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 (Electricity Technical Team, Samsung Electronics, Korea.)



Automatic setting method, Graph search method, System configuration, Protective coordination, Protective device

1. 서 론

전력계통은 발전, 송·변전 및 배전계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배전계통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계통으로서 그에 따른 공급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단기간의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호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보호시스템의 일환으로 소비자들에게 신뢰성 높은 전력 공급을 하기 위하여 각 구역은 보호기기로 보호되고 있으며 각 보호기기들은 신속하게 고장구간을 격리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배전계통은 매우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하나의 보호기기만으로 보호할 수 없으며 그 결과 다양한 보호기기들이 배전계통에 포함되어 고장 구역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격리하고 있다(1-2). 다양한 보호기기들이 배전계통 내 포함되기 때문에 각 보호기기들은 보호협조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주보호기기와 후비보호기기의 관계를 통해 보호를 수행하고 있다. 고장점과 가장 가까운 보호기기인 주보호기기가 우선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며, 만약 주보호기기의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후비보호기기를 고려하는 보호협조를 수행하고 있다(3-4).

이러한 보호협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보호기기들 간에서 동일한 고장전류 크기에 대하여 서로 다른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보호를 수행해야 한다. 즉, 다른 설정값을 갖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설정값은 각 국가별 전력회사 지침에 따라 결정된다(5). 이러한 상황에서, 보호기기 설정 지침에 따라 운전원이 계산해야 하는 기존의 보호기기 정정치는 복잡한 계산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며 운전원 별 정정치 산출값이 다를 수 있다. 더불어 배전계통은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에 따라 부하전류 및 고장전류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설정된 정정치에 따라 동작하는 보호기기들은 변화된 특성에 의하여 오부동작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연구되고 있는 배전자동화에 따라 비상 시 운전상황에서 계통 구성이 변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는 공급 신뢰성을 심각하게 악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운전원들은 새로운 고장 특성에 부합하도록 보호기기들의 정정치를 수동으로 재설정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인적오류로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보호기기 자동 정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통 상황이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정정치를 재정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 다양한 연구에서는 보호기기 자동정정에 대한 방법을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수행하고 있다(7-8).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장시간의 시뮬레이션 시간이 필요하며, 모든 토폴로지 변경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없으며 Phasor Measurement Unit (PMU) 같은 추가 장비를 설치해야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당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화알고리즘 대신 MATLAB을 통해 계통 구성을 그래프 탐색법으로 판단하고 보호기기의 순서를 파악해 주보호 및 후비보호의 관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정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2. 그래프 탐색법

그래프 탐색법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내 처리 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자료구조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그래프 탐색법에는 시작 노드에서 대상 노드까지의 경로를 찾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깊이 우선 탐색과 넓이 우선 탐색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탐색 방법이 있다(9-10). 국내 배전계통은 방사형 계통이므로 사이클이 없는 구조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래프 탐색법을 통해 쉽게 배전계통 내 존재하는 보호기기들을 탐색할 수 있다.

2.1 깊이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은 각 노드에서 하나의 경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깊이 탐색하는 방법이다. 더 이상 탐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탐색 중 발견한 마지막 분기로 돌아가 다른 경로를 따라 탐색을 시작한다. 그림 1과 같은 예에서 깊이 우선 탐색을 사용하면 A에서 F까지의 경로를 찾을 때 A-B-C-E-F-G-D 순서로 탐색이 진행된다(9-10).

2.2 넓이 우선 탐색

넓이 우선 탐색은 시작 노드에 인접한 모든 노드를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시작하는 방법이다. 정보가 없으면 인접한 노드부터 순차적으로 탐색이 계속된다. 그림 1의 예에서 넓이 우선 탐색을 사용하면 A에서 F까지의 경로를 찾을 때 A-B-C-D-E-F-G 순서로 탐색이 진행된다(9-10).

그림. 1. 그래프 탐색법의 예

Fig. 1. Example of graph search method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1.png

그래프 탐색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노드간의 연결정보를 판단하고 계통 행렬을 구성해야 한다. 그림 1과 같은 경우에는 그림 2와 같이 행렬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노드 간 연결이 되어있으면 ‘1’,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0’으로 구성된다.

그림. 2. 계통 행렬 구성

Fig. 2. Structure of system matrix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2.png

3. 보호기기 자동정정 알고리즘

3.1 국내 보호기기 규정

보호기기들은 고장점과 가장 가까운 보호기기가 먼저 동작하도록 동작시간이 설정된다. 보호기기들은 IEC에 규정된 강반한시를 나타내는 식 (1)과 같이, 계전기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Pickup 전류($I_{p}$)와 시간 지연에 해당하는 Time Dial Setting (TDS)을 통하여 동작시간($t_{op}$)을 조절할 수 있다(5-6).

(1)
$t_{op}=\dfrac{13.5}{\left(\dfrac{I_{f}}{I_{p}}\right)-1}\times TDS$

또한 동일한 고장전류에 대하여 보호기기간의 동시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협조시간 (Minimum Coordination Time Interval, Minimum CTI) 개념을 고려하며 이 CTI는 각 보호기기의 종류별로 표 1과 같다(5).

표 1. 보호기기별 최소 CTI

Table 1. Minimum CTI for each protective device

Main protective

Device

Backup protective device

Minimum CTI

[s]

Recloser

Substation relay

0.05

Customer relay

Substation relay

0.283

Recloser

Recloser

0.045

Recloser

Recloser

0.167

3.2 협조 관계 판단 알고리즘

계통 구조가 변경되면 간선에 위치한 보호기기의 순서가 변동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호기기의 순서를 재판단하고 그에 맞는 정정치를 재선정해야 보호기기간의 보호협조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호기기의 순서를 판단하기 위하여 그래프 탐색법 종류 중 하나인 깊이 우선 탐색법을 이용하였다. 이런 방법을 사용하면 쉽게 계통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주전원으로부터 시작하여 간단하게 모든 보호기기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아래 그림 3은 같이 식 (1)과 같이 구성된 계통행렬에 대하여 ‘1’에 해당하는 연결정보를 통해 순차적으로 탐색을 진행하고 탐색 중 해당 위치에 보호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주보호기기와 후비보호기기간의 보호협조 관계를 판단하는 순서를 보여준다. 배전계통 내에서 가장 상위 보호기기는 변전소 계전기이므로 변전소 계전기를 A라고 한다면 A노드부터 탐색을 시작하며 아래와 같은 순서로 탐색을 진행한다.

① A노드와 연결된 노드를 찾기 위해 A열의 ‘1’을 탐색한다. B노드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② B노드와 연결된 노드를 찾기 위해 B열의 ‘1’을 탐색한다. C노드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③ C노드와 연결된 노드를 찾기 위해 C열의 ‘1’을 탐색한다. 어떠한 노드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마지막 분기인 A노드로 복귀한다.

④ A열에 새로운 ‘1’이 명시된 D노드를 탐색한다. E노드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⑤ E노드와 연결된 노드를 탐색하기 위해 E열의 ‘1’을 탐색한다. F노드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노드를 탐색할 수 있으며, 노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보호기기를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변전소 계전기로부터 몇 번째 보호기기인지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보호기기의 순서는 변전소 계전기로부터 번호를 붙여 (1,2), (2,3)과 같이 보호기기간 협조 관계를 판단하기 위한 도구가 된다.

그림. 3. 깊이 우선 탐색을 이용한 탐색경로

Fig. 3. Detection path using deep first search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3.png

3.3 자동정정 알고리즘

CTI를 고려한 보호기기의 특성곡선을 설정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변전소 계전기의 특성곡선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변전소 계전기는 변전소 계전기가 감지하는 가장 큰 고장전류를 대상으로 0.5초 내로 동작해야 한다는 규정을 기반하여 간단하게 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변전소 계전기의 특성곡선이 설정된 이후에는 간선에 존재하는 리클로저의 순서 및 총 개수를 판단하여 순차적으로 보호기기들의 특성곡선을 설정할 수 있다.

각 보호기기는 변전소 계전기로부터 근접한 순서로 그래프 탐색법을 통해 순서가 이미 결정되어 있다. 즉, 주보호기기와 후비보호기기의 세트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보호기기에서 발생되는 고장전류의 크기를 통해 보호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비보호계전기가 변전소 계전기, 주보호기기가 리클로저인 경우에 주보호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고장전류가 3000A라면, 이미 설정된 변전소 계전기 특성곡선을 통해 변전기 계전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CTI를 고려하여 리클로저의 동작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시간을 통해 식 (1)의 역산을 이용해 TDS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그림 4와 같은 순서도를 통해 진행된다.

그림. 4. 보호기기 자동 정정 알고리즘 순서도

Fig. 4. Flowchart of protective device auto setting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4.png

4. 시뮬레이션 조건 및 결과

4.1 시뮬레이션 조건

그림 5는 연계 스위치 개방여부에 따라 계통 구성을 변동할 수 있도록 만든 총 6개의 급전선을 포함한 모의 배전계통이다. 3상 선로는 ACSR 160mm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전소 모선 임피던스는 표준 임피던스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스위치 간 거리는 2km로 상정하였으며 변전소 차단기(CB, 6대), 리클로저(R, 6대), 연계 스위치(T, 8대), 태양광 발전(PV, 3대)이 존재한다.

해당 모의계통의 각 노드간 연결정보를 저장한 엑셀파일을 MATLAB으로 불러와 기본 계통행렬을 구성한다. 이러한 계통행렬을 스위치의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1’ 또는 ‘0’을 변화시켜 계통행렬을 최신화한다.

그림. 5. 모의 배전계통

Fig. 5. Simulated distribu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5.png

4.2 시뮬레이션 결과

표 2는 그래프 탐색법을 이용하여 그림 5에 대한 보호기기 순서를 판단한 표이다. 변전소 차단기는 전부 1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급전선 내 존재하는 리클로저는 2번째 보호기기로 탐색되었다. 표 3그림 5와 같은 모의 배전계통에서 연계 스위치 T122를 닫고, 스위치 S21을 개방하였을 때의 보호기기 순서를 보여준다. 리클로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됨에 따라 변전소 차단기(CB1)에서 가장 먼 R2가 3번째 보호기기로 순서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보호기기의 순서를 파악함으로써 주보호기기와 후비보호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초기 계통 구성에서는 1초, 계통구조 변경에 따른 새로운 정정치 선정은 총 수 ms의 연산시간이 소요되었다.

표 2. 그림 4에 대한 보호기기 순서

Table 2. Protective device order of Fig. 4

Protective Device

CB1

CB2

CB3

CB4

CB5

CB6

Order

1

1

1

1

1

1

Protective Device

R1

R2

-

R4

-

R6

Order

2

2

-

2

-

2

표 3. 그림 5에 대한 보호기기 순서

Table 3. Protective device order of Fig. 5

Protective Device

CB1

CB2

CB3

CB4

CB5

CB6

Order

1

1

1

1

1

1

Protective Device

R1

R2

-

R4

-

R6

Order

2

3

-

2

-

2

표 2와 같은 기본 상태에서는 연계 스위치가 모두 개방된 상태로 6개의 급전선이 존재한다. 이 중 F1 급전선의 보호기기는 그림 6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각 보호기기에서의 고장전류는 ACSR 160mm2 선로 정보를 이용해 해당 변전소 계전기에서부터의 거리를 판단하여 계산할 수 있다.

그림. 6. 급전선 F1 내 보호기기 특성곡선

Fig. 6. Characteristic curves of protective devices in F1 feeder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6.png

만약 T122가 닫히고 S21이 개방된다면 F1과 F2의 급전선이 하나로 연결되어 리클로저 R1과 R2가 직렬연결 된다. 그림 7을 확인해보면 계통 구성이 변경되었을 때, R2의 특성곡선 위치가 CTI를 고려하여 R1의 특성곡선보다 자동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변경된 F1 내 보호기기 특성곡선

Fig. 7. Modified characteristic curves of protective devices in F1 feeder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7.png

만약 이와 더불어 T14 및 T461이 닫히고 S41, S61이 개방된다면 F1과 F2, F6의 급전선이 하나로 연결되어 리클로저 R1과 R2, R4가 직렬연결 된다. 그림 8을 확인해보면 계통 구성이 변경되었을 때, R4의 특성곡선 위치가 CTI를 고려하여 R1, R2의 특성곡선보다 자동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변경된 급전선 4에 대해서는 리클로저가 없어 그림 9와 같이 변전소 계전기와 고객계전기만 보호기기가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변동이 없는 급전선 2와 같은 경우에는 그림 10과 같이 리클로저 1대에 대한 보호기기 정정이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변경된 F1 내 보호기기 특성곡선

Fig. 8. Modified characteristic curves of protective devices in F1 feeder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8.png

그림. 9. 변경된 F4 내 보호기기 특성곡선

Fig. 9. Modified characteristic curves of protective devices in F4 feeder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9.png

그림. 10. 변경된 F2 내 보호기기 특성곡선

Fig. 10. Modified characteristic curves of protective devices in F2 feeder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fig10.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계통 구조가 변함에도 불구하고 보호기기를 순차적으로 자동 재정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총 6개의 급전선을 갖고 있는 배전계통을 모의계통으로 상정하였으며 연계 스위치 및 일반 스위치의 동작으로 배전계통의 구조를 변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보호기기의 순서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특성곡선을 새로 재정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배전자동화 연구를 진행 시 세밀한 보호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oundation of samsung electronics(No. IO200210–0705501).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P) (No. 2018R1A2A1A05078680).

References

1 
Cooper Power Systems, 1990,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pro- tection: A textbook and practical reference on overcurrent and overvoltage fundamentals, protection equipment and applications, Cooper Power Systems, pp. 1-268Google Search
2 
Muda Harikrishna, Jena Premalata, Jan 2017, Sequence Currents based Adaptive Protection Approach for DNs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IET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Vol. 11, No. 1, pp. 154-165DOI
3 
Z. Q. Bo, X. N. Lin, Q. P. Wang, Y. H. Yi, F. Q. Zhou, June 2016, Developments of power system protection and control, Protection and Control of Modern Power Systems., Vol. 1, No. 3, pp. 1-8DOI
4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Department of Distribution System, 1995, Distribution Protection Statement,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Department of Distribution SystemGoogle Search
5 
Meng Yen Shih, Arturo Conde, Zbigniew Leonowicz, Luigi Martirano, Nov 2017, An Adaptive Overcurrent Coordination Scheme to Improve Relay Sensitivity and Overcome Drawbacks due to Distributed Generation in Smart Grdis, IEEE Trans. Industry Application., Vol. 53, No. 6, pp. 5217-5228DOI
6 
Yavuz Ates, Mehmet Uzunoglu, Arif Karakas, Ali Rifat Boynuegri, Abdullah Nadar, Bulent Dag, Jan 2016, Implementation of Adaptive Relay Coordination in Distribution Systems including Distributed Generation,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12, No. 4, pp. 2697-2705DOI
7 
M. Tasdighi, M. Kezunovic, Aug 2016, Automated Review of Distance Relay Settings Adequacy After the Network Topology Chang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31, No. 4DOI
8 
Mahamad Nabab Alam, Saikat Chakrabarti, Ankush Sharma, Suresh Chandra Srivastava, June 2019, An Adaptive Protection Scheme for AC Microgrids Using μPMU Based Topology Processor, 201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Electrical Engineering and 2019 IEEE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 EuropeDOI
9 
Ji-Soo Kim, Chul-Hwan Kim, Yun-Sik Oh, Gyu-Jung Cho, Jin-Sol Song, Feb 2020, An islanding detection method for multi-RES systems using the graph search method, IEEE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DOI
10 
Ahmad Syarif Hidayatullah, Agung Nugroho Jati, Casi Setianingsih, Dec 2017, Realization of depth first search algorithm on line maze solver robo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Electronics, Renewable Energy and CommunicationsDOI

저자소개

Ji-Soo Kim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1.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16.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wind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

Bo-Kyung Ko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and Ph.D. degrees in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1, 2013 and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senior engineer in Samsung Electric.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ion system analysis, power system protection and DG connected system analysis.

Jin-Sol Song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3.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17.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combined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and power system protection.

Ho-Young Choi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4.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Gachon University, Korea, in 2019.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power system analysis, microgrid and energy storage system.

Min-Jae Kang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5.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yungnam University, Korea, in 2019.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energy resource, hosting capacity and smart inverter.

Hyung-Jin Oh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6.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Gachon University, Korea, in 2019.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energy resource, power system analysis, photovoltaic generation and ess system.

Ho-Young Kim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7.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2020.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distributed energy resource.

Seung-Min Lim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8.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Engineering, Inje University, Korea, in 2019.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distributed energy resource and energy storage system.

Woo-Geun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9.png

He received a B.S degree from the College of engineering, Inje University, Korea. At present, he is enrolled in the master program.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istributed energy resource, power system analysis, hosting capa- city, photovoltaic generation and ess system.

Chul-Hwan Kim
../../Resources/kiee/KIEE.2020.69.12.1873/au10.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in 1982, 1984, and 1990, respectively. In 1990, he joine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as a Full- Time Lecturer. He was a Visiting Academic with the University of Bath, Bath, U.K., in 1996, 1998, and 1999. He has been a Professor with the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ince 1992, where he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Power Information Technology.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for protection and control, modeling/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 and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