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3.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교신저자



진동, 구조안전모니터링, 온도영향, 단경간교, 커널밀도추정, 고속푸리에변환
Vibratio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emperature effect, Single-span bridge, Kernel density estimation, FFT

1. 서 론

고유진동수는 질량과 강성 및 구조계의 특성에 따른 구조물의 고유한 특성으로 질량의 변화가 없는 경우 강성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교량의 내하력 평가에 사용된다. 그러나 교량의 구조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고유진동수 또한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그럼에도 국내의 내하력 평가에서는 온도 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하루 동안 2~3회 측정한 고유진동수를 내하력 평가에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유진동수는 질량과 강성의 함수이지만 온도의 변화는 구조계의 변화를 수반하므로 정확한 구조물의 상태 분석을 위해서는 온도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Lee et al.(2021)이 사장교 케이블의 실내 실험을 통하여 온도가 18℃에서 40℃로 증가함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4%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Jeong et al.(2023)은 40m PSC 박스 거더 철도교를 대상으로 장기계측하여 4.5Hz의 고유진동수가 동절기에 5.3Hz까지 최대 39%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ross et al.(2013)은 주경간장 335m의 현수교의 장기계측데이터로부터 온도가 20℃ 변화할 때 고유진동수는 4.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im et al.(2003)은 강판형 실험체를 이용하여 온도가 10℃ 증가할 때 고유진동수는 6.4%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 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단경간 교량을 대상으로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내하력평가는 동적재하실험을 통해 교량의 정밀한 고유진동수를 계측하고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해석모델을 업데이팅한다. 이후 정적재하실험을 통해 교량의 정적처짐과 해석모델의 정적 처짐의 비교를 통하여 공용내하력을 산정한다. 따라서 교량의 정확한 공용내하력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온도의 영향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단경간 교량에 대하여 1년 동안의 상시 계측한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를 도출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분석하고 교량 공용 내하력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2. 공용 내하력 산정 기준 분석

2.1 교량 공용내하력 산정

교량의 공용 내하력(KALIS, 2021)은 응답보정계수($K_{s}$), 내하율($RF$), 설계활하중($P_{r}$)을 이용하여 식 (1)과 같이 산정한다.

(1)
$공용내하력(P)= K_{s}\times RF\times P_{r}$

여기서, 콘크리트 부재의 내하력 산정에 적용하는 강도설계법에 의한 내하율과 응답보정계수는 각각 식 (2), (3)과 같이 산정한다. 설계활하중은 도로교의 경우 DB 또는 DL 하중을 사용한다.

(2)
$내하율(RF)=\dfrac{\phi M_{n}-\gamma_{d}M_{d}}{\gamma_{l}M_{l}(1+i)}$

여기서, $\phi M_{n}$ 는 극한저항모멘트(강구조물: $\phi$ = 1, RC·PC구조물의 휨부재: $\phi$ = 0.85), $M_{d}$ 는 실측 고정하중모멘트, $M_{l}$은 설계 활하중에 의한 모멘트 그리고 $i$는 건설기준코드(구 도로교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설계 충격계수($15/(40+L)\le 0.3$)를 의미한다.

(3)
$응답 보정계수(K_{s})=\dfrac{\delta_{계산}}{\delta_{실측}}·\dfrac{1+i_{계산}}{1+i_{실측}}=K_{\delta}·K_{i}$

응답보정계수는 설계 시 사용한 해석모델과 실제 구조물의 응답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변위보정계수($K_{\delta}$)는 정적 재하실험을 수행하여 실측된 $\delta_{실측}$과 동일한 하중을 설계 해석모델에 입력하여 산정된 $\delta_{계산}$을 이용한다. 충격보정계수($K_{i}$)는 설계 충격계수($i_{계산}=i$)와, 정적재하시험의 최대처짐과 동일 차량의 동적재하시험을 통한 최대처짐을 계측하여 식 (4)와 같이 산정한다.

(4)
$i_{실측}=R_{dyn}/R_{sta}- 1$

여기서, $R_{dyn}$은 계측된 최대 동적처짐, $R_{sta}$은 계측된 최대 정적처짐을 나타낸다.

2.2 고유진동수 변화에 따른 공용내하력 변화

온도변화는 구조계의 변화를 수반하므로 온도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변하게 되며, 고유진동수가 변화는 구조계의 실제 거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공용 내하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고유진동수의 변화에 따른 공용내하력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유도해 보았다.

공용내하력 산정 식 (1)에서 설계활하중과 내하율은 구조물의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나타내므로 동일한 구조물에서 공용내하력은 응답보정계수에 의해서만 변화한다. 또한, 응답보정계수 계산시 고려되는 충격보정계수는 교량의 길이와 경간 구성, 노면 상태 및 차량의 주행 특성에 따라 주로 변화하므로 동일한 교량에 대해서는 일정한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구조물에 대한 공용내하력의 변화는 변위보정계수에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고유진동수와 변위의 관계가 정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구조물의 고유진동수($\omega$)는 식 (5)와 같이 질량($m$)과 강성($k$)의 함수이므로 동일한 교량에서 계측된 고유진동수가 변화하는 경우 질량 혹은 강성이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 식으로는 고유진동수와 변위의 관계를 평가할 수 없고, 단경간 교량이라는 구조계 특성을 반영한 고유진동수 계산 식이 필요한데, 교량의 형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등방성 재료를 갖는 하나의 보로 이상화하여 평가해 보았다. Kim et al.(1999) 는 오일러-베르누이 보 이론을 기반으로 단경간 변단면(균일단면 포함) 보에 대한 고유진동수 계산식을 식 (6)과 같이 제시한 바 있다. 이 식에 단순보의 처짐 공식인 식 (7)을 고려하여 비례 관계를 분석하면 공용내하력과 고유진동수의 관계는 식 (8)과 같다. 교량의 내하력 평가 시 해석모델을 조절하여 온도의 영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delta_{계산}$은 고정된 값으로 볼 수 있으며 온도에 영향을 받는 값은 $\delta_{실측}$ 만 비례관계에 고려할 수 있다. 식 (7)에서 식 (6)과 연관이 있는 변수만 선정하여 비례관계를 나타내면 $EI/L^{3}$이 되며 이를 식 (6)에 대입하면 공용내하력과 고유진동수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비례관계를 통해 공용내하력은 고유진동수의 제곱과 지간 길이의 곱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5)
$\omega =\dfrac{1}{2\pi}\sqrt{\dfrac{k}{m}}$
(6)
$\omega_{0}=C(\alpha)·\sqrt{\dfrac{EI}{\rho A L^{4}}}$
(7)
$\delta =\dfrac{PL^{3}}{48EI}$
(8)
$공용내하력\propto K_{\delta}=\dfrac{\delta_{계산}}{\delta_{실측}}\propto\dfrac{1}{\delta_{실측}}\propto\dfrac{EI}{L^{3}}\propto\omega_{0}^{2}\times L$

여기서, $P$는 집중 하중, $L$은 지간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모멘트, $\omega_{0}$는 단순보의 고유진동수, $C(\alpha)$변단면비에 따라 정의되는 상수, $\rho$는 단위 중량, $A$는 단면적을 의미한다.

2.3 이론 기반 온도에 따른 고유진동수 변화

온도의 변화에 따른 단순보의 고유진동수 변화를 이론적인 방법으로 산정하였다. 교량 구조물을 일반적인 열팽창 계수($\alpha =$$1.0$$\times 10^{-5}$)를 갖는 탄성체로 가정하면 온도가 1℃ 증가함에 따라 탄성계수, 단면2차모멘트 및 길이는 식 (9)와 같이 변화한다.

(9)
$$ L:\left\{\begin{array}{l} +0.0010 \% /{ }^{\circ} \mathrm{C} \\ +0.0000 \% /{ }^{\circ} \mathrm{C}(\text { fixed } L) \end{array}\right. \\ A:+0.0020 \% /{ }^{\circ} \mathrm{C} \\ \rho:-0.0030 \% /{ }^{\circ} \mathrm{C} \\ I:+0.0040 \% /{ }^{\circ} \mathrm{C} \\ E:\left\{\begin{array}{l} -0.0218 \% /{ }^{\circ} \mathrm{C}(\text { steel }) \\ +0.0000 \% /{ }^{\circ} \mathrm{C} \text { (concrete) } \end{array}\right. $$

여기서, 탄성받침의 경우 온도 변화에 의한 거더의 길이 변화로 받침의 위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Varied L)할 수 있으며 이때 온도에 따른 지간 길이 변화는 열팽창계수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포트 받침과 같이 거더의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받침 간 간격은 동일한 경우에는 지간 길이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온도에 의한 탄성계수의 변화는 콘크리트 교량의 경우도 주 부재가 강재인 경우 온도에 따른 강재의 탄성계수 변화 결과(Wang, 2013)를 참고하여 산정하였다. 온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20 ~ 40℃의 구간에서 일정하거나 약간 증가하는 경향(Jeong and Lee, 1997)을 나타내었다.

(9)를 단순보의 고유진동수 산정 식 (6)에 대입하여 온도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온도에 따른 단순보의 이론적인 고유진동수 변화는 식 (6)의 구조에 따라 기하학적인 특성 변화는 서로 상쇄되고 고유진동수 변화의 약 70~95%는 재료특성(탄성계수)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식 (9)의 탄성계수의 변화대로 콘크리트와 강재의 고유진동수 변화는 서로 반대를 나타냈으며 지간 길이가 변화하는 강교량의 경우 10℃의 온도증가에 따라 고유진동수는 약 0.1% 감소하고, 지간 길이가 고정된 콘크리트 교량의 경우 0.025% 증가하는 것으로 산정된다.

단순보의 고유진동수 계산 결과로 미루어 강교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고유진동수가 감소하고, 콘크리트교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고유진동수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Table 1에 나타낸 온도에 따른 이론적인 단순보 구조의 고유진동수의 변화는 교량의 경계 조건을 단순화하고, 교량의 형상 변화에 따른 받침점의 이동 및 회전강성 효과를 고려하지 않아 정량적인 결과로는 활용될 수 없으나, 재료와 받침의 조건에 따라 온도 증가에 따른 교량의 고유진동수가 증가하거나 혹은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ble 1 Theoretical natural frequency change of a simple beam according to temperature (with $10^{\circ}{C}$ increase)
$\Delta\omega_{0}/\omega_{0}/10^{\circ}{C}$

Steel

[varied $E$]

Concrete

[fixed $E$]

Varied $L$

-0.104%

+0.005%

Fixed $L$

-0.084%

+0.025%

3. 장기계측 결과 및 분석

3.1 센서 설치 및 계측

단경간 교량의 고유진동수와 온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BMAPS (Bridge Maintenance- Aided Platform Service) 내 IoT 센서 기반 교량 계측시스템을 통해 장기 계측된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Fig. 1). 계측시스템의 운영은 Kwon et al.(2023)이 제안한 바와 같이 태양열 패널을 활용한 상시 전원 공급방식과 LTE 무선통신 기반 상시데이터 전송방식이 사용되었다. 가속도계는 각 교량의 슬래브 하단 중앙에 배치되었으며, 온습도계도 가속도계와 마찬가지로 교량 하단에 배치되었다. 가속도는 초당 100개의 데이터가 측정되었으며 최소 1년 이상 관측되어 사계절의 온도변화가 충분히 반영된 연구 대상 교량 6개소가 선정되었다. Table 2는 교량 6개소의 기본 제원이며 Fig. 2는 가속도 센서 설치 예시(교량 C)를 보여주고 있다.

Fig. 1 BMAPS IoT measurement system (www.bmaps.kr)
../../Resources/ksm/jksmi.2024.28.5.62/fig1.png
Fig. 2 The measurement sensor location of Bridge C
../../Resources/ksm/jksmi.2024.28.5.62/fig2.png
Table 2 Specifications of target bridges for collecting sensing data

ID

Structure type

Open year

Length (m)

Width

(m)

Height

(m)

Span length

A

PSCI

2000

30

25

5.5

Varied

B

PSCI

2005

46.2

11

3.4

Varied

C

STB

2005

40

19.5

7

Varied

D

RCS

2009

12.1

7.5

2.5

Fixed

E

Rahmen

2016

12

12.5

1.8

Fixed

F

Rahmen

2000

16.8

11

5

Fixed

PSCI: Pre-Stressed Concrete I-shape girder, STB: Steel Box girder, RCS: Reinforced Concrete Slab

3.2 상시진동 가속도를 이용한 고유치 산정

단경간 교량의 1년 동안의 상시 계측 결과를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를 산정하였다. 분석 대상데이터는 다수의 차량 통행량으로 높은 고유진동수 관측빈도가 예상되는 일별 오전 8시 30분부터 9시 00분까지의 데이터로 설정되었다. 가속도 데이터 분석 방법은 데이터 내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주파수 필터인 버터워스 필터(butterworth filter)를 적용하였으며, 고유진동수의 주파수를 강조하기 위한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를 적용하였다. 분석데이터 내 진동수 추출 방법은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내 극댓값들에 대한 진동수와 진폭을 수집하였다. 선정된 극댓값들은 추출된 극댓값들의 진폭 중 50 백분위수 이상을 가진 극댓값들만 도출되었으며, 인접 2$Hz$ 범위 내 최고 진폭을 가지는 진동수들로 설정되었다. 또한, 온도 분석을 위해 동일 교량의 동일 시간 온도데이터도 함께 수집되었다.

일별 단기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진동수 및 진폭들을 활용하여 장기계측 데이터 기반 교량의 고유진동수를 추출하는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교량의 고유진동수는 수집한 진동수를 기반으로 커널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방법으로 도출되었다. 커널밀도추정방법은 커널함수(kernel function)기반 밀도추정을 통해 수집한 진동수들의 히스토그램에 대한 밀도함수를 도출하였다. 일별 진동수 데이터를 고려하기 위해 진동수별 진폭을 가중치로 설정하였다. 대상 교량의 고유진동수는 도출된 확률밀도함수 내 최대 밀도의 진동수로 설정되었다. 제안한 프로세스를 통해 각 교량별 고유진동수($\omega_{n}$)를 산정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선정된 교량의 고유진동수를 기반으로 각 날짜별 인접한 진동수 데이터를 온도데이터와 함께 수집되었다.

Table 3 Estimated natural frequency of Short span bridges and their changes with respect to temperature

ID

$\omega_{n}$

($Hz$)

$\Delta\omega_{n}/10^{\circ}{C}$

($Hz$)
$\Delta\omega_{n}/\omega_{n}/10^{\circ}{C}$ $R^{2}$

t-score

P-value

A

6.76

-0.101

-1.49%

0.2628

10.31

≒0

B

2.70

-0.028

-1.04%

0.5392

17.21

≒0

C

3.50

-0.087

-2.48%

0.4760

16.54

≒0

D

3.43

-0.018

-0.52%

0.0015

0.58

0.56

E

5.02

-0.004

-0.08%

0.00003

0.04

0.97

F

3.51

+0.062

+1.77%

0.0095

1.28

0.20

3.3 데이터 기반 온도에 따른 고유진동수 변화

3.2절에서 도출한 일별 상시 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유진동수와 온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Fig. 3은 대상 교량들의 온도에 따른 진동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나타내며, 이를 기반으로 10℃ 온도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 변화와 추세선 별 결정계수($R^{2}$)를 구하고,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도출한 뒤 “상관계수가 0이다”라는 귀무가설로 t-검정을 수행 후 p값을 도출하여 Table 3에 나타냈다.

Fig. 3 Changes in natural frequency with respect to temperature
../../Resources/ksm/jksmi.2024.28.5.62/fig3.png

추정된 고유진동수의 분포를 보면 RC슬래브교와 라멘교인 D, E, F는 추정된 고유진동수의 분포가 넓고 결정계수가 0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도출된 추세선이 추정된 고유진동수의 추세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p값이 각각 0.56, 0.97, 0.20으로 나타난 것을 토대로 온도와 고유진동수의 상관성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1년간의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유진동수 추정치임을 감안할 때, 각 교량들은 국내에서 겪을 수 있는 온도의 변화를 모두 겪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RC슬래브교와 라멘교의 고유진동수는 온도의 영향이 매우 낮거나 없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

강상자형교인 C는 결정계수가 0.476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 값은 0에 매우 가까운 값이 나타나 온도와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온도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는 $10^{\circ}{C}$마다 2.48%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 교량 중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다. PSCI형교인 A와 B도 모두 0에 가까운 P값이 도출되어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PSCI형교의 진동 특성이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연구 결과(Cury et al., 2012; Huynh et al., 2015)와 일치하며 공용내하력 산정 시 온도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4. 논 의

상온에서 라멘교와 RC슬래브교의 고유진동수와 온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고 Cho and Cho(2022)의 연구가 본 연구와 비슷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온도의 증가에 따라 고유진동수는 감소한다는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FDD(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와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의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FDD는 FFT로, PSD는 KDE로, PCA는 선형회귀분석으로 대치된다는 점에서 적용 알고리즘이 다를 뿐 큰 틀에서의 연구방법론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와의 차이점은 상관분석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과 2, 3, 4차 모드에 대한 고유진동수가 고려되었다는 점이다. PCA 및 회귀분석은 데이터의 경향을 보여줄 수는 있으나 상관성에 대한 지표가 되지 못하며 상관성이 있음을 검증해야만 추세의 유의미함을 판별할 수 있다. Cho and Cho(2022)의 연구는 상관분석 결과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지만 1차 모드에 대해서는 상관성이 매우 낮을 수 있다고 판단되고 2, 3, 4차 모드는 고차 모드로 올라갈수록 추세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Cai et al.(2021)은 온도와 고유진동수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제원 800×80×100 $mm$의 단순보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차 모드에서 $10^{\circ}{C}$마다 고유진동수가 약 1.44% 감소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식 (6)의 이론적 관계식을 고려하였으며 온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으로 콘크리트 탄성계수의 변화가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의 연구 결과로써 Jiao et al.(2014)는 공시체 시험 수준에서 온도가 $1^{\circ}{C}$증가 할 때 마다 탄성계수가 125 $MPa$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 연구 결과들은 교량 단위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워 보인다. 본 연구의 이론 기반 온도 영향(Table 1)과 비교해 보면 콘크리트교(PSCI형교 제외)는 온도에 영향이 아주 미미하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실험 결과와 일치했다. 이는 실제 콘크리트 재료의 비균질성과 실험에서 표현하지 못한 각종 불확실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교량은 온도 분포가 고르지 못하며 하부 음영으로 인해 같은 콘크리트 구조 내에서도 온도차가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상온에서 온도에 영향이 없다는 연구 결과(Jeong and Lee, 1997)도 있으며 20년 이상 오래된 콘크리트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도 부재한 상황이다. 게다가 실험에서는 자유진동을 통해 진동 특성을 도출하였으나 실제 교량의 진동은 차량 통과 하중 등에 의한 영향이 존재한다.

강교에 대한 불확실성도 콘크리트와 비슷하다. 강재의 온도 영향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ASCE 기준을 제외하고 Eurocode와 일본 기준에서는 상온에서는 탄성계수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다양한 실험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정의되었다(Kim et al., 2018). 그러나 온도가 $1^{\circ}{C}$증가 할 때 마다 탄성계수가 0.0218% 감소한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Wang et al., 2013)도 존재하며 이를 고려했음에도 Table 1Table 3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실제 강교는 온도 영향이 약 24배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콘크리트교와 강교 모두 재료의 불확실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적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단순화된 수식으로 묘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교량의 구조가 획일적이지 않고 환경적 조건이 조금씩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온도와 교량의 진동 특성의 관계는 이론적인 수식보다는 국내 교량 센싱데이터 이력을 기반으로 한 경험적인 관계식 도출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는 단경간의 소규모 교량의 온도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가속도 계측데이터로부터 산정하고, 이론적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내하력의 변화를 산정하였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량 정밀안전진단 안전성평가 방법에 따라 내하력을 산정할 때, 단순교의 경우 공용내하력은 고유진동수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경간 교량 6개소의 장기 계측결과로부터 온도가 10℃ 증가하는 경우 고유진동수는 RC슬래브교 및 라멘교에서는 영향이 없었으나 PSCI형교 및 강상자형 교에서는 1.04~2.48%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교량의 온도변화는 교량의 강성을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내하력 또한 동절기와 하절기에 산정하는 경우 50℃ 정도의 온도차이에 따라 산출된 내하력은 5.2~12.4%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행 교량 정밀안전진단 안전성평가 방법은 내하력 평가 시 현재 온도에 따른 교량의 강성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내하력 평가 시 온도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제안된 결과가 다양한 형식 및 제원의 중소규모 교량에서 검증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교량의 내하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량의 진동 특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이론적으로 도출하는데 수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국내 교량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경험적인 관계식으로 도출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단경간 및 다경간 중소규모 교량의 최소 2년 이상의 장기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많은 교량의 형식별 온도변화에 따른 교량의 진동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요구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사업으로 수행되었습니다(과제번호 20240108- 001, 교량 스마트 유지관리 플랫폼(BMAPS) 및 AI 기반 디지털 트윈 활용 기술 개발)

References

1 
Cai, Y., Zhang, K., Ye, Z., Liu, C., Lu, K., and Wang, L. (2021),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Natural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imply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Beam. Sensors, 21, 4242.DOI
2 
Kim, S. -Y., Chu, D. -S., Lee, H. -D., and Shin K. -J. (2018),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at Elevated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30(5), 257-264URL
3 
Cho, K., and Cho, J. -R. (2022).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Modal Variability in Short-Span Concrete Bridges. Applied Sciences, 12, 9757.DOI
4 
Cross, E. J., Koo, K. Y., Brownjohn, J. M. W., and Worden, K. (2013), Long-term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of the Tamar Bridge.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35(1-2), 16-34.DOI
5 
Cury, A., Cremona C., and Dumoulin, J. (2012), Long-term monitoring of a PSC box girder bridge: Operational modal analysis, data normalization and structural modification assessment.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33, 13-37.DOI
6 
Huynh, T. -C., Park, Y. -H., Park, J. -H., Hong, D. -S., and Kim, J. -T. (2015), Effect of Temperature Variation on Vibration Monitoring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Shock and Vibration, 2015(1), 741618.DOI
7 
Jeong, S., Lee, J., and Lee, K. -C. (2023), Seasonal Variation of Dynamic Properties of Honam High-speed Railway PSC Brid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6(4), 260-267. (in Korean)URL
8 
Jiao, Y., Liu, H., Wang, X., Zhang, Y. Luo, G., and Gong, Y., (2014), Temperature Effec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Damage Identification of Concrete Structure,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1360, 10.DOI
9 
Jung, S. -J. and Lee, Y. -D. (1997), Property Change of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4), 24-30. (in Korean)URL
10 
KALIS (2021), Detailed Guideline for Safety and Maintenance Implementation of Facilities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Korea Authority of Land and Infrastructure Safety (KALIS), Jinju, 2021. (in Korean)URL
11 
Kim, J. H., Kim, S. C., and Lee, S. G. (1999), Natural Frequencies of Simply Supported Tapered Beams,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9(3), 607-612.URL
12 
Kim, J. T., Yun, J. -Y., and Baek, J. -H. (2003), Modal Characteristics of Steel Plate-Girder Under Various Temperature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17(6), 58-64. (in Korean)URL
13 
Kwon, T. -H., Jung, K. -S., Park, K. -T., Kim, B. -C. and Kim, J. -H. (2023), Wireless Bridg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Long-term Measurement of Small-sized Bridg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7(4), 86-93. (in Korean)URL
14 
Lee, H. -C., Kim, J. -S., Park, K. -H., and Lee, J. -J. (2021), Analysis of the Frequency for Cable of Cable-Stayed Bridges to Temperature Vari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2), 23-34. (in Korean)DOI
15 
Wang, W. Y., Liu, B., & Kodur, V. (2013). Effect of temperature on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high-strength steel.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25(2), 174-182.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