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보도육교 단위면적당 재조달단가 추정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용 중인 보도육교의 재조달원가를 추정하기 위해 ‘단지개발사업 조성비 및 기반시설 설치비 추정자료(LH, 2022)’(이하, 기반시설 설치비 추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경영투자심사위원회 운영시행세칙」 제3조제1호에 근거해 주택단지와 산업단지 등 개발사업의
후보지 선정, 개발계획(안) 수립, 사업착수 등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기 발주 사업지구와 최근의 설계자료 및 연구보고서를 기반으로
공종별 단위공사비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본 연구의 재조달원가 산정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Table 6은 기반시설 설치비 추정자료에서 제시한 보도육교 단위면적당 공사비이다. 2022년 1월 말 기준 강교 Type의 보도육교는 5,160천 원/m2, PSC교 Type의 보도육교는 2,666천 원/m2으로 추정되었으며 2024년 말 기준으로 환산하기 위해 Fig. 6과 같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비원가센터에서 공표하는 건설공사비지수를 활용하였다(KICT, 2025b).
2024년 말 공표된 건설비공사지수에 따르면, 2022년 1월 지수는 120.99이고 2024년 말 지수는 134.43이다. 2022년 1월 기준으로
산정된 보도육교의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이 지수를 이용해 2024년 말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환산 과정은 식 (8)에 제시하였으며, 재추정 결과는 Table 7에 정리하였다. 강교 Type의 보도육교 단위면적당 재조달단가는 5,160천 원/m2에서 2024년 말 기준 5,733천 원/m2으로 재추정되었다. PSC교 Type의 보도육교는 2,666천 원/m2에서 2,962천 원/m2으로 재추정되었다.
Fig. 6 Construction cost index(End of 2024)
Table 6 Unit construction cost by pedestrian overpasses
|
Type
|
Unit construction cost (KRW/㎡)
|
Remarks
|
|
Steel
|
5,160,000
|
-Based on deck area (width*length)
-Includes earthwork and auxiliary facilities
|
|
PSC
|
2,666,000
|
Table 7 Result of estimation of Unit construction cost for pedestrian overpasses(End
of 2024)
|
Type
|
Unit construction cost (KRW/㎡)
|
|
As of January 2022
|
As of end of 2024
|
|
Steel
|
5,160,000
|
5,733,000
|
|
PSC
|
2,666,000
|
2,962,000
|
|
Average
|
3,913,000
|
4,348,000
|
4.2 보도육교 재조달원가 추정
국내 보도육교의 재조달원가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상부구조 형식, 연장, 폭 등의 기본정보가 필요하다. Table 8은 분석 대상 보도육교 651개소에 대한 기본정보 현황이다. 상부구조형식별 보도육교 현황은 강교 50개소, PSC교 73개소이며 정보가 불확실한 보도육교는
528개소로 조사되었다. 그중 연장, 폭 등의 제원 정보가 불확실한 보도육교는 91개소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 제원 정보가 불확실한
보도육교 91개소를 제외한 560개소를 대상으로 자산가치를 평가하였다. 상부구조형식 정보가 불확실한 보도육교의 경우 연장, 폭 등의 정보는 확보가
되었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재조달단가를 적용할 때 강교와 PSC교의 평균 단가인 4,348천 원/m2을 적용하였다.
Table 9는 2024년 말 기준으로 환산된 보도육교 상부구조형식별 단위면적당 재조달단가를 적용하여 560개소 보도육교 재조달원가를 추정한 결과이다. 총 재조달원가는
약 7,627.7억 원으로 산정되었다.
Table 8 Availability of dimensional information by superstructure type of pedestrian
overpasses
|
|
Total
|
Superstructure type
|
|
Steel
|
PSC
|
Unknown
|
|
Total
|
651
|
50
|
73
|
528
|
|
Area info.
|
Available
|
560
|
48
|
62
|
450
|
|
Missing
|
91
|
2
|
11
|
78
|
Table 9 Availability of dimensional information by superstructrue type of pedestrian
overpasses (Unit: One millions of KRW)
|
|
Length
(m)
|
Width
(m)
|
Sup. type
|
Unit cost
|
Replacement cost
|
|
1
|
25.5
|
3.9
|
RCS
|
PSC
|
294.6
|
|
⁞
|
|
560
|
23.1
|
2.3
|
RA
|
PSC
|
157.4
|
|
Total
|
762,770.8
|
4.3 방법별 보도육교 자산가치 평가
본 연구에서는 보도육교의 자산가치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Fig. 7과 같이 앞서 추정한 보도육교의 재조달원가와 성능지표를 활용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 방법과 비교하고자 한다.
국내 회계처리지침은 자산의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고려해 합리적인 내용연수를 추정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추정 내용연수를 적용해 감가상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도육교의 경우 이러한 적용 방법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도육교 감가상각 시 회계지침상의
기준내용연수 20년 대신, 와이블 분포로 추정한 평균수명 50년을 적용한 추정 수명 기반 감가상각(Estimated Service Life-based
Depreciation; ESLD)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회계처리지침은 원칙적으로 정액법(SLD)을 적용하되, 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이 소비되는 형태가 정액법과 현저히 다른 경우에는 효익 소비 형태를
반영한 감가상각 방법을 허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와이블 분포로 추정한 공용수명 동안 연도별 신뢰도 값을 활용해 자산가치를 감가하는 성능
기반 감가상각(Performance-based Depreciation; PBD) 방법을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보도육교의 상태등급 변화를 반영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자산가치의 변동까지 고려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PBD 방법은 식 (9)와 같이 정식화할 수 있다.여기서, $R_{t}$는 보도육교 $t$년의 신뢰도이며 $C_{t}$는 보도육교 $t$년의 상태등급별 결함도지수이다. 결함도지수(X)는
보도육교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도육교 시설물의 대표 상태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 값이며, A등급(X <0.13)∼E둥급(0.79≤X)으로
적용하고 있다(MOLIT, 2024).
Fig. 7 Concepts of asset valuation methods
2024년 말 기준 560개소 보도육교를 대상으로 기존 SLD 방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ESLD 방법과 PBD 방법을 적용하여 보도육교의 자산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Table 10은 방법별로 개별 보도육교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예시이다. Fig. 8은 방법별 자산가치 평가 결과이다. SLD 방법으로 평가한 현재 자산가치는 약 1,124.6 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ESLD 방법과 PBD 방법은
각각 약 4,052.5억 원, 약 5,360.7억 원으로 평가되었고 SLD 방법보다 약 3.6∼4.8배 높게 분석되었다. 방법별 연평균 감가상각액을
살펴보면 SLD 방법은 약 289.4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PBD 방법은 약 100.9억 원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보도육교의 방법별 가치 평가결과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분석 대상 보도육교의 평균 공용연수, 상태등급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현재 보도육교 평균
공용연수는 Fig. 9와 같이 약 22.5년으로 회계지침상의 기준내용연수 20년을 초과하고 있다. 이에 기존 SLD 방법으로 평가된 보도육교의 자산가치는 실제 가치에 비해
다소 낮게 평가되어 현재 회계처리지침상의 기준내용연수를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ESLD 방법과 PBD 방법을 통해 추정한 현재 자산은 초기 자산 대비 약 53.5%∼70.3% 수준으로 Fig. 10과 같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보도육교의 현재 성능이 잘 반영된 점을 고려했을 때, 자산가치가 합리적으로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ig. 11과 같이 노후화된 보도육교 일수록 상태등급이 낮아지는 열화 특성이 보여 단순히 기준내용연수동안 일정한 금액을 감가하는 SLD 방법 및 ESLD 방법보다
PDB 방법이 보도육교의 공용연수에 따른 열화 특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자산가치 평가 방법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공용 중인 보도육교에 적용해 보았다. Table 11은 사례분석 대상 보도육교의 기본 현황으로 2006년에 준공된 강박스거더교이며 연장과 폭은 각각 29.7 m, 2.8 m이다. 2024년 말 기준으로
재조달원가는 476.8백만 원으로 추정되었다.
Table 12와 Fig. 12는 사례분석 대상 보도육교의 방법별 자산가치 평가 결과이다. 해당 보도육교는 2020년 및 2021년 정기점검 결과 C등급으로 평가되었으나, 2022년
보수보강 이후 B등급으로 상태가 향상되었으며, 2024년 말까지 B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SLD 방법은 현재 B등급으로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보도육교의 자산가치를 약 47.7백만 원으로 다소 낮게 산정하였으나, 추정한 내용연수를 적용한 ESLD 방법은 약 305.1백만 원으로 평가되어 SLD
방법보다 합리적으로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SLD 및 ESLD 방법은 보도육교의 상태등급과 관계없이 정해진 기준내용연수 동안 자산가치가 일정하게
감가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Fig. 12와 같이 PBD 방법은 2022년 보수보강 이후 대상 보도육교의 상태등급이 C등급에서 B등급으로 향상되며, 자산가치는 Table 13과 같이 보수보강 비용 약 22.0백만 원 투입함에 따라 약 106.0백만 원 증가하였다. 그 결과 투입비용 대비 약 4.8배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례에서 보듯이, PBD 방법은 유지보수 및 보수보강의 효과를 정량적인 지표로 제시함으로써 유지관리 투자 우선순위 선정과 성능개선 여부
결정 등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8 Asset valuation results by methods
Fig. 9 Current service life of pedestrian overpasses
Fig. 10 Current condition grade of pedestrian overpasses
Fig. 11 Condition grade status by service life
Fig. 12 Results of the case studies applying the PBD method
Table 10 Example of asset valuation by method
|
Category
|
Item
|
Values
|
|
Specification
|
Open year
|
2009
|
|
Service life
|
15year
|
|
Area
|
115.2m2
|
|
Superstructure type
|
PSC
|
|
Performance
|
Condition grade
|
A(1.0)
|
|
Reliability
|
0.981
|
|
Asset value
|
Replacement cost
|
341,222
(2,962,000KRW/m2×115.2m2)
|
|
SLD
|
85,306 (341,222×(20-15)/20)
|
|
ESLD
|
238,856 (341,222×(50-15)/50)
|
|
PBD
|
334,776 (341,222×0.981×1.0)
|
Table 11 Basic information on the case study pedestrian overpasses
|
|
Open year
|
Length
|
Width
|
ST
|
RC
(One million won)
|
|
PO-1
|
2006
|
29.7m
|
2.8m
|
STB
|
476.8
|
*ST:Superstructure type, RC: Replacement cost
Table 12 Asset valuation results of the case study pedestrian overpasses
|
Year
|
Serve year
|
RI
|
CI
|
Asset value
(One million won)
|
|
SLD
|
ESLD
|
PBD
|
|
2020
|
14
|
0.985
|
C
|
143.0
|
343.3
|
281.7
|
|
2021
|
15
|
0.981
|
C
|
119.2
|
333.7
|
266.6
|
|
2022
|
16
|
0.977
|
B
|
95.4
|
324.2
|
372.7
|
|
2023
|
17
|
0.973
|
B
|
71.5
|
314.7
|
370.9
|
|
2024
|
18
|
0.967
|
B
|
47.7
|
305.1
|
360.2
|
*RI:Reliability index, CI: Condition index
Table 13 Analysis of maintenance effectiveness Using Asset Valuation
|
|
Maintenance year
|
Cost (C)
|
Increase in asset value (E)
|
E/C
|
|
PO-1
|
2022
|
22.0
|
106.0
|
4.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