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Korea.)



Quadrotor system, Hovering control, Gain-scaling factor, Controller gain, Selection algorithm, Output feedback control

1. 서 론

쿼드로터는 호버링이 가능하고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여 이・착륙 시 공간의 제약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속하고 자유로운 이동 특성을 이용하여 사회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 외에도 우편 운송, 의약품 운송, 교통 통제, 시설 관리, 화재 및 산불 감시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13). 그러나 모델링 식이 복잡하고 시스템이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제어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쿼드로터를 제어하기 위해 PID 제어 기법이 제안되었다(7,14). 이후 비선형적인 모델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궤환 선형화(Feedback Linearization)기법과 백스테핑(Back-stepping)기법이 연구되었다[2,6,8]. 예를 들어 (3)에서 백스테핑 기법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모드 제어(Sliding mode control)를 하였다. Lyapunov 방정식을 이용하여 제어기가 안정되는 이득 값의 범위를 구하였지만 출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값들을 제어기에 대입해 보아야 한다. (8)에서는 비선형 궤환 기법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모드제어를 하였지만 마찬가지로 제어기가 안정되는 이득 값의 범위만 나타나 있어 출력 성능을 개선하기 어렵다. (4)에서는 제어기 성능 향상을 위해 모터의 PWM입력 생성 주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PWM입력 생성 주기를 늘림으로서 신호의 분해능을 늘리는 방법으로, 제어기의 성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개선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outh-Hurwitz 방정식을 이용하여 안정한 이득 값의 범위를 구한 후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을 이용하여 폐루프 시스템을 분석하여 출력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쿼드로터에 대입할 제어기는 비선형 궤한 기법을 이용하여 출력 궤환 제어기(Output feedback controller)를 설계한다.

본 논문은 제어기를 설계할 때 Routh-Hurwitz 판별법이나 Lyapunov 방정식을 이용하여 제어기의 안정성을 판별하여 이득 값을 구하게 되면 제어기가 안정되는 이득 값의 범위는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출력 성능 개선을 위한 이득 값은 구하기 어려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어 이득 및 이득 조절 요소가 출력 식에 미치는 영향을 Laplace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한 결과를 통해 제어 이득 및 이득 조절 요소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어기를 설계하면 출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안정되는 범위 내의 이득 값들을 무작위로 제어기에 대입하여 결과를 확인할 필요 없이 알고리즘을 따라 이득 값을 선택하여 쉽게 출력성능을 개선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사용한 출력 값과 사용하지 않은 출력 값을 비교하여 쿼드로터의 출력 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2. 쿼드로터 시스템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좌표계(Frame Coordinate System)를 사용하여 쿼드로터를 모델링 하였다(9). 또한 쿼드로터의 $\phi$각도와 $\theta$각도가 $2/\pi$이상이 되면 쿼드로터의 위아래가 바뀌기 때문에 제어가 불가능 하다. 따라서 $\phi$각도와 $\theta$각도가 $2/\pi$미만이라고 가정한다. 쿼드로터 시스템의 상태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12).

(1)
$$ \begin{align*} &\dot x_{1}=x_{2}\\ &\dot x_{2}=(\cos x_{5}\cos x_{3})\dfrac{U_{z}}{m}-g+\alpha_{z}\sin\omega_{z}t\\ &\dot x_{3}=x_{4}\\ &\dot x_{4}=\dfrac{l U_{\phi}}{I_{x}}+x_{6}x_{8}\left(\dfrac{I_{y}-I_{z}}{I_{x}}\right)+\alpha_{\phi}\sin\omega_{\phi}t\\ &\dot x_{5}=x_{6}\\ &\dot x_{6}=\dfrac{l U_{\theta}}{I_{y}}+x_{4}x_{8}\left(\dfrac{I_{z}-I_{x}}{I_{y}}\right)+\alpha_{\theta}\sin\omega_{\theta}t\\ &\dot x_{7}=x_{8}\\ &\dot x_{8}=\dfrac{U_{\psi}}{I_{z}}+x_{6}x_{4}\left(\dfrac{I_{x}-I_{y}}{I_{z}}\right)+\alpha_{\psi}\sin\omega_{\psi}t\\ &y=[x_{1},\:x_{3},\:x_{5},\:x_{7}]^{T} \end{align*} $$

여기서 $x=[x_{1},\:x_{2},\:x_{3},\:x_{4},\:x_{5},\:x_{6},\:x_{7},\:x_{8}]^{T}$$=[z,\:\dot z ,\:\phi ,\:\dot\phi ,\:$$\theta ,\:\dot\theta ,\:$$\psi ,\:\dot\psi]^{T}$$\in R^{8}$, $x_{1}$은 높이, $x_{2}$은 상승 속도, $x_{3}$은 롤(roll)각도 $\phi$, $x_{4}$은 롤의 각속도 $\dot\phi$, $x_{5}$는 피치(pitch)각도 $\theta$, $x_{6}$은 피치의 각속도 $\dot\theta$, $x_{7}$은 요(yaw)각도 $\psi$, $x_{8}$는 요의 각속도 $\dot\psi$를 뜻한다. $m=0.429$[kg]은 무게, $l=0.1785$[m]는 쿼드로터의 무게 중심으로 부터 모터까지의 거리, $g=9.8$[m/s2]은 중력 가속도를 의미하고, $I_{x}=22.3\times 10^{-4}$[N·m·s2], $I_{y}=29.8\times 10^{-4}$[N·m·s2], $I_{z}=48\times 10^{-4}$[N·m·s2]는 각 축의 관성모멘트를 의미한다(11). $\alpha_{z}, \alpha_{\phi}, \alpha_{\theta}, \alpha_{\psi}, \omega_{z}, \omega_{\phi}, \omega_{\theta}$, 그리고 $ω_{\psi}$는 유한한 값이다. 각 상태들과 추종값의 차이 $x_{i}-x_{id}$를 $\xi_{i}$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i=1,\cdots ,8$이고, 추종값 $x_{id}$는 $x_{i}$가 추종 하려는 값이다. $\xi_{i}$는 식(2)와 같다.

(2)
$$ \begin{array}{ll} \xi_{1}=x_{1}-x_{1 d} & \xi_{2}=x_{2}-\dot{x}_{1 d} \\ \xi_{3}=x_{3}-x_{3 d} & \xi_{4}=x_{4}-\dot{x}_{3 d} \\ \xi_{5}=x_{5}-x_{5 d} & \xi_{6}=x_{6}-\dot{x}_{5 d} \\ \xi_{7}=x_{7}-x_{7 d} & \xi_{8}=x_{8}-\dot{x}_{7 d} \end{array} $$

식(1)식(2)를 이용하여 $\xi_{i}$에 대한 상태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
$$ \begin{array}{l} \dot{\xi}_{2}=u_{z}+\alpha_{z} \sin \omega_{z} t \\ \dot{\xi}_{3}=\xi_{4} \\ \dot{\xi}_{4}=u_{\phi}+\xi_{6} \xi_{8}\left(\frac{I_{y}-I_{z}}{I_{x}}\right)+\alpha_{\phi} \sin \omega_{\phi} t \\ \dot{\xi}_{5}=\xi_{6} \\ \dot{\xi}_{6}=u_{\theta}+\xi_{4} \xi_{8}\left(\frac{I_{z}-I_{x}}{I_{y}}\right)+\alpha_{\theta} \sin \omega_{\theta} t \mid \\ \dot{\xi}_{7}=\xi_{8} \\ \bar{y}=\left[\xi_{1}, \xi_{3}, \xi_{5}, \xi_{7}\right]^{T} \end{array} $$

여기서 $u_{z=}$$(\cos x_{3}\cos x_{5})U_{z}/m-g-\ddot x_{1d}$, $u_{\phi}=$$\left(l U_{\phi}\right)/ I_{x}-\ddot x_{3d}$, $u_{\theta}=$$\left(l U_{\theta}\right)/ I_{y}-\ddot x_{5d}$, $u_{\psi}=$$U_{\psi}/I_{z}-\ddot x_{7d}$이고, $\bar{y}$는 $\xi_{i}$가 포함된 상태방정식의 출력 식이다. 상태들이 비선형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궤환 선형화를 이용하였다 (5). 그러나 궤환 선형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값들이 측정이 가능해야하기 때문에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가 포함된 비선형성을 선형화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자코비안 선형화를 이용하여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가 포함된 비선형성을 선형화시켜 준다.

평형점을 영점으로 가지는 자코비안 선형화를 이용하여 식(3)을 선형시스템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
$$ \begin{aligned} &\dot\xi =\begin{bmatrix}0&1&0&0&0&0&0&0\\0&0&0&0&0&0&0&0\\0&0&0&1&0&0&0&0\\0&0&0&0&0&0&0&0\\0&0&0&0&0&1&0&0\\0&0&0&0&0&0&0&0\\0&0&0&0&0&0&0&1\\0&0&0&0&0&0&0&0\end{bmatrix}\xi +\begin{bmatrix}0&0&0&0\\1&0&0&0\\0&0&0&0\\0&1&0&0\\0&0&0&0\\0&0&1&0\\0&0&0&0\\0&0&0&1\end{bmatrix}u= A\xi +Bu \\ &y =\left[\begin{matrix}1&0&0&0&0&0&0&0\\0&0&1&0&0&0&0&0\\0&0&0&0&1&0&0&0\\0&0&0&0&0&0&1&0\end{matrix}\right]\xi = C\xi \end{aligned} $$

여기서 $\xi =[\xi_{1},\:\xi_{2},\:\xi_{3},\:\xi_{4},\:\xi_{5},\:\xi_{6},\:\xi_{7},\:\xi_{8}]^{T}\in R^{8}$이고, $u =$$[u_{z},\: u_{\phi},\:$$u_{\theta},\: u_{\psi}]^{T}$$\in R^{4}$이다.

3. 이득 조절 요소가 결합된 제어기 설계 및 시스템 안정성 분석

호버링 제어는 원하는 높이($x_{1d}$)값에 가만히 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쿼드로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먼저, 제어기를 설계하기 전에 가제어성 행렬과 가관측성 행렬을 이용하여 제어와 관측이 가능함을 확인한다. 상태벡터 차원과 가제어성 행렬 $S=[B,\: AB,\: A^{2}B,\: A^{3}B,\: A^{4}B,\: A^{5}B,\: A^{6}B,\: A^{7}B]$의 계수(Rank)가 같으면 제어가 가능하고, 상태벡터 차원과 가관측성 행렬 $V=[C,\: CA,\: CA^{2},\: CA^{3},\: CA^{4},\: CA^{5},\: CA^{6},\: CA^{7}]^{T}$의 계수가 같으면 관측이 가능하다. $S\in R^{8\times 32}$의 계수는 8, $V\in R^{32\times 8}$의 계수는 8, 상태벡터의 차원$(\xi\in R^{8})$은 8차원이다. 따라서 제어와 관측이 가능하다(9,10).

3.1 쿼드로터 시스템의 제어기 설계

쿼드로터의 센서를 이용하여 높이 $x_{1}$과 롤 각도 $x_{3}$, 피치 각도 $x_{5}$, 요 각도 $x_{7}$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값들을 이용하여 상승 속도 $x_{2}$와 롤의 각가속도 $x_{4}$, 피치의 각가속도 $x_{6}$, 요의 각가속도 $x_{8}$의 상태를 얻는 관측기를 설계한다. $\xi_{1}$과 $\xi_{2}$에 관한 상태 방정식을 높이 시스템이라고 하고, $\xi_{3}$과 $\xi_{4}$에 관한 상태 방정식을 각도 $\phi$시스템, $\xi_{5}$과 $\xi_{6}$에 관한 상태 방정식을 각도 $\theta$시스템, $\xi_{7}$과 $\xi_{8}$에 관한 상태 방정식을 각도 $\psi$시스템이라고 정의한다. 각 시스템의 제어기들은 독립 상태로, 다른 제어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각 시스템의 행렬 구조가 같기 때문에 높이 시스템의 관측기를 설계하면 같은 방법으로 각도 시스템의 관측기도 설계가 가능하다.

(5)
$$ \begin{array}{l} \dot{\hat{\xi}}_{1}=\xi_{2-} \frac{l_{1}}{\epsilon_{L_{1}}}\left(\xi_{1}-\hat{\xi}_{1}\right) \\ \dot{\hat{\xi}}_{2}=u-\frac{l_{2}}{\epsilon_{L_{1}^{2}}}\left(\xi_{1}-\hat{\xi}_{1}\right) \end{array} $$

여기서 $\epsilon_{L_{1}}>0$은 관측기의 이득 조절 요소이고, $\epsilon_{K_{1}}>0$은 제어기의 이득 조절 요소이다.

먼저 쿼드로터를 원하는 높이에 호버링하는 높이 제어기를 설계한다. 이 때 $\xi_{1}$의 값은 센서로 받아올 수 있지만 $\xi_{2}$의 값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관측기를 통하여 관측된 상태 $\hat\xi_{2}$를 받아와야 한다. $\xi_{1}$과 $\hat\xi_{2}$를 이용하여 설계한 제어기는 다음과 같다.

(6)
$u_{z}=\dfrac{k_{1}}{\epsilon_{K_{1}}^{2}}\xi_{1}+\dfrac{k_{2}}{\epsilon_{K_{1}}}\hat\xi_{2}$

식(6)과 같은 방법으로 $\phi$, $\theta$, $\psi$에 관한 제어기들도 설계가 가능하다. 설계한 제어기들을 식(4)에 대입하여 제어입력 $U_{z}$, $U_{\phi}$, $U_{\theta}$, 그리고 $U_{\psi}$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7)
$$ \begin{aligned} &U_{z}=\dfrac{\left(\dfrac{k_{1}}{\epsilon}_{K_{1}}^{2}\xi_{1}+\dfrac{k_{2}}{\epsilon}_{K_1}\hat\xi_{2}+g+\ddot x_{1d}\right)m}{\cos x_{3}\cos x_{5}} \\ &U_{\phi}=\dfrac{\left(\dfrac{k_{3}}{\epsilon_{K_{2}}^{2}}\xi_{3}+\dfrac{k_{4}}{\epsilon_{K_{2}}}\xi_{4}+\ddot x_{3d}\right)I_{x}}{l}\\ &U_{\theta}=\dfrac{\left(\dfrac{k_{5}}{\epsilon_{K_{3}}^{2}}\xi_{5}+\dfrac{k_{6}}{\epsilon_{K_{3}}}\xi_{6}+\ddot x_{5d}\right)I_{y}}{l}\\ &U_{\psi}=\left(\dfrac{k_{7}}{\epsilon_{K_{4}}^{2}}\xi_{7}+\dfrac{k_{8}}{\epsilon_{K_{4}}}\xi_{8}+\ddot x_{7d}\right)I_{z} \end{aligned} $$

3.2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성 분석

시스템 안정성 분석을 위해 상태 행렬 $\bar{\xi}$을 $\bar{\xi}=[\xi_{1},\:\hat\xi_{2},\:$$\xi_{3},\:\hat\xi_{4,\:}$$\xi_{5},\:\hat\xi_{6},\:\xi_{7},\:\hat\xi_{8}]^{T}$와 같이 정의한다. 여기서 주목 할 점은 $\xi_{1,\:}\xi_{3,\:}\xi_{5,\:}\xi_{7}$은 센서로 부터 측정 가능하고 $\xi_{2},\:\xi_{4},\:\xi_{6},\:\xi_{8}$는 측정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의된 $\bar{\xi}$를 이용하여 제안된 출력 궤환 제어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8)
$$\dot{\hat{\xi}}=A \hat{\xi}+B u-L_{\epsilon_{L}}(y-C \hat{\xi})$$

(9)
$$u=K_{\epsilon_{K}} \bar{\xi}$$

여기서 $K_{\epsilon_{K}}$와 $L_{\epsilon_{L}}$는 다음과 같다.

(10)
$$ \begin{aligned} &K_{\epsilon_{K}}=\left[\begin{array}{cccccccc} \frac{k_{1}}{\epsilon_{K_{1}}^{2}} & \frac{k_{2}}{\epsilon_{K_{1}}} & 0 & 0 & 0 & 0 & 0 & 0 \\ 0 & 0 & \frac{k_{3}}{\epsilon_{K_{2}}^{2}} & \frac{k_{4}}{\epsilon_{K_{2}}} & 0 & 0 & 0 & 0 \\ 0 & 0 & 0 & 0 & \frac{k_{5}}{\epsilon_{K_{3}}^{2}} & \frac{k_{6}}{\epsilon_{K_{3}}} & 0 & 0 \\ 0 & 0 & 0 & 0 & 0 & 0 & \frac{k_{7}}{\epsilon_{K_{4}}^{2}} & \frac{k_{8}}{\epsilon_{K_{4}}} \end{array}\right]\\ &L_{\epsilon_{L}}=\left[\begin{array}{cccccccc} \frac{l_{1}}{\epsilon_{L_{1}}} & \frac{l_{2}}{\epsilon_{L_{1}}^{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frac{l_{3}}{\epsilon_{L_{2}}} & \frac{l_{4}}{\epsilon_{L_{2}}^{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frac{5_{5}}{\epsilon_{L_{3}}} & \frac{l_{6}}{\epsilon_{L_{3}}^{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frac{l_{7}}{\epsilon_{L_{4}}} & \frac{l_{8}}{\epsilon_{L_{4}}^{2}} \\ 0 & 0 & 0 & 0 & 0 & 0 & 0 & 0 \end{array}\right]^{T} \end{aligned} $$

식(4)에서 식(8)을 빼면 다음과 같은 식이 된다. 이 때 $e=\xi -\hat\xi$라고 정의한다.

(11)
\begin{align*} \dot e =A(\xi -\hat\xi)+L_{\epsilon_{L}}C(\xi -\hat\xi)\\ =(A+L_{\epsilon_{L}}C)e \end{align*}

또한, 식(4)식(9)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만들어 진다.

(12)
\begin{align*} \dot\xi =A\xi +BK_{\epsilon_{K}}\bar{\xi}\\ =A\xi +BK_{\epsilon_{K}}\xi -B\bar{K}_{\epsilon_{K}}e\\ =(A+BK_{\epsilon_{K}})\xi -B\bar{K}_{\epsilon_{K}}e \end{align*}

여기서 $\bar{K}_{\epsilon_{K}}$는 다음과 같다.

(13)
$\bar{K}_{\epsilon_{K}}=\left[\begin{matrix} 0 &\dfrac{k_{2}}{\epsilon_{K_{1}}}& 0 & 0 & 0 & 0 & 0 & 0 \\ 0 & 0 & 0 &\dfrac{k_{4}}{\epsilon_{K_{2}}}& 0 & 0 & 0 & 0 \\ 0 & 0 & 0 & 0 & 0 &\dfrac{k_{6}}{\epsilon_{K_{3}}}& 0 & 0 \\ 0 & 0 & 0 & 0 & 0 & 0 & 0 &\dfrac{k_{8}}{\epsilon_{K_{4}}} \end{matrix}\right]$

식(11)식(12)를 이용하여 확장된 폐루프 시스템을 만들면 다음과 같다.

(14)
$$ \left[\begin{array}{c} \dot{e} \\ \dot{\xi}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 A+L_{\epsilon_{L}} C & 0 \\ -\bar{B K}_{\epsilon_{K}}^{-} A+B K_{\epsilon_{K}} \end{array}\right]\left[\begin{array}{l} e \\ \xi \end{array}\right] $$

확장된 폐루프 시스템이 Hurwitz이면 안정한 시스템이다. 즉 행렬 $A+BK_{\epsilon_{K}}$와 $A+L_{\epsilon_{L}}C$가 Hurwitz가 되면 폐루프 시스템이 안정하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A+BK_{\epsilon_{K}}$와 $A+L_{\epsilon_{L}}C$ 행렬의 주 대각 행렬외의 행렬들은 다 영행렬이다. 삼각 행렬의 Hurwitz를 판별할 때 주 대각행렬들이 모두 Hurwitz이면 전체 행렬도 Hurwitz가 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A+BK_{\epsilon_{K}}$와 $A+L_{\epsilon_{L}}C$ 행렬의 주 대각 행렬들의 특성방정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p,\:i,\:j)=(1,\:1,\:2),\:(2,\:3,\:4),\:(3,\:5,\:6),\:(4,\:7,\:8)$ 이다.

(15)
$$ \left|\begin{array}{cc} -\lambda & 1 \\ \frac{k_{i}}{\epsilon_{K_{p}}^{2}} & \frac{k_{j}}{\epsilon_{K_{p}}}-\lambda \end{array}\right|=\lambda^{2}-\frac{k_{j}}{\epsilon_{K_{p}}} \lambda-\frac{k_{i}}{\epsilon_{K_{p}}^{2}}=0 $$

(16)
$$ \left|\begin{array}{cc} \frac{l_{j}}{\epsilon_{L_{p}}}-\lambda & 1 \\ \frac{l_{j}}{\epsilon_{L_{p}}^{2}} & -\lambda \end{array}\right|=\lambda^{2}-\frac{l_{i}}{\epsilon_{L_{p}}} \lambda-\frac{l_{j}}{\epsilon_{L_{p}}^{2}}=0 $$

식(15),(16)이 Hurwitz한 식이 되기 위해 허용 가능한 제어기 이득 값과 관측기 이득 값의 범위를 Routh-Hurwitz 판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12). Routh-Hurwitz 판별법은 판별법의 1열 원소가 같은 부호를 가지며, 원소의 어느 하나도 0이 아니면 폐루프 시스템이 안정된다. 즉, 제어기 이득 값이 $k_{1}<0$, $k_{2}<0$, $k_{3}<0$, $k_{4}<0$, $k_{5}<0$, $k_{6}<0$, $k_{7}<0$, $k_{8}<0$이면 안정한 제어기가 되고, 관측기 이득 값이 $l_{1}<0$, $l_{2}<0$, $l_{3}<0$, $l_{4}<0$, $l_{5}<0$, $l_{6}<0$, $l_{7}<0$, $l_{8}<0$면 안정한 관측기가 된다.

본 3장에서는 제어기를 설계하고 안정성 판별법을 이용하여 제어기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제어 이득 및 이득 조절 요소의 선택 방법과 변화에 따라서 시스템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다음 4장에서는 제어기 이득, 관측기 이득, 제어기와 관측기의 이득 조절 요소 그리고 시스템의 출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제어 이득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출력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이득 및 이득 조절 요소의 선택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4. 제어 이득 및 이득 조절 요소의 선택 알고리즘 설계

쿼드로터 출력 값과 제어기 이득 값의 관계를 분석하여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 등 출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득 값 조절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출력 값과 이득 값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쿼드로터 시스템의 출력을 분석한다. 또한 관측기의 출력을 분석하여 관측기 이득 값과 제어기 이득 값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관측기 이득 값과 제어기 이득 값의 관계를 이용하여 관측기에 의한 오차를 무시할 수 있는 이득 값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4.1 제어기 이득과 시스템 출력과의 관계

높이 및 각도 시스템 식의 행렬 구조가 같다. 따라서 높이 시스템을 분석하면 각 각도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높이 시스템의 출력을 라플라스 변환 시키면 다음과 같다.

(17)
$$ \begin{array}{l} s \Xi_{1}(s)-\xi_{1}(0)=\Xi_{2}(s) \\ s \Xi_{2}(s)-\xi_{2}(0)=\frac{k_{1}}{\epsilon_{K_{1}}^{2}} \Xi_{1}(s)+\frac{k_{2}}{\epsilon_{K_{1}}} \Xi_{2}(s)-\frac{k_{2}}{\epsilon_{K_{1}}} E_{2}(s)+\frac{\alpha_{z} w_{z}}{s^{2}+w_{z}^{2}} \end{array} $$

식(17)을 $\Xi_{1}(s)$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 식과 같다.

(18)
$$ \begin{aligned} \Xi_{1}(s)=& \frac{\left(s-\frac{k_{2}}{\epsilon_{K_{1}}}\right) \xi_{1}(0)+\xi_{2}(0)-\frac{k_{2}}{\epsilon_{K_{1}}} E_{2}(s)}{s^{2}-\frac{k_{2}}{\epsilon_{k_{1}}} s-\frac{k_{1}}{\epsilon_{K_{1}}^{2}}} \\ &+\frac{\alpha_{z} w_{z}}{\left(s^{2}-\frac{k_{2}}{\epsilon_{K_{1}}} s-\frac{k_{1}}{\epsilon_{K_{1}}^{2}}\right)\left(s^{2}+w_{z}^{2}\right)} \end{aligned} $$

식(18)의 $\Xi_{1}(s)$를 $\xi_{1}(t)$로 만들어 주기 위해서 역 라플라스 변환을 한다. 역 라플라스 변환을 하기 편하게 식을 바꿔주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Xi_{s_{1}}(s)$는 시스템의 출력을 라플라스 변환 시킨 값이고, $\Xi_{d_{1}}(s)$는 외란을 라플라스 변환 시킨 값이다.

(19)
$\Xi(s)=\Xi_{s1}(s)+\Xi_{d1}(s)$ $=\left\{\dfrac{\left(s-\dfrac{k_{2}}{2\epsilon_{K_{1}}}\right)\xi_{1}(0)-\left(\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0)\right)}{\left(s-\dfrac{k_{2}}{2\epsilon_{K_{1}}}\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right\}$ $+\left\{\dfrac{as+b}{\left(s-\dfrac{k_{2}}{2\epsilon_{K_{1}}}\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dfrac{cs+d}{s^{2}+w_{z}^{2}}\right\}$

여기서 $a,\: b,\: c$ 그리고 $d$는 다음과 같다.

(20)
$$a=\dfrac{-\dfrac{k_{2}}{\epsilon_{K_{1}}}\alpha_{z}w_{z}}{\left(w_{z}^{2}+\dfrac{k_{1}}{\epsilon_{K_{1}}}\right)^{2}+\dfrac{k_{2}^{2}}{\epsilon_{K_{1}}^{2}}w^{2}}, b=\dfrac{\left(w^{2}+\dfrac{k_{1}}{\epsilon_{K_{1}}^{2}}+\dfrac{k_{2}^{2}}{\epsilon_{K_{1}}^{2}}\right)\alpha_{z}w_{z}}{\left(w_{z}^{2}+\dfrac{k_{1}}{\epsilon_{K_{1}}}\right)^{2}+\dfrac{k_{2}^{2}}{\epsilon_{K_{1}}^{2}}w^{2}},$$ $$c=\dfrac{\dfrac{k_{2}}{\epsilon_{K_{1}}}\alpha_{z}w_{z}}{\left(w_{z}^{2}+\dfrac{k_{1}}{\epsilon_{K_{1}}}\right)^{2}+\dfrac{k_{2}^{2}}{\epsilon_{K_{1}}^{2}}w^{2}}, d=\dfrac{-\left(w^{2}+\dfrac{k_{1}}{\epsilon_{K_{1}}^{2}}\right)\alpha_{z}w_{z}}{\left(w_{z}^{2}+\dfrac{k_{1}}{\epsilon_{K_{1}}}\right)^{2}+\dfrac{k_{2}^{2}}{\epsilon_{K_{1}}^{2}}w^{2}}$$

식(19)에서 $k_{2}^{2}/ 4 +k_{1}$의 부호에 따라 역 라플라스의 결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시스템 출력을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계산한다.

(Case 1.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먼저 시스템 출력 식을 구하기 위해 $\Xi_{s_{1}}(s)$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한다.

(21)
$$ \Xi_{s1}(s)=\xi_{1}(0) \frac{s-\frac{k_{2}}{2 \epsilon_{K_{1}}}}{\left(s-\frac{k_{2}}{2 \epsilon_{K_{1}}}\right)^{2}+\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 \frac{+k_{1}}{\epsilon_{K_{1}}^{2}}\right)^{2}}}$$ $$-\frac{\frac{k_{2}}{2 \epsilon_{K_{1}}} \xi_{1}(0)-\xi_{2}(0)+\frac{k_{2}}{\epsilon_{K_{1}}} B_{2}(s)}{\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 \frac{+k_{1}}{\epsilon_{K_{1}}^{2}}\right)}} \cdot \frac{\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left(s-\frac{k_{2}}{2 \epsilon_{K_{1}}}\right)^{2}+\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2}}} $$

식(21)을 역 라플라스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2)
$$\xi_{s1}(t)=\xi_{1}(0)e^{\dfrac{k_{2}}{2\epsilon_{K_{1}}}t}\cos\left(\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right)t$$ $$-\left(\dfrac{\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t)}{\sqrt{-\left(\dfrac{k_{2}^{2}}{2\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right)e^{\dfrac{k_{2}}{2\epsilon_{K_{1}}}t}\sin\left(\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right)t$$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을 사용하면 식(23)이 된다.

(23)
$\bar{y}_{s}(t)= e^{\dfrac{k_{2}}{2\epsilon_{K_{1}}}t}\left(\sqrt{\xi_{1}(0)^{2}+\dfrac{\left(\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t)\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right.$ $\left.\cdot\sin\left(\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t+\gamma_{1}\right)\right)$

(24)
$$ \gamma_{1}=\tan ^{-1} \frac{\frac{k_{2}}{2 \epsilon_{K_{1}}} \xi_{1}(0)-\xi_{2}(0)+\frac{k_{2}}{\epsilon_{K_{1}}} e_{2}(t)}{\xi_{1}(0) \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 $$

외란에 의한 출력 식을 구하기 위해 $\Xi_{d1}(s)$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한다.

(25)
$$ \Xi_{d 1}(s)=a \frac{s-\frac{k_{2}}{2 \epsilon_{K_{1}}}}{\left(s-\frac{k_{2}}{2 \epsilon_{K_{1}}}\right)^{2}+\sqrt{\left(-\left(\frac{k_{2}^{2}}{4 \epsilon_{I_{1}}^{2}}+\frac{k_{1}}{\epsilon_{I_{1}}^{2}}\right)\right)^{2}}} $$ $$ +\frac{\frac{k_{2}}{2 \epsilon_{I i}} a+b}{\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 \cdot \frac{\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left(s-\frac{k_{2}}{2 \epsilon_{K_{1}}}\right)^{2}+\sqrt{\lef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right)^{2}}} $$ $$+\dfrac{cs}{s^{2}+w_{z}^{2}}+\dfrac{d}{s^{2}+w_{z}^{2}}$$

여기서 $a,\:b,\:c,\:d$는 (20)과 같다. (25)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6)
$$ \Xi_{d 1}(t)=a e^{\frac{k_{2}}{2 \epsilon_{I_{1}}} t} \cos \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 t+\frac{\frac{k_{2}}{2 \epsilon_{K_{1}}} a+b}{\left.\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right)} e^{\frac{k_{2}}{2 \epsilon_{I_{1}}} t} \cdot \sin \sqrt{-\left(\frac{k_{2}^{2}}{4 \epsilon_{K_{1}}^{2}}+\frac{k_{1}}{\epsilon_{K_{1}}^{2}}\right)} t $$

삼각함수의 합성 공식을 사용하여 정리하면 외란 출력 식(27)을 얻을 수 있다.

(27)
$\bar{y}_{d}(t)=e^{\dfrac{k_{2}}{2\epsilon_{K_{1}}}t}\sqrt{a^{2}+\dfrac{\left(\dfrac{k_{2}}{2\epsilon_{K_{1}}}a-b\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cdot\sin\left(\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t+\gamma_{2}\right)$ $+\sqrt{c^{2}+\dfrac{d^{2}}{w^{2}}}\sin(w_{z}t+\gamma_{3})$

여기서 $\gamma_{2}$와 $\gamma_{3}$는 다음과 같다.

(28)
$$ \gamma_{2}=\tan ^{-1} \frac{\frac{k_{2}}{2 \epsilon_{K_{1}}} a-b}{a \sqrt{-\left(\frac{k_{2}^{2}}{4 \epsilon_{I_{1}}^{2}}+\frac{k_{1}}{\epsilon_{I_{1}}^{2}}\right)}}, \gamma_{3}=\tan ^{-1} \frac{d}{a w_{z}} $$

출력 식 $\bar{y}(t)$$=$$\bar{y}_{s}(t)+\bar{y}_{d}(t)$는 다음과 같다.

(29)
$\bar{y}(t)= e^{\dfrac{k_{2}}{2\epsilon_{K_{1}}}t}\left(\sqrt{\xi_{1}(0)^{2}+\dfrac{\left(\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t)\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right.$ $\left.\cdot\sin\left(\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t+\gamma_{1}\right)\right)$$+e^{\dfrac{k_{2}}{2\epsilon_{K_{1}}}t}\sqrt{a^{2}+\dfrac{\left(\dfrac{k_{2}}{2\epsilon_{K_{1}}}a-b\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 $\cdot\sin\left(\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t+\gamma_{2}\right)$$+\sqrt{c^{2}+\dfrac{d^{2}}{w_{z}^{2}}}$$\sin(w_{z}t+\gamma_{3})$

(Case 2.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Xi_{s1}(s)$와 $\Xi_{d1}(s)$를 역 라플라스 하여 구한 출력 식$\bar{y}(t)$$=$$\bar{y}_{s}(t)+\bar{y}_{d}(t)$는 다음과 같다.

(30)
$\bar{y}(t)=$$ \dfrac{\xi_{1}(0)+a-\left(\dfrac{\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t)-\dfrac{k_{2}}{2\epsilon_{K_{1}}}a-b}{\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2}$$+\dfrac{\xi_{1}(0)+a+\left(\dfrac{\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t)-\dfrac{k_{2}}{2\epsilon_{K_{1}}}a-b}{\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2}e^{\left(\dfrac{k_{2}}{2\epsilon_{K_{1}}}-\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t}$ $+\sqrt{c^{2}+\dfrac{d^{2}}{w_{z}^{2}}}$$\sin(w_{z}t+\gamma_{3})$

(Case 3.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Xi_{s1}(s)$와 $\Xi_{d1}(s)$를 역 라플라스 하여 구한 출력 식 $\bar{y}(t)$$=$$\bar{y}_{s}(t)+\bar{y}_{d}(t)$는 다음과 같다.

(31)
$y(t)=e^{\dfrac{k_{2}}{2\epsilon_{K_{1}}}t}\left(\xi_{1}(0)+a-\left(\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epsilon_{K_{1}}}e_{2}(t)-\dfrac{k_{2}}{2}a-b\right)t\right)$ $+\sqrt{c^{2}+\dfrac{d^{2}}{w_{z}^{2}}}$$\sin(w_{z}t+\gamma_{3})$

4.2 관측기 이득과 시스템 출력과의 관계

$x_{1}$은 센서를 통해 값을 받아오기 때문에 $\hat\xi_{1}$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e_{1}(t)$는 출력 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센서로 받아오지 못하는 $\hat\xi_{2}$의 오차 값인 $e_{2}(t)$를 분석하기 위해 식(11)을 라플라스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32)
$s E_{1}(s)-e_{1}(0)=\dfrac{l_{1}}{\epsilon_{L_{1}}}E_{1}(s)+E_{2}(s)$

(33)
$s E_{2}(s)-e_{2}(0)=\dfrac{l_{2}}{\epsilon_{L_{1}}^{2}}E_{1}(s)$

식(32),(33)을 연립하여 $E_{2}(s)$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4)
$$ E_{2}(s)=\frac{\left(s-\frac{l_{1}}{2 \epsilon_{L_{1}}}\right) e_{2}(0)-\frac{l_{1}}{2 \epsilon_{L_{1}}} e_{2}(0)+\frac{l_{2}}{\epsilon_{L_{1}}^{2}} e_{1}(0)}{\left(s-\frac{l_{1}}{2 \epsilon_{L_{1}}}\right)^{2}-\left(\frac{l_{1}^{2}}{4 \epsilon_{L_{1}}^{2}}+\frac{l_{2}}{\epsilon_{L_{1}}^{2}}\right)} $$

식(34)에서 $\dfrac{l_{1}^{2}}{4}+l_{2}$의 부호에 따라 역 라플라스 변환의 결과가 달라진다. 관측기의 성능 $e_{2}(t)$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계산한다.

(Case 1. $bold\dfrac{l_{1}^{2}}{4}+l_{2}<0$인 경우) : 식(34)를 역 라플라스 변환 하여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5)
$y=e^{a_{1}t}(b_{1}\sin(c_{1})+\gamma_{4})$

여기서 $a_{1},\: b_{1},\: c_{1}$, 그리고 $\gamma_{4}$는 다음과 같다.

(36)
$$a_{1}=\dfrac{l_{1}}{2\epsilon_{L_{1}}}<0, b_{1}=\dfrac{\sqrt{e_{2}(0)^{2}+(\dfrac{l_{1}}{2\epsilon_{L_{1}}}e_{2}(0)-\dfrac{l_{2}}{\epsilon_{L_{1}}^{2}}e_{1}(0))^{2}}}{-\lef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right)}$$ $$c_{1}=\sqrt{-\lef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right)}, \gamma_{4}=\tan ^{-1} \frac{\frac{l_{1}}{2 \epsilon_{L_{1}}} e_{2}(0)+\frac{l_{2}}{\epsilon_{L_{1}}} e_{1}(0)}{e_{2}(0) \sqrt{-\left(\frac{l_{1}^{2}}{4 \epsilon_{L_{1}}^{2}}+\frac{l_{2}}{\epsilon_{L_{1}}^{2}}\right)}} $$

정착시간(settling time)을 줄이기 위해서는 $e$의 지수의 크기인 $|a_{1}|$이 커져야 하고, $a_{1}$이 음수여야 한다. 앞의 안정성 분석에서 $l_{i}$는 모두 음수를 만족하여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l_{1}|$이 커지면 된다.

(Case 2. $bold\dfrac{l_{1}^{2}}{4}+l_{2}>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역 라플라스 변환 하여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7)
$y =\dfrac{a_{2}}{2}e^{b_{2}t}+\dfrac{c_{2}}{2}e^{d_{2}t}$

여기서 $a_{2},\: b_{2},\: c_{2},\:$ 그리고 $d_{2}$는 다음과 같다.

(38)
$$a_{2}= e_{2}(0)-\left(\dfrac{\dfrac{l_{1}}{2\epsilon_{L_{1}}}e_{2}(0)-\dfrac{l_{2}}{\epsilon_{L_{1}}}e_{1}(0)}{\sqr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right), b_{2}=\dfrac{l_{1}}{2\epsilon_{L_{1}}}+\sqr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0$$, $$c_{2}= e_{2}(0)+\left(\dfrac{\dfrac{l_{1}}{2\epsilon_{L_{1}}}e_{2}(0)-\dfrac{l_{2}}{\epsilon_{L_{1}}}e_{1}(0)}{\sqr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right), d_{2}=\dfrac{l_{1}}{2\epsilon_{L_{1}}}-\sqr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0$$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 $|b_{2}|$와 $|d_{2}|$중 작은 수를 커지게 하면 된다. $|b_{2}|$와 $|d_{2}|$중 $|b_{2}|$가 더 작은 숫자이기 때문에 $|b_{2}|$를 키우려면 $\sqrt{\dfrac{l_{1}^{2}}{4}+ l_{2}}$이 0에 가까워지면 된다. 즉 $|l_{1}|$이 작아지거나 $|l_{2}|$가 커지게 된다.

(Case 3.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Case 1과 마찬가지로 역 라플라스 변환 하여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39)
$y=a_{3}e^{b_{3}t}$

여기서 $a_{3},\: b_{3}$는 다음과 같다.

(40)
$a_{3}=e_{2}(0)-\left(\dfrac{l_{1}}{2\epsilon_{L_{1}}}e_{2}(0)-\dfrac{l_{2}}{\epsilon^{2}_{L_{1}}}e_{1}(0)\right)t$, $b_{3}=\dfrac{l_{1}}{2\epsilon_{L_{1}}}<=<0$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 $|b_{3}|$가 커져야 한다. 즉 $|l_{1}|$이 커지면 된다.

4.3 관측기 이득 조절 요소와 제어기 이득 조절 요소의 관계

제어기의 수렴 속도보다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빨라 관측기의 오차가 제어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면 관측기의 오차 값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수렴 속도에 관여하는 지수함수의 지수 값을 비교하여 관측기 식의 지수 값 중 가장 큰 값과 제어기 식의 지수 값 중 가장 작은 값 중 관측기 식의 지수 값이 더 작으면 모든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모든 제어기의 수렴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식(29),(30),(31)에서 $e_{2}(t)$를 생략할 수 있다.

식(35),(37),(39)에서 관측기의 수렴 속도에 관여하는 수식인 $a_{1},\: b_{2},\: d_{2}$ 그리고 $c_{3}$은 다음과 같다. $b_{2}$와 $d_{2}$중 크기가 작은 값이 수렴속도에 관여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d_{2}$는 무시한다.

(41)
$a_{1}= a_{3}=\dfrac{l_{1}}{2\epsilon_{L_1}},\: b_{2}=\dfrac{l_{1}}{2\epsilon_{L_1}}+\sqrt{\dfrac{l^{2}_{1}}{4\epsilon^{2}_{L_1}}+\dfrac{l_{2}}{\epsilon^{2}_{L_1}}}$

식(29),(30),(31)에서 $e$의 지수 승에 있는 시스템 출력의 수렴 속도에 관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42)
$\dfrac{k_{2}}{2\epsilon_{K_{1}}},\:\dfrac{k_{2}}{2\epsilon_{K_{1}}}+\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

식(42) 중 가장 작은 값보다 식(41) 중 가장 큰 값이 더 작으면 모든 경우의 부등식에서 제어기의 수렴 속도보다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더 빠르다. 식(42) 중 가장 작은 값과 식(41) 중 가장 큰 값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43)
$\dfrac{l_{1}}{2\epsilon_{L_{1}}}+\sqrt{\dfrac{l_{1}^{2}}{4\epsilon_{L_{1}}^{2}}+\dfrac{l_{2}}{\epsilon_{L_{1}}^{2}}}<\dfrac{k_{2}}{2\epsilon_{K_{1}}}$

식(43)을 $\epsilon_{L_{1}}$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4)
$\epsilon_{L_1}<\epsilon_{K_1}\left(\dfrac{l_{1}+2\sqrt{\dfrac{l_{1}^{2}}{4}+l_{2}}}{k_{2}}\right)$

식(44)와 같이 관측기의 수렴 속도가 제어기의 수렴속도보다 빨라지게 되면 관측기와 제어기의 오차인 시스템 출력의 $e_{2}(t)$값은 아주 작은 값이 되어 시스템의 출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e_{2}(t)$를 0으로 근사화 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 장에서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한 출력 식을 이용하여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를 줄이기 위한 이득 값의 변화에 대해 정리하였다. 정리된 이득 값의 변화를 표로 나타내고 제어 이득 값 및 이득 조절 요소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4.4 제어 이득 값 및 이득조절요소 선택 알고리즘 제안

(Case 1.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출력 식은 식(29)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45)
$$ \bar{y}(t) \simeq e^{a t}\left(b_{4} \sin \left(c_{4}+\gamma_{1}\right)+d_{4} \sin \left(c_{4}+\gamma_{2}\right)\right)+e_{4} \sin \left(w_{2} t+\gamma_{3}\right) $$

여기서 $a_{4},\: b_{4},\: c_{4},\: d_{4}$그리고 $e_{4}$는 다음과 같다.

(46)
$a_{4}=\dfrac{k_{2}}{2\epsilon}_{K_1}<0,\:$ $b_{4}=\sqrt{\xi_{1}(0)^{2}-\dfrac{\left(\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 $c_{4}=\sqrt{\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d_{4}=\sqrt{a^{2}-\dfrac{\left(\dfrac{k_{2}}{2\epsilon_{K_{1}}}a-b\right)^{2}}{\lef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e_{4}=\sqrt{c^{2}+\dfrac{d^{2}}{w_{z}^{2}}}$

식(46)에서 $a,\: b,\: c,\: d$는 식(20)과 같다. 식(45)에서 오버슈트(Overshoot)는 sine함수가 관여하기 때문에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서는 sine 함수의 최댓값인 변수 $b_{4}$와 $d_{4}$의 값이 줄어들어야 한다. 수렴속도는 지수함수가 관여하기 때문에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수함수의 변수 $|a_{4}|$의 값이 커지면 된다. 이때 $a_{4}$는 음수여야 한다. 따라서 식(45)의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를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버슈트 줄이기 :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서는 식(45)에서 $b_{4}$와 $d_{4}$의 값을 줄여야 한다. 이때 $\xi_{1}(0)$의 값이 1보다 크면 $k_{2}$의 크기를 줄여야 오버슈트의 크기가 작아지고 $\xi_{1}(0)$의 크기가 1보다 작거나 같으면 $k_{2}$의 크기를 키워야 오버슈트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 $k_{1}$의 크기를 키워 $b_{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epsilon_{K_1}$이 작아지면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다.

정착 시간 줄이기 : 정착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e$의 지수의 크기인 $|a_{4}|$가 커져야 하고, 음수여야 한다. 앞의 안정성 분석에서 $k$는 모두 음수를 만족하여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k_{2}|$가 커지면 된다. 또한 $\epsilon_{K_{1}}$이 작아지면 정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종 수렴범위 줄이기 : 최종 수렴범위는 정상상태일 때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의 출력을 구하기 위해 최종치정리를 하면 지수함수를 포함한 식은 0으로 수렴하고, 식(45)의 뒷부분 식만 남게 된다. 따라서 $k_{1}$이나 $k_{2}$의 크기가 커지면 최종 수렴범위를 줄일 수 있다.

(Case 2.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출력 식은 식(30)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47)
$\bar{y}(t)\simeq\dfrac{a_{5}}{2}e^{b_{5}t}+\dfrac{c_{5}}{2}e^{d_{5}t}+e_{5}\sin(w_{z}t+\gamma_{3})$

여기서 $a_{5},\: b_{5},\: c_{5},\: d_{5}$와 $f_{5}$는 다음과 같다.

(48)
$a_{5}=\xi_{1}(0)+a-\left(\dfrac{\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2\epsilon_{K_{1}}}a-b}{\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 $b_{5}=\dfrac{k_{2}}{2\epsilon_{K_{1}}}+\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0$, $c_{5}=\xi_{1}(0)+a+\left(\dfrac{\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2\epsilon_{K_{1}}}a-b}{\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right)$, $d_{5}=\dfrac{k_{2}}{2\epsilon_{K_{1}}}-\sqrt{\dfrac{k_{2}^{2}}{4\epsilon_{K_{1}}^{2}}+\dfrac{k_{1}}{\epsilon_{K_{1}}^{2}}}<0$, $e_{5}=\sqrt{c^{2}+\dfrac{d^{2}}{w_{z}^{2}}}$

식(48)에서 $a,\: b,\: c,\: d$는 식(20)과 같다. 식(47)의 오버슈트, 정착 시간, 최종 수렴범위를 줄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버슈트 줄이기 :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 $a_{5}$와 $c_{5}$의 값이 작아야 한다. 이때 수식의 앞부분을 보면 $\xi_{1}(0)$의 값이 1보다 크면 $|k_{2}|$를 줄여야 $a_{5}$와 $c_{5}$의 크기가 작아지고 $\xi_{1}(0)$의 값이 1보다 작거나 같으면 $|k_{2}|$를 키워야 $a_{5}$와 $c_{5}$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xi_{1}(0)$의 크기와 관계없이 $|k_{1}|$을 키우면 $a_{5}$와 $c_{5}$의 크기가 줄어든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x_{d}\le 1$일 때는 $|k_{1}|$또는 $|k_{2}|$를 키우고, $x_{d}>1$일 때는 $|k_{1}|$을 키우거나 $|k_{2}|$를 줄이면 된다. 또한 $\xi_{1}(0)>0$일 때 $\epsilon_{K_{1}}$가 작아지고, $\xi_{1}(0)<0$일 때 $\epsilon_{K_{1}}$가 커지면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다.

정착 시간 줄이기 : 식(47)은 지수함수의 덧셈이므로 정착시간은 각 지수함수의 정착시간 중 느린 값을 따라간다. 따라서 정착시간을 줄이기 위해 $|b_{5}|$와 $|d_{5}|$중 작은 값인 $|b_{5}|$의 값이 커져야 한다. $|b_{5}|$가 커지기 위해서는 $\sqrt{k_{2}^{2}/4+k_{1}}$이 0에 가까워지면 된다. $k_{1}$가 $-k_{2}^{2}/4$의 값과 비슷하게 잡으면 된다. 또한 $\epsilon_{K_{1}}$가 작아지면 정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종 수렴범위 줄이기 : 최종 수렴범위는 정상상태일 때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의 출력을 구하기 위해 최종치정리를 하면 지수함수를 포함한 식은 0으로 수렴하고, 식(47)의 뒷부분 식만 남게 된다. 따라서 $k_{1}$이나 $k_{2}$의 크기가 커지면 최종 수렴범위를 줄일 수 있다.

(Case 3. $bold\dfrac{k_{2}^{2}}{4}+k_{1}=0$인 경우) : 출력 식은 식(31)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49)
$\bar{y}(t)\simeq a_{6}e^{b_{6}t}+ c_{6}\sin(w_{z}t+\gamma_{3})$

여기서 $a_{6}$,$b_{6}$그리고 $c_{6}$는 다음과 같다.

(50)
$a_{6}=\xi_{1}(0)+a-\left(\dfrac{k_{2}}{2\epsilon_{K_{1}}}\xi_{1}(0)-\xi_{2}(0)-\dfrac{k_{2}}{2}a-b\right)t$, $b_{6}=\dfrac{k_{2}}{2\epsilon_{K_{1}}}<0$, $c_{6}=\sqrt{c^{2}+\dfrac{d^{2}}{w_{z}^{2}}}$

오버슈트 줄이기 :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서 변수 $a_{6}$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a_{6}$가 작아지기 위해서 $k_{2}$의 크기가 작아지면 된다. 또한 $\epsilon_{K_{1}}$가 작아지면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다.

정착 시간 줄이기 : 정착 시간을 줄이기 위해 $|b_{6}|$가 커져야 한다. 또한 $\epsilon_{K_{1}}$가 작아지면 정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종 수렴범위 줄이기 : 최종 수렴범위는 정상상태일 때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의 출력을 구하기 위해 최종치정리를 하면 지수함수를 포함한 식은 0으로 수렴하고, 식(49)의 뒷부분 식만 남게 된다. 따라서 $k_{1}$이나 $k_{2}$의 크기가 커지면 최종 수렴범위를 줄일 수 있다.

위의 경우들을 정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표 2는 각각 제어기의 이득 값 선택 방법을 정리한 표와 이득 조절 요소를 선택 하는 방법을 정리한 표이고 표 3은 관측기의 이득 값 조절 방법을 정리한 표이다. 식(44)는 높이 제어기의 $\epsilon_{K_{1}}$과 $\epsilon_{L_{1}}$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이 식을 높이 제어기뿐만 아니라 롤($\phi$), 피치($\theta$), 요($\psi$) 제어기에도 적용할 수 있게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1)
$\epsilon_{L_i}<\epsilon_{K_i}\left(\dfrac{l_{i}+2\sqrt{\dfrac{l^{2}_{i}}{4}+l_{j}}}{k_{j}}\right)$

이 때 $(p,\:i,\:j)=(1,\:1,\:2),\:(2,\:3,\:4),\:(3,\:5,\:6),\:(4,\:7,\:8)$이다.

특성 방정식과 폐루프 시스템이 Hurwitz가 되는 식을 이용하여 이득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극 배치 기법이라고 한다. 극 배치 기법을 이용하여 이득 값을 설정하기 위해 특성방정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특성방정식의 근을 $\lambda_{i}=(-a_{i},\: -b_{i})$라고 가정한다.

(52)
$(\lambda_{i}+a_{i})(\lambda_{i}+b_{i})=\lambda_{i}^{2}+(a_{i}+b_{i})\lambda_{i}+a_{i}b_{i}=0$

이렇게 구한 식(52)식(15)와 비교하면 $k_{i}$의 값이 $-a_{i}b_{i}$이고, $k_{j}$의 값이 $-(a_{i}+b_{i})$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16)식(52)를 이용하여 $l_{i}$의 값이 $-a_{i}b_{i}$이고, $l_{j}$의 값이 $-a_{i}b_{i}$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득 값을 이용하여 출력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순서도는 그림 1와 같다.

표 1. 제어 이득 값 선택 방법 정리($(i,\:j)=(1,\:2),\:(3,\:4),\:(5,\:6),\:(7,\:8)$)

Table 1. Adjustment of the control gain ($(i,\:j)=(1,\:2),\:(3,\:4),\:(5,\:6),\:(7,\:8)$)

Case

Category

$\dfrac{k_{j}^{2}}{4}+k_{i}<0$

$\dfrac{k_{j}^{2}}{4}+k_{i}>0$

$\dfrac{k_{2}^{j}}{4}+k_{i}=0$

Overshoot

$|\xi_{i}(0)|\le 1$

$|\xi_{i}(0)| > 1$

$|\xi_{i}(0)|\le 1$

$|\xi_{i}(0)| > 1$

$|k_{j}|$↓

$|k_{i}|$↑ or $|k_{j}|$↑

$|k_{i}|$↑ or $|k_{j}|$↓

$|k_{i}|$↑ or $|k_{j}|$↑

$|k_{i}|$↑

Settling time

$|k_{j}|$↑

$k_{i}\cong -\dfrac{k_{j}^{2}}{4}$

$|k_{j}|$↑

Ultimate bound

$|k_{i}|$↑or $|k_{j}|$↑

표 2. $\epsilon_{K}_{p}$ 선택 방법 정리 ($(p,\:i,\:j)=(1,\:1,\:2),\:(2,\:3,\:4),\:(3,\:5,\:6),\:(4,\:7,\:8)$)

Table 2. Adjustment of the $\epsilon_{K}_{p}$ ($(p,\:i,\:j)=(1,\:1,\:2),\:(2,\:3,\:4),\:(3,\:5,\:6),\:(4,\:7,\:8)$)

Case

Category

$\dfrac{k_{j}^{2}}{4}+k_{i}<0$

$\dfrac{k_{j}^{2}}{4}+k_{i}>0$

$\dfrac{k_{j}^{2}}{4}+k_{i}=0$

Overshoot

$\epsilon_{K_{1}}$↓

$|\xi_{i}(0)|\ge 0$

$|\xi_{i}(0)|<0$

$\epsilon_{K_{1}}$↑

$\epsilon_{K_{1}}$↓

$\epsilon_{K_{1}}$↑

Settling time

$\epsilon_{K_{1}}$↓ $\epsilon_{K_{1}}$↓

$\epsilon_{K_{1}}$↓

표 3. 관측 이득 값 선택 방법 정리 ($(i,\:j)=(1,\:2),\:(3,\:4),\:(5,\:6),\:(7,\:8)$)

Table 3. Adjustment of the observe gain ($(i,\:j)=(1,\:2),\:(3,\:4),\:(5,\:6),\:(7,\:8)$)

Case

Category

$\dfrac{l_{i}^{2}}{4}+l_{j}<0$

$\dfrac{l_{i}^{2}}{4}+l_{j}>0$

$\dfrac{l_{i}^{2}}{4}+l_{j}=0$

Settling time

$|l_{i}|$↑

$|l_{i}|$↓ or $|l_{j}|$↑

$|l_{i}|$↑

5. 실험 결과

이득 값 및 이득 조절 요소 선택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기 설정 제어기와 알고리즘을 적용한 제어기를 쿼드로터에 적용하여 높이와 각도를 비교한다. 먼저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은 제어기의 높이와 각도를 확인하기 위해 식(15)의 제어입력을 이용하고, 극 배치 기법을 이용하여 이득 값을 설정한다. 쿼드로터의 높이 추종값 $x_{1d}= 1.2$[m]이다. 이 때 $u_{z}$제어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z}=[-2,\: -1]$, $u_{\phi}$제어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phi}=[-360,\: -40]$, $u_{\theta}$제어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theta}=[-410,\: -40]$, $u_{\psi}$제어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psi}=[-18,\: -2]$로 설정한다. 이 극점들을 이용해 특성방정식을 만들어 계산한 이득 값은 $K=[-2,\: -3,\: -14400,\:$$-400,\: -16400,\:$$-450,\: -36,\:-20]$이다. 같은 방법으로 관측기 상태인 $\hat\xi_{1}$과 $\hat\xi_{2}$를 구하기 위한 관측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1}=[-145,\: -5]$, $\hat\xi_{3}$과 $\hat\xi_{4}$를 구하기 위한 관측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3}=[-120,\: -8]$, $\hat\xi_{5}$와 $\hat\xi_{6}$를 구하기 위한 관측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5}=[-110,\: -10]$, 그리고 $\hat\xi_{7}$과 $\hat\xi_{8}$를 구하기 위한 관측기 이득 값의 극점을 $\lambda_{7}=[-4,\: -2]$로 설정하면 관측기 이득 값은 $L=[-150,\: -725,\: -128,\:-960,\:-120,\: -1100,\: -6,\: -8]$이다. 이 때, 이득조절 요소 $\epsilon_{K_{p}}$=1로 둔다. $\epsilon_{L_{p}}$는 식(5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안정적인 이륙을 위해 쿼드로터의 높이가 1[m]가 될 때 까지는 높이 제어 입력으로 일정 상수를 입력하였다.

그림. 1. 이득 값 선택 알고리즘

Fig. 1. Gain selection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1.png

구체적인 높이 출력의 제어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오버슈트 5%이하 (1.2±0.06[m])

• 정착 시간 10초 이하 (오차 범위 ±2%)

• 최종 수렴범위 1.2±0.03[m]이하

각도의 이동 범위(오버슈트의 크기와 최종수렴범위)가 크면 호버링 상태의 쿼드로터가 흔들리며 제어가 불안정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호버링을 위한 각도제어기의 제어목표는 다음과 같다.

• 각도의 이동 범위 0±0.05[rad]

알고리즘 적용 전 실험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에서 각도의 이동 범위가 커 높이의 출력 값이 추종 값에 수렴하지 못하고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높이의 정착 시간과 오버슈트가 제어목표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각도 값의 이동 범위와 높이 값의 정착시간을 개선시켜야 한다.

그림. 2. 알고리즘 사용 전의 쿼드로터 출력 값

Fig. 2. Quadrotor output value of prior to algorithm use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2.png

출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바꾼 이득 값을 그림 2실험과 같은 제어기에 대입하여 쿼드로터에 적용한 실험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2의 높이그래프에서 높이 값이 1.2[m]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 조금씩 흔들리며 높이 오차가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각도 값의 최종 수렴범위를 줄인 그림 3을 보면 각도의 흔들림이 적어 높이가 1.2[m]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높이 제어기가 목표했던 출력성능을 만족하였는지 표 4에서 제어 목표와 실제 출력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높이 시스템과 각도 시스템들은 모두 표 1의 조건 중 case 2를 만족한다. 따라서 그림 1의 알고리즘을 적용할 때 표 1의 방법 중 case 2의 방법을 이용한다.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변화한 이득 값과 이득 조절요소는 표 5에 정리하였다.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제어이득 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출력을 오차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 4-7과 같다. 그림 4는 높이에 대한 값을 오차그래프, 그림 5는 $\phi$에 대한 오차그래프, 그림 6은 $\theta$에 대한 오차 그래프, 그림 7은 $\psi$에 대한 오차 그래프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3. 알고리즘 사용 후의 쿼드로터 출력 값

Fig. 3. Quadrotor output value after algorithm use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3.png

표 4. 쿼드로터 높이의 출력성능과 제어 목표 비교

Table 4. Comparing output performance and control objectives of quadrotor height

Overshoot[%]

Settling time[sec]

Ultimate bound[m]

Control objectives

5

10

±0.03

Initial setup

5.75

N/A

±0.135

After algorithm

4.4

9.8

±0.02

표 5. 알고리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이득 값과 이득 조절요소 비교

Table 5. Comparing gain and gain-scaling factor of prior to algorithm use and after algorithm use

$k_{1}$

$k_{2}$

$k_{3}$

$k_{4}$

Initial setup

-2

-3

-14400

-400

After algorithm

-3

-3.8

-15600

-420

$k_{5}$

$k_{6}$

$k_{7}$

$k_{8}$

Initial setup

-16400

-450

-36

-20

After algorithm

-24000

-458

-60

-27

${\epsilon_L}_{1}$

${\epsilon_L}_{2}$

${\epsilon_L}_{3}$

${\epsilon_L}_{4}$

Initial setup

3.33

0.04

0.02

0.2

After algorithm

2.63

0.038

0.043

0.148

그림. 4. 높이의 오차 비교 결과

Fig. 4. Comparison result of height error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4.png

그림. 5. 롤 각도($\phi$)의 오차 비교 결과

Fig. 5. Comparison result of roll angle($\phi$)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5.png

그림. 6. 피치 각도($\theta$)의 오차 비교 결과

Fig. 6. Comparison result of pitch angle($\theta$)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6.png

그림. 7. 요 각도($\psi$)의 오차 비교 결과

Fig. 7. Comparison result of yaw angle($\psi$)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fig7.png

초기에 설정 한 제어기의 평균 제곱 오차 값(MSE:Mean square error)과 알고리즘을 적용 한 제어기의 평균 제곱 오차 값을 비교하여 최종 수렴범위가 줄어들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평균 제곱 오차 값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53)
MSE$=\dfrac{1}{n}\left(\sum_{t=8}^{20}\left(x_{i}(t)-x_{id}(t)\right)^{2}\right)$

여기서 $i=1,\:3,\:5,\:7$이고, $n$은 샘플링된 데이터의 개수이다. 평균 제곱 오차 값을 구하여 표 6에서 비교하였다. 정상상태의 평균 제곱 오차를 구하기 위해 8초부터 계산하였다.

표 6. 알고리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평균 제곱 오차 결과

Table 6. MSE of prior to algorithm use and after algorithm use

$e_{z}$ [m]

$e_{\phi}$ [rad]

$e_{\theta}$ [rad] $e_{\psi}$ [rad]

Initial setup

$36.18\times 10^{-4}$ $11.68\times 10^{-4}$ $136\times 10^{-5}$ $2.63\times 10^{-3}$

After algorithm

$2.94\times 10^{-4}$ $5.04\times 10^{-4}$ $7.21\times 10^{-5}$ $1.58\times 10^{-3}$

여기서 $e_{z}$,$e_{\phi}$,$e_{\theta}$,$e_{\psi}$는 각 출력에 식(53)을 적용한 평균 제곱 오차 값이다. 표 6을 보면 $z$의 오차는 91.87%, $\phi$의 오차 평균은 51.85%, $\theta$의 오차 평균은 94.7%, $\psi$의 오차 평균은 39.92%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궤한 기법을 이용하여 출력 궤환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어기를 설계할 때 Routh-Hurwitz판별법을 이용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보장하는 이득 값은 구할 수 있지만 시스템의 출력성능을 개선하는 이득 값은 구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 폐루프 시스템을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기의 이득 값 및 이득 조절 요소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출력 값의 평균 제곱 오차 값을 비교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쿼드로터에 적용되는 관측기를 축소 차수 관측기로 확장시켜 쿼드로터를 제어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 (No. NRF-2019R1F1A1040968).

References

1 
Abdolhosseini M., M. Zhang Y., A. Rabbath C., 2013, An efficient model predictive control scheme for an unmannedquadrotor helicopter, Journal of Intelligent and Robotic Systems, Vol. 70, No. 1, pp. 27-38DOI
2 
Choi, Kim S., Bang H., 2011, Velocity limited backstepping controller design for quadrotor UAV trajectory tracking, A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pp. 1370-13174Google Search
3 
F. He Z., Zhao L., Networking, Robust chattering free backstepping/ backstepping sliding mode control for quadrotor hovering, 2016 IEEE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ing, Electronic and Automation Control Conference, Chongqing, China, pp. 616-620DOI
4 
H. Hwang J., Hwang S., K. Hong S., G. Yoo M., 2012, Attitude stabiliz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quadrotor flying robot,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8, No. 6, pp. 608-611DOI
5 
K. Khalil H., 1991, Nonlinear system third edi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Google Search
6 
W. Kim H., H. Yoon Y., H. Jeong J., H. Park J., 2017, The adaptive backstepping controller of RBF neural network which i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err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34, No. 2, pp. 125-131Google Search
7 
Kim Y., Shin J., Lee S., Lee H., Lim H., Kim K., Lee S., 2010, Quadrotor attitude stabilization by using PID controll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 No. 4, pp. 18-27Google Search
8 
Kim Y.-M., Beak W.-B., 2018, Feedback linearization based sliding mode control for quad-rotor UAV with a ground effect, Journal of KIIT., Vol. 16, No. 2, pp. 55-60Google Search
9 
Lee S., Kim Y., 2014, System modeling and waypoint guidance law designing for 6-DOF quad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2, No. 4, pp. 305-316DOI
10 
C. Kuo B., Golnaraghi F., 2018, Automatic control systems then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KoreaGoogle Search
11 
Merheb A.-R., Noura H., Bateman F., 2017, Emergency control of AR Drone quadrotor UAV suffering a total loss of one rotor,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22, No. 2, pp. 961-971DOI
12 
Park J.-S., Oh S.-Y., Chol H.-L., 2020, Attitude and hovering control of quadrotor systems using pole placement method, Journal of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Vol. 24, No. 1, pp. 106-119DOI
13 
Yoon D.-B., 2018, A study on drone industry and global trend,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KRCM), Vol. 9, pp. 1-18Google Search
14 
Yoon J., Lee J., 2015, Approximat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a quadcopter through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Vol. 39, No. 7, pp. 673-679DOI

저자소개

Ji-Sun Park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au1.png

received the B.S.E.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a-A university, Busan, Korea in 2019.

S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a M.S. degree.

Her research interests are nonlinear control problems including robust controls, Quadrotor, feedback linearization problems.

She is a member of KIEE, ICROS and IKEEE.

Sang-Young Oh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au2.png

received the B.S.E. degree in 2013 and M.S. degree in 2015 and Ph.D. degree in 2020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a-A university, Busan, Korea, respectively.

He is a postdoctoral researcher at Dona-A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onlinear system control problems including optimal controls, feedback linearization problems, timedelay issues.

He is a member of IEEE, ICROS, and KIEE.

Ho-Lim Choi
../../Resources/kiee/KIEE.2020.69.12.1916/au3.png

received the B.S.E.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The Univ. of Iowa, USA in 1996, and M.S. degree in 1999 and Ph.D degree in 2004, from KAIST,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at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Busan.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nonlinear control problems with emphasis on feedback linearization, gain scheduling, singular perturbation, output feedback, time-delay systems, time-optimal control.

He is a senior member of IE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