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 동양대학교 건축소방안전공학과 석사과정
  2. 종신회원, 동양대학교 스마트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3. 종신회원, 동양대학교 스마트건축공학과 조교수, 공학박사, 교신저자



스카이 브릿지, 면진장치, 경계비선형해석, 상대비, 주상복합 공동주택
Sky bridge, Seismic isolation device, Boundary nonlinear analysis, Relative ratio, Apartment complex

1. 서 론

국내의 경우 토지의 부족, 거주 공간의 부족 및 값비싼 지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초고층 건축물들이 2000년대 이후로 다수 건설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초고층 건축물은 도심지 재개발 사업의 활성화, 고층건축물은 토지이용 효율성 극대화 및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 도시의 Land mark 등과 같은 물리적 요구로 인해 확대되고 있다.

또한, 2023년 서울시가 35층까지만 지을 수 있었던 공동주택의 높이 제한 기준을 삭제하여 주거 공간이 저층 공동주택, 고층 공동주택을 포함한 초고층 공동주택 및 주상 복합 건축물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초고층 공동주택 및 주상 복합건축물의 경우 각 건설사 마다 랜드마크 요소를 감미하기 위하여 스카이 브릿지를 다수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카이 브릿지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고층 건물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 두 건물 사이에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 및 피난 통로의 용도로 스카이 브릿지가 많이 설치된다(Kim et al., 2018; Kim et al., 2017; Hur et al., 2017).

국내의 경우 2007년 양천구 목동 소재 삼성트라팰리스 주상복합 건물에 지상 100 mm 상공 건물 간에 국내 최초로 스카이브릿지가 건설되었다(Fig. 1 참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서는 면진 장치 중 하나인 납삽입면진장치(Lead Rubber Bearing)와 방향성 가이드 역할을 하는 포트 베어링을 이용하여 스카이 브릿지를 설계하고 시공하였다(Lee, 2012).

삼성트라팰리스 주상복합 건물 이후로 스카이 브릿지를 활용한 건축물들이 다수 건설되기 시작하였고, 스카이 브릿지 설치 높이도 다양하게 높이로 설계되었다.

2010년도에는 대성디큐브시티가 건설되었고, 스카이 브릿지 위치는 30층과 32층이며 설계 특징은 두 건물 간 600 mm 정도의 상대 변위를 한쪽 단에서 모두 흡수시키도록 설계되었다(Fig. 2 참조). 양방향 슬라이딩 베어링을 스카이 브릿지 하부에 적용하였다. 또한, 2010년 부산 남천동에 위치한 풍림엑슬루 타워 34층에 스카이 브릿지를 적용하여 건물의 고급화 및 랜드마크 이미지를 부각시켰다(Fig. 3 참조).

2021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동에 위치한 서초 푸르지오 써밋은 최상층에 스카이 브릿지를 설치하여 기존의 스카이 브릿지와 차별화를 두었다(Fig. 4 참조).

일반적으로 스카이 브릿지는 2개 동에 독립적으로 거동하도록 스카이 브릿지 한쪽은 핀 지점, 다른 쪽은 롤러 지점으로 연결한다. 롤러 지점에서 두 건물의 상대 변위를 모두 수용하도록 설계를 하게 된다. 이러한 설계 방식은 교량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과 유사한 설계 방법이지만, 횡방향 변위보다는 연직하중을 주로 전달하는 지점 상세인 반면,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스카이 브릿지는 각 건물의 횡방향 변위 및 비틀림 변위도 수용하여야 하며, 지진하중 및 풍하중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Lee et al., 2024; Lee et al., 2022; Jung et al., 2021; Kim et al., 2016; Kim et al., 2013; Lee et al., 2012; Hur et al., 2010; Kim et al., 2010; Ahn et al.,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고높이 56층(200 m 이상)의 건축물 3개 동에 설치될 2개의 스카이 브릿지 하부 연결장치를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적용하여 지진하중 발생 시 스카이 브릿지의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Fig. 1 Samsung trafellis skybridge 2007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1.png

Fig. 2 Daesung d cube city sky bridge 2010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2.png

Fig. 3 Namcheon-dong poonglim excel tower, 2010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3.png

Fig. 4 Banpo public housing complex 2021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4.png

2. 스카이 브릿지 하부 연결 장치 설계

2.1 건축물의 설계 개요

스카이 브릿지가 적용될 건축물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 Fig. 5 대상 건축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층수는 지하 3층, 지상 36층∼56층으로 이뤄져 있으며 최고 높이는 200 m이다. 세대수는 총 460세대이며, 17층에 스카이 브릿지가 설치되어 있다. 스카이 브릿지의 용도는 카페, 휘트니스 센터, 골프장, 독서실, 도서관 등 커뮤니티시설이 구성되어 있다. Fig. 6은 스카이 브릿지가 설치된 17층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101동 102동 연결한 브릿지(43.2 m)와 102동과 103동을 연결한 브릿지(36.5 m) 두 개가 설치될 예정이다(Fig. 6 참조). 브릿지 설계 시 최초 계획 은 102동의 지점에는 이동이 가능한 장치를 설치하고, 101동 및 103동에는 회전을 수반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고자 계획하였다. 하지만, 두 개의 동을 연결하는 스카이 브릿지와 다르게 본 건축물에 설치되는 스카이브릿지는 3개 동에 2개의 스카이 브릿지가 설치되어 스카이 브릿지의 극한 상황에 대한 변위를 반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이러한 상황을 모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지점에 납삽입고무면진장치(Lead Rubber Bearing, LRB)를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하였다.

Fig. 5 101, 102 and 103 apartment elevation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5.png

Fig. 6 17th floor plan (Sky Bridge)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6.png

2.2 면진장치 설계를 위한 스카이 브릿지의 해석

스카이 브릿지 설계를 위하여 세 개 동을 함께 모델링 하여 정적해석을 수행하였다(Fig. 7 참조). Table 1에 스카이 브릿지 하부 지점에 발생하는 고정하중, 활하중 및 풍하중을 정리하였다. 또한, 설계사에서 스카이 브릿지 안전율을 고려하기 위하여 하부 장치는 설계 시 풍하중의 1.2배의 하중으로 설계하도록 요청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장치 설계를 하였다. Table 2는 1.2배 풍하중 시 발생하는 X 및 Y 방향의 최대변위를 정리한 표이다. 풍하중에 대한 각 지점의 최대변위는 X방향의 경우 127 mm이고 Y방향의 경우 100 mm로 나타났다. Fig. 7과 같이 극단적인 변형을 고려하기 위하여 SRSS를 통한 극한 변위의 값(약 135 mm) 이상을 고려하여 안전하도록 하부 장치를 설계하였다.

Fig. 7 Modeling shape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7.png

Table 1 Static analysis results(unit : kN)

No.

Dead Load

Live Load

Sum

Wind load

Wind*1.2

1

844.2

277.7

1121.9

132.6

159.1

2

743.0

244.5

987.5

127.1

152.5

3

800.8

255.5

1056.3

130.2

156.2

4

655.1

207.8

862.9

127.1

152.5

5

449.1

127.8

576.9

115.8

138.9

6

546.2

152.0

698.2

100.6

120.7

7

519.7

147.9

667.6

98.2

117.8

8

527.4

155.4

682.8

120.9

145.1

Table 2 Maximum displacement for 1.2 times wind load

No.

X (mm)

Y (mm)

SQRT (mm)

1

-127.04

38.01

132.61

2

-126.39

13.12

127.07

3

-125.56

34.27

130.15

4

-126.20

15.04

127.10

5

-79.58

-84.07

115.76

6

-56.20

-83.44

100.60

7

-70.79

-67.99

98.15

8

-69.18

-99.17

120.91

2.3 LRB 설계

정적해석 결과를 활용하여 스카이 브릿지 하부에 설치 되면 면진장치를 설계하였다. LRB의 작용 축력은 1,122 kN 이상이고 수평 변위는 최소 133 mm 이상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LRB의 품질 및 사향은 다음과 같다. 고무 전단탄성계수는 0.39 N/mm²이고, 사용된 납의 전단항복응력은 8.34 N/mm² 이다. 또한, 종탄성계수(EO = 4 × G)는 1.57 N/mm², 체적탄성계수(Eb)는 2,000 N/mm², 적층고무 종탄성계수는(Ec)는 1,323 N/mm²이다. 면진장치의 적용된 플레이트의 인장강도(fu)는 490 N/mm², Socket & Taperd cap의 항복강도(Fy)는 225 N/mm²이고 인장강도(Fu)는 340 N/mm²이다. 장치에 적용되는 고무는 압축에 의한 변형율(식 (1), (2)), 변위에 의한 변형율(식 (3), (4)), 회전에 의한 변형율(식 (5)), 단기하중에 의한 면압(식 (6)), 활하중에 의한 면압(식 (7))을 검토하였다.

(1)

$γ_{C,\: S}=\dfrac{3×V_{D ×1000×(1}+ 8×G×k×S_{1}^{2}/ E_{b})}{4×G×k×S_{1}^{2}×A_{r}}$

$=\dfrac{9,\: 309,\: 777}{16,\: 447,\: 673}= 0.566$ (S1>15) - 상시

(2)
$γ_{C,\: eq}=\dfrac{9,\: 309,\: 777}{15,\: 711,\: 836}= 0.593$ (S1>15) - 지진 시
(3)
$γ_{S,\: S}=\dfrac{\Delta T}{T_{r}}=\dfrac{112}{135}= 0.830 < 1.0$(O.K.) - 상시
(4)
$γ_{S,\: eq}=\dfrac{\Delta T}{T_{r}}=\dfrac{150}{135}= 1.111$ - 지진 시
(5)
$γ_{r}=\dfrac{D_{S}^{2}× α}{2 × t_{i}× T_{r}}=\dfrac{734^{2}× 0.001}{2×4.5×135}=\dfrac{519.5}{1,\: 215}= 0.428$
(6)
$\sigma_{C}=\dfrac{V\times 1000}{(\pi\times D_{S}^{2})/4}=\dfrac{1,\: 500,\: 000}{423,\: 138}$=3.545 MPa < 15 MPa
(7)
$\sigma_{C,\: LL}=\dfrac{V_{L}\times 1000}{(\pi\times D_{S}^{2})/4}=\dfrac{150,\: 000}{423,\: 138}$=0.354 MPa < 7.54 MPa

LRB의 특성치는 아래와 같다. LRB의 항복강도(Qd)는 167.6 kN이고, 1차 강성(Ku)은 11.94 N/mm², 2차 강성(Kd)은 1.17 N/mm², 항복변위(Dy)는 15.55 mm, 상시 최대수평력(Fmax-f)은 172.97 kN, 지진 시 최대수평력(Fmax-e)은 343.13 kN이다. 또한, 유효수평강성(Keff)은2.29 kN/mm이고, 수직강성(Kv)은 4,148 kN/mm 이다. 에너지 소산면적(EDC)는 90,125 kN⋅mm 이고 등가감쇠비($H_{eq}$)는 0.279이다.

(8)
$Q_{d}= T_{y}× A_{l}= 8.34\times 20,\: 106 / 1000 = 167.6$ kN
(9)
$K_{u = 6.5 × K_{d}}×(1+12 ×\dfrac{A_{l}}{A_{s}})= 11,\: 944$ kN/mm
(10)
$K_{d}= G × A_{b}/ T_{r}= 0.39 ×403,\: 032 / 135 = 1,\: 170$ kN/mm
(11)
$D_{y =}\dfrac{Q_{d}}{K_{u - K_{d}}}=\dfrac{167.59}{11.94-1.17}= 15.55$ mm
(12)
$F_{y = Q_{d}}× K_{d × D_{y}}=167.59+1.17×15.55=185.79$ kN
(13)

$F_{\max -f = 1/4 × Q_{d}}× K_{d × d_{s}}$

$= 1/4 × 167.59+1.17 × 112 = 172.97$ kN

(14)

$F_{\max -e = Q_{d}}× K_{d × d_{i}}= 167.59 + 1.17 × 150$

$= 343.13$ kN

(15)
$K_{eff =}\dfrac{Q_{d ×}K_{d × d_{i}}}{d_{i}}=\dfrac{343.13}{150}= 2.29$ kN/mm
(16)

$K_{v =}\dfrac{E_{c × A_{s}}}{T_{r}}=\dfrac{1,\: 323 × 423,\: 138}{135}$

$= 4,\: 148,\: 230\times 10^{-3}= 4,\: 148$ kN/mm

(17)
$EDC = 4 × Q_{d ×(d_{i}}- D_{y})$ $= 4 × 167.59 ×(150-15.55)= 90,\: 125$ kN⋅mm
(18)
$H_{eq =}\dfrac{EDC}{2\Pi × F_{\max -e}× d_{y}}=\dfrac{90,\: 125}{323,\: 392}= 0.279$

여기서, $T_{y}$ = 납 플러그의 전단항복응력(kN/mm²), $A_{l}$=납 플러그의 면적(mm²), $A_{b}$=고무와 철판 간의 접착면적(mm²), $A_{s}$=보강 철판의 면적(mm²), $d_{s}$=상시 설계변위(mm), $d_{i}$=지진 시 설계변위(mm)

Table 3은 설계된 면진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표이고, Fig. 8Fig. 9는 적용된 면진장치 형상 및 면진장치의 이력루프를 나타낸 그림이다.

Fig. 8 Lead rubber bearing device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8.png

Fig. 9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ion bearing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9.png

Table 3 Details of LRB

LRB (Lead Rubber Bearing)

Outer diameter($D$, mm)

750

Lead bar diameter($D_{i}$_mm)

160

Rubber thickness(mm)

4.5

No of rubber layer(ea)

30

Total rubber thickness(mm)

135

Steel plate thickness(mm)

4.0

1st Shape factor S1

40.8

2nd Shape factor S2

5.56

Lateral stiffness(kN/mm)

0.9

Strain due to compression(γC)

0.593

Strain due to rotation(γr)

0.428

3. LRB가 적용된 스카이 브릿지 해석

3.1 입력지진동 및 면진장치 배치

본 해석에 사용된 지진파는 인공지진파 7개[EQ01, EQ02, EQ03, EQ04, EQ05, EQ06, EQ07] 를 선정하였으며, "KDS 41 00(7.3.4.1 설계지진파) “에 따라 대상 건축물의 지반조건인 S4지반의 설계 스펙트럼의 적합하게 Scale을 조정하여 해석에 반영하였다(Fig. 10 참조, MOLIT, 2019). 해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MIDAS GEN 2024를 사용하였고 대상 건축물을 경계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11Fig. 12는 스카이 브릿지에 설치된 면진장치 위치 및 설치 형상을 나타낸 그림이다. LRB는 스카이 브릿지 끝단에 두 개씩 설치되었다.

Fig. 10 Frequency contents of used earthquakes(DBE)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10.png

Fig. 11 17th floor plan (Sky Bridge)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11.png

Fig. 12 Installation of seismic isolation device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12.png

3.2 101동 및 102동 스카이 브릿지 해석결과

Fig. 13Table 4, Table 5Table 6은 경계비선형 해석 후 101동 102동 스카이 브릿지에 대한 해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4에서 알 수 있듯이 스카이 브릿지 하부에 설치된 면진장치의 경우 가장 큰 변위를 발생시킨 No.1의 경우 X방향으로 약 67.9 mm의 변위가 발생되었고, 각 장치별 극한 값인 제곱한제곱근법(SRSS)의 결과도 68.3 mm로 면진장치 최대 변위 허용 값(150 mm)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어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 13 Sky Bridge at Buildings 101 and 102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13.png

Table 5는 면진장치와 하부 기둥과의 상대변위 검토한 표로서 각 지진파 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X방향의 경우 평균 120.9 mm의 변위를 나타내었고 Y방향의 경우 81.0 mm의 변위를 나타내었다. SRSS의 경우에도 145.9 mm를 나타내어 면진장치의 최대 변위 허용 값인 150 mm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able 6은 면진장치와 상부 스카이 브릿지의 상대변위 검토한 표로서 각 지진파 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X방향의 경우 평균 125.7 mm의 변위를 나타내었고 Y방향의 경우 5.9 mm의 변위를 나타내었다. SRSS의 경우에도 125.9 mm를 나타내어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4 No.1∼4 seismic isolation device analysis results (unit : mm)

EQ 01

EQ 02

EQ 03

EQ 04

EQ 05

EQ 06

EQ 07

Average

No.1

X-Dri

2.0

6.0

8.0

8.0

6.0

12.0

7.0

7.0

Y-Dir

76.0

57.0

67.0

88.0

75.0

48.0

64.0

67.9

SRSS

76.0

57.3

67.5

88.4

75.2

49.5

64.4

68.3

No.2

X-Dri

2.0

6.0

8.0

8.0

6.0

12.0

7.0

7.0

Y-Dir

85.0

50.0

57.0

82.0

78.0

38.0

67.0

65.3

SRSS

85.0

50.4

57.6

82.4

78.2

39.8

67.4

65.8

No.3

X-Dri

7.0

6.0

8.0

10.0

1.0

7.0

7.0

6.6

Y-Dir

43.0

37.0

40.0

40.0

53.0

42.0

66.0

45.9

SRSS

43.6

37.5

40.8

41.2

53.0

42.6

66.4

46.4

No.4

X-Dri

7.0

6.0

8.0

10.0

0.0

7.0

7.0

6.4

Y-Dir

45.0

44.0

46.0

48.0

54.0

49.0

70.0

50.9

SRSS

45.5

44.4

46.7

49.0

54.0

49.5

70.3

51.4

Table 5 Relative displacement of LRB lower column (unit : mm)

 

EQ01

EQ02

EQ03

EQ04

EQ05

EQ06

EQ07

Average

X-Dri

119.0

118.0

121.0

129.0

111.0

126.0

122.0

120.9

Y-Dir

87.0

85.0

75.0

69.2

99.0

72.0

80.0

81.0

SRSS

147.4

145.4

142.4

146.4

148.7

145.1

145.9

145.9

Table 6 Relative displacement of LRB upper bridge (unit : mm)

 

EQ01

EQ02

EQ03

EQ04

EQ05

EQ06

EQ07

Average

X-Dri

133.0

127.0

117.0

133.0

122.0

120.0

128.0

125.7

Y-Dir

10.0

4.0

3.0

1.0

9.0

6.0

8.0

5.9

SRSS

133.4

127.1

117.0

133.0

122.3

120.1

128.2

125.9

3.3 102동 및 103동 스카이 브릿지 해석결과

Fig. 14Table 7, Table 8Table 9는 경계비선형 해석 후 102동 103동 스카이 브릿지에 대한 해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7에서 알 수 있듯이 102동 및 103동에 설치된 스카이 브릿지 경우 101동 및 102동에 설치된 스카이 브릿지 하부에 설치된 면진장치 보다 작은 변위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석결과, No. 7 면진장치에서 최대 변위(23.4 mm)가 발생되었다. 면진장치 최대 변위 허용 값(150 mm)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어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able 8Table 9는 면진장치와 하부 기둥 및 상부 스카이 브릿지의 상대변위를 검토한 표이다. Table 8Table 9에도 알 수 있듯이 101동 및 102동 설치된 스카이 브릿지에 비해 기둥과 면진장치의 상대변위도 작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01동 및 102동에 설치된 스카이 브릿지의 길이에 비해 스카이 브릿지의 길이가 짧고 설치 위치가 평면상 끝이 아닌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면진장치의 변위, 면진장치 하부 기둥 및 상부 스카이 브릿지의 상대변위가 작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4 Sky Bridge at Buildings 102 and 103

../../Resources/ksm/jksmi.2024.28.6.173/fig14.png

Table 7 No.5∼8 seismic isolation device analysis results (unit : mm)

EQ 01

EQ 02

EQ 03

EQ 04

EQ 05

EQ 06

EQ 07

Average

No.5

X-Dri

3.0

13.0

5.0

5.0

8.0

12.0

13.0

8.4

Y-Dir

1.0

5.0

6.0

6.0

3.0

4.0

1.0

3.7

SRSS

3.2

13.9

7.8

7.8

8.5

12.6

13.0

9.6

No.6

X-Dri

8.0

4.0

2.0

6.0

9.0

6.0

4.0

5.6

Y-Dir

3.0

13.0

5.0

5.0

8.0

12.0

13.0

8.4

SRSS

8.5

13.6

5.4

7.8

12.0

13.4

13.6

10.6

No.7

X-Dri

2.0

1.0

4.0

3.0

7.0

5.0

3.0

3.6

Y-Dir

27.0

15.0

25.0

32.0

29.0

15.0

18.0

23.0

SRSS

27.1

15.0

25.3

32.1

29.8

15.8

18.2

23.4

No.8

X-Dri

3.0

2.0

4.0

3.0

8.0

6.0

3.0

4.1

Y-Dir

10.0

3.0

10.0

12.0

10.0

0.0

7.0

7.4

SRSS

10.4

3.6

10.8

12.4

12.8

6.0

7.6

9.1

Table 8 Relative displacement of LRB lower column (unit : mm)

 

EQ01

EQ02

EQ03

EQ04

EQ05

EQ06

EQ07

Average

X-Dri

30.0

22.0

20.0

28.0

33.0

28.0

17.0

25.4

Y-Dir

72.0

60.0

62.0

94.0

94.0

75.0

61.0

74.0

SRSS

78.0

63.9

65.1

98.1

99.6

80.1

63.3

78.3

Table 9 Relative displacement of LRB upper bridge (unit : mm)

 

EQ01

EQ02

EQ03

EQ04

EQ05

EQ06

EQ07

Average

X-Dri

30.0

27.0

23.0

18.0

24.0

28.0

12.0

23.1

Y-Dir

61.0

47.0

50.0

80.0

79.0

66.0

43.0

60.9

SRSS

68.0

54.2

55.0

82.0

82.6

71.7

44.6

65.4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최고높이 56층(200 m)의 건축물 3개 동에 설치될 2개의 스카이 브릿지 하부 연결장치를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적용하여 지진하중 발생 시 스카이 브릿지의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스카이 브릿지 하부 면진장치 설계를 위하여 3개동을 함께 모델링하여 스카이 브릿지 층에 발생하는 하중과 변위를 검토하였다. 하중의 경우 고정하중, 활하중, 풍하중 및 풍하중의 1.2배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면진장치를 설계하였다. 스카이 브릿지에서 발생하는 변위의 경우에는 각 하중에 대한 장치의 X방향 및 Y방향의 변위와 두방향의 제곱한제곱근법(SRSS)의 최대변위로 설계하였다. 스카이 브릿지 하부의 면진장치는 축하중을 1,500 kN을 받을 수 있으며 수평변위의 경우에는 모든방향으로 150 mm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2) 101동 및 102동에 설치되는 스카이 브릿지의 하부 면진장치의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면진장치의 최대변위는 67.9 mm로 나타내었다. 또한, 면진장치 하부 기둥과의 상대변위는 145.9 mm를 나타내었고, 면진장치 상부 브릿지와의 상대변위는 125.9 mm를 나타내어 면진장치의 최대 변위 허용 값인 150 mm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진장치는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102동 및 103동에 설치되는 스카이 브릿지의 하부 면진장치의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면진장치의 최대변위는 23.4 mm로 나타내었다. 면진장치 하부 기둥과의 상대변위는 78.3 mm를 나타내었고, 면진장치 상부 브릿지와의 상대변위는 65.4 mm를 나타내어 면진장치의 최대 변위 허용 값인 150 mm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진장치는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설치되는 스카이 브릿지의 길이와 스카이 브릿지가 평면상 위치에 따라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4) 스카이 브릿지의 하부 면진장치 설계 시에는 건물의 인동 간격 및 스카이 브릿지의 평면상 위치에 따른 추가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여, 이에 감사드립니다(NRF-2022R1F1A1063821, NRF-2022R1I1A 1A0106389911).

References

1 
Kim, H. S., Kim, S. G., and Kang, J. W.,(2018), Seismic Response Evaluation of Mid-Story Iso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 Isolation Devi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18(1), 109-116.DOI
2 
Kim, G. C., Kim, H. S., and Kim, S. G., (2017), Serviceability Evaluation of Sky Bridge with Isolation De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17(2), 71-77.DOI
3 
Hur, M. W., Lee, Y. H., Kim, J. H., Park, C. Y., and Lee, S. H., (2017), Seismic Isolation Effects by the Isolation Period of the Vertically Storyadded Remodeling Building,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1), 705-706.URL
4 
Hur, M. W., Yoon, J. H., and Park, T. W., (2017),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seismic designed Low-rise Building Retrofitted by Isolation device, Conference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323-324.URL
5 
Lee, Y. H., Lee, S. H., and Hur, M. W., (2024), Evaluation of Vertical Vibration Performance of Tridimensional Hybrid Isolation System for Traffic Load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8(1), 71-81.DOI
6 
Jeong, S. B., Choi, H. S., Seo, Y. D., and Jung, D. H., (2022), Dynamic Responses of Base Isolation Devices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n Building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6(1), 39-48.URL
7 
Seo, Y. D., Choi, H. S., Kim I. T., Kim, J. H., and Jeong, Y. S., (2021), Identification of Failure Cause for Elastomeric Bearing in Bridge by Earthquak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6), 19-26.DOI
8 
Kim, J. Y., and Jeon, B. K., (2016),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Yongsan 3-Zones Development Project, Technical Reports of Koream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8(6), 54-59.URL
9 
Kim, H. S., (2013), Study of Structural Design Method of Friction Pendulum System for Fail Safe of a Sky-Brid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7), 3502-3507.DOI
10 
Lee, D. G., and Kim, H. S., (2012), Evaluation of Coupling-Control Effect of a Sky-Bridge for Adjacent Tall Buildings, The Structural Design of Tall and Special Buildings, 21, 311- 328.DOI
11 
Lee, M. K., (2012), Domestic Construction Cases of High Rise Building Sky Bridge, Technical Reports of the Korean Society for Spatial Structures, 12(3), 18-22.URL
12 
Hur, M. W., Ann, T. S., Son, J. W., and Kim, C. S., (2010), Construction of Isolation Device for DONG-IL High-Vill New City”,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4(5), 81-86URL
13 
Kim, H. S., Park, Y. K., Ko, H., Lee, U. H., and Lee, D. G., (2010), Performance Evaluation of Vibration Control According to Installation Location of a Sky-bri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10(3), 65-74.URL
14 
Ahn, S. K., and Oh, J. K., (2005), Vibration Control of High-rise Buildings Structure using Sky- Bridge, Spring Confere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5-38.URL
15 
MOLIT (2019),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s (KDS 41 17 00),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n).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