는 이 원형 내생포자를 Fig. 2에 보이는 둥근 모양의 하이드로젤 비드내에 혼입하여 최종적으로 콘크리트의 자기치유를 유도하는 미생물 담체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볼 수 있다.

Table 1 DSM(Difo sporulation medium)

Constituent of medium

Distilled water

1L

Nutrient broth

8g

MgSO4∙7H20

0.25g

KCl

1g

after autoclave

CaCl2 2H20

0.01g

MnCl2

0.01g

이렇게 확보한 균주들의 생체광물형성 유무와 생성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Table 2와 같은 조성을 갖는 탄산칼슘형성배지(CaCO3 precipitation medium) 100ml에 같은 미생물 농도로 접종하여 30℃조건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여 탄산칼슘생성 능력을 분석하였다.

Table 2 CaCO3precipitaion medium

Constituent of medium

Distilled water

1L

Yeast extract

1g

Tryptone

1g

CaCl2

2.5g

pH

8

이후 배양액에 lysozyme 처리를 하여 박테리아 세포를 분해하고,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층액(배지성분, 세포잔해물)과 침전물(생체광물)을 분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를 건조시켜 생성된 탄산칼슘의 중량을 측정하여 Table 3과 같이 생체광물형성량을 비교하였다.

Table 3 Amount of CaCO3precipitaion

Bacteria

(mg/100ml)

Control

10.5

Bacillus subtilis

86.6

Bacillus sphaericus

19.8

Bacillus velezensis

15.2

세 균주 중 Bacillus subtilis가 가장 많은 양의 탄산칼슘 추정물질을 생성하였으며, 이 추정 물질의 정확한 성분 확인을 위해 샘플을 채취하여 Fig.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XRD(X-ray Diffrac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6의 분석결과와 같이 탄산칼슘 추정물질의 peak는 시험기관에서 제공하는 calcite(탄산칼슘) 광물의 reference peak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가장 많은 탄산칼슘 추정물질을 생성한 Bacillus subtilis가 자기치유가 가능한 생체광물형성 미생물임을 확인하였다.

Fig. 6 XRD peak of biomineral sample and typical calcite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6.png

2.2.2 미생물 비드 담체 내 생체광물형성 반응 분석

미생물 담체 내 생체광물형성 반응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드 담체 내에 포함되는 미생물 스포어, 키토산, urea, CaCl2 등의 혼입조건별로 TGA(Thermogravimetric Analyzer) 및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Fig. 7Fig. 8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TGA 및 SEM 분석 결과 모든 조성물 혼입조건에서 생체광물형성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GA 분석결과 키토산을 함유하고 urea 및 CaCl2를 포함한 미생물 비드 담체에서의 생체광물 형성량이 세가지 조건 중 최대로 나타났으며, SEM 분석 결과에서도 이 경우의 탄산칼슘 결정이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키토산, urea 및 CaCl2를 혼합한 경우에 콘크리트 균열의 자기치유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Fig. 7 TGA curve results of three compositions in hydrogels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7.png
Fig. 8 SEM results of three compositions in hydrogels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8.png

2.2.3 담체 내 미생물 활성화 조절 최적화

강알칼리성인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미생물 비드 담체 소재의 최적화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Fig.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이드로젤 비드 제작 후 pH를 달리하여 하이드로젤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혼입되는 Ca2+이온 농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하이드로젤 비드 내 pH가 중성에 가까울수록 작고 단단한 하이드로젤 비드가 형성되었다. 또한 수분의 흡수 실험에서도 알칼리에서 중성에 가까울수록 수분을 흡수하여 비드 본래의 형태로 회복하는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향후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하이드로젤 비드 담체의 제작 및 혼입할 경우 pH 7∼8 정도에서 미생물 보호 담체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Physical property change of hydrogels with pH change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9.png

콘크리트 균열환경에서의 하이드로젤 비드 내부의 수분 흡수에 따른 미생물 활성화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중성 및 강알칼리 환경에서 CaCO3 형성 여부에 대한 TGA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Fig. 10과 같다. TGA 분석 결과, 강알칼리 환경(pH14) 조건에서는 TGA curve의 뚜렷한 drop이 발견되지 않아 CaCO3 형성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성 환경 조건에서는 비드의 수분 흡수, 재흡수시 CaCO3 형성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균열면이 중성으로 갈수록

Fig. 10 TGA results of hydrogels with pH change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10.png

균열부에 노출된 하이드로젤 비드의 수분 흡수와 건조, 재흡수시에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균열의 자기치유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3 미생물 비드 담체를 적용한 균열치유성능 분석

2.2.1절에서 선정한 생체광물형성 박테리아를 적용한 미생물 비드 담체의 자기치유성능과 시멘트페이스트 내부에서의 생존성을 검증하기 위해 모르타르(50×50×50mm) 시편을 제작하여 균열치유성능을 분석하였다. 미생물 균주 Bacillus subtilis는 Table 1의 DSM 배지에 배양하여 90% 이상의 내생포자 변화율을 확인한 후, Table 4에 보이는 조성으로 미생물 비드 담체를 제작하였다. 물:시멘트:모래 비율은 1:2:4이며, 모르타르에 혼입되는 미생물 비드 제작시의 알지네이트, yeast extract, urea, CaCl2 , 키토산의 비율은 Table 4와 같다. 미생물 비드 담체의 모르타르내 혼입량은 시멘트 중량의 1%이며, 자기치유 박테리아 내생포자의 밀도는 1x107spores/ml가 되도록 배양 후에 담체와 혼합하였다.

모르타르 시편 제작 후 28일 경에 압축강도 시험기로 인위적 균열을 생성하였으며, 그 후 24시간 간격으로 증류수를 공급하면서 30℃ 조건에서 양생하였다. 최대균열폭 0.3mm인 균열지점을 선정하여 6시간 간격으로 균열치유 과정을 촬영하였고, 균열은 균열발생 후 약 96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Fig. 11Fig.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완전히 치유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치유결과가 미생물 비드 담체에 혼입한 균열치유 균주인 Bacillus subtilis의 생체광물형성작용으로 인한 균열치유임을 확인하기 위해 균열치유물질을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Fig. 11와 같이 영양세포체 주변으로 생체광물질을 형성하고 있는 간균형태의 박테리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균주 확인을 위해 치유물질을 채취하여 30℃, 24시간 조건으로 배지에 배양하였고, Fig. 12에 보이는 콜로니를 채취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담체 비드와 혼합한 균주인 Bacillus subtilis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Fig. 11 Crack healing and SEM image of healing substances(⨉5,000)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11.png
Fig. 12 Self healing of mortar crack
../../Resources/ksm/jksmi.2024.28.4.62/fig12.png

이 연구에서 적용한 Table 4의 담체 조성비는 향후 콘크리트 자기치유를 위한 상용화를 위해 치유성능 개선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자기치유기술이 범용화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 합리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Table 4 Constiuent of mortar and self-healing agent

Constituent of mortar

Water

50ml

Cement

200g

Sand

400g

Constituent of bead carrier

Sodium alginate

20g/L

Yeast extract

1g/L

Urea

5g/L

CaCl2

2g/L

Chitosan

15g/L

3. 결 론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내 미생물을 보호하는 최적의 미생물 담체로서 세포 친화적이며 높은 수분 흡수율과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 조건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면서 균일한 제작 및 보관이 가능한 키토산 기반 고분자 미생물 비드 담체를 개발․최적화하고 이를 적용한 모르타르의 자기치유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원형 모양의 미생물 내생포자를 혼입하기 위하여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고분자를 조합한 원형 형태의 미생물 비드 담체를 개발하였으며, 담체 내 조성물질의 조절로 탄산칼슘 생성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키토산과 urea, CaCl2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비드 담체에서 생체광물 형성량이 최대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의 탄산칼슘 결정이 가장 크게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적용할 경우에 콘크리트 균열의 자기치유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 이 연구에서 개발된 키토산 기반 미생물 비드 담체를 적용한 모르타르 시편에 발생한 균열의 경우, 균열 발생 후 96시간 이내에 최대균열폭 0.3mm의 균열이 자기치유가 완료되었으며, 이 치유현상이 비드 담체에 혼입한 균열치유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Kim, W. J., Kim, S. T., Park, S. J., Ghim, S. Y., and Chun, W.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Healing Smart Concrete Using Microbial Biominer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1(4), 502-505 (in Korean).URL
2 
Kim, W. J., Ghim, S. Y., Park, S. J., Choi, K. J., and Chun, W. Y. (2010), Development of Self-Repairing Smart Concrete Using Micro Biologic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2(4), 548-550 (in Korean).DOI
3 
Lee, B. J., Yu, Y. J., Lee, H. S., Yang, J. K., and Lee, Y. (2023),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or Optimization of Autonomous Crack Healing and Verification of Crack Heal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1), 103-108 (in Korean).DOI
4 
Yu, Y. J., Lee, B. J., Yang, J. K., and Lee, Y. (2023), Investigation of Microorganism-Based Autonomous Crack Healing Agent and Full-scale Verification of Crack Heal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6), 138-143 (in Korean).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