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Mechanical and Metallic Mold Engineering, Gwangju University, Korea )



Ferroelectric oxide, Bi4Ti3O12, Pulsed laser deposition, Remanent polarization, Coercive field

1. 서론

강유전체 재료는 강유전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압전성, 초전성 및 전기광학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압전 소자, 초음파 발생기, 액츄에이터, 적외선 탐지소자 등 다양한 전자부품 소재로서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FRAM(Ferroelectric RA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재료 및 초고집적화된 DRAM capacitor의 고유전체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1). PbTiO3 및 Pb(Zr, Ti)O3 (PZT)와 같은 Pb계의 강유전체는 높은 잔류분극, 비교적 낮은 항전계, 높은 유전상수 및 높은 분극반전 속도를 나타내므로 비휘발성 메모리 재료로 응용이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Pt와 같은 금속 전극 위에 증착된 Pb계 강유전체 박막은 피로 현상이나 임프린트 등 반복적인 분극 반전에 따른 강유전 특성의 열화라는 실용적 관점에서 신뢰성과 연관되는 문제가 있다(2,3).

Bi4Ti3O12는 화학식 (Bi2O2)2+(Am-1BmO3m+1)2- (A: 1,2,3가 이온 또는 그 조합, B: 4,5,6가 이온 또는 그 조합, m=1~5)으로 나타낼 수 있는 Bi계 층상구조 강유전체 물질 중 하나이며, 큐리온도가 670℃로 높고 강유전 특성이 비교적 양호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 또한, m이 각각 2, 3, 4에 해당하는 SrBi2NbTaO9, Bi4Ti3O12, SrBi4Ti4O15 등 전형적인 Bi계 강유전체 박막들은 1012 회의 분극 반전에도 피로 현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5). 또한, 강유전체 박막의 하부 전극재료를 Pt와 같은 기존의 보통 금속계 전극으로부터 RuO2(6), La0.5Sr0.5CoO3(7) 및 SrRuO3(8) 등과 같은 도전성 산화물 박막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면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전성 산화물의 역할은, 전극 근처에서 산소 이온에 의한 공간 전하 및 산소 농도 구배의 보상으로 인하여 강유전체 박막으로의 잉여 전하의 주입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8). 한편, 강유전체 박막의 두께를 줄이면 잔류분극, 유전율 등의 특성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이러한 크기 효과(size effect)는 미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반도체 소자로서 응용을 고려할 때 그 가능성을 제한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Bi계 강유전체 박막은 결정의 성장 방향에 따라 강유전 특성이 현저히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0), 아직 결정의 구조 및 배향성에 따른 강유전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rTiO3(100) 기판과 Si(100) 기판 위에서 도전성 산화물인 SrRuO3 박막을 하부 전극으로 하여 여러 가지 두께의 Bi4Ti3O12 박막을 증착하고 박막의 결정구조와 배향성에 따른 강유전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원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2. 실험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하지층인 SrRuO3 박막 및 강유전체 Bi4Ti3O12 박막의 제작을 위해 펄스 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PLD)을 사용하였다. 박막 제작에 사용한 PLD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그림. 1에 도시하였다. KrF 엑시머 레이저(Lambda Physik, LPX 100)의 파장은 248nm, 펄스 폭은 20 ns, 입사되는 레이저 광의 타겟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는 1∼2 J/cm2이며 펄스 반복 수는 5 Hz로 사용하였다. 진공 챔버는 터보 분자펌프에 의해 기저 진공도가 약 10-7Torr까지 도달한 후에 산소를 흘려 주어 목표로 하는 분위기 압력을 갖도록 조절하였다. SrRuO3 타겟 제작을 위하여 SrCO3(99.9%, Aldrich)와 RuO2(99.9%, Aldrich) 분말을 1:1의 몰 비로 혼합하고 24시간 동안 볼 밀링(ball milling)한 후에 950℃에서 12시간 동안 하소(calcining)하였다. 그 후에 볼 밀링을 다시 실시하고 직경 20 mm, 두께 5mm의 디스크 형태로 압착 성형하였으며 950℃에서 24시간 동안 디스크를 소결하여 제작하였다. Bi4Ti3O12 타겟은 상용의 세라믹 타겟(99.9%, VTM)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박막의 제작은 분위기 산소의 압력을 100 mTorr로 고정시키고 기판 온도와 증착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각 박막의 증착 후에는 기판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산소 압력을 600 Torr로 올려서 박막의 산화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기판을 챔버 내에서 약 8 ℃/min의 냉각 속도로 상온까지 서서히 자연 냉각하였다.

그림. 1. 본 연구에 사용된 펄스 레이저 증착 장치의 모식도

Fig. 1. Schematic diagram of PLD apparatus used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1.png

제작한 박막의 두께는 탐침법(DEKTAK 3030)으로 측정하였고, 박막의 결정구조는 CuKα 선에 의한 2θ/θ X선 회절계(XRD)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박막의 결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w-rocking curve의 반가폭(full width at half-maximum, FWHM)을 측정하였다. 박막의 표면 형상은 원자간력현미경(AFM)으로 측정하였고 SrRuO3 박막의 비저항은 4단자법(four- point probe method)에 의해 측정하였다. Bi4Ti3O12 박막의 강유전체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의 평가를 위하여 알루미늄 박막을 금속 섀도우 마스크를 통하여 Bi4Ti3O12 박막 위에 진공 증착하여 직경 100 μm의 원형 도트 형태의 상부 전극을 형성하였다. 강유전체 박막의 용량-전압(C-V) 특성은 정밀 LCR 미터(HP4284A)를 사용하여, 주파수 1MHz에서 진폭 20 mVrms의 AC 전압을 중첩하여 인가하는 동시에, DC 바이어스 전압을 +3V에서 –3V 범위 내에서 sweep하여 측정하였다. 비유전율(er)은 상기 C-V 곡선에서 DC 바이어스 전압 0V일 때의 용량 값과 박막 두께 및 상부 전극의 면적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전류-전압 (I-V) 특성은 피코 전류계/DC 전압 소스(HP4142B)에 의하여 측정하였고 분극-전계 (P-E) 곡선은 표준화된 강유전체 박막 평가 장치인 RT-66A(Radiant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SrRuO3 박막의 특성과 Bi4Ti3O12 박막의 결정 구조

하부 전극으로 사용하는 SrRuO3 박막은 분위기 산소 압력 100 mTorr 및 기판 온도 640℃에서 증착하였다. SrRuO3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로 등방성의 전도체 산화물로 알려져 있다. 640℃에서 SrTiO3 기판 위에 증착된 SrRuO3 박막의 전기 비저항을 4단자법으로 측정한 결과 약 120 μΩcm였다. 그림. 2는 기판 온도 640℃에서 SrTiO3(100) 및 Si(100) 기판 위에 증착된 두께 200nm의 SrRuO3 박막의 주사 면적 2μmx2μm에서 AFM 사진을 나타낸다. AFM 이미지를 관찰한 결과 SrRuO3 박막의 표면조도는 SrTiO3(100) 기판 위에 증착되었을 때 Rq=1.3 nm, Ra=1.0 nm, Si(100) 기판 위에 증착되었을 때 Rq=2.8 nm, Ra=2.2 nm로 모두 비교적 평활한 표면을 보였으며, Si 기판 보다는 SrTiO3 기판 위에 증착된 박막 쪽이 상대적으로 더 평활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본 SrRuO3 박막은 강유전체의 하부 전극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 각 기판 상에 증착된 SrRuO3 박막의 AFM 사진. (a) SrRuO3/SrTiO3(100), (b) SrRuO3/Si(100).

Fig. 2. AFM images of SrRuO3 films deposited on each substrate. (a)SrRuO3/SrTiO3(100), (b)SrRuO3/Si(100).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2.png

그림. 3(a)그림. 3(b)는 각각 SrTiO3(100) 및 Si(100) 기판 위에서 두께 200 nm의 SrRuO3 박막을 하지층으로 하여 증착한 두께 200 nm의 Bi4Ti3O12 박막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그림. 3(a)와 같이 640℃에서 SrTiO3 기판 위에 상당히 높은 (100) 배향의 SrRuO3 박막이 얻어졌다. SrRuO3는 사방정(orthorhombic) 결정구조를 가지며(a=5.53 Å, b=5.57 Å, c=7.85 Å), 기판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45° 회전하면 의입방정(pseudo cubic) 페로브스카이트(a=3.93 Å) 구조로 취급될 수 있다(11). 그림. 3(a)에서 SrRuO3 박막의 (200) X선 회절 피크로부터 얻어진 격자상수는 대략 3.94 Å로 벌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200) 회절 피크에 대한 XRD ω-rocking 곡선의 반가폭(FWHM)은 0.06° 정도로 매우 낮았다. 이는 SrTiO3(100) 기판과 SrRuO3 박막의 격자 부정합이 0.64%로 매우 낮아 결정성이 높은 SrRuO3 박막이 성장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그림. 3(b)로부터 Si(100) 기판 위에서는 SrRuO3 박막은 다결정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Si 기판 표면의 비정질인 자연 산화막에 의해 Si(100) 결정면의 격자 구조 정보가 SrRuO3 박막의 초기 성장 시에 전달되지 못 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림. 3. 각 기판 상에 증착된 Bi4Ti3O12 박막에 대한 XRD 패턴. (a) Bi4Ti3O12/SrRuO3/SrTiO3(100), (b) Bi4Ti3O12/ SrRuO3/Si(100).

Fig. 3. XRD patterns for films (a) Bi4Ti3O12/SrRuO3/ SrTiO3 (100), (b) Bi4Ti3O12/SrRuO3/Si(100) (SRO: SrRuO3, STO: SrTiO3, BTO: Bi4Ti3O12).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3.png

상기 SrTiO3(100) 및 Si(100) 기판 상에 증착된 SrRuO3 박막을 하지층으로 사용하여 Bi4Ti3O12 박막을 분위기 산소 압력 100 mTorr 및 기판 온도 700℃에서 증착하였다. 그림. 3(a)의 XRD 패턴에 나타난 바와 같이 SrRuO3/SrTiO3(100) 위에 성장한 Bi4Ti3O12 박막은 단일상을 가지며 (00l) 방향, 즉 c-축으로 강하게 배향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강한 (0014) 회절 피크에 대한 반가폭(FWHM)은 약 0.15°로 매우 낮아 Bi4Ti3O12 박막의 높은 결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0014) 회절 피크로부터 c-축의 격자상수는 32.7Å로 추산되었다. 한편, 비교적 저온인 475°℃에서 성장한 박막도 높은 c-축 배향을 나타내어 (0014) 피크에 대한 반가폭은 약 0.3°를 나타내었다.

그림. 4그림. 3(a)의 XRD 결과를 나타낸 Bi4Ti3O12/SrRuO3/ SrTiO3 구조에서 강유전체 Bi4Ti3O12 박막, 하부전극인 SrRuO3 박막 및 SrTiO3(100) 기판이 각각 가질 수 있는 결정면의 배향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림. 4로부터 각 박막 및 기판 사이의 결정면과 결정방향의 상호 관계는 Bi4Ti3O12(001)// SrRuO3(100)c//SrTiO3(100) 및 Bi4Ti3O12[010]//SrRuO3[110]c// SrTiO3[110]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SrRuO3 박막과 SrTiO3(100) 기판 사이의 격자정수의 mismatch는 0.77%이고, Bi4Ti3O12 박막과 SrRuO3 박막 사이의 격자정수의 mismatch는 a축 방향 0.54%, b축 방향 0.18%로 아주 작으며, 따라서 그림.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SrRuO3와 Bi4Ti3O12 박막이 강한 단일 축 배향성과 높은 결정성을 가지는 원인을 잘 설명할 수 있다.

그림. 4. 결정면 간의 상호 배향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굵은 정사각형은 각 격자의 단위셀을 나타냄. (a) SrTiO3(100), (b) SrRuO3, (c) Bi4Ti3O12.

Fig. 4. Crystalline orientation relationship between (a) SrTiO3(100), (b) SrRuO3, and (c) Bi4Ti3O12. The bold square lines denote unit cells of each lattice.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4.png

3.2 Bi4Ti3O12 박막의 강유전 특성

그림. 5는 SrRuO3/SrTiO3(100) 기판 위에 증착된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과 SrRuO3/Si(100) 기판 위에 증착된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에 대한 전형적인 P-E 곡선을 나타낸다. P-E 곡선의 비대칭성 때문에 잔류분극과 항전계의 값은 양(Pr+, Ec+)과 음(Pr-, Ec-)의 평균값으로 결정하였다. SrRuO3/ SrTiO3(100) 기판 위에 증착된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은 잔류분극(Pr) 0.64 μC/cm2 및 항전계(EC) 47 kV/cm로 상유전체에 가깝게 미약한 강유전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SrRuO3/Si(100) 기판 위에 증착된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은, 포화분극(PS) 22.9μC/cm2, 잔류분극(Pr) 9.4μC/cm2, 항전계(EC) 84.9kV/cm로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보다 큰 잔류분극과 항전계를 보이며, 잘 형성된 강유전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나타내었다. Bi4Ti3O12 단결정의 결정구조와 강유전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Bi4Ti3O12의 자발분극 벡터는 orthorhombic 결정 구조의 a-c 평면상에 있으며 a-축에서 4.5° 기울어진 방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Bi4Ti3O12의 a-축과 c-축의 자발분극의 성분은 각각 50 μC/cm2 및 4 μC/cm2로 이방성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본 실험 결과에서도 결정의 배향성에 따라 강유전 특성의 이방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c-축보다는 a-축 배향에 가까운 결정립이 많을수록 박막의 자발분극의 값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SrRuO3/Si(100) 기판 위에 증착된 다결정 Bi4Ti3O12 박막의 경우에는 여러 결정 방향의 결정립들이 혼재하므로 포화분극의 값이 a-축과 c-축의 자발분극 값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5. SrRuO3/SrTiO3(100) 및 SrRuO3/Si(100) 기판 상에 증착된 c-축 배향 및 랜덤 배향의 Bi4Ti3O12 강유전체 박막에 대한 P-E 곡선.

Fig. 5. P-E curves for c-axis oriented and random oriented Bi4Ti3O12 films deposited on SrRuO3/SrTiO3(100) and SrRuO3/Si(100) substrate, respectively.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5.png

한편, 기판 온도를 700℃, 분위기 산소 압력을 100 mTorr로 고정하고 증착시간 만을 변화시켜 다양한 두께를 갖는 Bi4Ti3O12 박막을 제작하였고, 이들 박막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1MHz에서의 상온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그림. 6에 SrRuO3/SrTiO3(100) 기판 위에 증착된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과 SrRuO3/Si(100) 기판 위에 증착된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에 대하여 유전율의 박막 두께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전율 변화의 추세선을 같이 표시하였다. SrRuO3/Si 상에 성장한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은 두께 510 nm에서 약 258의 유전율을 나타냈으며, 박막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유전율이 점차 감소하여 두께 100 nm에서 약 175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rRuO3/ SrTiO3 기판 상에 성장한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은 두께 50-580 nm의 넓은 범위에서 다결정 박막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150 정도의 유전율을 나타내었다.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은 두께의 감소에 따른 유전율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나,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은 30 nm의 극히 얇은 두께를 제외하고는 두께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이 변화하지 않고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어, 결정의 배향에 따라서 유전율의 박막두께 의존성에 있어서 서로 다른 거동을 보였다.

그림. 6. SrRuO3/SrTiO3(100) 기판 및 SrRuO3/Si(100) 기판 상에 증착된 Bi4Ti3O12 강유전체 박막에 대한 유전율의 두께 의존성.

Fig. 6. Thickness dependence of dielectric constant for Bi4Ti3O12 ferroelectric films deposited on SrRuO3/ SrTiO3(100) and SrRuO3/Si(100) substrate.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6.png

그림. 5에서도 확인된 바와 같이 Bi4Ti3O12 박막의 경우 c-축보다는 a-축 방향으로 우선 배향을 가질 때 잔류분극이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c-축 배향으로 성장한 Bi4Ti3O12 박막의 경우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갖게 된다. 박막 두께 감소에 따른 유전율의 감소는 강유전체 산화물 박막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비교적 고온에서 강유전체 산화물 박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하부 전극과 강유전체 산화물 박막 사이의 원자들의 상호확산에 의한 계면반응으로 인하여 비강유전체인 중간층이 생길 수 있으며 이 중간층에 의하여 겉보기상 유전율이 감소할 수 있다. 기판 온도와 증착 시간 등 공정 조건이 동일하다면 계면반응으로 인하여 생성된 중간층의 두께는 거의 일정할 것이므로, 두께가 얇은 박막에서는 두꺼운 박막보다 상대적으로 중간층의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강유전체 박막과 직렬로 연결된 비강유전체 층에 의하여 박막 두께가 얇을수록 유전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층상구조를 갖는 Bi계 강유전체 박막에서는 Bi2O2 평면이 전극 가까이의 공간전하를 보상할 수 있으며 표면의 비강유전성 차폐층을 제거할 수 있다(4).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은 결정 구조상 기판에 평행한 Bi2O2 평면에 의하여 박막 두께에 따라 일정한 유전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강유전체가 표면 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분극을 갖는다면 이 방향을 따라서 큰 탈분극(depolarization) 효과가 발생한다(13). 이 탈분극의 세기는 분극 값의 크기에 비례하고 형상효과에 의하여 얇은 박막일 수록 더 크게 된다. 분극의 방향이 랜덤하게 분포된 도메인을 가지는 다결정의 Bi4Ti3O12 박막은, c-축 배향된 박막보다도 기판 표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실분극(net polarization)의 크기가 더 크고 따라서 기판 표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더 큰 탈분극 세기를 갖는다. 따라서, 그림.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랜덤 배향의 다결정 Bi4Ti3O12 박막은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에 대비하여 박막 두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이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감소한다. 한편, c-축 방향으로 자발분극을 가지며 Bi4Ti3O12 박막보다 더 큰 값의 자발분극을 가지는 c-축 배향된 에피택시 PZT 박막은 실험 결과 유전율 값의 두께 의존성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났으며(14), 그 원인도 Bi4Ti3O12 박막과 마찬가지로 표면 법선 방향으로의 탈분극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K. Takahashi 등은 유기금속기상화학증착법(MOCVD)에 의해 제작한 c-축 배향의 SrBi4Ti4O15 에피택시 박막에서 두께에 따른 유전율 변화를 측정하고, 두께 15nm까지 유전율이 약 200 정도로 일정한 값을 보여 강유전체의 크기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15).

그림. 7은 SrRuO3/SrTiO3(100) 기판 위에 증착된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과 SrRuO3/Si(100) 기판 위에 증착된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에 대하여 누설 전류밀도-전계의 세기(J-E) 곡선을 각각 나타낸다.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은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에 비하여 더 높은 누설 전류를 보였고, 전계의 증가에 따른 누설 전류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가한 전계가 500 kV/cm일 때 누설 전류밀도는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에서 약 8x10-8 A/cm2, 랜덤 배향을 갖는 다결정 Bi4Ti3O12 박막에서 약 8x10-7 A/cm2로 다결정 박막일 때 10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으며, 절연 파괴 전계도 다결정 Bi4Ti3O12 박막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에서 다결정 Bi4Ti3O12 박막보다 절연 특성이 더 우수한 원인은, 층상 구조를 갖는 Bi계 박막에서는 Bi 산화물 층인(Bi2O2)2+와 pseudo-perovskite 구조인 (Am-1BmO3m+1)2- 블록이 c-축 방향으로 교호로 적층되어 있는 초격자 구조를 갖고 있으며,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에서는 절연성이 높은 Bi2O2 층이 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기판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7. SrRuO3/SrTiO3(100) 기판 및 SrRuO3/Si(100) 기판 상에 증착된 두께 400 nm의 Bi4Ti3O12 강유전체 박막에 대한 전류밀도-전계 (J-E) 곡선.

Fig. 7. Current density vs electric field (J-E) curves for 400 nm-thick Bi4Ti3O12 films deposited on SrRuO3/ SrTiO3(100) and SrRuO3/Si(100) substrate.

../../Resources/kiee/KIEE.2018.67.4.543/fig7.png

Bi4Ti3O12 박막의 메모리 응용에 있어서 결정구조 및 결정 배향성과 강유전 및 전기적 특성의 관계, 강유전성 및 유전율 특성의 박막 두께 의존성 등은 소자설계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향후 Bi4Ti3O12 박막을 DRAM capacitor의 고유전체 재료로 활용 시에는 유전율의 두께 의존성 및 절연 특성이 우수한 c-축 배향 박막의 성장, 그리고 비휘발성 메모리 재료로 활용 시에는 잔류 분극 값이 높은 다결정 박막 또는 a-축 배향의 박막의 성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4. 결 론

도전성 산화물인 SrRuO3 박막을 하부 전극층으로 사용하여 SrTiO3(100) 기판 및 Si(100) 기판 위에 Bi4Ti3O12 박막을 PLD법으로 제작하여 그 결정구조 및 배향에 따른 강유전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작한 Bi4Ti3O12 박막은 SrRuO3/SrTiO3(100) 위에서 높은 결정성을 갖고 강한 c-축 배향을 보였으며 SrRuO3/Si (100) 위에서 다결정의 랜덤 배향을 보였다. c-축 배향의 Bi4Ti3O12 박막은 상유전체에 가까운 미약한 강유전 특성을 나타낸 반면, 랜덤 배향의 다결정 Bi4Ti3O12 박막은 잔류분극 9.4 μC/cm2, 항전계 84.9 kV/cm로 양호한 강유전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나타내었다. Bi4Ti3O12 박막의 두께에 따른 유전율을 측정한 결과, c-축 배향의 박막은 약 150의 비교적 낮은 유전율을 보이나 박막 두께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다결정 박막은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을 보이나 박막 두께의 감소에 따라 유전율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i4Ti3O12 박막의 인가 전계에 따른 누설 전류밀도 조사 결과, c-축 배향의 박막은 다결정 박막에 비하여 더 양호한 절연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정구조 및 배향에 따른 Bi4Ti3O12 박막의 강유전성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에 대한 원인을 자발분극의 방향에 따른 탈분극 효과 및 Bi2O2 층의 배치의 방향성에 따른 절연 효과에 의하여 설명하였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17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Ishiwara H., 2012,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ies, J. Nanosci. Nanotechnol, Vol. 12, No. 10, pp. 7619-7627Google Search
2 
Parker L. H., Tasch A. F., 1990, Ferroelectric materials for 64 Mb and 256 Mb DRAMs, IEEE Circ. Dev. Mag., Vol. 6, No. 1, pp. 17-26DOI
3 
Dawber M., Scott J. F., 2000, A model for fatigue in ferroelectric perovskite thin films, Appl. Phys. Lett., Vol. 76, No. 8, pp. 1060DOI
4 
Araujo C. A., Cuhairo J. D., McMillan L. D., Scott M. C., Scott J. F., 1994, Fatigue-free ferroelectric capacitors with platinum electrodes, Nature, Vol. 374, pp. 627-629DOI
5 
Joshi P. C., Desu S. B., 1996, Structur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rapid thermally processed ferroelectric Bi4Ti3O12 thin films prepared by metalorganic solution deposition technique, J. Appl. Phys., Vol. 80, pp. 2349DOI
6 
Asano G., Morioka H., Funakubo H., Shibutani T., Oshima N., 2003, Fatigue-free RuO2/Pb(Zr,Ti)O3/RuO2 capacitor prepared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t 395 °C, Appl. Phys. Lett., Vol. 83, No. 26, pp. 5506DOI
7 
Kim J. H., Koh K. S., Choo W. K., 2003, The effect of stoichiometric La1/2Sr1/2CoO3 as sputtered bottom electrode on SiO2/Si(100), J. Kor. Phys. Soc., Vol. 42, pp. 1313Google Search
8 
Guerrero C., Roldan J., Ferrater C., Garcia-Cuenca M. V., Sanchez F., Varela M., 2001,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epitaxial ferroelectric PbZrxTi1−xO3 thin film capacitors with SrRuO3 electrodes for non-volatile memory applications, Solid-State Electron, Vol. 45, No. 8, pp. 1433-1440DOI
9 
Fong D. D., Stephenson G. B., Streiffer S. K., Eastman J. A., Auciello O., Fuoss P. H., Thompson C., 2004, Ferroelectricity in ultrathin perovskite films, Science, Vol. 304, No. 5677, pp. 1650-1653DOI
10 
Ramesh R., Luther K., Wilkens B., Hart D. L., Wang E., Tarascon J. M., Inam A., Wu X. D., Venkatesan T., 1990, Epitaxial growth of ferroelectric bismuth titanate thin films by pulsed laser deposition, Appl. Phys. Lett., Vol. 57, pp. 1505DOI
11 
Eom C. B., Cava R. J., Fleming R. M., Phillips Julia M., van Dover R. B., Marshall J. H., Hsu J. W. P., Krajewski J. J., Peck, Jr. W. F., 1992, Single-crystal epitaxial thin films of the isotropic metallic oxides Sr1-xCaxRuO3 (0≤x≤1), Science, Vol. 258, No. 5089, pp. 1766-1769DOI
12 
Cummins S. E., Cross L. E., 1968,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ferroelectric Bi4Ti3O12 single crystals, J. Appl. Phys., Vol. 39, No. 5, pp. 2268DOI
13 
Wurfel P., Batra I. P., 1976, Depolarization effects in thin ferroelectric films, Ferroelectrics, Vol. 12, No. 1, pp. 55-61DOI
14 
Lee M. B., 2016, Structural and ferroelectric properties of PZT thin films deposited on SrRuO3 electrode films, J. Kor.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Vol. 29, No. 10, pp. 620-624Google Search
15 
Takahashi K., Suzuki M., Kojima T., Watanabe T., Sakashita Y., Kato K., Sakata O., Sumitani K., Funakubo H., 2006, Thickness dependence of dielectric properties in bismuth layer-structured dielectrics, Appl. Phys. Lett., Vol. 89, pp. 082901DOI

저자소개

이 명 복 (Myung-Bok Lee)
../../Resources/kiee/KIEE.2018.67.4.543/au1.png

1961년 6월 5일생

1985년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졸업(석사)

1996년 동경공업대학 대학원 재료과학전공 졸업(박사)

1999년~2015년 삼성전자 근무

2016년~현재 광주대학교 기계금형공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