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학생회원,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2. 정회원,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3. 종신회원,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황산염 침해, 확산계수, 온도, 열화, 압축 강도
Sulfate attack, Diffusion coefficient, Temperature, Deterioration, Compressive strength

1. 서 론

원전 구조물의 경우, 단면이 큰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이므로 건조수축 및 수화열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열화인자의 유입으로 인해 내구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ACI, 1997; Briffaut et al., 2011).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5개의 대표적인 열화인자 등이 내구성 설계에 고려되고 있는데, 염해, 탄산화, 동결융해, 화학적 침식, 알칼리골재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염해, 탄산화에 대한 내구수명 또는 내구성능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Field et al., 2015; Rasheed et al., 2022),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부식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체에는 큰 영향을 안 미친다고 보고된다.

황산염 침해(화학적 침식)의 경우, 외부로부터 황산이온의 침투로 인해, 콘크리트가 팽창되고 균열 및 단면손실이 발생하는 열화기구를 의미한다. 많은 연구에서 황산염 침투에 의한 열화과정이 분석되었는데, 3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1단계는 시멘트 경화체 속으로 황산 또는 황산이온 침투 및 확산, 2단계는 황산 및 황산이온과 시멘트 수화물의 반응으로 석고(gypsum) 및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등의 수화물 형성, 그리고 마지막 단계는 반응생성물의 팽창 및 수화물의 손실로 인한 시멘트 매트릭스 구조의 파괴 및 균열 발생으로 진전된다(Qin et al., 2020; Sotiriadis et al., 2020; Yoon et al., 2021(a)).

많은 연구에서 황산이온과 시멘트 수화물 간의 화학적인 반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Parker, 1945; Khan et al., 2020), 최근 들어 황산보다 황화수소에 열화를 고려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를 고려한 보수재료 또는 콘크리트 배합에 따른 내구수명 평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 중이다(Monteny et al., 2000; Yoon et al., 2022(b)).

황산염 침해에 따른 내구수명 평가에는 주로 황산염 침투에 따른 선형열화깊이식이나, Fick’s 2nd Law에 기반한 다중층 확산모델(Multi-Layer diffuison model)이 사용되고 있는데, 두 식에서 황산염 확산계수의 정의는 매우 중요하다(Atkinson and Hearne, 1989; Yoon et al., 2021(b)).

특히 UAE와 같은 중동 지역의 시공되는 원전 콘크리트의 경우, 일교차가 크고, 일 최대 온도가 4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이처럼 높은 온도에 노출된 원전 구조물의 황산염 침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확산계수의 온도의존성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염화물 확산계수의 온도의존성은 연구되고 있는데, 로그함수 기반의 Arrhenius Law를 이용하여 활성화에너지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한 확산해석을 수행한다(Yang et al., 2023; So et al., 2014; Thomas and Bentz, 2002). 염화물 확산에 대해서는 사용재료과 배합조건, diffusion 또는 migration 과 같은 실험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염화물 이온의 활성화에너지를 도출한 많은 연구가 있는데(Goto and Roy, 1981; Care, 2008; Yuan et al., 2008), 황산염 이온의 온도의존성 확산계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황산염 침해에 따른 강도 저하모델링은 경험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강도 저하 역시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20℃~50℃의 온도에서 노출된 재령 91일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온도의존성 황산염 확산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시편을 이용하여 황산염 실험기간 동안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감소하는 콘크리트의 강도 평가모델식을 제안하였다.

2. 온도변화에 따른 황산 노출실험

2.1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UAE 지역에서 NPP(Nuclear Power Plant)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배합을 참고하였으며, 모든 구성재료는 UAE에서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같은 배합을 기준으로 수행한 염화물 확산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도록 한다(Hwang and Kwon, 2024). 황산염 확산계수 실험을 Natural diffusion 실험을 준용하였는데, 기존의 연구에서도 같은 실험방법으로 황산염 확산계수를 평가하고 내구수명을 분석한 연구가 있다(Yoon et al., 2021(c); Yoon et al., 2022(d); Tritthart, 1989).

재령 91일 시편에 대하여 한쪽 셀에는 5.0 % 중량 농도의 황산용액을, 다른 셀에는 증류수를 투입하여 실험기간(56일∼ 91일) 동안 통과된 황산염 농도를 혼합물 속 이온을 컬럼에서 분리한 후 검출기를 통해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장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 91일 경과 후 확산셀을 해체하여 단일면 열화를 가진 시편을 대상으로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식(1)에서는 자연확산법을 통한 확산계수 산정식을 나타낸다.

(1)
$D_{i}=\dfrac{V\Delta Q}{A\Delta T}\times\dfrac{L}{c_{1}-c_{2}}$

여기서, $V$는 확산 셀의 부피(m3), $\Delta Q$는 증류수가 담긴 셀의 황산이온 농도 증가량(kg/m3), $A$는 슬라이스 시험편의 노출면적(m2), $\Delta T$는 시험 시작 후 경과시간(sec), $L$은 슬라이스 시험편의 두께(m), $c_{1}$은 황산이온 수용액의 농도(kg/m3), $c_{2}$는 증류수가 담긴 셀의 평균 농도(kg/m3), $D_{i}$는 황산이온 확산계수(m2/sec)를 나타낸다.

Fig. 1 Schematic diagram for sulfate diffusion test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1.png

Fig. 2 Photos for sulfate diffusion test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2.png

Fig. 3 Compressive test after sulfate diffusion test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3-1.png../../Resources/ksm/jksmi.2024.28.6.49/fig3-2.png

이 실험에서는 두 셀 사이의 염화물 이동이 시험편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실험시편마다 누수여부를 판단하였다. Fig. 1에서는 실험시편의 제원을, Fig. 2에서는 실험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일면 열화에 대한 강도 평가개요는 Fig. 3에 나타내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용매를 미리 pre-heating 하여 실험시간을 단축하였는데, 본 실험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Yang et al., 2023; Hwang and Kwon, 2024). 20℃ 매질이 40℃까지 증가하는 시간은 800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35℃ 매질이 40℃까지 증가하는 데는 500분이 소요되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시편과 용액을 예열시킨 뒤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령 28일로 실험을 할 경우, 온도에 따른 확산의존성과 수화반응, 혼화재료의 포졸란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장기재령 시편(91일)을 사용하여 온도의존형 황산염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Yang et al., 2023).

2.2 사용재료

전술한 대로 콘크리트에 혼입되는 재료는 UAE NPP에 사용되는 골재 및 혼화재를 입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설계 압축강도 5,000 psi (35 MPa)이며, 실리카 퓸과 Grade 100의 슬래그를 사용한 배합이다. 슬럼프는 110 mm∼150 mm로 평가되었으며, ASTM C 494를 준용한 Type F- WRA(Water Reducing Agent)를 사용하였다. Table 1에서는 사용재료의 정보를, Table 2에서는 실험 콘크리트의 배합표를 나타내었다(Hwang and Kwon, 2024).

Table 1 Materials properties of the components

Items

Supplier

(Source)

Fineness

Modulus

Density

(g/cm3)

Absorption

(%)

Fine

Agg.

CS:DS=75:25

(Blended sand)

2.67

-

-

CS(crushed sand)

WBG

-

2.69

1.2

DS(dune sand)

Trans Middle East (Al Ain)

-

2.63

0.7

Coarse

Agg.

1 in.

WBG

-

2.69

0.5

3/4 in.

-

2.69

0.6

3/8 in.

-

2.68

0.6

Binder

OPC

NCF

-

3.12

-

GGBS

-

2.86

-

SF

DAZE

-

2.16

-

HWRA(Type-F)

Silk Road

-

1.055

-

Fine Agg. :Fine aggregate, Coarse Agg. :Coarse aggregate

Table 2 Mixing proportions for the test

W/B

Strength

(psi/ MPa)

Material (kg/m3)

W

C

GGBS

SF

Crushed

Sand

Dune Sand

Coarse

Agg

HWRA

(Type F)

0.4

5,000

(35MPa)

146.5

113

244

19

707

230

938

4.13

3. 온도 및 재령에 따른 확산 및 강도특성

3.1 온도에 따른 황산염 확산계수 변화

일반적으로 기체 또는 액체상의 확산 거동 변화는 온도에 따라 Arrhenius Law에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화물 확산계수의 온도의존성 변화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되고 있으나, 시멘트와 모르타르, 배합조건, 사용 혼화재료 특성, 실험방법 등에 따라 변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30∼50 KJ/mol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oto and Roy, 1981; Care, 2008; Yuan et al., 2008; F. I. B., 2006). 황산염 농도는 한 개의 온도 수준에 대하여 3개의 시편을 실험한 뒤, 평균과 표준편차를 도출하였다. Table 3에서는 평가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Fig. 4에 도시하였다. 온도의 증가에 따라 비선형적인 황산염 확산계수 및 변동계수의 증가가 발생하였다.

Fig. 4 PDF for test results with different temperature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4.png

온도가 20℃에서 10℃ 증가할 때마다 확산계수는 1.76배, 2.25배, 3.45배로 증가하였으며, 변동성(COV)도 최대 2.4배 증가하였다.

Table 3 Mean and COV for sulfate diffusion test

Temp

Measn

No.1

No.2

No.3

COV (%)

×10-12 m2/sec

20

1.85

1.95

1.88

1.72

6.49

30

3.26

3.15

3.68

2.95

11.6

40

4.17

4.55

3.82

4.14

8.8

50

6.40

7.52

5.97

5.71

15.3

온도에 따른 확산계수를 정량화하기 위해 CurveExpert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비선형 회귀분석에 대하여 Reciprocal logarithm(상대로그) fit, Modified Power(수정급수) fit, Exponential(지수함수) fit 형태가 가장 적합도가 높은 함수로 선정되었다. 세 개의 함수식은 모두 0.90 이상의 결정계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온도의존형 함수를 Arrhenius 함수로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able 4Fig. 5에서는 각 함수의 회귀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5 Regression analysis for date optimization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5.png

Table 4 Results of regeression analysis

No.

Type

Function

Parameter

R2

1

Reciprocal logarithm

$D=\dfrac{1}{a+b\ln(T)}$

a: 1.535

b: -0.3524

0.992

2

Modified Power

$D=ab^{T}$

a: 0.93873

b: 1.0390

0.917

3

Exponential

$D=ae^{b T}$

a: 0.93873

b: 0.03829

0.917

3.2 황산염에 따른 일면 열화특성

황산용액에 노출된 기간이 길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시편의 노출 단면의 열화가 증가하여,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본 시험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 퓸 치환으로 인해 강도가 일반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개선되었다. 그러나 91일 재령 이후 91일 동안 황산염에 한쪽면이 노출되면서 강도가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6과 같다.

Fig. 6 Compressive strength reduction after sulfate exposure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6.png

황산염에 노출되지 않은 공시체는 전형적인 재령의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28일 강도 대비 137.1%의 강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황산염 침투기간에 따라서 같은 온도일 경우, 82.4%로 감소하였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78.1%까지 크게 강도가 감소하였다.

3.3 황산염 노출에 따른 강도 저하모델링

Fig. 3에서 도시한 대로 황산염에 대한 강도 저하는 한쪽 면에서만 발생하므로 Fig. 7과 같이 강도에 따른 균등단면을 가정하도록 한다.

Fig. 7에서 $A$는 $T_{ref}$ (기준 온도, 20℃)에서의 재령에 따른 열화깊이율, $△t$는 재령의 변화(일), $B$는 온도에 따른 열화길이율, $T$는 외부 온도를 나타낸다. 균등한 매질로 가정하여 강도변화가 균등대표면적에 비례하다고 가정하면 기준강도($F_{ref}$)는 대표면적과 기준강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열화된 콘크리트의 한계 강도값은 연구자마다 다양한 값을 제시하고 있으나, 황산이온에 장기간 열화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는 0.75 수준으로 제시되고 있다(Zhang et al., 2018). 열화된 콘크리트에서의 한계비율을 $C$라고 할 때, 열화된 대표면적에 대한 콘크리트 강도는 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7 Changed control area for strength due to sulfate attack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7.png
(2)
$ F=F_{\det}A_{\det}+F_{ref}A_{sound}\\ =F_{ref}·C·[A· t/t_{ref}+B(T_{tef}-T)]\\ +[A·t/t_{ref}+B(T_{tef}-T)]F_{ck} $

여기서 $F$은 열화된 콘크리트의 강도, $F_{\det}$는 열화된 콘크리트 강도, $A_{\det}$는 열화면적 fractile, $F_{ref}$는 기준강도, $A_{sound}$는 건전부 대표면적의 fractile이다.

황산염의 침투에 따른 열화깊이는 재령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Atkinson and Hearne, 1989) 선형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t/t_{ref}$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온도에 의해 증가하는 열화깊이도 선형적인 가정을 하였다. 이러한 대표체적 또는 대표면적에 대한 평균화 이론은 기존의 연구에서도 많이 활용되었다(Park et al., 2012; Song et al., 2006).

(2)에서 20℃ 재령 91과 91일 강도 48.8 MPa을 도입하면 1보다 작은 $C$와 $A$와의 관계는 Fig. 8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열화된 콘크리트 강도 한계값은 0.75로 사용한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Arrhenius Law에 따라 확산계수가 증가하므로, 열화깊이는 증가한다. 재령 및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열화깊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강도값을 이용하면, 변수 B의 변화에 따라 실험값에 근접함을 알 수 있고, B는 0.001~00015 수준임일 알 수 있다. B 값의 변화에 따른 강도변화는 Fig. 9에 나타내었다.

온도의 증가에 따른 확산계수의 증가와 열화깊이가 정확하게 선형이 아니므로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비교적 합리적인 수준으로 B값을 제시할 수 있다.

제안된 식에 대하여 A(재령에 따른 열화깊이율), B(온도에 따른 열화깊이율), C(임계 강도저하율)를 각각 0.705, 0.0015, 0.75로 가정할 경우, 상대오차가 가장 작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Fig. 10에서는 평가결과 및 상대오차를 도시하였다.

Fig. 8 Relationship between A and C parameter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8.png

Fig. 9 Compressive strength simulation with changing B parameter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9.png

Fig. 10 Results of compressive evaluation and relative errors

../../Resources/ksm/jksmi.2024.28.6.49/fig10.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UAE 원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배합을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황산염 확산계수를 평가하였으며, 실험 후의 시편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강도 감소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재령 91일 시편으로 도출된 온도의존성 확산계수 평가에서 20℃에서 50℃로 증가했을 경우, 확산계수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여 3.45배 증가하였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결과의 변동성이 증가하였는데, 50℃에서 2.4배로 COV가 증가하였다. 이는 염화물의 온도의존성 확산계수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낸다.

2) 일면 열화된 시편을 대상으로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동일한 농도조건에서 온도에 따른 열화깊이 및 강도저하를 모델링하였다. 3개의 변수를 고려하여, 강도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안된 변수는 온도증가에 따른 황산염 강도 저하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3) 평가된 확산계수 변화를 온도에 따라 회귀분석하였는데, 3가지 비선형 함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모두 0.90 이상의 결정계수를 가지고 있었다. 제안된 비선형 함수는 이후 Arrhenius Law의 형태의 로그함수로 도출되어 비교될 것이다. 또한 일교차가 큰 경우의 확산특성의 변화 및 이를 고려한 강도 평가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감사의 글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RS-2024-00415881).

References

1 
ACI 304.3 R-96. (1997), Heavyweight Concrete: Measuring, Mixing, Transporting, and Placing.URL
2 
Briffaut, M., Benboudjema, F., Torrenti, J. M., and Nahas, G. (2011), A thermal active restrained shrinkage ring test to study the early age concrete behaviour of massive struc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41(1), 56-63.DOI
3 
Field, K. G., Remec, I., and Le Pape, Y. (2015), Radiation effects in concrete for nuclear power plants–Part I: Quantification of radiation exposure and radiation effect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82, 126-143.DOI
4 
Rasheed, P. A., Nayar, S. K., Barsoum, I., and Alfantazi, A. (2022), Degradation of concrete structures in nuclear power plants: A review of the major causes and possible preventive measures, Energies, 15(21), 8011.measures, Energies 15 (21) (2022).DOI
5 
Qin, S., Zou, D., Liu, T., and Jivkov, A. (2020). A chemo- transport-damage model for concrete under external sulfate attack,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32, 106048.DOI
6 
Sotiriadis, K., Mácová, P., Mazur, A. S., Viani, A., Tolstoy, P. M., and Tsivilis, S. (2020), Long-term thaumasite sulfate attack on Portland-limestone cement concrete: A multi-technique analytical approach for assessing phase assemblag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30, 105995.DOI
7 
Yoon, H. S., Yang, K. H., and Lee, S. S. (2021a), Evaluation of sulfate resistance of protective biological coating morta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70, 121381.DOI
8 
Parker, C. D. (1945), The Corrosion of Concrete 1. The Isolation of a Species of Bacterium Associated with the Corrosion of Concrete Exposed to Atmospheres Containing Hydrogen Sulphide, Austral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 Medical Science, 23(2).DOI
9 
Khan, H. A., Castel, A., and Khan, M. S. (2020), Corrosion investigation of fly ash based geopolymer mortar in natural sewer environment and sulphuric acid solution, Corrosion Science, 168, 108586.DOI
10 
Monteny, J., Vincke, E., Beeldens, A., De Belie, N., Taerwe, L., Van Gemert, D., and Verstraete, W. (2000),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in situ test methods for biogenic sulfuric acid corrosion of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0(4), 623-634.DOI
11 
Yoon, H. S., Yang, K. H., and Kwon, S. J. (2022b), Service life of sewage culvert with bacteria coating from waste sludge and negative pressure method,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24(2), 582-594.DOI
12 
Atkinson, A., and Hearne, J. A. (1989), Mechanistic model for the durability of concrete barriers exposed to sulphate-bearing groundwaters. MRS Online Proceedings Library (OPL), 176, 149. Proc. 1989, 176, 149-156.DOI
13 
Yoon, H. S., Yang, K. H., Lee, K. M., and Kwon, S. J. (2021c), Service life evaluation for RC sewer structure repaired with bacteria mixed coating: Through probabilistic and deterministic method, Materials, 14(18), 5424.DOI
14 
Yang, K. H., Kwon, S. J., Hwang, J. W., and Yoon, Y. S. (2023), Temperature effect on strength and chloride migration in nuclear power plant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405, 133345.DOI
15 
So, H. S., Choi, S. H., Seo, C. S., Seo, K. S., and So, S. Y. (2014), Influence of temperature on chloride ion diffusion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1), 71-78 (in Korean).DOI
16 
Thomas, M. D. A., and Bentz, E. C. (2002), Computer program for predicting the service life and life-cycle costs of reinforced concrete exposed to chlorides, Life365 Manual, SFA, 12-56.URL
17 
Goto, S., and Roy, D. M. (1981), Diffusion of ions through hardened cement pas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1(5-6), 751-757.DOI
18 
Care, S. (2008), Effect of temperature on porosity and on chloride diffusion in cement pas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2(7), 1560-1573.DOI
19 
Yuan, Q., Shi, C., De Schutter, G., and Audenaert, K. (2008), Effect of temperature on transport of chloride ions in concrete. In Concrete repair, rehabilitation and retrofitting II (pp. 177-178). CRC Press.URL
20 
Hwang, J. W., and Kwon, S. J. (2024), Temperature-dependent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in UA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8(4), 48-54 (in Korean).DOI
21 
Yoon, H. S., Kwon, S. J., Yoon, Y. S., and Yang, K. H. (2022d), Probabilistic Repair Cost Simulation for RC Structures Repaired With Bacteria Coating Material Under Sulfate Attack,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6(1), 22.DOI
22 
Tritthart, J. (1989), Chloride binding in cement II. The influence of the hydroxide concentration in the pore solution of hardened cement paste on chloride bindin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9(5), 683-691.DOI
23 
fib, F. I. B. (2006), Model code for service life design.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Switzerland, 110.URL
24 
Zhang, M., Yang, L. M., Guo, J. J., Liu, W. L., and Chen, H. L. (2018), Mechanical properties and service life prediction of modified concrete attacked by sulfate corrosion, Advances in Civil Engineering, 2018(1), 8907363.DOI
25 
Park, S. S., Kwon, S. J., Jung, S. H., and Lee, S. W. (2012), Modeling of water permeability in early aged concrete with cracks based on micro pore structur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7(1), 597-604.DOI
26 
Song, H. W., Kwon, S. J., Byun, K. J., and Park, C. K. (2006), Predicting carbonation in early-aged cracked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6(5), 979-989.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