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KEPRI), Korea)



Transformer, Partial discharge, UHF sensor, PD measurement

1. 서 론

신규 변압기의 지속적인 보급과 기존 설비의 장기 운영에 따른 노후화로 인해 감시 대상 설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와 비례하여 고장 발생 건수도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변압기 주요 고장 원인으로 36%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내부 절연 열화에 따른 절연파괴 고장은 절연유가 전소될 때 까지 지속되는 화재를 동반한 중대 고장으로 진전될 수 있어, 고장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할 수 있는 온라인 예방진단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1].

현재까지 변압기 상태 진단은 주로 유중가스 분석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운전 중 변압기에 가해지는 전기적·열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되는 분해가스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장기 절연 열화에 따른 변압기 상태 진단에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절연지 열화, hot spot, 부분방전 발생 여부 등에 대한 진단에는 높은 진단 정확도를 나타내지만, 데이터 분석 주기가 최소 수 분에서 수십 분에 달하여 급속히 진전되는 전기적인 과도현상에 대한 조기 대응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편이다[2-3]. 또한 내부 결함 발생 여부에 대한 진단은 가능하나, 결함 유형에 대한 분석이 힘들어, 변압기를 해체하여 정밀점검을 수행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될 위험성이 존재한다[4]. 이러한 관점에서, 내부 결함의 조기 검출 및 유형 분석, 전기적 특성 분석이 가능한 변압기 부분방전 진단은 기존의 유중가스 분석과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에서는 2018년부터 변전설비를 대상으로 기존까지 개별적으로 수행되었던 여러 진단 요소기술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한 변전소 종합예방진단 시스템의 확대 보급을 시행 중이다. 특히 기존의 유중가스 분석과 실시간 변압기 부분방전 감시를 정식 진단항목으로 채택함으로써 진단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나, GIS 부분방전 진단시스템을 기반으로 설계가 이루어져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5]. 이는 열화 정도의 판정이 가능한 방전 신호의 크기 와 결함 유형 판정의 지표가 되는 PRPD(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패턴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저해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6]. 따라서 변압기 환경에 최적화된 신호 취득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 부분방전 진단시스템의 진단 성능 개선을 위해,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특성에 최적화된 UHF 센서의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내부 결함을 모의하여 결함 별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각 결함이 갖는 고유한 방전 발생 주파수를 찾아, 이를 활용한 변압기용 부분방전 진단에 최적화된 UHF 센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2. 변압기 진단시스템 감도 개선방안 연구

진단시스템의 방전 신호 취득률 향상은 시스템 자체의 감도 개선과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단시스템 자체의 감도 개선을 다루었으며,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감도 개선 방안으로는 크게 두 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안으로는 시스템 내부에 다단 필터를 추가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취득률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그러나 다단 필터를 적용함에 따라 취득되는 방전 신호의 손실 및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보상을 위해 능동형 신호 증폭기의 추가가 필수적이다[7]. 따라서 증폭기의 성능에 따라 원치 않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방전 신호 이외의 노이즈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센서의 신호 취득 특성을 결정짓는 반사 손실(Reflection loss, RL) 특성을 취득하고자 하는 방전 신호의 특성에 맞추어 설계하는 방안이다. 센서의 감도를 결정짓는 반사 손실 특성은 아래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RL=-20\log\Gamma$ , $\Gamma =\dfrac{V_{rejection}}{V_{incidence}}$

여기서 $Γ$는 입사된 신호의 크기(Vincidence) 대비 반사파 크기(Vrejection)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입사되는 신호가 센서와 공간의 계면에서 전반사될 경우 $Γ$값은 1을 취하게 되어 반사 손실 특성은 0이 되며, 반사 손실 값이 작을수록 센서가 취득할 수 있는 신호의 크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가 갖는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센서 설계 특정 대역의 반사손실 값을 조절하여 설계를 수행할 경우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에 특화된 센서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가설의 검증을 위해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의 특성 분석을 선행하였다.

2.1 시험 구성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의 전기적 특성 분석을 위해 전류 측정 표준인 IEC-60270과 전자기파 부분방전 측정 표준인 IEC-62478을 참조하여 그림 1과 같이 실험을 설계하였다[8-9]. 구성은 다음과 같다. 최대 50kV 전압 인가가 가능한 내전압 시험기, 커플링 커패시터 및 PD Detector, 스펙트럼 분석기, PD 발생여부 감시를 위한 제어용 컴퓨터, 아크릴 재질의 절연유 챔버 및 복합 결함 셀,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용 UHF 센서로 구성된다.

그림. 1. 변압기 부분방전 시험 전체 구성

Fig. 1. Test configuration for power transformer partial discharge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1.png

그림. 2. 다중 모의결함 셀 구조

Fig. 2. Test jig for artificial defects of transformers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2.png

변압기 결함 모의를 위한 부분방전 셀은 그림 2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절연지에서 발생하는 공극 방전, 절연지 혹은 프레스보드와 오일 계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계면 방전, 돌출전극에 의한 방전, 금속입자에 의한 방전, 부유전극에 의한 방전 및 권선간 방전으로 6종의 부분방전 신호 모의가 가능하게 설계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복합적인 부분방전 신호 모의도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실제 옥내 변전소 내부 변압기 설치 환경을 상정하여 차폐실이 아닌 실험실 내부의 개방된 공간에 시험 챔버를 설치하였으며, 변압기 감시창과 동일한 재질의 아크릴 챔버 외부를 금속성 차폐 테이프로 덮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가 외부 공간으로 전파되지 않게 하였다.

그림. 3. GTEM-Cell을 활용한 센서 감도 측정

Fig. 3. Sensitivity measurement utilizing GTEM cells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3.png

그림. 4.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4.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4.png

부분방전 신호 취득용 센서로는 노이즈 센서로도 활용되는 광대역 UHF 센서를 사용하였다. 광대역 센서를 적용함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취득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센서의 반사 손실 특성은 그림 3의 전자파 무반사 챔버인 G-TEM Cell과 네트워크 아날라이저를 활용하여 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680MHz와 1,34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공진점을 가지며, 520 MHz ~ 1,800 MHz 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소 –5dB 이하의 반사손실 특성을 가져, 국내 변압기 규격에서 명시하고 있는 300MHz~1,800MHz 대역에서의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5. 변압기 부분방전 시험 전경

Fig. 5.Complete view of transformer PD test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5.png

센서 취부는 변압기 감시창에 센서를 적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아크릴 챔버에 밀착시켜 고정시킨 후, 차폐 테이프를 활용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센서를 제외한 외부 공간으로 전파되지 않게 구성하였다. 시험 전경은 그림 5와 같다.

2.2 시험 절차

설계된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 및 분석을 위한 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AC 내전압 시험기를 활용하여 결함에 전압을 인가하여 부분방전 신호가 최초로 발생하며 지속되는 지점의 전압을 방전 개시전압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각 결함별 방전 개시전압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5분간 데이터 취득을 수행하여 결과를 안정화시켰다. 방전신호 주파수 측정 대역은 200MHz ~ 2,200MHz 대역으로 설정하여 기존 측정 주파수 대역 대비 광대역으로 측정하였다.

스펙트럼 측정 후, 각 결함별로 방전 개시전압의 10%값으로 지속적으로 전압을 상승시켜 절연파괴 발생 직전까지 전압 별 스펙트럼을 기록하여 변압기 내부 결함의 전기적 열화에 따른 방전 스펙트럼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PD detector를 활용하여 결함 별로 PRPD 패턴 데이터를 취득하여 주파수 특성 이외의 변압기 결함의 전기적 열화에 따른 방전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3. 변압기 부분방전 특성 분석

변압기 부분방전 특성 및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 앞서, 초기 노이즈 환경을 측정하였으며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결과는 그림 6과 같다. 실험 시 초기 노이즈는 850MHz ~ 900MHz 대역과 1,800MHz ~ 1,850MHz 대역에서 측정되었으며, 통신망 주파수 대역으로 식별되었다. 초기 노이즈 환경 분석 후, 각 결함별 부분방전 신호를 모의하여 주파수 스펙트럼 및 PRPD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함 중 권선 간 방전의 경우, 보이드 방전, 계면 방전 및 유중 코로나 방전이 복합된 방전의 특성을 나타내어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과정에서는 제외하였다. 또한 한전 규격에 따르면 변압기 부분방전 진단시스템은

그림. 6.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6.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6.png

300MHz ~1,800MHz 대역 사이에서 –55dBm 이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취득하여아 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설계 시 목표 주파수 대역의 반사손실 특성을 -15dBm 이상으로 조절함을 가정하여 –70dBm 이상의 신호가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을 방전 신호가 검출된 대역으로 정의하였다.

3.1 절연지 사이 공극 결함 부분방전 특성

그림 7은 방전 개시전압부터 절연파괴 직전까지의 절연지 공극 사이 결함에서의 부분방전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인가전압이 방전 개시전압에 도달할 경우, 200MHz~350MHz, 750MHz~920MHz 대역에서 초기 노이즈와 구분되는 –70dBm 이상의 방전 신호가 검출되었다. 인가전압을 상승함에 따라 방전 신호가 검출되는 대역은 넓어졌으며, 방전 개시전압의 1.5배에서 1,000MHz~1,300MHz 대역에서 –70dBm을 초과하는 추가적인 방전 신호가 검출되었으며, 절연 방전 개시전압의 2배 이상의 경우에도 상기 세 대역에서의 방전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게 분포하였다.

그림. 7.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7.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7.png

3.2 절연지-절연유 계면에서의 부분방전 특성

그림 8는 절연지와 절연유 계면에서의 부분방전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방전 개시전압 도달 시, 200MHz~350MHz 대역과 420MHz~625MHz 대역에서 –70dBm 이상의 초기 부분방전 신호가 검출되었다. 인가전압이 방전개시전압의 1.3배에 도달할 경우, 1,000MHz 이하 대역에서의 부분방전 신호의 세기가 전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700MHz~1,000MHz 대역에서 추가적으로 부분방전 신호가 검출되었다. 이후 방전개시전압의 1.6배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방전신호가 검출되었으며 직후 절연파괴가 발생하였다.

그림. 8.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8.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8.png

3.3 절연유 내부 미소 금속입자에 의한 부분방전 특성

그림 9은 절연유 내부에 미소 금속입자가 존재할 경우의 부분방전 신호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방전 개시전압에서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미소 입자는 움직이기 시작하였으며, 200MHz~400MHz 대역에서 초기 부분방전 신호가 검출되었다. 방전개시전압의 1.3배에 도달할 경우 700MHz~1,000MHz, 1.5GHz~1.75GHz대역에서 추가적인 부분 방전 신호가 검출되었으며, 전압을 1.6배까지 증가시킬 경우 거의 모든 대역에서 부분방전 신호가 검출되었다.

그림. 9.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9.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9.png

3.4 변압기 내부 돌출 전극에 의한 부분방전 특성

그림 10은 변압기 내부 돌출전극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타 결함에 의한 부분방전과 다르게, 방전개시전압과 절연파괴 전압이 비슷하여 기존과 같이 10% 정도의 전압 상승이 아닌, 1% 단위로 전압을 가변하여 부분방전 스펙트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강한 세기의 부분방전 신호가 산발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무작위적으로 발생하였기 때문에 부분방전 신호가 특징적으로 검출되는 주파수 선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림. 10.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10.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10.png

3.5 절연유 내 부유 도체에 의한 부분방전 특성

그림 11는 절연유 내 부유 도체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부유전극에 의한 방전의 경우 부분방전 발생 직전까지 부유전극에 많은 전하가 저장되어 방전 개시전압에서 방전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측정된 부분방전 스펙트럼은 전 주파수 대역에서 –50dB 이상의 매우 강한 세기를 갖는 신호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림. 11. 본 연구에서 활용된 UHF 센서의 반사손실 특성

Fig. 11. Reflection loss of UHF sensor in this study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11.png

3.6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활용한 센서 설계방안 제시

실험 및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변압기 내부 모의 결함에서의 초기 부분방전 신호가 특징적으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그림 1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결과로부터, 각 결함별로 초기 부분방전 신호가 특징적으로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센서 설계 시, 각각의 결함을 공통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인 300MHz ~ 400MHz, 650Mhz ~ 900MHz, 1,500MHz 대역에 반사 손실을 극대화할 수 있는 Triple-band 구조로 공진점을 설치할 경우, 6종의 결함 신호 취득에 최적화된 센서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센서 설계 방식은 변압기 외함, 내부 권선 및 탭체인저 설치 여부에 따라 주파수 스펙트럼의 변화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보정 계수의 도입을 통한 일반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2. 결함 별 초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주파수 대역

Fig. 12. The frequency bands of various defect where the PD signal was initially measured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fig12.png

표 1. 결함 별 초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주파수 대역

Table 1. The frequency bands of various defect where PD signal was initially measured

결함 유형

초기 검출대역

절연물 공극 방전

200MHz~350MHz

750MHz~920MHz

1GHz~1.3GHz

절연물-절연유 계면 방전

200MHz~350MHz

420MHz~625MHz

700MHz~1GHz

미소 금속입자 방전

200MHz~400MHz

700MHz~1GHz

1.5GHz~1.75GHz

돌출전극에 의한 방전

무작위

부유도체에 의한 방전

전 측정 주파수 대역

권선 간 방전

공극, 계면, 돌출전극 복합신호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에 최적화된 UHF 센서 설계를 위하여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결함에 의한 부분방전 특성 분석 및 이를 반영한 센서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IEC-60270 및 IEC-62478을 참조하여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을 위한 실험을 구성하였으며, 6종의 변압기 모의 결함을 모의하여 각 결함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의 특징 및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방전 개시전압 및 결함의 전기적 열화에 따른 초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주파수 대역을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주파수 대역에 공진점을 설치하여 반사 손실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변압기 부분방전 신호 취득에 최적화된 UHF 센서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References

1 
M. Wang et al., 2002, Review of condition assessment of power transformers in service,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Vol. 18, No. 6, pp. 12-25DOI
2 
De Faria, et al., 2015, A review of monitoring method for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of electric power transformers based on Dissolved Gas Analysis(DGA), Renew. Sustain, Energy Rev., Vol. 46, pp. 201-209DOI
3 
G. C. Montanari, 2008, Envisaging links between fundamental research in electrical insulation and electrical asset management,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Vol. 24DOI
4 
Martin Siegel, et al., 2019, Calibration Proposal for UHF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at Power Transformers, Energies, Vol. 12, No. 3058DOI
5 
E. A. Mackenzie, et al., 2010, On-line monitoring and diagnostics for power transformers, in Proc. of the Conference Record of the IEEE International SymposiumDOI
6 
J. S. Pearson, 1995, Partial discharge diagnostics for gas insulated substation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2, No. 5, pp. 893-905DOI
7 
Hashemi et al., 2002, Concurrent multiband low-noise amplifiers theory, design, and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Vol. 50, pp. 288-301DOI
8 
2015, High-voltage test techniques -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IEC 60270Google Search
9 
2016, High-voltage test techniques - Measurement of partial discharge by electromagnetic and acoustic method, IEC 62478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종건 (Jong Geon Lee)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au1.png

2012년 한양대학교 전자시스템공학과 졸업

2017년 동 대학원 졸업(공학박사)

2017년~현재 한전전력연구원 차세대송변전연구소 재직

Tel : 042-865-5868

E-mail : jg.lee@kepco.co.kr

오승열 (Seung Ryle Oh)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au2.png

2000년 금오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

2003년 경북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0년~현재 한전전력연구원 차세대송변전연구소 선임연구원

Tel : 042-865-5875

E-mail : exp0510@kepco.co.kr

한기선 (Ki Sun Han)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au3.png

1991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07년 충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3년 한국전력공사 입사

현재 한전전력연구원 차세대송변전연구소 수석연구원

Tel : 042-865-5870

E-mail : hankisun@kepco.co.kr

강지원 (Ji Won Kang)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au4.png

1987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3년 동 대학원 졸업(석사)

2003년 동 대학원 졸업(공학박사)

1993년~현재 한전전력연구원 차세대송변전연구소 변전기술연구실장

Tel : 042-865-5860

E-mail : jwkang3985@kepco.co.kr

주형준 (Hyung Jun Ju)
../../Resources/kiee/KIEE.2019.68.11.1343/au5.png

1996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1998년 동 대학원 졸업(석사)

2003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수료)

2006년~현재 한전전력연구원 차세대송변전연구소 선임연구원

Tel : 042-865-5864

E-mail : juhyungjun@kepc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