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orea)



Microgrid, distributed generations(DGs), virtual inertia

1. 서 론

오늘날 전력시스템은 중앙 집중형에서 분산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태양광발전시스템, 풍력발전시스템, 연료전지, 등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s, DGs)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분산전원은 전력시스템에 연계하기 위하여 전력변환장치가 사용되므로 기존의 회전기 기반의 시스템에서 제공되었던 관성 및 댐핑효과 제공이 어려워 주파수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1-3). 그림 1은 전력변환장치 기반 분산전원이 증가할 경우 전력시스템의 관성에너지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기존 회전기 기반 전력시스템은 발전기에 내제되어 있는 관성으로 인하여 전력시스템의 관성에너지가 크게 유지되지만 관성특성이 없는 전력변환장치가 다량으로 도입될 경우 전력 시스템의 관성에너지가 줄어들게 된다.

최근 다양한 연구 및 보고서에 따르면 관성 특성이 없는 신재생전원 기반 분산전원의 증가는 시스템의 주파수 안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5). 이러한 이유로 분산전원의 도입률이 높은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계통에 접속되는 분산전원의 경우 의무적으로 관성특성을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8).

한편, 마이크로그리드는 다양한 분산전원과 부하로 구성된 소규모 전력시스템으로 계통과 연계(계통연계운전) 또는 분리(독립운전)되어 운전이 가능하다(9-11). 마이크로그리드가 계통과 연계되어 운전될 경우 전력시스템에 의하여 주파수 및 전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계통과 분리되어 독립운전모드로 전환 될 경우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충분한 용량을 가진 동기발전기 또는 CVCF(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컨버터를 사용해야 하며, 동기발전기, CVCF 컨버터의 용량에 따라 연계할 수 있는 신재생전원의 용량이 제한된다. 또한, 독립운전모드 마이크로그리드는 컨버터 기반의 분산전원이 많을수록 시스템의 관성이 작은 시스템이므로 외란(급속한 발전량 변동 및 부하 변동 등)에 의하여 주파수 변동 및 시스템의 주파수 안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컨버터 기반 분산전원은 전류원 형태로 연계되므로 단일 기준전압원인 CVCF 컨버터 또는 동기발전기 고장 시, 시스템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내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관성을 적용한 분산전원의 효과와 동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태양광(photovoltaic, PV)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에 가상관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외란 발생 시 시스템의 동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적용한 알고리즘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림. 1. 전력시스템의 관성 특성

Fig. 1. Inertia characteristic of pow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png

2. 가상관성 기반 분산전원 모델링

가상관성을 적용한 분산전원은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에너지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원(ESS, 연료전지 등)과 주변환경에 따라 출력이 변동되는 전원(태양광발전시스템, 풍력발전시스템)으로 나누어 모델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ESS와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가상관성을 적용하였으며 상세모델링은 다음과 같다.

2.1 가상관성을 적용한 ESS 모델링

ESS를 이용한 가상관성 기반 3상 VSC(voltage source converter)의 구조는 그림 2와 같이 DC 전원, 3상 브릿지, LC filter, 부하 또는 선로, 전력계통으로 구성된다. 이때, DC 전원은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해줄 수 있으므로 prime mover로서 동작을 하게 되며, 인버터는 가상관성을 반영한 제어기(virtual synchronous generator, VSG)를 적용함으로써 동기기와 유사한 동특성을 모의할 수 있다.

그림. 2. VSG 기반 제어 블록도

Fig. 2. Control block diagram based on VSG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2.png

동기발전기의 로터 운동, 고정자 특성을 모의하기 위하여 식(1)이 사용되며, 이를 통하여 동기발전기의 관성 및 감쇠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12,13).

(1)
$$\begin{array}{l} {J w} \frac{d\left(w-w_{N}\right)}{d t}=P_{m}-P_{e}-D\left(w-w_{g}\right) \\ \frac{d \theta}{d t}=w \end{array}$$

여기서, $P_{m},\:P_{e}$: mechanical and electromagnetic active power

$w$ : rotating speed of the generator

$w_{N}$ : rated angular frequency

$w_{g}$ : angular frequency of the grid

$\theta$ : electric angle

$D$ : damping coefficient

$J$ : rotor inertia

이때, VSG의 동기회로는 그림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가상임피던스(Ls, Rs)를 이용하여 동기기의 전압 특성을 모의할 수 있다(14,15).

그림. 3. VSG 동기 모델

Fig. 3. The equivalent circuit of VSG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3.png

(2)
$\dot e =\dot u_{s}+\dot i(R_{s}+j X_{s})$

여기서, $R_{s}$ : armature resistance

$X_{s}$ : synchronous reactance

$\dot u_{s}$ : output voltage of VSG

$\dot e$ : excitation electromotive force

$\dot i$ : stator current

다수의 가상관성 기반 분산전원을 이용하여 주파수 및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식(3)을 이용하며, 이를 통하여 동기기의 조속기와 여자기를 모의할 수 있다.

(3)
\begin{align*} U=U_{N}+D_{q}(Q_{N}-Q)\\ P_{i n}=P_{o}+D_{P}(w_{N}-w_{g}) \end{align*}

여기서, $Q,\:Q_{N}$ : reactive and rated reactive power

$w_{g},\: w_{N}$ : angular and rated frequency

$D_{P}$ : ($w-P$) droop coefficient

$D_{q}$ : ($V-Q$) droop coefficient

$U_{N}$ : rated voltage amplitude and angular frequency

$P_{o}$ : initial real power reference

위의 수식들을 이용한 제어 블록도는 그림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가상관성을 적용한 ESS의 전체 구성도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4. 가상관성을 적용한 제어블록도

Fig. 4. Control block diagram applied virtual inertia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4.png

그림. 5. VSG 기반 ESS 제어 블록도

Fig. 5. Control block of ESS based on VSG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5.png

2.2 가상관성을 적용한 PV 모델링

2.1절에서 서술한 ESS는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전력공급이 가능하며, 외란발생 시 ESS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를 관성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PV 시스템의 경우 주변환경에 따라 출력이 변동하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 외란 발생 시, 짧은 시간동안에 관성에너지를 모의할 수 없으므로 ESS를 병렬로 연결하여 관성에너지를 모의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5,16). 본 논문에서는 짧은 시간동안에 에너지버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DC 링크를 이용하여 관성에너지를 모의하였다. PV 시스템에 사용되는 AC/DC 컨버터의 경우 2.1절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swing equation을 사용하므로 본 절에서는 DC링크 전압 제어기에 대한 내용만 서술한다.

PV 시스템은 그림 6과 같이 PV패널,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LC 필터로 구성되며, DC/DC 컨버터는 MPPT 운전을 수행한다.

그림. 6. PV 시스템 구성도

Fig. 6. Structure of PV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6.png

본 논문에서는 DC/DC 컨버터와 AC/DC 컨버터 사이의 DC 링크를 이용하여 관성에너지를 모의하였고, 이를 위하여 AC/DC 컨버터의 DC 링크 전압제어에 식(4)를 적용하였으며(18), 그림 7은 DC링크를 이용한 관성에너지 모의의 개념을 나타낸다. DC 링크전압 변동은 식(4)를 통하여 주파수 지령치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관성에너지를 모의할 수 있다.

(4)
$w^{*}=w_{s}+\dfrac{s+K_{T}}{K_{J}s+K_{D}}\left[\left(V_{dc}\right)^{2}-\left(V_{dc}^{*}\right)^{2}\right]$

여기서, $w_{s}$ : frequency setting value

$V_{dc}$ : DC link voltage

$V^{*}_{dc}$ : DC link voltage reference value

$K_{J}$ : inertia emulation coefficient

$K_{D}$ : damping coefficient

$K_{T}$ : DC link voltage tracking coefficient

그림. 7. 관성에너지 모의 개념

Fig. 7. Inertia emulation concept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7.png

DC 링크에서의 동적수식은 식(5)와 같으며, 식(4)식(5)에 적용하면 식(6)과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동기기의 swing equation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5)
$C_{dc}\dfrac{d V_{dc}}{dt}=i_{s}-i_{E}=\dfrac{P_{s}}{V_{dc}}-\dfrac{P_{E}}{V_{dc}}$

(6)
$\dfrac{K_{J}C_{dc}}{2}sw^{*}+\dfrac{K_{D}C_{dc}}{2}\left(w^{*}-w_{g}\right)=P_{s}-P_{E}$

여기서, $P_{s}$ : power injected into the capacitor from the power source

$P_{E}$ : real power taken from the capacitor

$C_{dc}$ : DC link capacitor

$i_{s}$ : corresponding dc current(input side)

$i_{E}$ : corresponding dc current(output side)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PV 시스템에 가상관성을 적용한 전체시스템은 그림 8과 같다. 또한, 본 논문에서의 PV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압제어를 수행하므로 단독운전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림. 8. VSG 기반 태양광 발전시스템 구성도

Fig. 8. System structure of PV system based on VSG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8.png

3. 시뮬레이션

본 논문에서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한 가상관성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ESS, PV 시스템에 가상관성을 적용하였으며, 테스트 시스템은 그림 9와 같이 2기의 ESS, 1기의 PV 시스템, 부하로 구성하였다.

그림. 9. 테스트 시스템

Fig. 9. Test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9.png

설계한 제어시스템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CVCF 운전방식과 제안한 제어방법을 각각 시뮬레이션하여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 Case 1 : 부하 및 태양광 발전량 변동

⦁ Case 2 : 운전모드전환 (계통연계운전->독립운전)

⦁ Case 3 : CVCF인버터 탈락

그림 10은 시뮬레이션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한 하루의 부하 및 일사량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0. 부하량 및 일사량(입력 데이터)

Fig. 10. Demand load and Irradiance(input data)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0.png

3.1 CASE 1

Case 1에서는 부하량과 태양광 발전량에 따른 시스템의 동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그림 10과 같은 하루의 부하량과 일사량을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11(a)는 시스템내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것으로 부하변동 시, 가상관성을 적용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유효전력출력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가상관성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가상관성특성으로 전압변동이 완화되어 무효전력의 과도상태 최대/최소치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시뮬레이션 결과(Case 1)

Fig. 11. Simulation Results(Case 1)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1_1.png

(a) 유/무효 출력전력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1_2.png

(b) 주파수 및 전압

그림 11(b)는 시스템의 주파수와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CVCF 운전방식을 적용할 경우, 전압이 320V-405V(@55초)까지 변동된다. 반면에 가상관성이 적용된 시스템의 경우, 전압 변동폭이 345-380V(@55초)이며,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VCF 운전방식의 경우, ESS1의 CVCF제어에 의하여 정격주파수(60Hz)와 정격전압(380V)이 유지되지만 가상관성을 적용한 시스템의 경우, 동적응답은 향상되지만 정상상태가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및 전압보상을 위한 2차제어(secondary control, recovery control)를 적용하지 않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3.2 CASE 2

Case 2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가 계통연계운전모드에서 독립운전모드로 전환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12(a)는 시스템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마이크로그리드는 10초에 계통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전전력이 ‘0’이 되고, 분산전원의 출력 변동이 발생한다. CVCF운전방식의 경우,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기의 제어모드가 전환(계통연계운전모드 : 전류제어모드, 독립운전모드 : 전압제어)되므로 제어기 전환에 따른 과도상태가 발생한다. 반면에 가상관성을 적용한 제어기의 경우,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기 전환이 요구되지 않아 과도상태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b)는 시스템의 주파수와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CVCF운전방식의 경우 ESS1의 CVCF제어에 의하여 정주파수(60Hz), 정전압(380V)을 유지하지만 가상관성이 적용된 시스템의 경우 정상상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case 1과 동일한 이유 때문이다.

그림. 12. 시뮬레이션 결과(Case 2)

Fig. 12. Simulation Results(Case 2)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2_1.png

(a) 유/무효 출력전력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2_2.png

(b) 주파수 및 전압

3.3 CASE 3

Case 3에서는 독립운전모드에서 CVCF운전모드 전원(ESS1)이 탈락했을 경우를 가정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CVCF운전방식의 경우 단일 기준전압원으로 주파수와 전압을 제어하므로 기준전압인 ESS1(CVCF 제어)이 탈락할 경우, 그림 13처럼 시스템 전체가 붕괴될 수 있다. 반면에 가상관성을 적용한 시스템의 경우, 다수의 기준전압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주파수 및 전압을 제어하므로 하나의 분산전원이 탈락하더라도 일정한 과도상태 후, 시스템이 정상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 시뮬레이션 결과(Case 3)

Fig. 13. Simulation Results(Case 3)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3_1.png

(a) 유/무효 출력전력

../../Resources/kiee/KIEE.2020.69.5.664/fig13_2.png

(b) 주파수 및 전압

위의 3가지 case study를 통하여 가상관성을 적용한 시스템의 경우, 부하 또는 발전량 변동 및 모드전환에 따른 동 특성 향상뿐만 아니라 기존 CVCF 전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어 복원력(resiliency) 및 생존력(surviv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1은 CASE 별 시뮬레이션 결과(전압동적특성)를 정리한 것으로 가상관성알고리즘을 적용한 후에 시스템 성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1. Simulation result

Case

Case1

Case2

Case3

적용 전

전압변동(V)

320-405

전압변동량

(△V=55)

탈락

적용 후

전압변동(V)

345-380

전압변동량

(△V=31)

유지

비 고

가상 관성 적용 시, 전압의 동적 특성이 향상됨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력변환장치 기반의 분산전원에 가상관성을 적용하고, 시스템에 다양한 외란을 모의하여 기존에 사용하였던 제어방법과 동 특성을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가상관성을 적용한 제어기는 동 특성 뿐만 아니라 복원력 및 생존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 록

표 2. 시스템 파라미터

Table 2. System Parameters

Base value of frequency

60 Hz

Base value of ac voltage

380 V

Output capacitance

20uF

Inductance

1.5mH

DC link voltae

750V

DC link capacitance($C_{dc}$)

6000uF

Damping coefficient($K_{D}$)

800

Inertia emulation coefficient($K_{J}$)

20

DC link voltage tracking coefficient($K_{T}$)

3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2018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한국전기연구원 주요사업임 (No. 20A01056)

References

1 
J. Fang, H. Li, Y. Tang, F. Blaabjerg, 2019, On the inertia of future more-electronics power systems,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7, No. 4, pp. 2130-2146DOI
2 
S. D’Arco, J. A. Suul, O. B. Fosso, 2015, A virtual synch- ronous machine implementation for distributed control of power converters in smartgrids, Electric Power System Research, Vol. 122, pp. 180-197DOI
3 
M. Dreidy, H. Mokhlis, S. Mekhilef, 2017, Inertia response and frequency control techniques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69, pp. 144-155DOI
4 
J. Matevosyan, S. Sharma, S.-H. Huang, D. Woodfin, K. Ragsdale, S. Moorty, P. Wattles, W. Li, 2015, Proposed future Ancillary Services in Electric Reliability Council of Texas, in Proc. 2015 IEEE Endhoven PowerTechDOI
5 
U. Tamrakar, D. Shrestha, M. Maharjan, B. P. Bhattarai, T. M. Hansen, R. Tonkoski, 2017, Virtual inertia: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Applied Sciences, Vol. 7, pp. 654DOI
6 
B. K. Poolla, S. Bolognani, F. Dorfler, 2017, Optiaml place- ment of virtual inertia in power grids, IEEE Trans. on Automatic Control, Vol. 62, No. 12DOI
7 
J. V. D. Vyver, J. D. M. D. Kooning, B. Meersman, L. Vandevelde, T. L. Vandoorn, 2016, Droop Control as an Alternative Inertial Response Strategy for the Synthetic Inertia on Wind Turbines,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31, No. 2, pp. 1129-1138DOI
8 
H. Thiesen, C. Jauch, A. Gloe, 2016, Design of a system substituting today’s inherent inertia in the european continental synchronous area, Energies, Vol. 9, pp. 582DOI
9 
M. S. Golorkhi, Q. Shafiee, D. D.-C. Lu, J. M. Guerrero, 2019, Distributed control of low-voltage resistive AC microgrids, IEEE Trans. on Energy Conversion, Vol. 34, No. 2, pp. 573-584DOI
10 
G. Li, F. Ma, A. Luo, Z. He, W. Wu, X. Wei, Z. Zhu, J. Guo, 2018, Virtual impedance-based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 control for grid-connected inverter under the weak grid situations, IET Power Electronics, Vol. 11, No. 13, pp. 2125-2132DOI
11 
Z. Peng, J. Wnag, Y. Wen, D. Bi, Y. Dai, Y. Ning, 2019,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 control strategy incorporating improved governor control and coupling compensation for AC microgrid, IET Power Electronics, Vol. 12, No. 6, pp. 1455-1461DOI
12 
X. Yan, J. Li, L. Wang, S. Zhang, T. Li, Z. Lv, M. Wu, 2018, Adaptive-MPPT-based control of improved photovoltaic virtual synchronous genertors, Energies, Vol. 11, pp. 1834DOI
13 
X. Huang, K. Wang, G. Li, H. Zhang, 2018, Virtual inertia- based control strategy of two-stage photovoltaic inverters for frequency support in islanded micro-grid, Electronics, Vol. 7, pp. 340DOI
14 
X. Yan, S. Y. A. Mohamed, D. Li, A. S. Gadalla, 2019, Parallel operation of virtual synchronous generators and synchronous generators in a microgrid, IET Journal of Engineering, Vol. 2019, No. 16, pp. 2635-2642DOI
15 
H. A. Alsiraji, R. E.-Shatshat, 2017, Comprehensive assessment of virtual synchronous machine based voltage source converter controllers,, Transmission & Distribution, Vol. 11, No. 7, pp. 1762-1769DOI
16 
X. Yan, X. Zhang, B. Zhang, Y. Ma, M. Wu, 2018, Research on distriuted PV storage virtual syncrhonous generator system and its static frequency characteristic analysis, Applied Science, Vol. 8, pp. 532DOI
17 
M. Mao, C. Qian, Y. Ding, 2018, Decentalized coordination power control for islanding microgrid based on PV/BES- VSG, in Proc. CPPSS TPEA, Vol. 3DOI
18 
L. Huang, H. Xin, Z. Wang, K. Wu, H. Wang, J. Hu, C. Lu, 2017, A virtual synchronous control for voltage source converters utilizing dynamics of dc-link capacitor to realize self-synchronization,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5, No. 4, pp. 1565-1577DOI

저자소개

유형준 (Hyeong-Jun Yoo)
../../Resources/kiee/KIEE.2020.69.5.664/au1.png

2018년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18년 8월~2019년 8월 인천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2019년 9월~현재 전기연구원 분산전력시스템 연구센터 선임연구원.

E-mail : hjyoo@keri.re.kr

김경훈 (Gyeong-Hun Kim)
../../Resources/kiee/KIEE.2020.69.5.664/au2.png

2013년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13년 3월~현재 한국전기연구원 분산전력시스템 연구센터 선임연구원.

E-mail : kgh1001@keri.re.kr

전진홍 (JinHong Jeon)
../../Resources/kiee/KIEE.2020.69.5.664/au3.png

1995년 성균관대 전기공학과 졸업.

1997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2년 부산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1997년~현재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