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 Eng. Edu.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Electromagnetic performance, Induction motor, Power loss, Pulse drive, Sine drive

1. 서 론

국내·외적으로 전기추진 동력장치가 적용된 자동운송기술과 무인자동주행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화물의 운송 부문에서도 온실가스 저감과 더불어 미세먼지 발생 저감 등을 목적으로 한 첨단의 자동화물 운송 시스템 기술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 등에서는 대량, 소량화물의 운송경로를 최적화한 자동운송시스템, 물류거점 간 대량화물 자동운송시스템 기술, 지하화물 운송시스템 기술 등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자동운송시스템이 개발 중이다.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현재 개발 중인 다양한 형태의 자동화물 운송시스템들은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전동기 추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2).

전동기를 이용한 전기 추진 시스템과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은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 권선형 동기전동기 및 유도전동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모든 견인용 전동기 솔루션이 AC전원을 사용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바이다(3). 특히, 철도 차량 분야에서의 견인전동기는 유도전동기가 주로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철도차량의 고속/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가 유도전동기를 대체할 새로운 견인전동기로 주목받고 있는 상태이다.

유도전동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철도 차량 구동시스템에서는 정지 상태에서부터 저속 및 고속영역까지 빠른 순시 토크제어가 가능하여 정밀한 재점착 제어가 가능한 벡터제어를 사용한다. 또한, DC링크(link)단 전압의 이용률을 최대로 하기 위해 고속 운전 영역에서는 6-스텝 전압 변조 방법인 1펄스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버터 관점에서, 1펄스 모드를 사용하면 인버터 스위칭 손실의 감소, 인버터 전류 크기의 감소 등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벡터제어 기법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고속 운전 영역에서의 벡터제어를 위해 특별한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철도 차량의 견실한 제어 및 운전을 위하여 과변조 영역 운전이나 1펄스 모드인 6스텝 제어모드에서는 벡터제어를 사용하지 않고, 슬립 주파수 제어를 적용하여 평균적인 전류 및 토크 제어를 통해 차량이 요구하는 운전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4,5). 전동기 관점에서 1펄스 모드는 DC링크단 전압의 이용률 증가로 전동기 측 입력 실효치 전압이 상승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동일한 슬립 조건일 때, 유도전동기의 출력이 상승하여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기기에서 출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전압 및 전류 고조파의 상승에 의해 고정자와 회전자에서의 손실 증가가 예측되며, 이는 곧 전동기의 효율 감소의 원인이 되므로 1펄스 운전에 의한 전동기의 운전 특성 변화 및 손실/효율 특성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최근, 참고문헌(6)에서는 인버터로 운전되는 유도전동기에서 PWM전압에 의한 회전자측 자속밀도 고조파를 분석하는 방법과 이를 활용하여 철손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으며, 참고문헌(7)에서는 대칭 또는 비대칭 전압 변동(voltage sags) 형태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해석적 방법(analytical method)과 도해적 방법(graphical method)을 활용하여 계산한 바 있다. 이들 문헌과 유사한 주제의 해석 연구로는 펄스 전압 입력을 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전개하여 도통각(conduction angle)에 따라 유도전동기의 출력과 효율을 비교 하거나(8), 입력 전압의 왜곡(distortion)을 적용한 수정된 등가회로(modified equivalent circuit)를 제안하여, 높은 차수의 고조파 성분을 포함하는 전압을 고려한 토크, 상전류의 변화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한 사례가 있다(9).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는 펄스 형태의 전압을 포함하는 비정현파 전압 입력에 대하여 유도전동기의 다양한 특성 변화를 예측하기보다, 각 논문에서 제안된 해석 방법을 이용한 특성 해석법 비교 연구가 대부분이므로, 펄스형태로 전압이 인가될 때 유도전동기의 운전특성이 정현파 입력 조건일 때와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 직관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펄스 전압으로 운전되는 철도 차량의 고하중 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가 정현파 전압으로 운전되는 유도전동기에 비해 가질 수 있는 기술적 이득을 수치적으로 나타내고, 상대적으로 높은 차수의 고조파를 가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의 증가 및 효율과 속토-토크 특성의 변화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 고하중 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

2.1 고하중 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 사양

고하중 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의 요구 사양 및 제한 조건은 차량의 주요 요구 사항인 최고속도, 차량의 크기, 총 요구 출력 및 공급 전원과 제어 방식에 의해 선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견인용 유도전동기의 전압 이용률을 최대로하기 위한 정격 운전 영역에서의 6-스텝 전압 변조 방법인 1펄스 모드 전압 인가를 기준으로 형상 설계를 수행하였다. 고정자는 3상 4극 48슬롯 구조이며 회전자 도체 바는 38개의 슬롯에 분포한다. 형상 및 요구 조건은 그림 1표 1에서 제시된다.

2.2 입력 전압의 수학적 모델링

정현 주기파는 그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와 기본파 주파수의 정수배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가 이상적인 출력 파형을 갖는다는 가정 하에 정현파 입력 전압과 1펄스 모드인 6스텝 입력 전압을 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전개하여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의 함수로 유도하였다.

3상 지령 전압을 복소수 공간에서 하나의 공간 벡터로 표현하여 이를 변조하는 공간 벡터 전압 변조 (space vector PWM : 이하 SVPWM) 방식이라 한다. 벡터 제어 방식 중 전압 이용율이 가장 높고 전압 변조지수가 커질수록 고조파 특성이 우수하다. SVPWM 형태의 전압 파형은 정현파 전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식(1)과 같다.

(1.a)
$V_{as}=V_{m}\sin(\omega_{s}t)$

(1.b)
$\left . V_{bs}=V_{m}\sin\left(\omega_{s}t-\dfrac{2\pi}{3}\right)\right .$

(1.c)
$\left . V_{cs}=V_{m}\sin\left(\omega_{s}t-\dfrac{4\pi}{3}\right)\right .$

여기서 $V_{m}$은 기본파 상전압의 최댓값이며 그 크기는 $V_{dc}/\sqrt{3}$이고, $\omega_{s}$는 입력 전압의 전기적 각속도를 나타낸다.

그림. 1. 고하중 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의 형상

Fig. 1. Structure of induction motor for large-load bogie traction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1.png

표 1. 유도 전동기의 사양 및 제한 조건

Table 1. Design specification and constraints of induction motor

항목

사양

단위

DC링크단 전압

750

Vdc

정격 속도

1850

rpm

고정자 외경

500

mm

축방향 길이

250

mm

제어 방식

1 pulse

mode

벡터제어

펄스 전압 입력은 상전압이 한 주기에 60° 구간씩 6차례에 걸쳐 그 값이 $V_{dc}/ 3$씩 단계적으로 변하므로, 이 운전 모드를 6 스텝 전압 변조 방법인 1펄스 모드라 부른다. 펄스 전압 형태의 푸리에 급수 모델링 결과는 식(2)와 같다.

(2.a)
$V_{ap}=\sum_{n=1}^{\infty}V_{n}\sin(n\omega_{s}t)$

(2.b)
$V_{bp}=\sum_{n=1}^{\infty}V_{n}\sin\left(n\left(\omega_{s}t-\dfrac{2\pi}{3}\right)\right)$

(2.c)
$V_{cp}=\sum_{n=1}^{\infty}V_{n}\sin\left(n\left(\omega_{s}t-\dfrac{4\pi}{3}\right)\right)$

여기서 n은 n차 고조파를 나타내며, $V_{n}$은 푸리에 계수로서 식(3)과 같이 표현된다.

(3)
$V_{n}=\dfrac{16}{3n\pi}V_{dc}\sin\left(\dfrac{n\pi}{6}\right)^{2}\left\{4\sin\left(\dfrac{n\pi}{6}\right)^{4}-7\sin\left(\dfrac{n\pi}{6}\right)^{2}+3\right\}$

그림 2는 정현파 전압 입력 모델링과 1펄스 전압 입력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구현된 1펄스 모드 전압은 구형파를 구현 할 수 있는 수준과 적절한 해석 시간을 갖도록 19 차수까지 고려하였다. 또한, 스위칭 소자의 전압 강하 및 DC 링크의 전압 변동률을 고려하여 입력 전압의 90%까지 사용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림. 2. 입력 전압 파형의 비교: (a) 정현파 입력, (b) 펄스 입력

Fig. 2. Comparison of input voltage waveform: (a) sine wave input, (b) pulse input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2.png

3. 입력 전압 및 운전 조건에 따른 특성해석 및 비교

3.1 동일 주파수 운전시 출력 특성 비교

설계된 모델을 바탕으로 정현파 전압 및 펄스 전압 운전시 동일 주파수의 전압을 입력하여 운전 속도에 따른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면 그림 3과 같이 일정주파수 운전 성능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식(4)에 의해 동일 속도 및 동일 슬립에서의 토크 특성은 인가전압 실효치의 제곱에 비례하며 정현파 전압의 기본파 크기 제곱의 비와 펄스 전압의 기본파 크기의 제곱의 비율만큼 토크의 크기의 차이가 발생한다(10). 이는 동일 DC 링크 전압 운전시 1 펄스 모드 운전이 높은 출력을 가짐을 나타낸다.

(4)
$T_{mech}=\dfrac{1}{\omega_{s}}\dfrac{V_{s}^{2}}{\left(R_{s}+R_{r}/s\right)^{2}+\left(X_{ls}+X_{lr}\right)^{2}}\dfrac{R_{r}}{s}$

여기서 $R_{s}$는 고정자 저항, $X_{ls}$은 고정자 누설 리액턴스, $X_{lr}$은 회전자 누설 리액턴스, $R_{r}$은 회전자 저항, $X_{m}$은 자화 리액턴스를 각각 나타낸다.

그림. 3. 동일 주파수 운전시 펄스 전압 입력과 정현파 전압 입력에 따른 속도-토크 곡선

Fig. 3. Torque-speed curve according to sine wave input and pulse input at the same frequency operation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3.png

식(4)에 포함된 유도 전동기의 회로 정수는 IEEE 표준규격(IEEE Std 112)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무부하 시험, 회전자 구속 시험 및 설계상 계산된 상 저항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인가전압의 기본파 성분은 유효 전력으로 고조파 성분들은 무효 전력 및 손실 등으로 변환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3.2 동일 출력 운전시 속도-토크 및 효율 비교

정현파 전압 입력과 펄스 전압 입력의 정량적 비교를 위해 동일 출력 조건을 만족시키는 토크는 식(4)와 같이 운전 주파수와 슬립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유도 전동기에서 정격 영역인 슬립이 작은 동기 속도 근처의 속도 영역에서 회로의 임피던스 관계는 식(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10).

(5)
$R_{s}+\dfrac{R_{r}}{s}\gg X_{ls}+X_{lr},\:\dfrac{R_{r}}{s}\gg R_{s}$

식(5)로부터 단순화된 출력 토크는 식(6)으로 나타낼 수 있다.

(6)
$T_{mech}\approx\dfrac{1}{\omega_{s}}\dfrac{V_{s}^{2}}{R_{r}^{2}}s$

동기속도 근처에서의 토크는 슬립에 대해 선형적으로 변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압 입력의 운전 주파수와 슬립을 변경하여 동일한 운전 조건하에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출력이 동일한 조건에서 운전 전압 조건에 따른 속도-토크 곡선은 그림 4와 같다.

그림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도전동기의 운전 속도가 1850rpm이고 동일한 토크 550Nm를 가질 때, 정현파 전압 입력의 속도-토크 특성이 펄스 전압 입력 시의 속도-토크 특성보다 더 큰 슬립과 더 낮은 최대 토크 특성을 갖는다. 이는 펄스 전압 입력 운전시 더 높은 선간 전압의 실효치에 의해 유도 전동기가 더 큰 토크를 가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역률 및 전류밀도 조건에서 운전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림. 4. 동일 정격 출력을 갖는 펄스 입력과 정현파 입력에 따른 속도-토크 곡선

Fig. 4. Torque-speed curve according to sine wave input and pulse input satisfying rated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4.png

그림. 5. 동일 정격 출력을 갖는 입력 전압 및 전류 파형: (a) 정현파 입력 (b) 펄스 입력

Fig. 5. Input voltage and current waveform at the rated condition: (a) sine wave input (b) pulse input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5.png

그림. 6. 정격 운전시 자속밀도 분포 비교: (a) 정현파 입력 (b) 펄스 입력

Fig. 6. Comparison of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at rated condition: (a) sine wave input (b) pulse input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6.png

그림 5(a)(b)는 설계된 유도 전동기가 동일 정격 출력을 만족시키는 속도-토크 특성을 가질 때, 전압 및 전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5(a)에서 정현파 전압 입력의 경우 전압 실효치는 269.31V, 전류 실효치는 168.19A, 역률은 0.88 이며, 그림 5(b) 에서 펄스 전압 입력의 경우 전압 실효치는 316.13V, 전류 실효치는 139.50A, 역률은 0.94 이다.

그림 6(a)(b)는 정격 운전시 자속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정현파 전압 인가된 정격 운전시 고정자 자속밀도의 최대치는 약 1.76T, 회전자 자속밀도의 최대치는 약 1.78T 이다. 이와 유사하게 펄스 전압 인가된 정격 운전시 고정자 자속밀도의 최대치는 약 1.75T, 회전자 자속밀도의 최대치는 약 1.74T이다. 높은 전압 이용율을 갖는 1펄스 모드 전압 운전시에도 정현파 전압 운전시와 비교하여 고정자 요크 및 회전자 슈 부분에서 약간의 포화가 존재할 뿐 대부분의 경우 선형적인 구간을 갖기 때문에 1펄스 모드 전압 운전시에 고정자와 회전자에서의 자속밀도는 안정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그림 7(a)(b)는 정격 운전시 손실의 분포를 나타낸다. 정현파 전압 인가시 철손은 약 0.68kW , 회전자 도체에서 발생하는 회전자 손은 약 1.68kW 이다. 펄스 전압 인가시 철손은 약 1.54kW, 회전자 도체에서 발생하는 회전자 손은 약 1.63kW이다.

표 2는 설계된 유도 전동기가 1850rpm에서 동일한 토크(550Nm)를 가질 때 정현파 전압 입력 및 펄스 전압 입력에 따른 전자기 성능을 나타내었다. 동일 DC 링크 전압 및 정격 조건을 만족 할 때 1펄스 모드 전압 운전은 정현파 전압 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 이용률로 인하여 낮은 전류 밀도, 낮은 동손 및 높은 역률 특성을 갖지만 고조파 전압의 함유로 인하여 철손의 증가와 큰 토크리플을 갖는다. 따라서 정현파 입력을 가질 때 보다 높은 출력을 갖고 발열 특성에는 우수하나 진동 측면에서는 단점을 갖는다.

그림. 7. 정격 운전시 손실 분포 비교: (a) 정현파 입력 (b) 펄스 입력

Fig. 7. Comparison of loss distribution at rate condition: (a) sine wave input (b) pulse input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7.png

표 2. 정격 출력 시 정현파 전압 입력과 펄스 전압 입력에 따른 성능 비교

Table 2. Performance comparison of sine wave input and pulse input at rated condition

Item

정현파 입력

펄스 입력

단위

주파수

62.75

62.4

[Hz]

출력

106.79

106.50

[kW]

전압

269.31

316.13

[Vrms]

전류

168.19

139.50

[Arms]

전류 밀도

5.31

4.41

[Arms/mm2]

동손

4.06

2.97

[kW]

철손

0.68

1.54

[kW]

회전자손

1.68

1.63

[kW]

효율

95.75

95.93

[%]

슬립

0.0173

0.0118

-

역률

0.88

0.94

-

토크 리플

2.85

24.68

[%]

그림. 8. 무부하 운전시 입력 전압 및 전류 파형: (a) 정현파 입력 1($f$=62.4 Hz), (b) 정현파 입력 2($f$=62.75 Hz), (c) 펄스 입력

Fig. 8. Input voltage and current waveform at no-load condition: (a) sine wave input 1 ($f$=62.4 Hz), (b) sine wave input 2 ($f$=62.75 Hz), (c) pulse input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8.png

3.3 무부하 특성

그림 8은 설계된 유도 전동기의 입력 전압 및 주파수에 따른 무부하 운전 상태의 전압 및 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그림 8(a)에서 운전 주파수 62.4 Hz, 정현파 전압 입력시 전압의 실효치는 270.02 Vrms, 전류의 실효치는 28.10 Arms, 역률은 0.3832 이고, 그림 8(b)에서 운전 주파수 62.75 Hz, 정현파 전압 입력시 전압의 실효치는 269.31 Vrms, 전류의 실효치는 29.22 Arms, 역률은 0.455 이다. 이에 반하여 운전 주파수 62.4 Hz의 펄스 전압 입력시 입력 전압의 실효치는 317.56 Vrms, 입력 전류의 실효치는 41.32 Arms, 역률은 0.2102 정도로 무부하 전류가 정현파 전압 입력 조건에 비해 크게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현파 전압 입력에 비하여 펄스 전압 입력의 경우 무부하 동손 및 철손은 약 2배, 회전자 손실은 약 20배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부하 운전 효율은 5 ∼ 7 %정도 감소한다. 이와 같이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구간의 운전 시에는 펄스 전압 입력이 토크와 역률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나 무부하 운전 시 또는 저속 경부하 운전 시에는 전류 고조파가 크게 증가하고 손실이 증가하므로, 고하중 대차 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반영하여 전동기 전압 입력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 3. 무부하 운전시 정현파 전압 입력과 펄스 전압 입력에 따른 성능 비교

Table 3.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pulse input and sinusoidal input at no-load condition

Item

정현파 입력1

정현파 입력2

펄스 입력

단위

주파수

62.4

62.75

62.4

[Hz]

운전속도

1870

1880

1870

[rpm]

출력

8.12

10.08

10.92

[kW]

전압

270.02

269.31

317.56

[Vrms]

전류

28.10

29.22

41.32

[Arms]

동손

0.13

0.14

0.28

[kW]

철손

0.59

0.58

1.13

[kW]

회전자손

0.01

0.01

0.24

[kW]

효율

91.75

93.25

86.87

[%]

슬립

0.0011

0.0013

0.0011

-

역률

0.3832

0.455

0.2102

-

토크리플

2.49

2.27

180.13

[%]

그림. 9. 전압 운전 조건에 따른 유도 전동기의 견인력 곡선

Fig. 9. Torque-speed curve of induction motor according to input voltage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9.png

3.4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운전시 견인력 특성 비교

그림 9는 설계된 유도 전동기의 견인력 곡선을 나타낸다. 정현파 전압 입력에 의한 운전으로 기동하여 60Hz 정도까지 운전하며 60Hz 이상에서 펄스 입력 전압으로 변환한다. 펄스 전압 입력 운전시 선간 전압의 실효치는 약 550V 정도가 되며, 이 때 전동기가 가질 수 있는 토크는 약 슬립 1.18%(1850rpm)에서 550Nm 정도이다.

한편, 정격 속도(1850rpm)이상에서는 최대 출력(약 100kW) 상태로 슬립 제어를 통해 3000 rpm(60km/h) 근처까지 운전 가능하며, 이 때 전류 밀도는 약 4.5A/mm2로, 전폐형 조건에서 전류밀도가 5A/mm2 이하이므로 열적으로 안정적으로 판단된다(11).

그림 10은 설계된 유도 전동기의 운전 영역에 따른 효율 분포를 나타낸다. 펄스 모드로 운전되기 시작하는 60 Hz(정격 약 1777rpm) 이상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효율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정격 속도(1850rpm)에서 이론(계산)상의 효율은 약 96%, 최고 속도(약 2750rpm)에서 약 95%의 효율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단, 다양한 형태의 추가적 손실 발생 원인, 즉, 제작 불균일성, PWM고조파에 의한 고조파 손실, 베어링 마찰손과 풍손, 그리고 계산으로 예측 불가능한 표류부하손 등의 증가로 인해 실제 효율의 감소가 발생할 것이다.

그림. 10. 운전 영역에 따른 효율 분포

Fig. 10. 10 Efficiency map under operating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10.png

그림. 11. 운전 영역에 따른 역률 분포

Fig. 11. Power factor map under operating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11.png

그림. 12. 운전 영역에 따른 슬립 분포

Fig. 12. Slip map under operating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19.68.4.532/fig12.png

그림 11은 설계된 유도 전동기의 역률을 운전 영역에 따라 나타내었다. 역률은 정격 속도(1850rpm)에서 약 0.94이며 최고 속도(약 2750rpm)에서 약 0.90의 역률을 보이고 있으며, 정격 운전 지점 근처에서 가장 우수한 역률을 보이고 있다.

그림 12는 운전 영역에 따른 슬립 분포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립은 정격 속도(1850rpm)에서 1.18%이고 슬립 제어를 하는 정격 속도 이상에서 약 1.37%까지 슬립이 점차 증가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입력 전압 및 운전 조건에 따른 철도 차량의 고하중 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의 성능을 수치적으로 나타내고 비교하였다. 특히, 1펄스 전압 입력에서는 높은 전압 이용률을 바탕으로 높은 역률 및 낮은 전류밀도와 동손을 갖는다는 장점에 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차수의 고조파를 가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철손의 증가 및 효율과 속토-토크 특성의 변화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동일한 정격 출력을 갖는 조건에서 펄스 전압 입력이 정현파 전압 입력보다 동손, 전류밀도, 효율, 역률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정현파 전압 입력 조건은 철손 및 토크 리플 측면에서 펄스 전압 입력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부하 운전시 펄스 입력의 경우 정현파 입력에 비하여 무부하 동손 및 철손은 약 2배, 회전자 손실은 약 20배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높은 전압을 요구하는 고출력 구간 운전 시에는 펄스 전압의 입력이 우수한 출력 성능을 가지나 무부하 운전 또는 낮은 전압을 요구하는 경부하 운전 시에는 전류 고조파가 크게 증가하여 성능 측면에서 불리함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하중 이송대차 견인용 유도전동기의 고효율 고출력 운전을 위해서는 유도전동기의 우수한 전자기적 성능뿐만 아니라 대차의 부하 상태, 운전 속도 등에 대한 운전 조건이 적용된 전압 조건과 제어 방식이 적절히 선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이론적 접근 방법과 결론에 대한 유용성 검증을 위하여 제작된 유도전동기의 시험을 통해 전압 조건과 제어 방식의 관계성 정립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18TLRP-B134108-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J. Van Binsbergen, R. Konings, L.A. Tavasszy, J.H.R. Van Duin, 2014, Innovations in intermodal freight transport: lessons from Europe. In Papers of the 93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USA), Jan 12-16, 2014; revised paper. TRB.Google Search
2 
S. Shin, H. S. Rho, S. H. Hur, D. Kim, 2017, Freight transport demand and economic benefit analysis for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 Focused on GILC in Busa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3, No. 3, pp. 17-34Google Search
3 
M. Popescu, J. Goss, D. A. Staton, D. Hawkins, Y. C. Chong, A. Boglietti, May/June 2018, Electrical vehicles-Practical solutions for power traction motor systems, IEEE Trans. Ind. Applicat., Vol. 54, No. 3, pp. 2751-2762DOI
4 
S. H. Kim, B. H. Hae, S. K. Sul, 2001, Development of driv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using vector control,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6(2), pp. 125-131Google Search
5 
Y. Nakazawa, S. Tota, K. Yasuoka, H. Naito, 1996, One-pulse PWM mode vector control for traction drives, Power Electronics in Transportation, pp. 135-141DOI
6 
D. Zhang, H. Dai, H. Zhao, T. Wu, July 2018, A fast idenfication method for rotor flux density harmonics and resulting rotor iron losses of inverter-fed induction motor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5, No. 7, pp. 5384-5394DOI
7 
V. Huchche, N. Patne, A. Junghare, May 2018, Computation of energy loss in an induction motor during unsymmetrical voltage sags-A graphical method, IEEE Trans. Ind. Informatics, Vol. 14, No. 5, pp. 2023-2030DOI
8 
L. J. Jacovides, Nov/Dec 1973, Analysis of induction motor drives with a nonsinusoidal supply voltage using Fourier analysis, IEEE Trans. Ind. Applicat., Vol. 9, No. 6, pp. 741-747DOI
9 
A. Vamvakari, A. Kandianis, A. Kladas, S. Manias, J. Tegopoulos, Sept 2001, Analysis of supply voltage distortion effects on induction motor operation, IEEE Trans. Energy Conv., Vol. 16, No. 3, pp. 209-213DOI
10 
S. J. Chapman, 2012, Electric Machinery Fundamentals, 5th ed., New York, NY, USA: McGraw-HillGoogle Search
11 
J. R. Hendershot Jr., T. J. E.Miller, 1994, Design of brushless permanent-magnet motors, OxfordGoogle Search

저자소개

신경훈 (Kyung-Hun Shin)
../../Resources/kiee/KIEE.2019.68.4.532/au1.png

1990년 3월 6일생.

2014년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공학사.

2016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2016년 3월~현재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 과정.

2019년 2월~현재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y(MERL), Cambridge, MA, U.S., Intern-Researcher.

Tel : 042-821-7601

E-mail : sinkyunghun@cnu.ac.kr

박동빈 (Dong-Bin Park)
../../Resources/kiee/KIEE.2019.68.4.532/au2.png

1990년 11월 19일생.

2015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정보공학과 공학사.

2017년 3월 ~현재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석사 과정.

Tel : 042-821-7991

E-mail : pdbpark@cnu.ac.kr

최장영 (Jang-Young Choi)
../../Resources/kiee/KIEE.2019.68.4.532/au3.png

1976년 10월 20일 생.

2003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2005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2009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2009년 1월~2009년 8월 ㈜한라공조 기술연구소.

2009년 9월 현재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Tel : 042-821-7610

E-mail : choi_jy@cnu.ac.kr

조한욱 (Han-Wook Cho)
../../Resources/kiee/KIEE.2019.68.4.532/au4.png

1976년 12월 3일생.

2002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교육과 공학사,

2004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2007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2007년 9월~2010년 8월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년~2017년 U.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rbana, IL, Visiting Scholar,

2010년 9월~현재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교수

Tel : 042-821-8581

E-mail : hwcho@c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