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traints, Fitness function,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problems, Substation fault recovery

1. 서 론

2018년 기준, 국내에서 운영 중인 변전소는 850개이며, 그중 154kV 변전소는 85.1%에 해당한다. 전력계통에서 변전소의 고장비중은 197건중 50건으로 약 25.4%를 차지하고 있다(1). 변전소의 사고는 고장파급 및 전력공급 중단의 비상사태를 일으킬 수 있기에 가능한 고장을 신속하게 파악한 후, 정전복구시간과 경제적인 손실 등을 최소화해야 한다. 현재 한전의 고장복구는 계통의 가변성이 증대하고 계통운전원의 업무지식과 경험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어 휴먼 에러 발생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송변전 표준복구절차 (SOP : 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정립한 후 운영하고 있고, 교육훈련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고장복구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1-3).

2005년부터 한전은 시범사업을 거쳐 IEC 61850기반의 변전소자동화시스템 (SAS : Substation Automation System)을 구축하고 있으며, SCADA 이벤트를 활용한 고장판단 및 자동고장복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설비 변경사항 발생시 로직 보완, 고장판단·복구절차 정확도 평가 기능 부재로 성능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 및 제반 여건의 미비 등으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2,4).

최근 컴퓨터의 플랫폼이 개선되면서, 인공지능 (AI : 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을 적용한 전력설비의 지능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알파고 이후 AI 기법 등 신기술을 도입, 응용하여 변전설비 및 전력망의 자율 지능화를 도모함으로서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의 필요성이 공감되었다(5,6).

전력계통의 AI 기법 적용에 따른 신속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유전 알고리즘 (GA :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단지 전력시스템 구성의 최적화(7), 다중 주파수 공동사용 기기의 전력 최적화에 대해 연구되었다(8).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계통 고장진단을 위한 하드웨어 설계(9), 고도화된 자동화 변전소의 사고복구 지원시스템이 발표되었다(10). 변전소의 고장복구 및 신뢰성 개선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중부전력소 관내 4개의 전원측으로부터 공급되는 13개 변전소 계통을 대상으로 신경회로망 (ANN :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변전소의 모선분리 방안 연구가 수행되었고(11), 정전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패턴인식 기법에 기반한 실시간 모선 재구성 전략 등이 제안되었다(12).

해외의 관련된 연구로는 전기철도용 변전소의 실시간 진단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GA와 BPSO를 응용한 사례(13)가 있으며, 직교 GA을 기반으로 한 전력계통 복구경로의 최적화 방법(14), 스마트 변전소기반 전력망 고장진단(15), 지능형 에이전트 구조를 기반으로 한 배전계통 서비스 복구(16)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AI 기법 중에서 GA는 전력계통의 여러 최적화 문제에 적용되고 있는데, 이 알고리즘은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진화 연산의 대표적인 기법이다(5-8,13,14).

본 논문은 지능기법을 이용한 자동화 디지털변전소 고장복구방안의 기초 연구과제의 일부분으로서, GA의 최적의 적합도 함수 결정을 통해 변전소 고장복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먼저, GA를 변전소 고장복구 개선에 적용하기 위해 변압기 과부하 방지, 정전구역 최소화를 고려하여, 제약조건 (Constraints)과 적합도 함수 (Fitness Function)를 선정한다. 제약조건과 적합도 함수를 통해 GA 기반 고장복구 지원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시된 GA 기반 고장복구 지원시스템의 설정치는 모집단(population) 100, 생존율(survival rate) 10%, 최대 세대수(Max. generation) 1000, 변이율(mutation probability) 0.2% 등이다. 최적의 적합도 함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 뱅크수, 부하상태를 가변함으로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끝으로, 시뮬레이션 결과, 최적의 가중치 기반 적합도 함수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변전소 고장복구시 최적의 복구경로를 탐색하고자 한다.

2. 유전 알고리즘과 변전소의 표준복구절차

2.1 유전 알고리즘

유전 알고리즘은 생물학적 진화에 바탕을 둔 통계적 탐색 알고리즘 (Stochastic Search Algorithm)의 집합이다. 풀어야 할 문제가 명확하게 정의되고, 후보 해를 나타낸 이진문자열이 주어지면, 이 GA는 여러 개의 해 집단을 만들고 지정한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기준과 가장 비슷한 일부 해를 변형하여 다시 여러 개의 해 집단을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해를 찾게 된다. 이 GA의 반복은 두 가지로 구성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지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해가 등장 하였을 때 종료“하는 방법이다. 이는 아직 최적의 해는 아니지만, 기준을 만족하는 해를 찾을 때 유용하다. 두 번째 방법은 ”반복 횟수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 방법보다 최적의 해를 찾을 가능성이 더 높은 방법이다(5-8,13,14).

2.2 표준복구절차

표준복구절차는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정전 및 무정전 고장에 대한 SOP를 규정함으로써 정전시간 최소화 및 안정적 전력공급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 이 절차에는 변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15가지 고장유형에 대한 SOP와 고장발생시 대처흐름도가 있다. 중대고장발생시 대처단계는 고장인지 및 기록, 고장상황 파악, 급전보고 복구협의, 응급복구 조작, 종합보고 보수요청 등으로 구성된다. 변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15가지 고장유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2-4).

(유형1) T/L 주·후비보호 단(지)락

(유형2) T/L 송전선단선

(유형3) BUSPRO 87B1

(유형4) M.Tr CB B/F, M.Tr 87, 96Ry

(유형5) T/L CB B/F 주·후비보호 단(지)락

(유형6) BUSPRO 87B1, 87B2

(유형7) BUSPRO 87B1, 87B2 : 154kV 양DS ON시

(유형8) M.Tr 87, 96P(D,T)

(유형9) M.Tr 59GA

(유형10) M.Tr 59GT

(유형11) M.Tr 51SN(51S, 51P)

(유형12) M.Tr 51SN(51S, 51P) ⒶD/L OC(G)R

(유형13) #1 M.Tr 51SN(51S, 51P) : 다중모선운전시

(유형14) #1,2 M.Tr 51SN(51S, 51P) : 다중모선운전시

(유형15) UFR 동작

2.3 154kV 표준 변전소

고장복구의 대상은 2모선 4뱅크 154kV 표준 변전소이다. 154kV 표준 변전소는 송전선로(T/L) 및 송전용 모선(Bus), 주 변압기(M.Tr.), 배전용 모선 및 배전선로(D/L) 및 LS, DS, CB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1은 3뱅크 운전시 154kV 표준 변전소의 단선도를 나타낸다(2-4). 그림 1과 같이, #4M.Tr이 운휴중인 경우 3개의 M.Tr을 이용하여 운전된다. 북부 및 강원지방에서는 전력사용량이 많은 겨울에 4뱅크 운전하며, 전력사용량이 조금인 여름에 3뱅크 운전한다. 반면에, 남부지방에서는 여름에 4뱅크 운전하며, 겨울에 3뱅크 운전한다(2-4).

그림. 1. 3뱅크 운전시 154kV 표준 변전소의 단선도

Fig. 1. Single line diagram of 154kV standard substation during 3bank

../../Resources/kiee/KIEE.2020.69.6.745/fig1.png

2.4 고장유형의 사례

변전소의 고장복구시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고장복구 사례를 살펴보면, 유형4 변압기 고장 및 모선 파급고장에 대한 SOP는 다음과 같다(2-4).

87B1, B/F, #1M.Tr 87,96Ry 동작 (고장)

#1M.Tr 1차 CB 개방조작시행 (이하 복구)

(개방시)

86B1 Reset

154kV #1BUS측 설비 CB투입(6133제외)

#1M.Tr → #2M.Tr 부하전환

(개방불가시)

#3M.Tr 1차 모선전환

154kV #1BUS측 T/L → #2BUS 모선전환

#1M.Tr → #2M.Tr 부하전환

정전안내 요청 : 급전소, 배전센터

고장기기 계통분리

3. 유전 알고리즘 기반 변전소 고장복구시스템

3.1 GA 기반 고장복구시스템의 설계

제약조건과 적합도 함수를 통해 GA 기반 고장복구 지원시스템을 설계한 후, 변전소의 고장복구시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스위치 조작 경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 최적의 가중치 기반 적합도 함수를 결정한다.

3.1.1 제약조건

GA의 핵심은 제약조건과 적합도 함수를 잘 선정하는데 있다. 변전소 고장복구시 제약조건은 다음과 같다.

선로양단의 DS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변압기의 최대 용량은 60MVA이다.

연결된 모선은 하나의 모선으로 취급한다.

3.1.2 적합도 함수

적합도 함수는 염색체 (Chromosomes)의 우수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된 스위치 조작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3가지 적합도 함수를 제시한다. 식 (1)은 전체 적합도 값 ($f_{total}$)을 나타낸다. 각각의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 (α, β, γ)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중치의 총합은 100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1)
$f_{t otal}=\alpha f_{1}+\beta f_{2}+\gamma f_{3}$

첫번째 적합도 함수 ($f_{1}$)는 식 (2)와 같이 변압기의 여유용량비로 정의하였다. 여유용량은 M.Tr 최대용량(60MW)에서 해당 M.Tr에 걸린 D/L 부하의 총합을 뺀 값이다. 이를 각 M.Tr 별로 시행하여, 여유용량의 최소값이 클수록 좋은 염색체라고 판단하였다.

(2)
$f_{1}=\dfrac{\min(M.Tr_{ca pa.i})}{60}$

여기서, $M.Tr_{ca pa.i}$는 i번 M.Tr의 여유용량을 나타낸다.

두번째 적합도 함수 ($f_{2}$)는 식 (3)과 같이 변압기 및 부하의 용량비로 정의하였다. 이는 각 변압기에 걸리는 용량의 총합을 D/L 부하의 총합으로 나눈다.

(3)
$f_{2}=\dfrac{C ap_{M.Tr}}{C ap_{DL.load}}$

여기서, $C ap_{M.Tr}$은 각 변압기에 걸리는 용량의 총합, $C ap_{DL.load}$는 D/L 부하의 총합을 각각 나타낸다.

세번째 적합도 함수($f_{3}$)는 식 (4)와 같이 공급되는 D/L의 수를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이는 사용되는 D/L의 개수를 전체 D/L의 개수로 나눈다.

(4)
$f_{3}=\dfrac{N_{Active.D/L}}{N_{Total.D/L}}$

여기서, $N_{Active.D/L}$은 사용되는 D/L의 개수, $N_{Total.D/L}$은 전체 D/L의 개수를 각각 나타낸다.

3.1.3 염색체 구성

객체 생성을 위하여, DS, CB, 계전기, T/L, D/L, M.Tr 뱅크 동작상태 등에 대한 변전소 정보를 데이터 파일로 받아와, 전처리를 통해 각 T/L, M.Tr, D/L, Bus로 구분하여 각 그룹을 지정한다. 각 그룹에서 Label을 통해 더 세분화함으로써, GA에서 데이터를 더 쉽게 분리하고, 해당되는 구간을 쉽게 찾기 위해 염색체로 작성된다. 그림 2는 염색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림 2와 같이, 염색체는 첫 번째 유전자 (gene) DS 611부터 마지막 유전자 CB 4V7까지 총 159개의 유전자로 구성되어있으며, DS, CB의 스위치 개폐에 대한 상태정보가 담겨진다.

그림. 2. 염색체 구성

Fig. 2. Composition of chromosomes

../../Resources/kiee/KIEE.2020.69.6.745/fig2.png

3.1.4 GA 기반 고장복구시스템

제시된 GA 기반 고장복구시스템의 알고리즘 동작은 다음과 같다.

① 제시된 고장복구시스템의 GUI를 초기화 시킨다.

② 변전소 정보 (DS, CB, 계전기, T/L, D/L, M.Tr 뱅크 동작상태 등)을 불러온다.

③ 설정치 (최대 세대수, 생존율, 모집단의 개수, 적합도 함수 가중치 등)를 입력한다.

④ 변전소 정보를 전처리하여 제약조건을 통과한 초기 모집단을 생성한다.

⑤ 한 쌍의 부모 염색체를 선택하여 교차 및 변이 연산을 통해 새로운 자손 염색체를 생성한다.

⑥ 제안된 적합도 함수에 의해 새로운 자손 염색체의 적합도를 계산한다.

⑦ 계산된 자손 염색체를 새로운 모집단에 배치한다.

⑧ 새로운 모집단의 크기가 초기 모집단의 크기와 같아 질 때까지 ⑤~⑦을 반복한다.

⑨ 우수한 염색체를 출력한다.

⑩ 설정한 최대 세대수까지 ⑧~⑨를 반복한다.

⑪ 가장 우수한 염색체인 최적화된 스위치 조작 경로 정보를 확인한다.

그림 3은 구현된 시스템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그림 3과 같이, 우측 위의 GA 및 Fitness weight 창에서 최대 세대수, 생존율, 모집단, 변이율, 적합도 함수 가중치 등의 설정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림 3에서, Start를 클릭하여 실행하면, 우측 아래에 현재 세대수와 현재 세대에서의 가장 우수한 유전자의 적합도가 나타나고, 좌측 화면에 변전소 단선도로 최적의 스위치 경로 정보가 나타난다.

그림. 3. 구현된 시스템의 실행 화면

Fig. 3. Execution screen of implemented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6.745/fig3.png

표 1. 시뮬레이션 설정

Table 1. Simulation settings

항목

설정값

Max. Generation

1,000

Suvival rate

10

Population

100

Mutation probability

0.2

3.2 가중치 기반 적합도 함수 결정

최적 적합도 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각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 뱅크수, 부하상태를 가변하였다. 표 1은 제안된 시스템의 설정치를 나타낸다. 표 1과 같이, 최대 세대수는 1,000, 생존율 10%, 모집단 100, 변이율 0.2%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장 종류는 #1M.Tr로 제한하였다.

3.2.1 경부하에서 4뱅크 #1M.Tr 고장

경부하 4뱅크 #1M.Tr 고장에서(경부하 4뱅크 운영중 #1M.Tr고장이 발생한 경우,)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까지 가변하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표 2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한 예로, 가중치 α, β, γ가 각각 50, 25, 25일 때, 적합도 이론치는 #1M.Tr를 제외한 나머지 변압기의 여유용량을 고려한 이론치 (76.66)이고, 적합도 결과치는 제시한 시스템에서 연산된 값 (75.42)이다. $| 차이 |$는 이론치에서 결과치를 뺀 값의 절대치이다. 가중치 α가 50에서 복구가 되지 않은 D/L 3개가 발생하였으며, 가중치 α가 40에서 적합도 도달 세대수가 345를 나타났다. 즉, 가중치 α, β, γ가 각각 40, 30, 30일 때 가장 빠르게 고장복구 경로를 탐색하였음을 의미한다.

표 2. 경부하 4뱅크 #1M.Tr 고장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2. Results under #1M.Tr fault in light load 4bank

가중치

적합도

이론치

복구

않된

D/L

적합도

결과치

|차이|

적합도

도달

세대수

α

β

γ

50

25

25

76.66

3

75.42

1.24

847

40

30

30

81.33

0

81.33

0

345

30

35

35

86.00

0

86.00

0

486

20

40

40

90.66

0

90.66

0

576

10

45

45

95.33

0

95.33

0

402

그림. 4. 경부하 4뱅크 #1M.Tr 고장시 연산된 적합도 결과

Fig. 4. Result of computed fitness function during #1M.Tr fault in light load 4bank

../../Resources/kiee/KIEE.2020.69.6.745/fig4.png

그림 4는 가중치 α가 40인 경우, 적합도 결과이다. 그림 4의 x축은 세대수를, y축은 적합도 값을 각각 나타낸다. 전체 적합도는 0세대 70부터 조금씩 상승하여 345세대에서 81.33으로 수렴하였다. 세대가 지날수록 적합도가 상승하여 345세대에서 가장 우수한 염색체를 출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3.2.2 경부하에서 3뱅크 #1M.Tr 고장

경부하 3뱅크 #1M.Tr 고장에서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까지 가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표 3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가중치 α가 10에서 적합도 도달 세대수가 61을 나타났다. 즉, 가중치 α, β, γ가 각각 10, 45, 45일 때 가장 빠르게 고장복구 경로를 탐색하였음을 의미한다.

표 3. 경부하 3뱅크 #1M.Tr 고장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3. Results under #1M.Tr fault in light load 3bank

가중치

적합도

이론치

복구

않된

D/L

적합도

결과치

|차이|

적합도

도달

세대수

α

β

γ

50

25

25

65.00

0

65

0

415

40

30

30

72.00

0

72

0

105

30

35

35

79.00

0

79

0

76

20

40

40

86.00

0

86

0

102

10

45

45

93.00

0

93

0

61

그림 5는 가중치 α가 10인 경우, 적합도 결과이다. 전체 적합도는 0세대 70부터 조금씩 상승하여 61세대에서 93으로 수렴하였다. 세대가 지날수록 적합도가 상승하여 61세대에서 가장 우수한 염색체를 출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림. 5. 경부하 3뱅크 #1M.Tr 고장시 연산된 적합도 결과

Fig. 5. Result of computed fitness function during #1M.Tr fault in light load 3bank

../../Resources/kiee/KIEE.2020.69.6.745/fig5.png

표 4. 정상부하 4뱅크 #1M.Tr 고장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4. Results under #1M.Tr fault in light load 4bank

가중치

적합도

이론치

복구

않된

D/L

적합도

결과치

|차이|

적합도

도달

세대수

α

β

γ

50

25

25

66.67

1

65.98

1.67

478

40

30

30

73.33

0

73.33

0

238

30

35

35

80.00

0

80.00

0

320

20

40

40

86.67

0

86.67

0

714

10

45

45

93.33

0

93.33

0

286

3.2.3 정상부하에서 4뱅크 #1M.Tr 고장

정상부하 4뱅크 #1M.Tr 고장에서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까지 가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표 4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가중치 α가 50에서 복구가 되지 않은 D/L 1개가 발생하였으며, 가중치 α가 40에서 적합도 도달 세대수가 238을 나타났다. 즉, 가중치 α, β, γ가 각각 40, 30, 30일 때 가장 빠르게 고장복구 경로를 탐색하였음을 의미한다.

3.2.4 정상부하에서 3뱅크 #1M.Tr 고장

정상부하 3뱅크 #1M.Tr 고장에서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까지 가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표 5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가중치 α가 50과 40에서 복구가 되지 않은 D/L 14개, 2개가 각각 발생하였으며, 가중치 α가 20에서 적합도 도달 세대수가 56을 나타났다. 즉, 가중치 α, β, γ가 각각 20, 40, 40일 때 가장 빠르게 고장복구 경로를 탐색하였음을 의미한다.

표 5. 정상부하 3bank #1M.Tr 고장의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5. Results under #1M.Tr fault in normal load 3bank

가중치

적합도

이론치

복구

않된

D/L

적합도

결과치

|차이|

적합도

도달

세대수

α

β

γ

50

25

25

50

14

53.75

3.75

585

40

30

30

60

2

59.43

0.57

677

30

35

35

70

0

70

0

482

20

40

40

80

0

80

0

56

10

45

45

90

0

90

0

714

3.3 시뮬레이션 결과 및 고찰

제안된 GA 기반 고장복구시스템의 최적 적합도 함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가중치 α가 50과 40에서는 복구가 되지 않은 D/L이 발생하였다. 가중치 α가 30, 20, 10이었을 경우, 평균 적합도 도달 세대수는 각각 341,362, 366이었다.

종합적으로 부하의 경중, 뱅크수와 상관없이 #1M.Tr에서 고장발생 시 제안된 시스템에 의한 고장복구 수행 결과, 적합도 함수 최적의 가중치 α, β, γ는 30, 35, 35였으며, 이때, 모든 D/L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였고, 평균 적합도 도달 세대수가 341로 가장 빠른 고장복구 경로를 보였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지능기법에 의한 자동화 디지털변전소 고장복구방안의 기초 연구의 일부 결과로서, GA의 가중치 기반 적합도 함수 결정을 통해 최적의 고장복구경로가 제시되었다.

먼저, GA를 변전소 고장복구 개선에 적용하기 위해 변압기의 여유용량비, 변압기 및 부하의 용량비, 공급되는 D/L의 수를 고려하여, 제약조건과 적합도 함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제약조건과 적합도 함수를 통해 GA 기반 고장복구 지원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GA 기반 고장복구 지원시스템의 설정조건에서 가중치 기반 최적의 적합도 함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적합도 함수의 가중치를 10~50, 뱅크수, 부하상태를 가변하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복구 되지 않은 D/L이 없고, 가장 빠른 최적 도달 세대수를 가진 가중치 α, β, γ는 각각 30, 35, 35로 나타났다. 이때, 평균 적합도 도달 세대수가 341로 가장 빠른 고장복구 경로를 보였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 R17XA05-27)

References

1 
EPSIS, acessed April 2020, Electric power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http://epsis.kpx.or.kr/epsisnew/selectMain.d o?locale=Google Search
2 
C. W. Park, T. W. Kang, Apr 2019, Fundamental study of fault restoration plan using intelligence technique for IEC 61850-based digital substation, KEPRI 2nd year report, pp. 1-155Google Search
3 
KEPCO., 2016, Transmission & substati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KEPCO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pp. 1-77Google Search
4 
P. H. Cho, H.G. Kim, Jul 2016, A study of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based on analysis of substation fault, 2016 KIEE Summer Conf., pp. 444-445Google Search
5 
M. Negnevitsky, 2005, Artificial intelligence : A guide to intelligent systems, 2nd Edition, Addison wesley, pp. 1-415Google Search
6 
P. Joshi, 2017,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Python, 1st Edition, Packt Press, pp. 1-426Google Search
7 
J. N. Won, W. S. Moon, 2013, Optimization of Electric Power System of Offshore Wind Farm Using Genetic Algorithm, 2013 KIIEE Autumm Conf., pp. 112-113DOI
8 
H. M. Chang, W. C. Lee, 2017, A Study on the Power Optimization Scheme for Multiple Spectrum Sharing Devices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885-886Google Search
9 
Y. M. Park, J. Q. Wan, 1997, Hardware Implementation of a Logic Based Expert System, 1997 KIEE Summer Conf., pp. 930-932Google Search
10 
Y. S. Ko, T. G. Kang, Dec 2004, Development of An Expet System with Knowledge Learning Capability for Service Restoration of Automated Distribution Substation, Trans. KIEE, Vol. 53A, No. 12, pp. 637-644Google Search
11 
K.M. Lee, S.Y. Hwang, J.B. Choo, Y.B. Youn, D.H. Jeon, Jul 1996,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s to the Bus Separation in a Substation, 1996 KIEE Summer Conf., pp. 757-759Google Search
12 
Y.S. Ko, Nov 2004, Real-Time Bus Reconfiguration Strategy for the Fault Restoration of Main Transformer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Method, Trans. KIEE, Vol. 53A, No. 11, pp. 596-603Google Search
13 
S. Gao, Z. Liu, July 2014, Application of BPSO with GA in model-based fault diagnosis of traction substation, 2014 IEEE Congres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pp. 2063-2069DOI
14 
K. Song, J. Wang, July 2016, An intelligent optimization method of power system restoration path based on orthogonal genetic algorithm, Proceedings of the 35th Chinese Control Conf., pp. 2751-2755DOI
15 
Z. Xu, L. Yanhua, Z. Dongmei, 2012, Power Grid Fault Diagnosis Based on Smart Substation, 2012 Asia-Pacific Power and Energy Engineering Conf., pp. 1-4DOI
16 
W. Y. Yu, V. W. Soo, M. S. Tsai, May 2015, Power distribution system service restoration bases on a committee-based intelligent agent architecture,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Vol. 41, pp. 92-102DOI

저자소개

이경민 (Kyung-Min Lee)
../../Resources/kiee/KIEE.2020.69.6.745/au1.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4 and 2017.

At present, he is working on his Ph.D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L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of power system,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Tel : 033-760-8796, Fax : 033-760-8781

E-mail : point2529@naver.com

홍재영 (Jae-Young Hong)
../../Resources/kiee/KIEE.2020.69.6.745/au2.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9, Currently, he is pursuing a M.S. degree at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Microgrid, PMU, power system modeling and control, and AI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and KIIEE.

Tel : 033-760-8796

E-mail : wodud7766@naver.com

채창기 (Chang-Gi Chae)
../../Resources/kiee/KIEE.2020.69.6.745/au3.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from Gangneung- 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in 2017 and 2019.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Artificial Lif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twork Theory.

Tel : 033-760-8660

E-mail : ccg@cs.gwnu.ac.kr

강태원 (Tae-Won Kang)
../../Resources/kiee/KIEE.2020.69.6.745/au4.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in Math from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5, B.S. in Computer Science, M.S. in Math and Ph.D. degrees in Computer Science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1, and 1996, respective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Artificial Lif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lex Systems, Soft Computing, Network Theory. and Chaos & Fractals.

Tel : 033-760-8666, Fax : 033-760-8661

E-mail : twkang@gwnu.ac.kr

박철원 (Chul-Won Park)
../../Resources/kiee/KIEE.2020.69.6.745/au5.png

He was born in Korea.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1990, and 1996, respectively.

From 1989 to 1993 he was an associate researcher at Lucky GoldStar Industrial Systems.

From 1993 to 1996,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PROCOM system and lecturer at S.K.K. University.

At present,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7.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IT, IED, LVDC, HVDC, Microgrid, RES, PMU, AI application to power grid, power system modeling & control, and computer application in power system.

He is a member of the KIEE, KIIEE, and IEEE. Dr. Park was awarded the Paper Prize of KIEE in 2010 and the Paper Prize of the KOFST in 2017.

Tel : 033-760-8786, 033-640-2972, 2749

Fax : 033-760-8781, 033-640-2747

E-mail : cwpark1@gw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