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섭
(Young-Sub Yang)
1
김봉균
(Bong-Kyun Kim)
2
이병재
(Byung-Jae Lee)
3
김윤용
(Yun-Yong Kim)
4†
-
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정회원, (주)정우소재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
정회원, 대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조교수
-
정회원,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산업부산물, 탄소저감, 플라이애시, 실리카퓸, 고로슬래그미분말
Key words
Industrial by-products, Carbon reduction, Fly ash, Silica fume, Blast furnace slag powder
1. 서 론
2021년 정부의 ‘탄소중립 2050 시나리오’가 발표된 후 건설분야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여러 가지 연구 및 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탄소배출과 관련하여 정부는 이른바 탄소중립기본법을 제정하여 2022년부터 시행함으로써 건축물의 설계⋅건설⋅유지관리⋅해체 등의 전 과정에서 에너지⋅자원
소비를 최소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설계기준 및 허가⋅심의를 강화하는 등 설계⋅건설⋅유지관리⋅해체 등의 단계별 대책 및 기준을 마련하여
시행(Ministry of Environment, 2024)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시멘트 산업의 경우 클링커 등 제조 과정에서 고온의 가열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어
전체산업의 CO2 배출량 중 1/4을 차지(Mckinsey & Company, 2020)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온실가스 최대 배출 업종은 주로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정유 등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중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공정 배출량은 2021년 기준으로 23백만톤(Gg CO2eq)(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23) 달하며 이러한 시멘트 산업 등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EU는 클링커 레벨에서는 습식에서 건식으로 전환하고, 시멘트 레벨에서는 혼합재의 종류 및
사용량을 증대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보고(Bae et al., 2022)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시멘트 산업의 주요 온실가스 감축 수단 중 하나로 비탄산염 대체비율 및 혼화재 비율과 혼합시멘트 생산배율 증대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철강 부산물인 고로슬래그와 발전 부산물인 플라이애시 등을 주로 사용하는 것을 바람직하다고(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22)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및 실리카퓸 등의 산업부산물을 콘크리트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실리카퓸의 경우 실리콘
금속을 전기 아크식 노에서 제조할 때 배기가스 중 떠다니는 초미립분을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회수하여 제조한 것으로써 분말도와 실리카 함유량이 높아 매우
효율적인 포졸란 재료로써 시멘트 대체재로서 활용되어 왔다(Oh, et al., 1989). 플라이애시는 수화 초기 단계에는 자체적으로 반응을 하지 않지만 충진 효과로 시멘트 클링커의 수화반응을 증가시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Kim et al., 2016)되고 있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경우 알칼리 활성화제를 사용할 경우 초기강도를 높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단점인 강도발현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Moon et al.,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퓸,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등 OPC 대체용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탄소저감형 3DP 출력물의 제조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3DP 출력을 위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구성능을 평가하고 포틀랜드시멘트 대비 탄소저감량을 분석하였다.
2. 실험 개요
2.1 실험 재료
2.1.1 결합재
탄소저감형 3DP용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결합재는 보통포틀랜트시멘트(OPC)와 이를 대체하여 모르타르에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재료로
선정을 하였다.
이 중 시멘트 대체재료 선정에 있어 알파형 반수석고의 활용 가능성을 선행 검토한 바 있다(Lee et al., 2022). 실리카 퓸 등의 산업부산물과 알파형 반수석고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때, 산업부산물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단위 시멘트량을 약 50% 가까이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시멘트 대체재료로써 강도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3DP 출력과정에서 급결작용으로 인해 배관막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생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실리카퓸(SF), 플라이애시(FA)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BS)을 시멘트 대체재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결합재료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아래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ementitious materials
Item
|
OPC
|
BS
|
FA
|
SF
|
Density [g/cm3]
|
3.15
|
2.89
|
2.14
|
2.10
|
Blaine [cm2/g]
|
3,318
|
4,031
|
3,750
|
180,000
|
SiO2 [%]
|
21.1
|
28.2
|
56.3
|
87.0
|
Al2O3 [%]
|
6.7
|
15.8
|
21.5
|
1.4
|
Fe2O3 [%]
|
2.9
|
1.0
|
6.8
|
1.4
|
CaO [%]
|
61.7
|
46.0
|
5.1
|
0.4
|
MgO [%]
|
3.1
|
4.1
|
1.9
|
-
|
K2O [%]
|
2.0
|
-
|
1.0
|
-
|
Na2O [%]
|
0.17
|
-
|
1.5
|
-
|
SO3 [%]
|
0.84
|
2.1
|
0.6
|
-
|
LOI [%]
|
0.15
|
0.33
|
4.10
|
0.71
|
2.1.2 잔골재
본 실험에서 잔골재는 국내 생산된 S사의 규사(0.7∼1.4mm)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규사의 물리적 성질은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silica sand
Type
|
Particle size
[mm]
|
SSD1)
[g/cm3]
|
Water
absorption ratio
[%]
|
Unit volume
weight [kg/L]
|
Silica sand
|
0.7~1.4
|
2.59
|
1.42
|
1.387
|
*1) SSD : Surface dried specific gravity of aggregate
2.1.3 혼화제
본 실험에서 사용한 혼화제는 국내 S사의 폴리카르복실산계를 주성분으로 하는 AE감수제를 사용하였으며, 물성은 아래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superplasticizer
Appearance
|
Density [g/cm3]
|
pH value
|
Light yellow liquid
|
1.04 ± 0.03
|
5 ± 2
|
2.2 배합 및 성형
2.2.1 시험계획 및 배합
탄소저감형 3DP 시멘트모르타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OPC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및 실리카퓸이 혼합된 결합재와 규사의 배합비율을 1:1.5로
하였으며, 결합재의 배합비율은 사전 기초 실험을 통해 도출하였다.
또한 혼화제의 혼입비율을 조절하여 각 배합이 목표 흐름값 170±5%에 부합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른 배합비율은 아래 Table 4와 같다.
Table 4 Mixing design of mortar
Type
|
Target
flow[%]
|
S/B
|
Mixing ratio [%]
|
C
|
BS
|
FA
|
SF
|
A-1
|
170±5
|
1.5
|
20.0
|
-
|
45.0
|
35.0
|
A-2
|
20.0
|
-
|
35.0
|
45.0
|
B-1
|
30.0
|
-
|
40.0
|
30.0
|
B-2
|
30.0
|
-
|
30.0
|
40.0
|
C-1
|
35.0
|
5.0
|
35.0
|
25.0
|
C-2
|
35.0
|
5.0
|
25.0
|
35.0
|
C-3
|
35.0
|
8.0
|
33.5
|
23.5
|
C-4
|
35.0
|
8.0
|
23.5
|
33.5
|
2.2.2 시험체 성형 및 양생
압축 및 휨강도 시험과 pH실험 을 위한 시험체는 40x40x 160 mm의 각주형 시험체 몰드에 2층으로 성형하되 진동테이블을 사용하여 다짐을 실시한
후 각 배합요인별로 3개씩 성형하였다. 또한 시험체의 양생은 몰드에 시험체를 성형한 후 습윤상태로 보관하고 이후 20∼24시간내에 탈형하여 20±1℃의
온도로 유지되는 양생수조에서 침지하여 28일간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2.3 실험 방법
2.3.1 압축 및 휨강도 시험방법
휨강도 시험은 40x40x160 mm의 각주형 시험체를 대상으로 3점 하중법으로 하되 50±10 N/s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각 배합당 3개의 각주형
시험체의 하중값을 산술평균하여 최종 결과값으로 표현하였다.
압축강도 시험은 휨강도 시험으로부터 파단된 각주형 시험체 조각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되 2,400±200 N/s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강도를 측정하였고
각 배합당 총 6회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산술평균하여 최종 결과값으로 하였다.
또한 강도시험을 위한 시험체는 재령 28일간 양생수조에서 수중양생 후 양생수조에서 꺼내어 30분 이내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나머지 세부사항은 KS
L ISO 679에 따라 실시하였다.
2.3.2 알칼리 용출량 시험방법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알칼리용출량 측정을 위한 기준은 아직 국내에 제시된 바가 없으므로,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을 준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알칼리 용출량 측정을 위한 시료는 압축강도 시험 후 파쇄된 시료를 60℃로 24시간 건조한 후 이를 모두 분쇄하여 0.15 mm 체를 통과한 분말시료
10 g을 제조한 뒤 증류수 25 ml와 함께 5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방치한뒤 비커의 상층액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pH측정은 각 시료당 최소 3회 이상을 실시하되 측정값이 0.05 이하의 차이를 보일 때까지 반복하여 측정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여 최종 결과값으로
하였다.
Fig. 1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test
2.3.3 동결융해시험방법
동결 융해 시험은 KS F 2456 「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 시험 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공시체는 100 × 100 × 400
mm 의 각주형 공시체를 각 배합별 3개씩 제작하여 20±5℃ 항온항습실에서 양생하고 재령28일에 동결 융해 시험기를 이용하여 공시체의 중심부 온도를
동결시 –18℃로 떨어지고 융해시 4℃까지 상승하는 것을 1cycle로 하였다. 300cycle 까지 반복 후 상대 동탄성계수 및 질량 감소율을 측정
하였다. 동결융해시험장치는 Fig. 3에 제시하였다.
2.3.4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체의 제작은 Ø 100 × 200mm 원주형 공시체를 각 배합별 3개씩 제작하여 20±5℃ 항온항습실에서 양생하고, 재령28일에 50 mm길이로
3등분 절단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험체는 KS F 2711 「전기 전도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 방법」에 준하여 Fig. 4와 같이 실시하였다.
Fig. 4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3. 실험 결과
3.1 압축 및 휨강도시험 결과
탄소저감형 모르타르의 압축 및 휨강도 시험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Fig. 5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test
먼저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보통포틀랜트시멘트와 플라이애시, 실리카퓸만을 활용한 경우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위시멘트 배합비율이 20%인 A-시리즈는 약 16.0∼17.2 MPa을 보였으나 30%인 B-시리즈는 약 24.1∼25.9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
A-시리즈보다 B-시리즈의 압축강도가 약 1.5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리카퓸과 플라이애시가 동시에 혼입된 경우 각 재료의 혼입비율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면 플라이애시의 혼입비율이 높은 A-1과 A-2 보다 실리카퓸의
혼입비율이 높은 A-2와 B-2가 약 7.5% 정도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강도 개선 효과는 플라이애시보다 실리카퓸이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혼입에 따른 압축강도 시험결과(C-1∼ C-4)를 살펴보면, 동일한 일반시멘트 배합비율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배합비율이 5%에서
8%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는 약 1.5∼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휨강도 시험결과는 압축강도 시험결과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압축 및 휨강도의 시험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S/B를 1.5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체 결합재의 65∼70%를 산업부산물로 대체하여도 24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경제성
측면에서 플라이애시나 실리카퓸 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활용을 위해서는 알칼리 활성화제 사용이
강제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Result of pH variation
3.2 pH 실험 결과
아래 Fig. 2에 각 배합요인별 시험체의 분말시료를 이용한 수용액의 pH 시험결과를 나타내었고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9.80∼12.11의 pH 시험결과를
보였다. 선행시험결과 S/B 1.5의 시멘트 모르타르 시험체(Plane)의 pH는 12.28∼ 12.33의 결과를 보인 것에 비하면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보통시멘트 배합비율보다 높은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보통시멘트의 배합비율을 살펴볼때 pH저감에 가장 큰 요인은 단위시멘트량의 저감으로 판단되나, 산업부산물의 사용 측면에서 살펴보면 강도시험 결과와는
반대로 실리카퓸보다 플라이애시가 pH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의 수화과정에서 다량의 수산화칼슘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통 pH 12∼13의 강알칼리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강알칼리성으로
인해 내부의 철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나 콘크리트의 수산화칼슘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반응하면 탄산칼슘을 생성하여 점차 알칼리성을 잃게 되어
내부의 철근 부식이 촉진되므로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은 구조물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생태계와 조화 및 공생에 적합한 형태의 콘크리트 라는 환경친화 콘크리트(JCI, 1995)의 개념에서 생각하여 보면 높은 pH는 생물의 서식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에코콘크리트, 그린콘크리트, 식생콘크리트(Han, 2003; Shunsuke, 2001) 등으로 명명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바 있고 특히 생물에 적합한 서식환경 제공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의 pH를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Sung et al., 2002).
이러한 생물의 서식환경에 적합한 콘크리트는 하천 사면에 설치되는 호안블록 및 경관 보도용 잔디블록 등의 녹화을 위한 환경 뿐만 아니라 수중의 인공어초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플라이애시 및 실리카퓸,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의 산업부산물을 다량 활용할 경우 탄소저감 효과와 더불어 친환경적인 콘크리크의
제조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3.3 염소이온침투저항성
탄소저감형 모르타르의 배합조건별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시험결과는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 Result of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단위시멘트량이 가장 낮은 A-시리즈 배합의 경우 통과전하량이 6,048∼6,999 범위로 측정되어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단위시멘트량이 비교적 높은 B-시리즈 배합의 경우 5,150∼6,450 범위로 측정되어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이 다소 개선되었다. 이는 포졸란 반응에 필요한
Ca(OH)2의 생성이 낮은 A-시리즈 배합조건에서 모르타르 내부의 매트릭스가 치밀해지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동일 시멘트 조건에서는 플라이애시 혼입량보다
실리카퓸의 혼입량이 많은 배합조건에서 미소하지만 침투저항성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조건에 따른 C-시리즈 배합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혼입량 증가에 따라 통과전하량 값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배합조건에서 A, B시리즈보다 시험체별 통과전하량의 표준편차가 감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5% 및 8% 대체 혼입시 통과전하량이 평균 최대 4,994에서 최소 4,148까지 약 850 C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잠재수경성에 의해 생성된 C-S-H겔이 공극구조를 개선(KCI, 2016)시켰기 때문에 수밀성이 향상되어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조건에서는 플라이애시 혼입량보다 실리카퓸의
혼입량이 많은 배합조건에서 미소하지만 침투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4 내동해성 평가
탄소저감형 모르타르의 배합조건별 내동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동결융해 사이클에 따른 상대동탄성계수 측정결과를 Fig. 8에 나타내었다.
Fig. 8 Results of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 및 B-시리즈 배합의 경우, 저강도 모르타르로 제작되어 300사이클 기준 상대동탄성계수가 80% 이하로 측정되어 일반콘크리트 대비 낮은 동결융해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단위시멘트량이 높은 C-시리즈 배합의 경우, 80%이상의 상대동탄성계수를 나타내어 산업부산물이 혼입되어 초기 강도가 낮은 배합조건에도
일반콘크리트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시리즈의 경우, 단위시멘트량이 가장 작은 배합조건으로서, 낮은 강도 경향과 유사한 동결융해저항성을 나타내어 300사이클 기준 66.0∼69.3%의
상대동탄성계수를 나타내었다. B-시리즈의 경우 100 사이클에서 일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C-시리즈보다 높은 상대동탄성계수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최종 300사이클에서는 80%보다 낮은 상대동탄성계수를 나타내었다. A, B-시리즈 모두 실리카퓸의 높은 혼입률에서 미소하지만 높은 상대동탄성계수를
나타내 플라이애시보다 높은 내동해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시리즈의 경우, 단위시멘트량 증대에 따라 초기강도 발현이 빨라져 내동해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에 따라서는 혼입량이 높은 C-3,4의 배합조건에서 낮은 상대동탄성계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 모르타르의 초기강도 저하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3.5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 CO2 배출양 분석
콘크리트 생산시 CO2 배출량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경계는 원료채취에서부터 생산까지 전단계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과정 CO2 배출 양의 평가를 위한 시스템 경계는 원료채취에서부터 폐기 및 재활용단계 까지이다. 본 절에서는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 제작시 배출되는 CO2량을 평가하고자 하며, 재료 단계의 CO2 배출량을 배합조건별로 Fig. 9에 나타내었다.
배합조건별 잔골재 및 물, 생산시의 CO2 발생량은 동일한 조건으로서, 배합조건에 따른 원료만의 CO2 배출량만을 평가하였으며, 기존 문헌에서 콘크리트 생산시 재료 운송에 따른 CO2 배출량은 재료의 1% 미만으로 제시되고 있어 배제하였다.
평가결과, 재료의 CO2 배출량은 모든 배합조건에서 시멘트가 98.5∼99.1%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결합재 조건에서 OPC로만 제작한 경우 CO2 배출량이 93.1 CO2-kg/ton 인 경우와 비교하면, 20.3∼35.5% 정도로 배출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로슬래그 및 실리카퓸, 플라이애시 등 OPC 대체용 산업부산물을 다량 활용하여 압축강도
특성과 내구성능 및 CO2 배출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압축 및 휨강도 시험결과, 배합요인별로 압축강도 시험과 휨강도 시험결과는 비슷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플라이애시보다 실리카퓸의 배합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강도를 보였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경우 큰 강도개선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며, 결합재의 65∼70%를 산업부산물로 대체하여도 24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pH 시험결과 전체적으로 9.80∼12.11의 pH 결과를 나타내 일반 시멘트모르타르의 12.28∼12.33보다 다소 낮은 알칼리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산업부산물을 다량활용할 경우 탄소저감과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제조측면에서 동시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3)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실험결과, 단위시멘트량이 가장 많이 사용된 C-시리즈에서 가장 낮은 통과전화량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시
내염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동결융해시험 결과, 산업부산물 65% 혼입조건에서도 초기재령에서 측정한 상대동탄성계수가 80% 이상으로 나타나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5)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의 CO2 배출양 분석결과, 모든 배합조건에서 OPC가 CO2 배출양의 98.5∼9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탄소저감형 시멘트 모르타르 제조를 위한 다량의 산업부산물 적용 특성을 평가한 결과, 본 연구 범위에서는 C-2 배합조건이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능,
탄소배출량 등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RF-2020R1A2C1101465).
References
Ministry of Environment. (2024), The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ramework
Act to Address the Climate Crisis.
Mckinsey & Company. (2020), Laying the foundation for zero-carbon cement.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23), 2023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Bae, S. C., Moon, J. H., and Nam, J. S. (2022), Global Status of Cement-Concrete Carbon
Neutrality, 34(1), 50-58.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22), Strategies and Policy Challenges
to Promote Carbon Neutrality in the Korean Cement Industry, 51-55
Oh, B. H, and Um, J. Y. (1989), Mechanical Behavior and Optimum Mix Design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Condensed Silica Fume Admixtur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1), 75-86.
Kim, J. H., Park, B. S., Hung, S. H., and Choi, Y. C. (2016), Effect of Properties
of Fly-as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ly-ash Mortars,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4(4), 439-445.
Moon, H. Y., and Shin, D. G., (2005) Effect of Alkali Activators on Early Compressive
Strength of Blast-Furnace Slag Mort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9(3), 120-128.
JCI. (1995), Proc. of JCI Symposium on the Present and Future Views of Environmentally
Friendly-Concrete, 1-136.
Han, C. G. (2003), Environment Conscious Concrete, 47(5), 16-19.
Shunsuke, H. (2001), ECO-CEMENT AND ECO-CONCRETE Environmentally Compatible Cement
and Concrete Technology, 1, 1-14.
Sung. C. Y., and Kim, Y. I. (2002), Experimental Study on pH Reduction by Neutralization
Treatment and Curing Methods of Porous Concrete for Pla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4(2), 99-106.
Lee, B. J., Kim, B. K., and Kim, Y. Y. (2022), Strength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ow-alkali Mortar for Artificial Reefs Produced by 3D Printers, 26(1), 67-72.
Korea Concrete Institute (2016), ‘Concrete & Enviroment’, Kimundang, Seoul, 238-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