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학생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2.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3. 종신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격자형 CFRP 보강재, 인장강화, 균열 간격, 유한요소해석
Grid-type CFRP, Tension stiffening, Crack width, Finite element analysis

1. 서 론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는 경제성, 시공성, 형상 자유도와 같은 이점으로 국내 사회기반시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이다. 그러나 겨울철 제설제로 유입된 염화물이 콘크리트의 공극과 균열을 따라 침투하면 철근 표면의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며(Lee et al., 2015), 이때 생성된 팽창성 부식 부산물이 축적되면서 콘크리트 피복층이 박락하고 철근 단면이 감소하면,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향후 유지관리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Kim et al., 2020).

따라서 철근 부식 문제에 대한 재료적 대안으로 섬유 강화 폴리머(Fiber-Reinforced Polymer, FRP)가 비부식성 보강재로 주목받고 있으며(Jang et al., 2021), FRP는 높은 인장강도, 경량성, 비부식성을 보유하고, 피로 및 화학적 저항성도 우수하다(Raza Ali et al., 2021). 특히 탄소섬유(CFRP)는 약 140 GPa 수준의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확보하고 있어 보강근, 시트, 스트럽 형태로 철근 대체나 외부 보강에 폭넓게 사용되지만(Bank, 2006; Hollaway, 2013), 보강근과 스트럽 형태는 굴곡부에 부착강도 저하가 발생하여 구조적 일체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Huang et al., 2020).

최근 개발된 격자형 CFRP 보강재(이하 탄소그리드)는 종방향 및 횡방향 섬유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절단 후에도 복잡한 기계적 앵커 없이 간단한 임시 리벳만으로 정착 가능하고, 다방향 정착이 용이해 시공 비용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격자부의 횡방향, 종방향을 통한 응력 전달로 균열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Guo et al., 2019; Duan et al., 2024).

인장 하중이 작용하는 RC부재는 균열 이후에도 보강재와 균열 간 콘크리트가 하중을 공유함으로써 일정 강성을 유지하는 데, 이를 인장강화(tension stiffening) 효과라고 하며, 이 거동은 균열 제어와 내구성 확보에 직결되므로(CEN, 2004), 탄소그리드가 인장강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일은 균열 제어 및 내구성 설계를 위해 필수적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GFRP 또는 CFRP 보강근을 적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인장강화 거동을 실험으로 규명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었으나(Pantelides et al., 2012; Kim et al., 2019), 주로 일방향 섬유 보강 또는 시트 부착에 한정되어 있으며, 다방향 응력 전달 특성을 지닌 탄소그리드의 효과를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탄소그리드에 관한 연구 역시 부착강도(Noh et al., 2024)와 휨 거동(Zhang et al., 2024)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장강화 구간의 응력–변형 관계와 내부 응력 재분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어 탄소그리드 적용 시 균열 제어 성능과 설계 적정성을 판단할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그리드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콘크리트 강도와 횡방향 격자 간격을 변수로 설정하여 시험체를 제작하고 직접인장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Eurocode 2의 제안식과 비교해 기존 모델 코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유한요소해석(Abaqus/Explicit)을 통해 해석적으로 검증하여, 균열 형상과 내부 응력 재분배를 분석하였다.

2. 인장강화효과 분석 모델

Fig. 1은 일반적인 인장강화 거동을 단계별로 도식화한 것이다(Fib Model Code, 2010). 균열 발생 전 구간(pre-cracking)에는 콘크리트가 미세한 변형만을 보이며 콘크리트와 보강재가 함께 선형 탄성 거동을 보인다(Bischoff, 2003).

초기 균열이 형성된 이후 구간(crack-development)에는 콘크리트가 추가 균열로 인해 응력 전달이 감소하면서 보강재가 하중을 더 많이 부담하며, 보강재와 콘크리트 간의 부착 응력 분포가 중요하게 작용하여 균열 간 간격과 폭에 영향을 미친다.

균열이 증가하지 않는 구간(post-cracking)에는 균열이 안정적으로 형성된 후 보강재가 대부분의 하중을 부담해 부재 거동은 보강재 단독 인장 곡선에 수렴한다. 이때 실선(복합 곡선)과 점선(보강재 단독 곡선)사이의 면적이 인장강화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실험 및 해석 결과를 비교하고 평가한다(Martins et al., 2020).

이러한 인장강화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 모델이 제시되어 왔으며, 특히 Eurocode 2(CEN, 2004)에서는 FRP 보강근이 사용된 콘크리트 구조의 인장강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 식을 제안하고 있다.

(1)
$\varepsilon_{com}=\varepsilon_{1}\left(\dfrac{\sigma_{FRP,\: cr}}{\sigma_{FRP}}\right)^{2}+\varepsilon_{FRP}\left[1-\beta_{1}\beta_{2}\left(\dfrac{\sigma_{FRP,\: cr}}{\sigma_{FRP}}\right)^{2}\right]$
(2)
$\varepsilon_{1}=\dfrac{P}{E_{FRP}A_{FRP}+E_{c}\left(A_{g}-A_{FRP}\right)}$

여기서, $\varepsilon_{com}$는 합성 변형률, $\varepsilon_{FRP}$는 FRP 보강재의 변형률, $\sigma_{FRP,\: cr}$는 균열 발생 시 FRP 보강재의 응력, $\sigma_{FRP}$는 보강재의 응력이며, $\varepsilon_{1}$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단면의 변형률을 나타내고, $\beta_{1}$는 표면 특성 계수로 나선형 보강재에는 1.0, 일반형 보강재는 0.5를 적용한다. $\beta_{2}$는 하중 계수로, 단기 하중은 1.0, 장기 지속 하중의 경우 0.5를 사용한다.

Fig. 1 Typical stress-strain relationship illustrating the tension stiffening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1.png

3. 실험 개요 및 방법

3.1 재료 특성

3.1.1 콘크리트 배합 및 강도

본 연구에서는 설계기준압축강도 각각 30 MPa와 60 MPa인 콘크리트(C30, C60)를 제작하였으며, 배합비는 Table 1과 같다. 두 배합 모두 원활한 작업을 위해 유동화제(admixture, AD)를 시멘트 질량 대비 약 1% 수준으로 혼입하였다. 압축강도 및 쪼갬인장강도 시험용 공시체는 KS F 2403 기준에 따라 지름 100 mm, 높이 200 mm의 원주형으로 3개씩 제작하여, 3 일, 7 일, 28 일 양생 후 측정하였다. 평균 28 일 압축강도는 C30과 C60 각각 30.98 MPa, 62.18 MPa로 설계치를 모두 충족하였고, 동일한 공시체에서 측정한 평균 28 일 쪼갬인장강도는 C30과 C60 각각 3.32 MPa, 5.20 MPa로 나타났으며, 실험 결과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1 Concrete mix proportions

fck

(MPa)

Gmax

(mm)

W/C

(%)

Slump

(mm)

S/a

(%)

Unit of weight(kg/m3)

C

W

S

G

AD

30

25

43.0

150

50.0

405

185

875

867

4.05

60

25

30

150

49

550

160

820

870

5.70

Table 2 Average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Specimens

No. of Days

Compressive strength

(MPa)

Tensile strength

(MPa)

C30

3

12.38

2.54

7

20.85

2.66

28

30.98

3.32

C60

3

43.28

2.55

7

49.09

2.93

28

62.18

5.20

3.1.2 탄소그리드의 인장강도

본 연구에 사용한 탄소그리드는 국내 A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형상은 폭 20 mm, 두께 2 mm의 탄소섬유를 종⋅횡 100 mm 간격으로 직교 배치한 뒤 에폭시 수지로 일체 성형한 구조이다. 격자 매립 시 실제로 보강재 역할을 하는 축방향 1열만을 인장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은 ASTM D7205 절차를 준용하고, 볼트형 압착지그를 이용해 시편을 고정한 뒤, 용량 1,200 kN 유압식 만능재료시험기(UTM)에서 변위 2 mm/min 속도로 재하하였다. 시편 중앙부 앞⋅뒷면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해 변형률을 계측하였다. 3 개의 반복 시험 결과, 평균 인장강도는 약 900∼1,100 MPa 범위에서 파단되어, 탄성계수는 133 GPa로 측정되었으며, 파단은 모두 중앙에서 발생하였다. 보강재 제원과 역학적 특성은 Table 3, 시험 전경 및 응력-변형률 곡선은 Fig. 2에 각각 제시하였다. 한편, Min et al. (2023)은 동일 공정으로 제작한 탄소그리드 단일 스트랜드의 인장강도를 2,837 MPa로 보고하였다. 이를 본 연구의 인장시험 결과와 비교하면 격자 형상화 과정에서 강도가 약 65%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2 Tensile test setup and stress-strain curve of CFRP (K4)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2.png

Table 3 Mechanical properties of CFRP grid reinforcement

Specimens

K4

Fiber

High Strength Carbon Fiber

Resin

Epoxy

Structures

Cross Laminate Structure

Cross Section Area (mm2)

40

Tensile Force (kN)

41

Tensile Strength (MPa)

1,025

Elastic Modulus (GPa)

133

3.2 직접인장시험 시험체 제작

콘크리트 강도와 횡방향 격자 길이를 변수로 총 4 개의 직접 인장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체 변수는 Table 4과 같다. 탄소그리드 보강 콘크리트 시험체의 총 길이는 2,000 mm이며, 중앙에는 규격 150 mm (b) × 75 mm (d) × 1,000 mm (L)의 직육면체 콘크리트 블록을 배치하였고, 양단에는 PVC 파이프를 사용하여, 비부착 구간을 50 mm 형성해 콘크리트와 보강재 간의 불필요한 부착을 차단하였다. 콘크리트 기준으로 보강재가 500 mm 노출되도록 설계해 시험 시 지그를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탄소그리드는 콘크리트 중앙에 매립하였으며, (K4-0) 변수에서는 횡방향 격자를 모두 제거하여 종방향 섬유만 콘크리트에 매립하였고, (K4-100)에서는 8개의 횡방향 격자를 콘크리트 내부에 배치하여 제작하였다. 상세 도면 및 치수는 Fig. 3에 나타냈다.

Fig. 3 Dimensions and reinforcement details of tensile test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3.png

Table 4 Details of test specimens

Specimens

Target concrete

strength

(MPa)

Horizontal length

(mm)

K4-H0-C30

30

0

K4-H100-C30

30

100

K4-H0-C60

60

0

K4-H100-C60

60

100

3.3 시험 방법 및 계측

Fig. 4은 시험 전경으로 계측 구성을 나타내며, 노출된 보강재 양단을 400 mm의 볼트식 압착 지그에 고정한 뒤, 용량 1,200 kN 유압식 UTM의 상⋅하부 그립에 수직으로 설치하였으며, 하중은 2 mm/min 속도로 재하하였다. 시험체 전체 변형은 콘크리트 측면 기준으로 한쪽 끝단 지그에 LVDT 본체를 고정하고, 반대쪽 지그에는 길이 1,000 mm의 정밀 측정봉을 체결하여 콘크리트 인장 변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였고, 국부 변형률 계측을 위해 매립된 보강재 중앙을 기준으로 100 mm 간격으로 변형률 게이지 5개를 부착하였다. 전역 응력-변형률 곡선은 LVDT 변위 데이터를 이용해 계산하였으며, 국부 변형률 분포는 각 게이지 값을 구간 평균하여 분석하였다.

Fig. 4 Test setup for concrete specimens under direct tension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4.png

4.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본 연구에서는 직접인장시험의 결과를 수치적으로 검증하고자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활용하였다. 모델 구성 및 결합 방식은 Fig. 5에 나타내었다. 해석 모델은 실험과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모델링하였으며, 콘크리트와 탄소그리드는 각각 솔리드 요소(C3D8R)를 적용하여 3차원으로 구현하고, 해석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고려해 전체 모델에 대해 메쉬 크기를 5∼10 mm로 설정하였다. 구속조건은 실제 직접 인장시험을 모사하기 위해 한쪽 단부는 완전히 고정(Encastre)하고, 반대편 단부에는 단일 방향 변위를 부여하였으며, 콘크리트와 보강재 간 접촉면은 완전 결합이 아닌 Cohesive Zone Model(CZM)로 모델링하여, 실험에서 관찰된 부착 거동과 응력 재분배 현상을 해석적으로 재현하였다.

Fig. 5 Finite element modeling details of CFRP-reinforced concrete specimen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5.png

4.1 재료 모델 정의

4.1.1 콘크리트 재료 모델

본 연구의 콘크리트 재료 모델은 Concrete Damaged Plasticity(CDP) 모델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소성 및 손상 거동을 모사하였다. CDP 모델은 소성 이론과 등방성 손상 이론을 결합하여, 콘크리트의 주요 파괴 메커니즘인 인장 균열과 압축 파괴 현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며, 손상 변수를 통해 하중 발생 시 강성 저하와 소성 변형을 확인할 수 있다. CDP 모델에 요구되는 소성 매개변수들은 실험적 규명이 어려우며, 본 연구에서는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CDP 소성 파라미터는 Lee and Fenves(1998)Vilanova et al.(2016)에서 검증된 값을 인용하여 Table 5에 제시하였다.

팽창각(Dilatation Angle)은 소성 전단 변형 시 발생되는 체적 팽창을 조절하며, 31°로 설정하였고, 소성 변형 해석의 수렴성에 영향을 주는 편심률(Eccentricity)은 기본값인 0.1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축-일축 압축강도비는 1.16을, 항복면의 볼록함을 조절하는 $K$은 0.667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적 해석 시 급격한 강성 저하로 인한 수치적 불안정성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해를 얻기 위해, 점성 계수(Viscosity Parameter)는 0.0001로 설정하였다.

Table 5 CDP model parameters

Dilation angle

Eccentricity

$f_{b0}/f_{c0}$ $K$ $\mu$

31°

0.1

1.16

0.667

0.0001

4.1.2 탄소그리드 재료 정의

탄소그리드의 소성은 어떠한 손상 기준도 적용하지 않고 파단까지 선형 탄성으로 가정하였다. 재료의 인장 강도는 재료시험에서 얻어낸 강도 1,025 MPa을 적용하였으며, Abaqus/CAE의 Test Data 기능으로 탄성계수와 포아송비를 산출하였고, 시험에서 측정된 인장강도는 1,025 MPa, 변형률은 0.0085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별도의 소성 또는 추가 손상 기준은 사용하지 않았다.

4.2 직접인장시험 부착 모델

본 연구에서는 탄소그리드가 매립된 콘크리트 부재의 인장강화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Cohesive Zone Model(CZM)을 적용하였다. CZM은 두 재료 사이의 부착 특성과 손상 개시⋅진전 둘 다 구현할 수 있으며, 인장 하중 시 계면에서 발생하는 균열 생성을 모사할 수 있다. Fig. 6에는 이와 같은 CZM의 탄성구간, 손상 개시, 손상 진전 및 에너지 산정 과정을 정리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CFRP에 대해 수행된 직접인발시험 결과로부터 응력-변위 관계를 도출하였으며, CZM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ACI 440.1R, 2015).

탄성 거동 구간에서는 계면이 전혀 손상되지 않아 응력이 변위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곡선의 기울기로부터 초기 강성을 다음 식 (3)과 같이 정의한다.

(3)
$\tau(\delta)= K\delta(0\le\delta\le\delta_{0})$

여기서 $\delta_{0}$는 실험 곡선이 최대 응력 $\tau_{\max}$에 도달하는 지점의 변위이며, 이 지점을 손상 개시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구간부터는 손상 변수 식 (4)을 도입하여 계면 손상 진행 정도를 무차원 척도로 나타낸다. 손상 진전 단계에서는 D에 따라 유효 응력이 점차 감소하며 식 (5)으로 정의된다. 마지막으로 계면이 완전 파괴되어 응력이 0이 되는 최종 변위 $\delta_{f}$까지 곡선 아래 면적을 적분하여 임계 에너지 방출률 식 (6)을 산정한다.

(4)
$D =\dfrac{\delta -\delta_{0}}{\delta_{f}-\delta_{0}}(0\le D\le 1)$
(5)
$\tau(\delta)=(1-D)K\delta(\delta_{0}<\delta <\delta_{f})$
(6)
$G_{c}=\int_{0}^{\delta f}\tau(\delta)d\delta$

손상 변수 D는 D = 0에서 완전 무손상 상태, D = 1에서 전구간 파괴 상태를 의미하며, 이렇게 정의된 D는 손상 개시점 이후 계면의 연속적 약화를 모사한다.

Traction-separation 모델은 표면 부착면의 파괴 거동을 Abaqus CZM 요소로 해석 및 실험과 일치시킨 Diehl (2005)와 섬유보강 콘크리트 접합부의 전단, 인장 거동을 동일 모델로 예측한 Luu et al. (2023)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매개변수는 Surface-to-surface contact의 Cohesive behavior로 설정하였다.

Fig. 6 Traction-separation in CZM model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6.png

5. 결과 및 비교 분석

5.1 직접인장시험 결과 및 분석

직접인장시험을 수행한 모든 시험체는 선형 탄성 구간, 다중 균열 발생 구간, 잔류 인장 구간으로 구성된 인장강화 거동이 나타났다. 잔류 인장 구간에서는 추가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최종적으로 인장 측 종방향 탄소섬유의 파단으로 시험이 종료되었다. 이러한 거동과 최종 파괴 양상은 2장에 도식화된 인장강화 거동과 일치하며, Fig. 7은 각 시험체들의 응력-변형률 곡선과 균열 형상을 Table 6에는 직접인장시험 결과와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냈다.

횡방향 격자가 보강된 시험체 K4-H100-C30의 초기 균열 응력은 488.20 MPa로, 횡방향 격자가 보강되지 않은 시험체 K4-H0-C30의 388.32 MPa에 비해 약 26% 높게 나타났으며, 횡방향 격자가 콘크리트와 탄소그리드 부착면을 다방향으로 지지하여 균열이 집중되는 것을 지연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균열 간격의 경우, K4- H100-C30에서는 평균 195 mm 간격으로 횡방향 격자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K4-H0-C30은 평균 250 mm의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중앙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C60의 경우 횡방향 격자 보강 시험체와 횡방향 격자 보강이 없는 시험체의 초기 균열 응력은 유사하였으나, 균열 형상은 K4-H100-C60에서 평균 균열 간격은 250 mm, K4-H0-C60에서 평균 333 mm로 차이를 나타냈으며, 횡방향 격자를 통한 응력 전달로 균열 분산 효과를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강도가 C30에서 C60으로 상승함에 따라 초기 균열 응력은 약 33% 증가하였고, 최대 인장 응력은 약 6%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콘크리트 강도 상승이 초기 균열 시점을 지연시키는 반면, 탄소그리드의 인장강도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하중 분담이 균열 발생 전 단계에서 인장강화효과를 증명하며, 잔류인장 구간에서는 콘크리트의 기여가 감소하여 탄소그리드가 하중을 부담하는 일반적인 인장강화 거동을 나타냈다.

Eurocode 2의 제안식과 실험 결과의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균열 발생 이후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대체로 잘 예측하였으나, 모든 시험체에서 초기 균열 변형률을 실험 결과 대비 3배 이상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탄소그리드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한 유효둘레 차이로 부착 거동이 보강근과 상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탄소그리드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사용성 측면에서 중요한 초기 균열 시점을 예측하려면, 현행 Eurocode 2 제안식을 직접 적용하기보다는 탄소그리드 특성을 반영하여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제한된 변수에서 수행된 결과이므로, 설계식 보정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탄소그리드 규격, 피복두께 등 변수를 확대한 추가 실험과 Eurocode 2 이외의 제안식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ig. 7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ress-strain curves and crack patterns of test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7.png

Table 6 Summary of tensile test results and crack patterns

Specimen

$\sigma_{cr}$

(MPa)

$\sigma_{\max}$

(MPa)

Crack spacing

(mm)

No. of cracks

Exp

FEA

Exp

FEA

K4-100(C30)

488.20

842.81

195

200

4

4

K4-0(C30)

388.32

1106.48

250

256

3

3

K4-100(C60)

581.77

892.14

250

250

3

3

K4-0(C60)

585.63

1155.82

333

243.75

2

3

5.2 유한요소해석 결과 비교 및 분석

Fig. 7의 응력 변형률 곡선에서 실험 결과와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검증하였다. 해석 결과는 Eurocode 2와 마찬가지로 초기 균열 변형률을 실험 결과보다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균열 발생 후 강성 저하, 그리고 잔류 인장 구간의 거동을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모사하였으며, Table 6에 제시된 최종 균열의 개수와 평균 균열 간격 역시 K4-H0-C60을 제외하면 실험 결과와 유사하여, 해석 모델이 탄소그리드 보강 콘크리트의 균열 형상을 효과적으로 예측함을 확인했다. K4-H0-C60에서 나타난 평균 균열 간격의 차이는 해석에서 추가적으로 발생한 미세한 균열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Fig. 8은 탄소그리드 보강 콘크리트의 내부 응력 분포를 제시하였다. 균열이 발생한 단면에서는 콘크리트의 인장 응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탄소그리드 응력이 상승하며, 이는 균열 구간의 인장력이 콘크리트에서 탄소그리드로 전달되는 응력 재분배 현상으로 분석된다. 상승한 탄소그리드 응력은 부착을 통해 콘크리트로 다시 전달되고, 인장강도에 도달한 다른 위치에서 추가 균열이 발생하는 다중 균열 과정이 나타나며, 이 과정에서도 모든 시험체의 균열과 균열 사이 구간에서 콘크리트가 여전히 인장 응력을 일부 분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횡방향 격자 유무에 따른 응력 분포 차이는 횡방향 격자의 역할을 보여준다. K4-H100는 균열 간 탄소그리드 응력의 감소 폭이 작고 응력 회복이 빠르게 나타난 반면, K4-H0는 감소 폭이 크고 회복 구간이 넓게 나타나며, 이는 횡방향 격자의 응력 전달을 통해 균열을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Internal stress distributions of concrete and CFRP reinforcement at each crack formation stage (FEA)

../../Resources/ksm/jksmi.2025.29.4.69/fig8.png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탄소그리드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콘크리트 강도와 횡방향 격자를 변수로 설정하여, 직접인장시험과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접인장시험 결과에서 모든 시험체는 선형 탄성 구간, 다중 균열 발생 구간, 잔류 인장 구간으로 구분되는 인장강화 거동을 보였으며, 인장 측 종방향 탄소섬유의 파단으로 최종 파괴가 발생하였다. 이는 Fib Model Code 등 기존 인장강화 거동에 부합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2) 횡방향 격자 보강은 초기 균열 응력을 증가시키고, 응력이 격자 위치를 따라 분산되면서 균열이 격자 간격에 맞춰 분포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횡방향 격자가 콘크리트와 탄소그리드 간 부착 성능을 개선하여, 균열 발생 시점을 지연시키고, 균열 간격을 짧고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콘크리트 강도 증가는 초기 균열 응력은 높였으나, 최대 인장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단계별로 콘크리트와 탄소그리드의 인장 기여가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Eurocode 2의 제안식은 균열 이후 구간에서 전체적인 응력-변형률 거동을 예측했으나, 초기 균열 변형률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소그리드의 직사각형 형상의 부착 거동 차이로, 실제 구조물의 사용성 평가 및 설계 적용을 위해서는 표준식의 개선이 요구된다.

4)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균열 이후 인장 거동, 강성 저하, 잔류 인장 구간의 특성뿐 아니라, 균열 간격 및 개수 등 주요 거동을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균열 발생 시 콘크리트의 인장 응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탄소그리드의 응력이 증가하며 균열이 발생하는 내부 응력 재분배 과정도 적절하게 모사하였다. 반면, 초기 균열 변형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일부 변수에서는 미세 균열에서 실험과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해석 모델의 균열 예측 및 부착 특성 반영의 한계로 분석된다. 따라서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균열 거동 및 인장강화효과 분석에는 유효하지만, 초기 균열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부착 거동을 보다 정밀하게 반영하는 추가적인 모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그리드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거동을 실험과 해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기존 제안식과 해석 모델의 한계 및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C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지침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탄소 고분자 부식ZERO 철근대체재 기술개발 연구사업(RS-2021-KA163381)의 지원에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15),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al concrete reinforced with fiber‐reinforced polymer (FRP) bars.(ACI 440.1 R‐15). Farmington Hills, Michigan: American Concrete Institute.URL
2 
ASTM 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 D7205/D7205M- 06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Polymer Matrix Composite Bars.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URL
3 
Bank, L. C. (2006), Composites for construction: structural design with FRP materials. John Wiley & Sons.URL
4 
Bischoff, P. H. (2003), Tension stiffening and cracking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15(2), 174-182.DOI
5 
CEN (2004),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 EN-1992-1-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omité Européen de Normalisation, CEN): Brussels, Belgium.URL
6 
Diehl, T. (2005, May), Modeling surface-bonded structures with ABAQUS cohesive elements: beam-type solutions. In ABAQUS Users Conference.URL
7 
Guo, R., Cai, L., Hino, S., and Wang, B. (2019), Experimental study on shear strengthening of RC beams with an FRP grid-PCM reinforcement layer. Applied Sciences, 9(15), 2984.DOI
8 
Hollaway, L. C. (2013), Advanced fibre-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s for structural applications: 19. Sustainable energy production: key material requirements. Elsevier Inc. Chapters.URL
9 
Huang, Z., Shen, J., Lin, H., Song, X., and Yao, Y. (2020), Shear behavior of concrete shear walls with CFRP grids under lateral cyclic loading. Engineering Structures, 211, 110422.DOI
10 
Jang, N. S., Kim Y. H., and Oh, H. S. (2021), Analysis of Failure Behavior of FRP Rebar Reinforced Concrete Slab based on FRP Reinforced Ratio,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5), 173-181 (in Korean).DOI
11 
Kim, B., and Lee, J. Y. (2019), Resistance of interfacial debonding failure of GFRP bars embedded in concrete reinforced with structural fibers under cycling load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156, 201-211.DOI
12 
Kim, K. H., Nam, M. S., Hwang, H. H., and Ann, K. Y. (2020), Prediction of remaining life for bridge decks considering deterioration factors and propose of prioritization process for bridge deck maintenance, Sustainability, 12(24), 10625.DOI
13 
Lee, H. G., Oh, H. S., Sim, J. S., and Sim, J. W. (2015), An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Scaling Resistance of Cement Concrete Pav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3), 30-38 (in Korean).DOI
14 
Luu, X. B., and Kim, S. K. (2023), Finite element modeling of interface behavior between normal concrete and ultra-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13(4), 950.DOI
15 
Lee, J., and Fenves, G. L. (1998), Plastic-damage model for cyclic loading of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124(8), 892-900.DOI
16 
Martins, M. P., Rangel, C. S., Amario, M., Lima, J. M. F., Lima, P. R. L., and Toledo Filho, R. D. (2020), Modelling of tension stiffening effect in reinforced recycled concrete, Revista IBRACON de Estruturas e Materiais, 13(6), e13605.DOI
17 
Min, K. J., Kim, K. M., Song, B. K., and Park, S. W. (2023), Flexural Behavior of Slabs Reinforced with Grid-Type CFRP Reinforcement Manufactured Using Adhes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5(2), 197-206 (in Korean).DOI
18 
Muhamad, R., Ali, M. M., Oehlers, D. J., and Griffith, M. (2012), The tension stiffening mechanism in reinforced concrete prisms,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15(12), 2053-2069.DOI
19 
Noh, C. H., Jang, N. S., and Oh, H. (2024), A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on One directional Bond Behavior of Grid typed CFRP Reinforc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8(2), 77-86 (in Korean).DOI
20 
Pantelides, C. P., Besser, B. T., and Liu, R. (2012), One-way shear behavior of lightweight concrete panels reinforced with GFRP bar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16(1), 2-9.DOI
21 
Raza, A., Shah, S. A. R., Alhazmi, H., Abrar, M., and Razzaq, S. (2021), Strength profile pattern of FRP-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 performance analysis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mpirical modeling technique, Polymers, 13(8), 1265.DOI
22 
Taerwe, L., and Matthys, S. (2013), Fib model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2010. Ernst & Sohn, Wiley.URL
23 
Vilanova, I., Torres, L., Baena, M., and Llorens, M. (2016), Numerical simulation of bond-slip interface and tension stiffening in GFRP RC tensile elements, Composite Structures, 153, 504-513.DOI
24 
Wu, F., Lei, S., Liu, Z., Cao, J., and Liu, L. (2024, September),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CFRP grid-reinforced engineering cementitious composite. In Structures (Vol. 67, p. 106978). Elsevier.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