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Transportation Policy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2. (Dept. of Railway Vehicle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EMU(Electric Multiple Unite), MCB(Main Circuit Breaker), Operation Failure

1. 서 론

신분당선 무인운전으로 운행되며 AC 25KV를 사용하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강남~광교 구간을 운행중이며, 전동차는 대형전철 6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전동차 주회로 차단기(이하 MCB)는 전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AC 25kV를 추진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주 회로에 설치되어있다. 동작 시퀸스는 전동차 운전실 마스콘 키(Key)를 ON시키면 MCB 투입조건인 팬터그래프 상승 및 가선 전원 AC 25kV 인가되고 관련 중고장 미발생과 선두차 지정 조건이 만족되면 투입이 가능하며, MCB가 투입되면 주회로에 전압이 인가되고 전동차가 기동하게 된다. 무인운전 모드에서는 종합관제실에서 명령하는 Wake Up 시퀀스에 따라 무인 기동조건 여부 → 팬터그래프 상승(자동 2회)[30초 대기(1분 대기)] → MCB 투입(자동 2회)[30초 대기(1분 대기)] 순서대로 동작하여 전차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동차를 기동하게 된다. 기동하는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장치는 MCB 로서 투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전원공급에 따라 나머지 과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MCB는 고진공 상태로 유지된 밀폐용기 내에서 접점을 개폐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Arc 전류를 소호하는 방식의 차단기이다.(1,2) 신분당선 개통 후 겨울철 외기온도가 –1℃~–11℃까지 저하 시 MCB 투입실패가 7회 발생하였다. MCB 투입실패시 무인운전 절차는 종료되고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다시 전동차를 기동하기 위해서는 검수원이 투입되어 수동모드로 전환하고 투입하여야 하며, 유치선까지의 이동시간을 고려하면 약 15분 정도가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운전 시스템을 적용하는 전동차의 MCB 동작 여부가 전동차 정시 운영에 영향을 주므로 MCB 동작 특성 분석을 가설과 실험적 방법에 의해 검증하였다. MCB 동작 환경조건인 –25℃시에도 원활히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회로를 2012년 개선하였으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MCB 동작실패가 발생하지 않아, 개선된 시스템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2. 본 론

2.1. 주회로 차단기 시스템 구조 및 동작원리

주회로 차단기는 고압부(상부), 절연부(중간부) 및 전기공압 기계장치와 저압부(하부)으로 크게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1은 주회로 차단기의 전기, 공압부를 보여준다. 고압부는 전동차 지붕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적 아크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방수구조인 진공 스위치 튜브로 구성된다. 절연부는 수직적으로 설치된 절연체로 고압회로를 지지하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어 접지와 고압회로 사이에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기, 공압 장치 및 저압부는 이동성이 있는 접촉기를 움직이는 기능을 하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위치한다.(3) 표 1은 주회로 차단기의 사용환경 조건이며, 외기온도가 –25℃~ 40℃ 이내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그림. 1. MCB 구조

Fig. 1. MCB architecture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fig1.png

표 1. 주회로 차단기의 사용환경조건

Table 1. MCB Environment condition

구분

내용

형식

단극성 교류차단기

기후

조건

외기온도

-25℃~ 40℃

상대습도

5%~100%

전력 공급조건

전차선(지하)

강체가선

가선전압

AC25[KV]

(20KV~27.5KV)

2.2. 동작 시퀀스 및 시퀀스 측정(1,4)

그림 2는 주 컨텍터(HV)와 컨텍터 압력 장치(BR)의 시간에 대한 동작 곡선을 나타낸다. 동작에 따른 주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losing time, Contact pressure time, Bounce main contact time, Opening time을 측정한다. 특히 동작 시퀀스 진행 중에 MCB 동작 실패는 Closing time인 2-3 구간에서 동작값이 없는 경우이다.

2.3. MCB 동작 실패 일례

신분당선은 개통 후 2011년 11월 ~ 2012년 3월 동절기 기간 동안 MCB 동작 실패가 7회 발생하였다. MCB 동작 실패를 한 EMU 차량은 모두 전일 운행을 종료하고 유치선에 주박 후 당일 최초 기동 시 외기온도 –1℃ ~ -11℃ 일 때 발생하였다. MCB의 사용온도 요구조건은 –25℃ ~ +40℃로 MCB 동작 실패는 사용온도 요구조건이 아닌 다른 요인으로 예측되어 다양한 실험조건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그림. 2. 주 컨텍터와 컨텍터 압력장치의 시간 동작 곡선

Fig. 2. Time behavior curve of main contactor and contactor pressure device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fig2.png

U : BR 스트로크 (20mm)

S : New 컨텍터들 사이의 거리(16mm)

Vc : Closing 속도 (0.9m/s 이하)

Vo : Opening 속도 (1.4m/s 이하)

표 2. 시퀀스 측정 포인트

Table 2. Sequence measurement point

측정시간 위치

측정항목

기준

2-3

Closing time

6.4~8.0[ms]

3-4

Contact pressure time

≤15.0[ms]

-

Bounce main contact time

≤5.0[ms]

7-8

Opening time

8.0~11[ms]

표 3. MCB 동작 실패 일례

Table 3. The case of MCB operation failure

횟수

시간

외기온도

비고

1

05:25

-5℃

'12년 03월 최저기온 -5℃

2

10:00

-7℃

'12년 01월 최저기온 -13℃

3

04:24

-11℃

4

04:44

-7℃

5

04:45

-9℃

6

04:48

-10℃

'11년 12월 최저기온 -12℃

7

15:00

-1℃ 눈

2.4. MCB 동작 실패 가설 및 가설검증

외기온도 저하 시 동작 실패 원인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3가지를 수립하였다.

① EV를 제어하는 Control Unit(CMDE)이 온도변화에 따른 성능저하로 EV Coil에 인가되는 전압 부족으로 인한 동작 불량 발생

② MCB 벨브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Limit Bouncing Mechanism(TR)의 온도저하에 따른 기계적 구조에서 간섭으로 인한 동작 불량 발생(3)

③ EV 내부에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미세 이물질이 동결되면서 간섭으로 EV 동작 불량 발생(5)

상기 가설에 대한 MCB 동작시험을 수행하였다. 가설 ①에 대한 현차 시험 그림 3(b)와 같이 –7℃~ -11℃ 환경에서 MCB Control 입력전압(Vb) 으로 DC 96V를 인가 후 MCB 투입 명령 시, EV Coil에 입력전압은 계산 값 12.84V, 측정값 13V로 정상이지만 실제 EV가 작동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가설 ②에 대한 시험은 가설 ①과 ③에 대한 시험 종료후 가설 ②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10회 동작 시 절연로드의 수직운동 부분 등에서 걸림이나 이상음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히 동작하였다. 가설 ③에 대한 시험은 그림 3(b)의 분해상태에서 압축공기 생성, 공기 이동 배관의 연결구조 등을 조사하여 배관 내부의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 발생을 현차에서 확인하였으나, EV밸브 분해를 위한 작업에 의해 얼음의 잔여물은 미소량이 확인되었으나 직접적인 결빙 현상은 확인이 불가하였다. 그림 3(c)는 챔버 시험 결과로 –25℃ 상태에서 정상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2.5. 가설 시험 결과

가설에 대한 현차 시험과 챔버 시험에서와 다른 조건은 챔버 시험에서는 압축공기 배관내 결로가 없는 –25℃상태에서 정상 동작하였다. 가설 ①에 대한 현차 시험 시 EV 코일에는 정상적인 전압이 인가되었으나 EV 밸브는 동작하지 않았다. 가설 ③에 대한 시험결과 EV 밸브 부분의 결로가 확인되었으며, 장시간 영하의 기온에 노출되어 EV 밸브 부분이 결빙되어 투입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5)

결빙원인은 MCB 동작용 압축공기는 주공기 압축기에서 상시 공급하여 운행 종료시 기동 정지 후 25L Reservoir에 8.5[Kgf/cm²] 압력으로 유지하고 있는 압축공기를 전동차 기동 시에 사용하게 된다. 전동차가 운행종료 후 유치선에 주박하게 되면 Key Off상태에서 각종 공기 배관, 공압 제동 장치 등에서 미세한 공기누설로 4시간 이상 경과 후 기동시에는 압력저하로 보조공기압축기가 동작하여 고온 고압의 공기를 충기하게 되어 결빙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신분당선 무인시스템 전동차의 경우 무인으로 기동하는 Wake-up명령 시퀀스에 따라 1차에 기동이 성공할 수 있도록 팬터그래프 및 MCB 동작용 공기통에 역지변을 설치하였다. 전동차가 기동하고 있는 동안에 주 공기압축기에서 충기한 공기로 전동차 정지(Key Off)상태에서 4시간 정도경과후 기동 시 신속히 팬터그래프와 MCB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기동 시 보조 공기압축기가 대부분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동작 시간은 단축되었다. 그러나 고온고압의 압축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기온도와 같이 온도가 변하게 되며, 배관 내에서 온도가 저하되면서 결로가 발생하고, 겨울철 외기온도 저하 시 장시간 정체되어있는 압축공기에서 결로에의한 수분과 이물질이 MCB 공기탱크 및 EV 밸브 부위에 결빙되고, 이로 인해 동작 불량이 발생하였다.

그림. 3. 가설에 대한 MCB 동작 시험

Fig. 3. MCB operation test on hypothesis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fig3_1.png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fig3_2.png

2.6. 개선된 MCB 동작 방안 및 시험

시험결과 압축공기의 결로에 의한 결빙이 동작 불량 원인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절기에는 MCB 내부의 Air Tank와 Pressure regulator 내 공기를 배출시켜 수분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여야 하나, 실제 운영 상태에서는 별도의 작업시간이 필요함으로 채택이 어렵다. 따라서 기계적, 공압적으로 해결하기에는 기동 시퀀스 문제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최적의 해결방안으로 전기적인 해결방법을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동작불량 원인은 EV 밸브 부위의 결빙 현상으로 결빙 시에도 원활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EV 밸브 동작용 코일의 동작 전압 및 전류를 증가시켜 밸브 동작을 강화하였다. MCB 제어보드 내의 저항을 EV 코일의 최대 허용전압 이내에서 최대 전류량을 생성할 수 있는 값 이내에서 68Ω →58Ω→47Ω으로 10Ω 단위 변경하여 현차시험한 결과 58Ω으로 변경한 경우 –9℃에서 기동 시 동작불량이 표 3과 같이 발생하였으나, 47Ω으로 변경 후에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림. 4. MCB 제어보드 및 등가회로

Fig. 4. MCB control board and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fig4.png

기존 MCB 제어전압은 기동 전 밧데리 최저전압 84V와 기동 후 밧데리 전압 100V 및 저항 68Ω 기준으로 최대허용전압을 137.5V로 하였을 때 EV 코일의 저항 Rc는 10.5Ω으로 설정되어 있다. 표 4는 최대 허용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EV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기준으로 저항 68Ω을 47Ω으로 그림 4와 같이 대체하였다. 이때 EV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보여준다. MCB 제어전압이 100V이고 47Ω 저항인 경우, EV Coil은 MCB가 설계된 최대 전압과 이때 흐르는 전류(18.36V, 1.75A)보다 낮은 전압과 전류(18.27V, 1.74A)이므로 MCB 동작 및 전자밸브 수명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계산 값을 바탕으로 MCB 제어보드에서 저항 변경 후 시험을 수행하였다. 측정지점은 MCB 제어전압(Vb), EV Coil 입력 전압(Vc), EV Coil 전류(Ic), EV(Electro-valve) 코일저항(Rc)을 측정하였다. 표 5는 저항 47Ω 변경 후 계산값과 측정값을 보여준다. 시험결과 예측되는 계산 값과 실제 측정한 전압 및 전류는 오차 범위 이내에 있으며, 반복하여 투입시간(Closing Time)을 측정한 결과 6.4~8.0[ms] 이내로 사양서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EV Coil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 계산값

Table 4. Voltage and current calculated value of EV coil

EV Coil

MCB

제어전압(Vb)

EV 저항(R)

기존 68[Ω]

변경 47[Ω]

전류(Ic)

84V

1.07[A]

1.24[A]

전압(Vc)

11.24[V]

13.09[V]

전류(Ic)

100V

1.27[A]

1.74[A]

전압(Vc)

13.37[V]

18.27[V]

전류(Ic)

137.5V

1.75[A]

전압(Vc)

18.36[V]

표 5. 저항 47[Ω] 변경 후 시험측정 결과

Table 5. Test result after resistance 47[Ω] change

측정항목

EV 저항(R)

측정값

계산값

EV Coil 전류

1.6[A]

1.64[A]

EV Coil 전압

18[V]

18.87[V]

MCB 제어전압(Vb)

96[V]

-

EV Coil 저항(Rc)

11.5[Ω]

-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MCB 사용환경 조건 중 사용온도 범위에서 온도저하에 따른 동작 실패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법을 적용한 후 2018년 말까지 MCB 장애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점검결과 개선 부위의 열화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내용은 아래와 같다.

① 신분당선 무인운전 전동차는 운행 종료 후 MCB 내부의 Air Tank 및 EV 밸브 전단까지 공급되어 있는 공압으로 Wake-up명령 시 팬터그래프 및 MCB를 신속하게 동작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외기온도에 의해 배관 및 Air Tank내 압축공기에서 결로가 발생되고 영하의 기온에 결빙되어 EV 동작 불량이 발생하였다.

② MCB 동작 시퀀스와 개선 비용 등을 고려하여 MCB 제어보드의 저항을 변경(68[Ω] → 47[Ω])하여 EV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증가시켜 EV 코일의 동작을 강화하였다.

향후 사용기후조건, 전동차 압축공기의 사용방식에 따라 적용 사양 기준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여 정립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9년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지원하는 철도차량 스마트 유지보수 기술개발사업 중 ‘철도차량 주요장치 자가상태진단 및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 과제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12, Main Circuit Breaker Specifi- cation, inspection, test plan, capacity statementGoogle Search
2 
J. I. Park, 2014, Consideration for main circuit breaker control logic in rolling stock, in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changwon, pp. 563-568Google Search
3 
Yong-Kuk Oh, Jae-Won Kim, Joon-Hyoung Ryu, 2017, A Development of Intelligent Controller for Phase Controlin Main Circuit Break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1, pp. 755-761DOI
4 
S. H. Chang, 2014, Transient Characteristics by Transformer Impedance at the time of Opening the Main Circuit Breaker on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5, pp. 719-725DOI
5 
J. L. Park, December 1992, The Countplan for Antifreezing of H.V.A.C & Plumbing,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vol. 21, No. 6, pp. 486-501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상현 (Sang-Hyun Kim)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au1.png

2014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졸업(석사).

2017년~현재 교통대학원 교통정책교통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재학. 1985년~2004년 철도청, 대구지하철공사.

2005년~현재 ㈜네오트랜스 근무

김철수 (Chul-Soo Kim)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au2.png

1996년 한양대 기계공학부 졸업.

2002년 8월 동 대학원 졸업(공박).

2008년~현재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심의위원, 2013년 8월~현재 ISO/TC269 기술위원, 2003년 3월~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교수

김재문 (Jae-Moon Kim)
../../Resources/kiee/KIEE.2019.68.11.1477/au3.png

1994년 성균관대 전기공학과 졸업.

2000년 2월 동 대학원 졸업(공박).

2000년~2004년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2006년~현재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전문 위원, 2004년 3월~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2019년 3월~현재 교통대학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