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nergy R&D Team, Product & Solution Research Center, LS Cable&System Ltd., Korea)



Surface discharge, Roughness, Interfacial pressure, Lubricant

1. 서 론

환경과 도시 미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도심의 송전선로를 지중화 하는 추세에 있다. 케이블은 운송 가능한 길이만큼 제작되고 직매, 관로, 전력구에 포설 후 중간 접속을 하게 된다. 종단부는 가공선이나 차단기, 변압기와 연결하게 되고 접속하는 대상에 따라 접속함이 구분된다. 가교폴리에틸렌을 절연으로 하는 케이블은 접속을 위해 삼중압출 방식으로 생산되며 절연체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외부 반도전층을 제거하고 다듬질을 한 후 전계완화를 위해 실리콘 또는 EPDM 고무 부품을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1-2].

기존 글로벌 전력 케이블 시장에서는 케이블 및 접속함 생산, 시공을 한 회사에서 모두 공급했지만 최근에 132kV급에서 케이블, 접속함, 시공을 분리 발주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초고압 케이블 생산 능력을 갖춘 일부 국가들에서 접속함만 수입하는 프로젝트가 생겨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접속함 전문 회사도 나타났고, 기존 전력 케이블 회사에서도 접속함 독자 판매를 시작하여 경쟁이 심화되며 품질, 가격뿐만 아니라 시공 편의성도 접속함을 선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품질을 유지하며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제품과 시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접속함 고장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케이블 절연과 고무 슬리브 계면에서 발생하는 연면방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계면압력, 표면 거칠기, 윤활제 등이 있다[3-7].

본 논문에서는 시공 편의성 향상을 위해 케이블 접속 과정 중 케이블 준비 단계를 간소화 하고자 다듬질 하는 샌드페이퍼 입도에 따라 절연 표면의 거칠기가 얼마나 차이 나는지 전자 현미경과 조도계로 표면 상태와 표면 거칠기를 비교했다. 또한 모델 케이블과 미니 고무 슬리브를 제작하여 계면압력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 표면 거칠기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 고무 슬리브를 삽입 할 때 사용하는 윤활제 종류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도, 습도, 이물 등 환경적인 요인은 조립현장에서 철저히 관리되고 있으므로 고려하지 않았다.

2. 본 론

2.1 샌드페이퍼 입도에 따른 케이블 표면 거칠기

접속함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을 제거하고 절연을 노출해야 한다. 배전 케이블에서는 시공이 간편한 스트립퍼블 외부 반도전층을 많이 사용하지만 초고압 케이블에서는 외도 반도전층 전계가 높아 본딩 타입을 적용한다[8-9]. 따라서 외부 반도전층을 제거하기 위해 장비를 이용하거나 유리로 외부 반도전층을 제거 한 후 샌드페이퍼로 절연층 표면을 다듬질한다. 다듬질 후 표면의 거칠기는 샌드페이퍼의 입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입도는 단위 면적당 입자의 숫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자가 낮을수록 표면이 거칠고, 높을수록 표면이 곱다[10].

그림. 1. 접속함 조립을 위한 케이블 준비 과정

Fig. 1. Preparation process for cable accessories assembly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fig1.png

표 1. 샌드페이퍼 입도에 따른 표면 상태 및 조도

Table 1. Surface condition and roughness according to grain size of sandpaper

샌드 페이프 입자 크기

현미경 사진

RZ 평균 조도 [㎛]

#320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tbl1_1.png

13.11

#400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tbl1_2.png

9.75

#600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tbl1_3.png

5.94

#800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tbl1_4.png

4.71

그림 1은 접속함 조립을 위한 케이블 준비 과정을 보여준다. 접속함 조립을 위해 케이블 준비 과정에서 외부 반도전층을 제거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샌드페이퍼 입도는 제조사 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유리나 전용 공구를 이용해 외부 반도전층을 제거하고 전동 벨트 샌더기를 이용해 칼날이나 유리 자국이 남지 않게 다듬질한 후 최종적으로 수동으로 다듬질을 마무리 한다. 따라서 샌드페이퍼 입도를 얼마까지 다듬질 하는가에 따라 케이블 준비 시간과 노동 강도가 달라진다. 샌드페이퍼 입자 크기에 따른 표면 상태와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기 위해 샌드페이퍼 입도를 #320, #400, #600, #800으로 다듬질한 케이블 시료를 제작하였다.

표 1은 샌드페이퍼 입도에 따른 표면 상태 및 표면 거칠기 측정 결과이다. 표면 거칠기는 Mitutoyo사 SJ-311로 측정하였고 10점 평균 거칠기 RZ로 나타내었다. 위치에 따른 편차를 고려하기 위해 케이블의 상, 하, 좌, 우 4곳을 측정하고 평균한 값으로 비교하였다. 입도가 #320인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의 평균 표면 거칠기는 13.11㎛이고, #400인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9.75㎛, #6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5.94㎛, #8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4.71㎛로 측정되었다. #320으로 다듬질한 시료에서 10㎛를 초과했고 #400~#800은 10㎛미만으로 측정되어졌다.

2.2 계면 상태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

2.2.1 시료 제작

표면 다듬질 상태, 계면압력, 윤활제 종류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모델 케이블과 미니 고무 슬리브를 제작했다.

그림. 2. 연면방전 시험 시료 단면도 및 사진

Fig. 2. Cross section and photograph of specimen for surface discharge test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fig2.png

그림 2의 (a)는 연면방전 시험 시료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는 전극 및 미니 고무 슬리브 조립이 완료된 시료의 사진이다. 연면방전 시험 시료는 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을 완전히 제거하고 폭 6mm를 제외한 절연부를 가공 후 SUS 재질의 전극을 양쪽에서 삽입했다. 전극의 외경은 케이블 절연 외경과 동일하게 제작하였고, 케이블 절연과 고무 슬리브 계면에서 연면방전이 발생하도록 전극 간격을 6mm로 선정하였다. 표면 거칠기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 시험을 위해 이 구간의 절연 표면은 입도가 다른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했다. 미니 고무 슬리브는 초고압 접속함 제작에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하였고, 계면압력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 평가를 위해 내경 Ø28mm와 Ø31mm로 2종류 제작하여 절연 외경 Φ 35.7mm, Φ38.1mm 케이블에 삽입하여 계면압력을 다르게 하였다. 또한 미니 고무 슬리브 삽입이 용의하도록 도포하는 윤활제로 실리콘 오일과 그리스를 사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그림. 3. 연면방전 실험 사진

Fig. 3. Photograph of surface discharge test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fig3.png

제작된 시료는 그림 2와 같이 고무 슬리브 외부로 표면을 따라 방전이 발생하지 않게 절연유 내에서 연면방전 시험을 실시하였다. AC 내전압 시험기는 Phenix의 6CCE100-5/D149를 이용했고, 전압 인가는 0.5kV/sec 속도로 연면방전이 발생할 때까지 상승시켰다.

2.2.2 연면방전 실험 결과

계면 상태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계면압력, 표면 거칠기, 윤활제를 변수로 시험을 실시했다. 각 시료는 15개씩 연면방전 시험 후 2 파라미터 와이블 분포 통계 분석을 통해 평균의 의미를 가지는 척도 파라미터인 누적 파괴 확률 63.2% 값을 신뢰구간 95%에서 비교하였다.

표 2. 케이블 절연 외경 및 미니 고무 슬리브 내경에 따른 계면압력

Table 2. Interfacial pressure according to outer diameter of cable insulation and inner diameter of mini rubber sleeve

케이블 절연 외경

[mm]

미니 고무 슬리브 내경

[mm]

계면압력

[MPa]

35.7

31

0.083

38.1

31

0.115

38.1

28

0.175

표 2는 계면압력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시료의 케이블 절연 외경, 미니 고무 슬리브 내경, 계면압력을 나타낸다. 최소 0.083MPa에서 최대 0.175MPa의 계면압력이 가해지도록 케이블 절연 외경 및 미니 고무 슬리브 내경을 선정하였고, 케이블 절연 표면 다듬질은 입도 #4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하고, 윤활제는 그리스를 사용하였다.

그림 4는 계면압력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의 와이블 분포 그래프이다. 계면압력이 0.83MPa인 시료의 누적 파괴 확률 63.2% 전계는 5.83kV/mm, 0.115MPa인 시료는 6.90kV/mm, 0.175MPa인 시료는 7.66kV/mm로 95% 신뢰구간이 겹치지 않고 계면압력이 높아질수록 연면방전 전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 계면압력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의 와이블 통계 분석

Fig. 4.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of surface discharge dielectric strength with interfacial pressure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fig4.png

표면 다듬질에 사용한 샌드페이퍼 입도에 따른 연면방전 시험은 전극 사이 절연체 표면을 입도 #320, #400, #600, #800인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로 계면압력이 0.083MPa, 0.115MPa이 되도록 케이블 절연 외경과 미니 고무 슬리브 내경을 선정했고, 윤활제는 그리스를 사용했다.

그림 5는 계면압력이 0.083MPa인 경우와 0.115MPa인 경우 표면 다듬질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를 와이블 분포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a)는 계면압력이 0.083MPa인 시료들의 결과로 #32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의 누적 파괴 확률 63.2% 전계는 5.36kV/mm, #4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5.83kV/mm, #6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5.77kV/mm, #8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5.89kV/mm로 나타났다. #400~#8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의 척도 파라미터는 95% 신뢰구간이 상당부분 겹쳐서 연면방전 전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고, #32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다른 시료들에 비해 7.1~9% 연면방전 전계가 낮고, 95% 신뢰구간도 겹치지 않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b)는 계면압력이 0.115MPa 인 경우 연면방전 시험 결과이다. #32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의 누적 파괴 확률 63.2% 전계는 6.71kV/mm, #4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6.90kV/mm, #6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6.86kV/mm, #800 샌드페이퍼로 다듬질한 시료는 6.87kV/mm로 나타났다. 계면압력이 0.115MPa인 경우 95% 신뢰구간이 겹치는 수준으로 다듬질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는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 표면 다듬질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의 와이블 통계 분석

Fig. 5.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of surface discharge dielectric strength with surface treatment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fig5.png

그림 6은 계면압력이 0.083MPa인 경우와 0.115MPa인 경우 윤활제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를 와이블 분포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계면압력이 0.083MPa인 경우 연면방전 전계가 실리콘 오일 적용 시료의 누적 파괴 확률 63.2% 전계는 5.85kV/mm, 그리스 적용 시료는 5.83kV/mm이고 계면압력이 0.115MPa인 경우는 각각 6.86kV/mm, 6.90kV/mm로 나타났다. 계면압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으나 윤활제 종류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 결과는 신뢰구간 95%구간이 겹치게 나타나 윤활제 종류에 따른 연면방전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림. 6. 윤활제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의 와이블 통계 분석

Fig. 6.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of surface discharge dielectric strength with lubricants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fig6.png

3. 결 론

접속함 시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케이블 준비과정 중 표면 다듬질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표면 거칠기와 함께 연면방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면압력, 윤활제에 대한 검토도 같이 실시했다.

표면 다듬질에 입도 #320, #400, #600, #800인 샌드페이퍼 사용시 표면 거칠기를 10점 평균 거칠기 Rz로 측정한 결과 #320으로 다듬질한 시료는 10㎛를 초과했고 #400~#800은 10㎛미만으로 측정되어졌다. 계면압력, 표면 거칠기, 윤활제에 따른 연면방전 시험은 모델 케이블과 미니 고무 슬리브를 이용해 실제 접속함과 유사한 구조의 시료로 실시했다. 계면압력은 높을수록 케이블 절연과 고무 슬리브 계면의 공극이 작아져 연면방전 전계는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표면 거칠기는 계면압력이 0.083MPa인 경우 #400~#800으로 다듬질한 시료의 누적 파괴 확률 63.2% 전계는 95% 신뢰구간이 겹쳐 연면방전 특성 차이가 없었으나 #320으로 다듬질한 시료는 다른 시료들에 비해 7.1~9%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면압력이 0.115MPa인 경우는 표면 다듬질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것은 케이블 절연과 고무 슬리브 계면의 압력이 충분히 높으면 표면 거칠기에 따른 공극의 크기 차이가 줄어들고 미세한 공극들은 윤활제로 채워지기 때문에 연면방전 전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무 슬리브 조립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윤활제는 종류에 따른 연면방전 전계 또한 계면압력이 같을 때는 차이가 없었다. 기존 연구에서 계면압력, 표면 거칠기, 윤활제 사용 여부에 따른 특성을 각각 조사한 반면 본 논문에서는 계면압력이 충분히 높으면 표면 거칠기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 차이가 없다는 것과 윤활제를 사용하면 그 종류에 따른 연면방전 특성이 차이는 없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했고 주요 인자간의 상호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계면압력이 연면방전 특성에 가장 핵심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4].

상기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연면방전 전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인자는 계면압력이고, 계면압력이 0.083MPa 이상인 경우 #400 샌드페이퍼까지만 다듬질을 하고, 0.115MPa 이상인경우는 #320 샌드페이퍼까지만 다듬질을 해도 연면방전 특성 차이가 없으므로 케이블 준비 과정을 줄일 수 있다. 윤활제 종류는 연면방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도포하기 쉽고, 마찰력 감소 효과가 높은 것으로 선정하면 된다.

References

1 
2011, Accessory for HV Cables with Extruded Insulation, Cigre WG 21.06, pp. 19-21Google Search
2 
Das Subhankar, Majumder Rajdeep, Singh Sangita, 2017, Cable Joint Installation Time Optimizatio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24, No. 6, pp. 3959-3965DOI
3 
2011, Cable Accessories Workmanship on Extruded High Voltage Cables, Cigre WG B1.21, pp. 19-21Google Search
4 
2002, Interfaces in Accessories for Extruded HV and EHV Cable, Cigre Joint Task Force 21/15, pp. 5-8Google Search
5 
2013, Guidelines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XLPE Cable Accessories, Cigre WG B1.29Google Search
6 
C. Dang, D. Hournir, 1997, Dielectric Performance of Interfaces in Premolded Cable Joint,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2, No. 1, pp. 29-32DOI
7 
Bernd Van Maanen, Cornelis Plet, Peter Van Der Wielen, Sander Meijer, Frank De Wild, Fred Steennis, 2015, Failures in Underground Power Cables - Return of Experience, Jicable, D9-2Google Search
8 
Rohini Bhattacharyya, 2011, Electrical, Thermo-Mechanical Design of MV XLPE Cables, Jicable, A7-2-12Google Search
9 
Stephen Cree, Paul Brigandi, 2015, Expanding the Performance Potential of a Universal Medium Voltage Cable System Using a New Additive Water Tree Retardant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ion, Jicable, F9-1-02Google Search
10 
1993, Abrasive Papers, KS L 6003Google Search

저자소개

Jin-Wook Choe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au1.png

He receive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2009.

He has been working at LS Cable&System Ltd. from 2009.

Currently, he is a Doctor’s course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EHV power cable accessaries and busduct.

Woong-Yup Lee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au2.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in 2016.

He has been working at LS Cable&System Ltd. from 2016.

Seok-Hyun Nam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au3.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00.

He has been working at LS Cable&System Ltd. from 2000.

Jin-Gyu Kim
../../Resources/kiee/KIEE.2019.68.11.1355/au4.png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 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1998.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electrostatics, EHD and plasma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