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Shell type transformer, Stray load loss, Core loss, Optimum design

1. 서 론

우리나라는 산업의 발달과 경제 성장으로 매년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송배전 손실로 인한 에너지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송배전 손실률은 전체 전기에너지의 3.6%이며, 이 중 배전용 변압기에서 약 2%의 손실이 발생하다(1).

배전용 변압기는 일반적으로 99% 이상의 효율을 가지고 있어 최적설계를 도입하더라도 효율에 대한 높은 상승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2). 그러나 국내 전력계통에 설치된 변압기 수를 고려했을 때 0.1%의 효율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은 매우 크다. 이에 따라서 변압기 설계의 개선을 위해 손실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표류부하 손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변압기 권선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에 의한 표류부하손실은 권선의 형태나 금구류의 거리, 재질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을 실험적으로 정확히 분류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에 관련한 손실계산은 주로 FEM(Finite Elements Method) 해석을 이용한다(3,4).

본 논문에서는 100kVA 외철형 변압기에 대하여 2개의 철심을 갖는 변압기에서 4개의 철심을 방사형으로 배치한 변압기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4개의 철심을 4개의 자기저항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비선형 특성이 고려된 자기 등가 회로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권선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방사형으로 배치된 4개의 철심으로 인해 외함에서 발생하는 표류부하 손실을 감소시키고, 최적설계와 FEM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2. Analytical Model of Shell Type Transformer

2.1 100kVA Shell Type Transformer

변압기의 철심 구조로는 크게 내철형(Core Type)과 외철형(Shell Type)으로 구분된다. 단상 내철형 변압기의 경우 2개의 권선과 1개의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상 외철형 변압기는 1개의 권선가 2개의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 외철형 변압기의 해석 모델.

Fig. 1. Analytical Model of Shell Type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1.png

각 변압기의 특징은 제작 요구사항이나 사용목적, 용량출력 등에 따라 적용을 결정하지만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어느 쪽이나 제작이 가능하다(5).

표 1. 외철형 변압기 사양.

Table 1. Shell Type Transformer Specification.

Specification

Value

Rated Capacity

100kVA

Rated Voltage

13,200V / 230V

Rated Current

7.58A / 434.78A

Frequency

60Hz

Turn Number

1377 / 24

2.2 Calculating Loss of Transformer

변압기 철심의 모델은 권철심 변압기지만, 적층하지 않고 하나의 Block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무부하 손실은 비선형 특성곡선과 스타인메츠 식(Steinmetz Equation)을 통해 계산된다. 그림 2는 철심 재질인 23PH090의 비선형 재질 특성 곡선을 나타내었으며, 식 (1)은 스타인메츠 식을 나타내었다.

그림. 2. 23PH090 비선형 재질 특성 곡선.

Fig. 2. Nonlinear material properties curve of 23PH090.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2.png

(1)
$$P_{Core}=K_{h}f B_{m}^{2}+ K_{c}(f B_{m})^{2}+ K_{e}(f B_{m})^{1.5}$$

식 (1)의 첫째 항은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 둘째 항은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 마지막 항은 초과 손실(Excessive Loss)을 나타낸다. 각 항의 $K_{h}$, $K_{c}$, $K_{e}$는 각 항의 손실 계수를 나타낸다. 각 손실 계수는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B-P Curve를 이용하여 식 (2)를 통해 얻을 수 있다(6).

(2)
$$err(K_{1},\:K_{2})=\sum[P_{Core,\:i}-(K_{1}B_{m,\:i}^{2}+K_{2}B_{m,\:i}^{1.5})]^{2}$$

여기서 $i$는 B-P 곡선의 각 점을 나타낸 것 이며, 구해진 $K_{1}$, $K_{2}$를 이용하여 아래 식과 같이 각 항의 손실을 구할 수 있다.

(3)
$$K_{h}=\dfrac{K_{1}-K_{c}f^{2}}{f}$$

(4)
$$K_{c}=\pi^{2}\sigma\dfrac{d^{2}}{6}$$

(5)
$$K_{e}=\dfrac{K_{2}}{f^{1.5}}$$

위 식에서 $\sigma$는 도전율을 나타내며, $d$는 철심의 두께, $f$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히스테리시스손실은 자기장의 크기와 주파수, 철심의 재질 등에 따라 결정되며, 와전류 손실은 자기장의 크기와 주파수, 철심의 재질과 두께에 영향을 받는다.

외함의 표류부하 손실은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시간에 따른 자계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 교번하는 자계의 변화는 자계 주변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며, 자계 주변의 물질이 전도성을 갖는 경우 전위차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줄열이 발생하고 이는 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3은 외함 재질인 SS400의 B-H 곡선을 나타내었다.

그림. 3. SS400의 B-H 곡선.

Fig. 3. B-H Curve of SS400.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3.png

(6)
$$P_{Stray}=\dfrac{1}{\sigma}\int_{V}J^{2}d V$$

식 (6)의 $P_{Stray}$는 표류부하 손실이라 하고, $\sigma$는 도전율, J는 도체의 전류밀도를 나타낸다. 부하실험을 통해 저항 손실과 표류부하 손실을 구분할 수 있으나 권선의 와전류 손실이나 외함과 기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와전류 손실은 실험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EM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외함에서 발생하는 표류부하 손실을 저감하고자 한다. 권선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최대한 철심에 집중되도록 2개의 철심을 갖는 외철형 변압기를 4개의 철심을 갖는 변압기로 재설계 하였다.

2.3 Optimum Design of Shell Type Transformer

2개의 철심을 갖는 외철형 변압기를 설계기준으로 철심을 나누어 4개의 철심을 방사형으로 배치한 외철형 변압기를 설계하였다. 철심과 표류부하 손실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설계변수(x1)는 추가로 설치되는 철심의 두께가 되며, 4개의 철심의 무부하 손실의 합이 최소값이 되도록 하였다. 설계변수의 범위는 하안(0mm)와 상한(105mm)을 갖도록 제한조건을 추가하였으며, 0mm는 초기 설계된 2개의 철심을 갖는 변압기가 되며, 105mm는 반대 방향으로 2개의 철심을 갖는 변압기가 된다.

그림 4는 권선을 감싸는 다리(Leg)부분의 4개의 코어가 공통으로 형성된 단면적을 최적설계 하였다. 그림 4는 각 모델에 대한 변압기의 중앙 단면적을 나타내었다. 그림 4의 (a)는 2개의 철심을 갖는 외철형 변압기를 나타내었으며, 그림 4의 (b)는 4개의 철심을 갖는 외철형 변압기를 나타내었다. 권선의 크기는 고정이며, 철심의 전체 단면적이 되는 y1(210mm)과 x2(70mm)는 고정된다. 철심의 창구는91mm*432mm로 고정값을 가진다.

그림. 4. 각 모델의 공통 단면적 설계변수.

Fig. 4. Common cross-sectional area design variables for each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4.png

4개의 철심을 갖는 외철형 변압기에 대하여 비선형 특성이 고려된 자기 등가 회로를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 하였다.

(7)
$$R_{m}=\dfrac{F}{\Phi}=\dfrac{l_{c}}{\mu_{r}\mu_{0}A_{c}}$$

(8)
$$\Phi =\dfrac{V_{1}}{4.44 f N_{1}}$$

(9)
$$B_{m}=\dfrac{\Phi}{A_{c}}$$

릴럭턴스 $R_{m}$은 전기회로에서의 전기저항과 대응되며, 자속에 대하여 생기는 저항성분이다(7). F는 기자력이며, 자기장이 생기도록 하는 힘이다. $\Phi$는 자속, $A_{c}$는 유효 단면적, $\mu_{r}$은 상대 투자율, $\mu_{0}$은 진공 투자율, $l_{c}$는 자기장이 통과하는 평균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기존 설계된 자속밀도 $B_{m}$을 기준으로 $\Phi$를 계산하여 변압기의 무부하시 여자전류 $I_{0}$를 계산 할 수 있다.

그림 5식 (7)을 통해서 자기 등가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4개의 철심 다리에 대한 자기저항을 각각 $R_{1}$, $R_{2}$, $R_{3}$, $R_{4}$로 나타냈으며, 4개의 철심이 공유하고 있는 부분은 $R_{com}$으로 표현하였다. 손실계산은 식 (1)을 통해 계산되며, 손실이 최소인 지점을 찾게 된다.

그림. 5. 자기 등가 회로.

Fig. 5. Magnetic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5.png

그림. 6. 철심의 최적설계 결과.

Fig. 6. Optimum Design result of core.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6.png

그림 6은 x1을 0mm부터 105mm까지 1mm씩 증가하였을 때 총 손실을 나타내었다. 이때의 설계변수 x1에 따른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B1과 B2는 x2 크기의 두께를 갖는 철심의 자속밀도를 나타내며, B3과 B4는 x1 크기의 두께를 갖는 철심의 자속밀도이다. 설계변수 x1이 31mm일 때 가장 적은 무부하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69mm일 때 동일한 성능을 가지게 된다.

표 2. 설계변수에 따른 특성

Table 2. Characteristics to design parameters

X1

[mm]

B1=B2

[T]

B3=B4

[T]

Bcom

[T]

Ptotal

[W]

Dif

[%]

1

1.27

1.72

1.27

173.42

0.00

2

1.27

1.70

1.27

173.14

-0.16

3

1.26

1.69

1.27

172.85

-0.33

...

...

...

...

...

...

30

1.21

1.43

1.27

168.13

-3.05

31

1.21

1.42

1.27

168.13

-3.05

32

1.21

1.42

1.27

168.13

-3.05

...

...

...

...

...

...

68

1.27

1.28

1.27

173.13

-0.17

69

1.27

1.28

1.27

173.40

-0.01

70

1.27

1.27

1.27

173.69

0.15

...

...

...

...

...

...

102

1.42

1.27

1.27

187.05

7.86

103

1.43

1.27

1.27

187.61

8.18

104

1.44

1.27

1.27

188.18

8.51

3. FEM Analysis Result

최적설계를 이용하여 설계된 모델에 대하여 표류부하 손실의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FEM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절연 구조물은 고려하지 않았다. 외함은 SS400의 재질을 사용하였으며, 두께 5mm, 바깥지름은 535mm의 크기를 갖는다. Model#1과 Model#2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의 외함과 권선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그림 7은 FEM해석 모델의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7의 (a)는 기준 모델인 2개의 철심을 갖는 모델(Model#1)을 나타내었으며, 그림 7의 (b)는 최적설계기법을 통해 설계된 4개의 철심을 갖는 변압기(Model#2)를 나타내었다. 그림 8그림 9는 외함의 자속밀도 분포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림 10은 외함의 표류부하 손실 분포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림. 7. FEM 해석 모델의 평면도.

Fig. 7. Floor plan of FEM analysis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7.png

그림. 8. 외함의 자속밀도 분포 결과(Model#1).

Fig. 8.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ults of case (Model#1).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8.png

그림. 9. 외함의 자속밀도 분포 결과(Model#2).

Fig. 9.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ults of case (Model#2).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9.png

그림. 10. 외함의 표류부하손실 분포 결과.

Fig. 10. Stray load loss distribution results of case.

../../Resources/kiee/KIEE.2020.69.3.414/fig10.png

그림 8과 같이 권선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은 권선에 근접한 외함에 집중이 되며, 그림 9와 같이 추가된 철심에 의해 외함에 집중되는 누설자속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그림 10과 같이 감소된 누설자속에 의해 표류부하 손실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3은 Model#1과 Model#2의 제원을 나타내었으며, 표 4는 Model#1과 Model#2의 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3. Model#1과 Model#2의 제원.

Table 3. Specification of Model#1 and Model#2.

Model#1

Model#2

Dif

x1 [mm]

0

31

-

Core Volume[m$^3$]

0.0372

0.0362

-2.29%

HV Winding Volume[m$^3$]

0.0118

0.0118

0%

LV Winding Volume[m$^3$]

0.0094

0.0094

0%

Case Volume[m$^3$]

0.3816

0.3816

0%

표 4. Model#1과 Model#2의 해석 결과.

Table 4. Analysis results of Model#1 and Model#2.

Model#1

Model#2

Dif

Core Loss [W]

174.57

170.58

-2.29%

Copper Loss [W]

363.52

363.61

0.02%

Stray Load Loss [W]

8.22

1.87

-77.25%

Case Bmax [T]

0.30

0.14

-53.33%

4. 결 론

논문에서는 100kVA 배전용 변압기의 대하여 표류부하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2개의 철심을 갖는 외철형 변압기에서 4개의 철심을 방사형으로 배치한 외철형 변압기를 제안하였다. 4개의 철심을 4개의 자기저항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비선형 특성이 고려된 자기 등가 회로를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적화 설계기법을 통해 무부하 손실을 2.29% 감소시켰으며, 표류부하 손실을 77.25%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표류부하 손실 감소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손실 최소화 연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Energy Efficiency & Resources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No. 20161210200500)

References

1 
S. A. Holland, G. P. O`Connell, L. Haydock, 1992, Calculating Stray Losses in Power Transformers Using Surface Impedance with Finite Elements,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28, No. 2, pp. 1355-1358DOI
2 
S. V. Kulkarni, S. A. Khaparde, 2004, Transformer Engineering: Design and Practice, MARCEL DEKKER, INC., New YorkGoogle Search
3 
L. Susnkic, Z. Haznadar, Z. Valkovic, Oct 2008, 3D Finite-Element Determination of Stray Losses in Power Transformer,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78, No. 10, pp. 1814-1818DOI
4 
L. Lin, C. Xiang, Z. Yuanlu, C. Zhiguang, Z. Guoqiang, Z. Yinhan, Sept 1998, Losses Calculation in Transformer Tie Plat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34, No. 5, pp. 3644-3647DOI
5 
Robert M. Del Vecchio, 2010, Transformer Design Principles: With Application to Core-Form Power Transformers, CRC PressGoogle Search
6 
E. S. Han, 2017, Maxwell Advanced Training, TSNEGoogle Search
7 
H. W. Lee, S. Y. Cho, J. N. Bae, B. O. Son, K. J. Park, J. Lee, Oct 2009, Yoke Shape Design of Claw-Poles Stepping Motor Using Modified Magnetic Equivalent Circuit Method Including Magnetic Saturation Effect and Leakage Flux, KIEE Transaction, Vol. 58, No. 10, pp. 1942-1946Google Search

저자소개

Sang-Hyun Kim
../../Resources/kiee/KIEE.2020.69.3.414/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Korea, in 2014.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agnetic material, transformer and computational electromagnetics.

Hyang-Beom Lee
../../Resources/kiee/KIEE.2020.69.3.414/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9.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1.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5.

Since 1998, He is currently working as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 machinery, computational electromagnetics and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