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 (Smart Power Distribution Lab, KEP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Appropriate resource configuration, Interruption cost, Microgrid, Moment method, Peak curtailment, Supply and demand uncertainty, Virtual generator

1. 서 론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축 목적은 국가별로 상이한데, 선진국의 경우에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친환경 전력공급체계 전환이나 기존의 노후한 전력계통 개선 차원에서 도입을 추진한다. 반면에, 후진국의 경우에는 전기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도서지역이나 산간지역의 전력 공급을 위한 대안으로 도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에는 여전히 75%의 인구가 전기 없이 생활하고 있으며(1),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보유한 선진국들은 후진국들을 대상으로 ODA 사업 또는 수익 사업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있다.

기존의 디젤발전기에 비하여 신재생에너지와 ESS 중심의 마이크로그리드는 투자비가 높고 대상 지역의 기후환경 및 부하 특성에 따라 설비의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가장 경제적인 최적의 설비 조합과 용량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부하에 대한 디젤발전기의 기저 발전비율 변화에 따른 신재생 발전 용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분산전원별 용량에 따라 결정된 ESS 용량과 총 비용을 제시한 바 있다(2). 또한, 확률론적으로 함숫값을 이용해 최적해를 탐색하는 유전자알고리즘을 활용해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내 분산형전원의 최적구성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3). 아울러,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 LOLE가 최솟값을 갖는 풍력과 태양광의 최적 용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마이크로그리드에 적용하여 최적 위치를 선정하거나(4), 신재생에너지 발전원들의 투자비용함수와 이용률에 따라서 설비의 최적 위치와 조합을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5). 또한, 전기자동차의 충전패턴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최적 전원 구성 결정 연구(6), 마이크로그리드 설계 시 PSCAD/EMTDEC를 활용한 계통 안정성 해석 연구(7), 전력 가격, 평균 풍속 등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 최적 구성의 민감도 분석(8) 등 다양한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개발도상국과 같이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을 위한 관련 데이트를 사전에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신뢰도 분석 방법과 일부하곡선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9).

한편, 우리나라의 1인당 에너지 수요는 경제가 점차 선진화되어 가면서 포화되는 추세이다. 그로 인해 전력망의 건설이 둔화될 것이고 이와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한 대책 중 하나가 전력망 또는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해외에 수출하여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이다(10)(11). 전력망 사업은 규모가 커서 국가간 사업이라 수출을 위한 절차와 방법이 쉽지 않은 반면, 상대적으로 단일 시스템 규모가 작은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은 수출 가능성이 높아 관심을 받고 있다. 개발도상국을 주요 대상으로 수출 또는 원조를 통해 기존의 전력망을 연결하기 어려운 도서 또는 산간 지역에 기존의 디젤발전기와 함께 자연친화적인 신재생에너지를 구축함으로써 기후변화협약 이후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이용이라는 세계 추세와 어울려 설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12)(13).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 지역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사업, 일본 규슈전력과 오키나와전력의 본토로부터 떨어진 10개 섬의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사업, 핀란드 Suur-Savon사의 교외지역 LDC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등이 대표적인 해외 선진국 사례이다. 국내에서는 한전이 캐나다 페네텡귀신 지역의 노후된 배전계통을 연계형 마이크로그리드 구축과 능동배전망 운영시스템으로 개선한 바 있다. 이는 최초의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수출 사례이다. 이 성과를 바탕으로 모잠비크와 농촌지역에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을 통해 전화(Electrification)에 기여하였다. 삼성물산의 국내 최대 마이크로 에너지 단지인 구로 디지털 산업단지 구성, KT를 비롯한 IT기업들의 부산, 세종, 마곡 등 스마트시티 구축 참여 등 국내 기업들은 주로 사업성 측면에서 대규모의 스마트 시티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지원으로 금호이앤지의 미얀마에 ESS, EMS 융합 마이크로그리드 구축(14), 이튼코리아의 아프리카 5MW 태양광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5) 등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 국내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을 수출 또는 전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마이크로그리드의 경제성 평가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NREL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의 HOM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하관리 중 첨두부하 삭감을 고려하는 가상발전기 개념을 도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발전기의 고장정지율을 고려한 공급지장비 민감도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그리드 각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를 구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확률적 특성을 가진 공급 및 수요 자원을 모멘트법으로 이산화하여 HOMER를 이용하여 각 이산점에서의 적정 규모를 산정하고 이 범위를 구한 후, 각 이산점에서의 적정 규모의 확률을 고려하여 기대 적정 규모를 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세 가지 경우 모두 입력확률변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관계식을 구하는 방법론을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실제 개발도상국 지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효용성을 보인다.

2. 마이크로그리드의 부하관리와 HOMER의 특징

2.1 마이크로그리드의 공급지장 및 부하관리

마이크로그리드 설치 대상인 개발도상국의 공급지장비는 선진국에 비하면 낮아 그림 1과 같이 최적의 설비용량이 선진국에 비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느 정도의 공급지장이 되는 것을 감수하게 되면 즉, 전력 공급의 신뢰도를 낮게 하면 설비용량이 더 작아져 투자 재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 우리나라 정전비용의 경우를 예를 들어 보면, 2002년을 기준으로 공급지장이 1시간 지속될 경우 공급지장비가 농업용 수용가는 63,140∼784,809[원/kW], 산업용 수용가는 2,619∼7,077,791[원/kWh]이므로 농업용은 산업용보다 매우 낮은 편이다(16). 개발도상국의 마이크로그리드 대상 지역은 대부분의 산업이 농업용이기 때문에 선진국의 농업용 수용가의 공급지장비 보다 낮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하관리 중 하나인 첨두부하 삭감을 통해 값비싼 전기요금을 부담하는 것보다 수요를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낮은 신뢰도를 맞추는 데 필요한 공급자원의 적정설비용량은 상대적으로 적어 투자 재원을 줄일 수 있다.

그림. 1. 적정 설비용량의 결정

Fig. 1.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facility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1.png

2.2 HOMER의 부하관리 및 공급지장 관련 항목 분석

HOMER 프로그램의 공급지장과 관련된 항목은 ‘Shortage penalty[달러/KWh]’와 ‘Maximum annual capacity shortage(%)’가 있다. 또한, 부하이전을 의미하는 ‘Deferrable load’가 있다. ‘Shortage penalty[달러/KWh]’는 부하와 공급전력 사이에 차이가 생기게 되면 이를 비용으로 환산한다. 이 비용은 공급지장비라고 할 수 있지만 이 비용을 0[달러/KWh]로 한다고 하여도 공급이 모두 이루어진다면 환산해서 나오는 비용은 0[달러]이다. 그러므로 첨두부하 삭감을 고려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그리고 ‘Other O&M’ 비용과 같이 산출되기 때문에 정확한 공급지장비를 알 수가 없다. ‘Maximum annual capacity shortage(%)’는 1년 동안의 총 공급지장 전력량과 총 사용전력량의 비율이며 이것은 사용전력량에 대한 공급지장 전력량의 최대 비율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비율을 100%라고 입력하여도 공급지장 전력량은 0[kWh]이 될 수 있다. 그래서 ‘Maximum annual capacity shortage(%)’는 부하관리로 인해 삭감된 부하의 양을 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Deferrable load’는 HOMER 프로그램에서 부하이전을 위해 양수발전 등과 같이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공급해주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첨두부하를 삭감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를 이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이렇듯 HOMER 프로그램은 부하관리에 대해서 부하이전에 대한 입력은 있지만 공급지장비를 기준으로 첨두부하 삭감 등의 입력 방법이 없어 이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것을 연료비가 kWh당 공급지장비를 갖는 발전기로 하여 부하관리로 첨두부하를 삭감하는 것을 고려한 가상 발전기의 개념을 도입한다.

3. 가상 발전기 도입으로 첨두부하 삭감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적정 규모 산정

3.1 가상 발전기의 도입

가상 발전기는 실제로 있는 발전기가 아니라 공급지장비를 계산하기 위해 가상으로 도입한 발전기이기 때문에 입력하는 모든 비용(초기투자 비용, 교체비용, 유지보수비용 등)은 0[달러]으로 한다. 그리고 발전기의 용량은 부하 삭감을 공급지장 전력량으로 하여 연료비로 산출하기 위해 부하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발전기의 용량을 설정한다.

그림. 2. 마이크로그리드의 가상 발전기 도입

Fig. 2. Introduction of virtual generator for microgrid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2.png

하지만 HOMER에서는 가상발전기의 용량을 크게 하면 고정발전원가(fixed generation cost)가 커지기 때문에 공급지장비를 제대로 구할 수가 없다. 그래서 가상 발전기의 용량은 연료비가 드는 발전기의 고정발전 원가와 비슷하게 용량을 잡는다. 연료비는 그림 2와 같이 가상발전기가 가장 마지막에 출력을 낼 수 있도록 가장 비싼 발전기의 연료비보다 비싸게 설정한다. 이때 가상 발전기의 연료비[달러/KWh]는 공급지장비[달러/KWh]가 된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의 마이크로그리드에서는 공급지장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가장 비싼 상위 발전기의 연료비[달러/KWh] 보다 낮은 경우가 있으므로, 그림 3과 같이 상위 발전기 G3는 동작하지 않고 가상발전기가 담당하는 부분이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전력 공급을 하지 않는 부하의 공급지장 전력량이 되어 크게 나타난다. 즉, 발전기 G3는 건설할 필요가 없다. 발전기 G3의 연료비가 가상발전기의 연료비보다 높기 때문에 발전하지 않고 발전기 G2가 공급하지 못하는 부하는 모두 공급 정지를 시키게 되어 정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 되어 발전기 G3의 건설을 회피할 수 있다. 고객들에게는 부하관리를 하는 것을 숙지시키거나 부하관리를 위한 하드웨어를 구현하여 첨두부하를 다른 시간대로 옮기도록 하여 전기에너지를 아끼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림. 3. 공급지장비가 상위 발전기의 연료비보다 낮은 경우 가상발전기의 공급지장 전력량

Fig. 3. Energy Not Served of vitual generator when the interruption cost is lower than the fuel cost of the upper generator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3.png

3.2 첨두부하 삭감량 및 공급지장비 산정

첨두부하 삭감량은 가상 발전기가 운전하면서 생산한 전력량으로 구한다. 또한, 공급지장비는 지속 시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속 시간별 공급지장비[달러/KW]로 산출하여 사용한다. 여기에 공급지장 지속 시간과 지속 시간별 공급지장비[달러/KW]를 알고 있다면 [달러/KWh]의 단위로 바뀌게 되어 이는 연료비[달러/KWh]와 같은 단위가 되기 때문에 공급지장비는 가상 발전기의 연료비로 구할 수 있다. 공급지장비[달러/KWh]에 따라 첨두 부하 삭감량은 가상 발전기가 생산한 전력량이 되고, 연료비는 공급지장비가 된다. 이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의해 나온 설비들의 용량은 적정 규모로 산정된다.

3.3 민감도 분석을 통한 공급지장비 및 적정규모 산정

가상 발전기의 연료비[달러/KWh]를 변화시키면서 민감도를 분석한다. 이때 발전기의 고장정지율을 고려하여 기대 첨두부하 삭감량과 기대 공급지장비를 산정한다. 발전기의 개수가 많지 않는 디젤 발전기의 경우 고장정지율을 고려하여 모든 발전기의 운전상태 조합을 구해 각 운전상태의 공급지장비와 확률을 이용하여 기대 공급지장비를 산정할 수 있다. PV의 경우 발전기의 개수를 정의하기 힘들기 때문에 임의의 kW 단위를 개수로 정의하고, 풍력발전기의 경우는 발전기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계산 과정을 줄이기 위해 선행연구(17)에서 사용한 프랑스 MNI 모형에서 도입했던 모멘트법을 이용하여 기대 부하 삭감량과 기대 공급지장비를 산정한다. 마찬가지로 가상 발전기의 연료비[달러/KWh]를 변화시키면서 적정 규모의 범위를 알 수 있게 되고, 각 운전 상태의 가능용량과 확률을 이용하여 각 설비의 기대 적정 규모를 산정할 수 있다. PV와 풍력발전기 및 불확실 수요 자원의 경우에도 아래와 같이 똑같이 적용되며 계산 과정을 줄이기 위해 모멘트법을 이용하여 기대 적정 규모를 산정한다.

4. 공급 및 수요 자원의 불확실성의 확률변수에 의한 적정 규모 산정 절차 제안

입력변수는 공급자원과 수요자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신재생에너지와 같이 자연을 이용한 공급자원의 경우는 불확실성이 높은 입력변수가 많고, 사람에 의해 결정되는 수요자원은 사람의 자유의지에 의해 사용하는 부하와 변동성을 허용하는 이자율과 같은 입력변수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림. 4.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한 절차도

Fig. 4. Process for deciding the appropriate size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4.png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급 및 수요 자원의 확률변수에 따른 적정 규모 산정 절차는 그림 4와 같다. 먼저, 각 자원별 입력변수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불확실성이 크지 않은 것까지 모두 반영하여 경우의 수를 고려하면 계산량이 과대하다. 따라서, 불확실성이 높은 것을 확률변수로 하여 모멘트법(17)(18)을 도입하여 평균과 분산을 구한 뒤 이 확률변수를 이산화한다. 이산화한 확률변수들에 대하여 HOMER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이산점에서의 적정 규모를 산정하고 이 이산점 값들 중 최소값과 최대값의 규모를 적정 규모의 범위로 한다. 이어서 각 이산점에서의 확률값과 적정 규모를 곱하고 모두 더하여 기대 적정 규모를 구한다. 그리고 확률적 입력변수가 기대 적정 규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를 민감도 분석하여 곡선정합을 하면 이를 간단한 관계식으로 표현한다.

4.1 공급자원의 불확실성 고려

4.1.1 공급자원의 확률변수 선정과 특성

HOMER에서는 입력변수를 모두 결정론적(deterministic)이라고 보고 처리하고 있으나, 이는 사람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들 중 변동성이 약한 경우에 해당되며 자연요소 중 대부분의 입력변수들은 불확실성 요소가 많다. 그러므로 공급자원의 불확실성 정도를 판단하여 정도가 작은 것은 입력 결정변수로 입력하고 큰 것은 불확실성에 대한 고려를 해줘야 한다. 공급 자원의 입력은 디젤 가격,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일사량과 청명도, 풍속 등 기상 조건은 불확실성을 갖고 있다. 국제 디젤 가격은 실시간으로 가격을 공시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단기적으로 보면 디젤의 공급받는 시점에서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실제로 디젤 가격은 하나의 가격으로 정해진다. 그러므로 디젤 가격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크지 않아 결정변수로 입력한다. 또한, 디젤발전기의 고장정지율은 그 자체가 확률변수이다.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출력은 날씨에 따라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태양광의 경우 구름과 음영의 정도에 따라 청명도와 일사량이 달라지고 수분에서 수초 사이로 일사량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풍속은 기후와 계절의 변화와 함께 1일 단위로 매초간 변한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에 따라 달라 같은 지역이라도 풍력 자원의 변화가 크다(8). 따라서, 기상 조건은 불확실성이 크므로 공급자원의 확률변수로 한다.

4.1.2 공급자원의 모멘트법에 의한 확률변수 이산화

신재생에너지 자원은 자연현상에 따라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이와 같은 확률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평균과 분산을 이용한 정규분포로 나타낸 확률변수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확률변수로 나타낸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HOMER에 입력하기 위해 모멘트법으로 이산화한다. 모멘트법으로 구한 이산점은 확률적 특성을 위하여는 많은 값을 가질 수 있는데 단순화를 위하여 3점 이산화로 한다.

4.2 수요자원의 불확실성 고려

4.2.1 수요자원의 확률변수 선정

수요자원 중에서 HOMER 프로그램에 입력이 가능한 자원은 첨두부하, 실질 이자율, 기준 부하, 전력사용량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수요자원의 불확실성 정도를 판단하여 정도가 작은 것은 입력하고 큰 것은 불확실성에 대한 고려를 해줘야 한다. 실질 이자율은 명목이자율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명목이자율은 신재생발전소 건설비를 빌려서 갚는 할인율로서 일반은행금리와 다르다. 정부 정책에 따라 지원하는 정도에 따라 할인율이 다르다. 그러나 일정 기간 동안은 거의 같으므로 불확실성의 정도가 크다고 볼 수 없어 단순화를 위해 확률변수에서 제외한다.

부하는 다섯 가지 특성이 있다. 성장하거나 감소되는 경향성, 주 단위 또는 일 단위 비슷한 형태가 반복되는 순환성, 계절에 따른 특징을 갖는 계절성, 같은 업종은 비슷한 성향이 있는 유사성, 부하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일정한 폭으로 동요하는 수평성이 있다. 이러한 부하 특성으로 수요예측을 할 수 있지만, 예측 또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특히 부하의 수평성으로 인해 첨두부하의 불확실성이 크다(19). 실제 계통에서는 이 불확실성이 계통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그림 5와 같이 계통의 규모가 작을수록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고 최소 5%의 백분율 표준편차가 있다(20). 즉, 마이크로그리드 지역의 첨두부하는 계통의 규모가 작아 불확실성이 매우 크므로 확률변수이다.

그림. 5. 계통의 규모에 따른 백분율 표준편차 (20)

Fig. 5.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depending on the system capacity (20)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5.png

4.2.2 첨두부하의 모멘트법에 의한 확률변수 이산화

마이크로그리드는 계통 규모가 작아서 첨두부하의 불규칙성이 크다. 이와 같은 불확실성을 확률적 특성으로 고려하기 위해 평균과 분산을 이용한 정규분포로 나타낸 확률변수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확률변수로 나타낸 첨두부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하기 위해 모멘트법으로 이산화하며, 공급자원과 마찬가지로 3점 이산화로 한다.

4.3 민감도 분석을 통한 마이크로그리드 적정규모 산정

4.3.1 입력확률변수의 불확실성에 의한 적정 규모 범위

공급 및 수요 자원의 입력확률변수를 이산화하여 HOMER 실행으로 적정 규모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나타나면 이 값들이 바로 적정 규모의 범위가 되며, 각 이산점에 대한 프로그램 실행에서의 적정 규모는 입력변수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을 보일 수 있다. 가장 작은 적정 규모는 자본비용이 부족할 때 정전을 감수하면서 설치하는 최소한의 설비 규모이고, 가장 큰 값은 자본이 풍부할 때 설치하는 설비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적정 규모를 결정하게 된다.

4.3.2 모멘트법을 이용하여 이산점에서 확률을 고려한 기대 적정규모 산정

공급 및 수요 자원의 확률변수의 이산점에서 적정 규모를 앞서 구한 후, 이를 모멘트법을 이용한 이산점에서의 확률과 적정 규모를 고려하여 평균값에 해당되는 기대 적정 규모를 구한다.

4.3.3 공급 및 수요 자원에 의한 적정 설비 규모의 민감도 분석

공급 및 수요 자원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출력 자료인 기대 적정 규모 또한 불확실해지기 때문에 민감도 분석이 필요하다. 입력확률변수에 따라 기대 적정 규모가 변화가 거의 없으면 민감도가 적고 변화가 심하면 민감도가 크다. 이러한 민감도 분석과정은 한번 시뮬레이션 하는 데 몇 분에서 몇 시간까지 소요된다. 이러한 과정을 여러 번 거쳐야 민감도 분석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효율성을 줄이기 위해 관계식을 만들면 편하고 빠르게 적정 규모를 구할 수 있다.

4.3.4 기대 적정 규모를 이용한 추세선 추정 및 곡선정합을 이용한 관계식 도출

모멘트법을 이용하여 이산점의 확률을 고려한 기대 적정 규모로 그래프에 점을 찍는다. x축은 공급 및 수요 자원의 입력확률변수를 나타내고 y축은 설비별 적정 규모를 나타낸다. 그래프에 찍힌 점에 의해 형성되는 추세를 곡선정합을 이용하여 곡선을 만들고 관계식을 도출한다. $k$번째 이산점에서의 $i$번째 입력변수 $x_{i}^{k}$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으로 구한 $j$ 설비의 적정용량이 $y_{j}^{k}$일 때, 목적함수 $\min\sum_{k}\left(y_{i}^{k}- f(x_{i}^{k})\right)^{2}$를 만족하는 $f(x_{i})$가 수식 형태로 구해진다. $j$ 설비에 대한 $x_{i}$의 관계식 $f(x_{i})$는 가급적 간단한 1차식으로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오차범위 한계를 만족하지 못하면 2차식으로 하여 현장 적용성을 높인다. 이 관계식에 입력확률변수인 $x_{i}$값에 대한 현장 측정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면 전문가의 도움 없이 설치 대상 설비 $j$의 적정용량 $y_{j}$를 관계식 $f(x_{i})$로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5. 사례 연구

5.1 가상 발전기를 도입한 사례연구

5.1.1 입력 자료

가. 공급 자원의 입력 자료

사례연구 지역에서 사용된 입력자료로서 비용 입력, 자원 입력, 기타 입력 자료는 HOMER에 내장되어 있는 샘플 자료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디젤 발전기는 이미 설치되어 있고 향후 설치계획이 없으므로 실제 사례지역의 비용(21)과 디젤 발전기의 용량은 2대 모두 163kW로 한다. 그리고 공급지장비는 본 논문에서는 가상발전기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0달러으로 가정한다. 이 사례연구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고장이 날 확률이 높은 디젤발전기의 경우를 기준으로 디젤발전기의 고장정지율에 대해서만 고려한다. 각 설비별 비용 요소와 고장 정지율을 표 1표 2에 보였다.

표 1. 각 설비별 비용 요소

Table 1. Cost elements by facilities

Cost

Facility

Capital

[달러/KW]

Replacement

[달러/KW]

Fuel

[달러/KWh]

O&M

[달러/hr]

Diesel

-*

250

0.1092

0.01

PV

6,900

6,900

-

50

Wind

70,000

43,000

-

350

Battery

1,200

1,100

-

50

Converter

1,250

1,250

-

100

* 디젤발전기의 초기 설비비용은 1,972달러이지만 설치계획이 없으므로 0달러로 하였고 교체는 가능한 상태이다.

표 2. 발전기의 용량 단위별 고장정지율

Table 2. Forced outage rate by generator capacity unit

Generator type

Capacity

[kW]

Forced outage rate

[p.u]

Diesel (1 unit)

163

0.1

나. 부하측 입력 자료

후진국의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축 목적은 24시간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24시간 동안 전기를 공급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 부하 곡선을 추정한 선행연구(9)의 사례지역 부하곡선을 그대로 사용한다.

5.1.2 시뮬레이션 결과 및 관계식 추정

가상 발전기의 연료비 즉, 공급지장비를 변화시키면서 디젤발전기의 고장정지율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설비별 기대 부하 삭감량, 기대 공급지장비, 각 공급설비의 적정 규모는 표 3과 같다. 공급지장비가 작을수록 전체 공급설비의 적정 규모가 작아지기 때문에 투자 재원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각 설비에 대해서 기대 적정 규모에 대한 그래프는 그림 6과 같이 나타난다. 또한, 이를 관계식으로 나타내면 표 4와 같다.

표 3. 공급지장비의 변화에 대한 공급설비들의 기대값

Table 3. Expected facility capacity by interruption cost change

Interruption

Cost [달러/KWh]

0.018

0.055

0.091

0.127

0.164

0.200

Peak Curtailment

[kWh]

376

376

325

47

41

36

Total Interruption

Cost [달러]

2,756

3,088

2,943

556

524

573

Diesel

[kW]

326

326

326

326

326

326

PV

[kW]

20

20

60

60

60

35

Wind

[unit]

12

12

13

15

13

15

Battery

[unit]

200

200

201

320

320

259

Converter

[kW]

160

160

180

260

240

222

그림. 6. 첨두부하 삭감에 따른 기대 적정 규모 변화 그래프

Fig. 6. Graph of appropriate scale range by peak load curtailment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6.png

표 4. 첨두부하 삭감에 따른 관계식

Table 4. Relational formulas by peak load curtailment

Facility

Relational Formula

Diesel

y = 326

PV

y = 154.63x  25.481

Wind

y  16.774x  11.557

Battery

y = 606.91x  183.66

Converter

y = 494.82x  149.7

실제 후진국 현장에서는 프로그램 분석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기 때문에 이 관계식에 의하여 설비투자를 간단하게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디젤발전기는 신규 투자설비가 없었고 공급지장비가 커질수록 설비용량이 커지다 어느 이상이 되면 포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5.2 공급 및 수요 자원의 불확실성 고려 사례

HOMER에서는 초기 자본비용, 설비 교체비와 프로젝트 총 기간 동안의 고정 운영비와 발생하는 수입 등을 할인율을 고려하여 순 현재비용으로 나타내어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다(22).

5.2.1 입력 자료

가. 설비 입력

사례연구 대상 지역에 150kW급의 디젤발전기 2대를 확정하고 태양광발전소와 풍력발전소으로 발전시설을 새롭게 구성하되, 부하관리를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평준화와 잉여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축전지와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추가하기로 한다. 발전기 및 컨버터, 축전지 등 설비의 단가는 표 5와 같다(21).

표 5. 각 설비별 비용 요소

Table 5. Cost elements by facilities

Cost

Facility

Capital

[달러/KW]

Replacement

[달러/KW]

O&M

[달러/hr]

Diesel

-*

1,578

0.01

PV

2,200

2,000

50

Wind

5,000

2,500

350

Battery

501

501

66

Converter

600

500

100

* 디젤발전기의 초기 설비비용은 1,972달러이지만 설치계획이 없으므로 0달러로 하였고 교체는 가능한 상태이다.

나. 자원 입력

디젤발전기의 연료비는 0.91달러/L이다(23). 평균 풍속은 7.421m/s, 평균 일사량 5.119 kWh/㎡/d, 평균 청명도 0.543을 입력하였다(24).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확률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모멘트법으로 이산화한 확률변수로 입력하였다.

다. 기타 입력

시뮬레이션 실질 이자율은 0.242%로 적용하고(25), 프로젝트 수명은 25년, 시간 간격은 60분으로 고려하였다. 고정비용은 규모 산정 결과에 영향이 없으므로 기본값인 0으로 하였다. 정전비용은 마이크로그리드 지역은 전력사용량이 작은 지역이므로 일반적으로 정전비용 최소값인 디젤발전기 운전비용인 0.116달러/KWh를 입력하였다.

5.2.2 공급 자원 불확실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및 관계식 추정

공급 자원의 변화에 대한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는 표 6표 7에 나타내었다. 풍속이 상승하면 풍력발전설비의 규모가 증가하다가 8.9m/s를 정점으로 다시 작아진다. 일사량이 많아지면 태양광 발전 설비의 규모가 증가하다가 6.1kWh/㎡/d부터 일정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6. 풍속 변화에 의한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

Table 6. Expected appropriate facility size by wind speed change

Wind Speed

[m/s]

5.3

6.2

7.4

8.9

10.4

Diesel

[kW]

150

150

150

150

150

PV

[kW]

334

268

243

157

128

Wind

[kW]

90

118

140

152

142

Battery

[unit]

287

287

247

240

273

Converter

[kW]

142

155

160

160

160

표 7. 일사량 변화에 의한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

Table 7. Expected appropriate facility size by solar radiation change

Solar radiation

[kWh/㎡/d]

3.7

4.3

5.1

6.1

7.2

Diesel

[kW]

300

300

300

300

300

PV

[kW]

183

205

237

242

240

Wind

[kW]

158

167

147

115

108

Battery

[unit]

240

240

240

273

280

Converter

[kW]

190

190

190

190

190

그림. 7. 풍속 변화에 따른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 변화 그래프

Fig. 7. Graph of expected appropriate facility size by wind speed change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7.png

표 6표 7에 대한 그래프는 그림 7그림 8에 나타내었다. 풍속의 증가에 따라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이 감소하고, 일사량의 증가에 따라 풍력발전 설비용량이 감소하는 대비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일사량 변화에 따른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 변화 그래프

Fig. 8. Graph of expected appropriate facility size by solar radiation change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8.png

그림 7그림 8의 그래프에 나타난 추세를 곡선정합을 이용하여 표 8에 관계식을 나타내었다. 표 8에는 신재생자원의 변화에 대해 민감도가 큰 신재생발전소만 나타내었다.

표 8. 신재생자원과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의 관계식

Table 8. Relational formulas of expected appropriage size by facilities

Wind Speed Change

PV

y = -40.059x + 532.16

Wind

y = 9.964x + 52.255

Solar Radiation Change

PV

y = 16.039x + 136.75

Wind

y = -17.535x + 231.63

5.2.3 수요 자원 불확실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및 관계식 추정

각 확률변수의 이산점에서의 확률을 고려한 첨두부하의 변화에 대한 설비별 적정 규모의 기대 적정 규모는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첨두부하에 의한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

Table 9. Expected appropriate facility size by peak load

Peak Load

[kW]

65

86

130

195

260

Diesel

[kW]

300

300

300

300

300

PV

[kW]

205

168

245

337

362

Wind

[kW]

77

113

157

247

270

Battery

[unit]

207

207

240

353

310

Converter

[kW]

82

110

158

240

263

표 9에 대한 그래프를 그림 9에 나타내었다. 첨두부하가 상승하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모든 설비의 규모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 첨두부하 변화에 따른 설비별 기대 적정 규모 변화 그래프

Fig. 9. Graph of expected appropriate size by peak load change

../../Resources/kiee/KIEE.2021.70.2.314/fig9.png

그림 9의 그래프에 나타난 추세를 곡선정합을 이용하여 표 10에 설비별 관계식을 나타내었다. 첨두부하 증가에 따른 설비별 용량 증가 추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 10. 첨두부하 변화에 따른 기대 적정 규모의 관계식

Table 10. Relational formulas of expected appropriate size by peak load change

Facility

Relational Formula

Diesel

y = 300

PV

y = 0.9879x + 117.91

Wind

y = 1.0187x + 22.658

Battery

y = 0.7x + 160.24

Converter

y = 0.9681x + 28.098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 미전화지역의 전력 공급과 선진국의 에너지 자립 및 노후 전력계통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마이크로그리드를 대상으로 설치 현장에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 설비용량 도출 절차와 방법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공급지장비가 낮은 개발도상국에서 첨두부하 삭감을 고려하는 가상 발전기 개념을 도입하여 발전기의 고장정지율을 고려한 공급지장비 민감도 분석을 통한 마이크로그리드 각 설비별 기대 적정규모를 구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특히, 공급지장비를 반영하기 어려운 HOMER의 프로그램 구조를 고려하여 별도의 발전기 연료비를 가상 발전기의 공급지장비로 대체하여 시뮬레이션에 활용하였다. 둘째, 확률적 특성을 가진 공급 자원을 각각 모멘트법으로 확률변수를 이산화하고, HOMER를 이용하여 이산점별 적정 규모의 범위를 구한 후, 각 이산점에서의 적정 규모의 확률을 고려하여 기대 적정 규모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요 자원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적정 규모를 산정하는 것으로 제안하있다. 아울러 이들 세 가지 경우 모두 입력확률변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관계식을 구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실제 시뮬레이션을 하게 되면 여러 과정이 반복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관계식을 이용하면 대략적인 값을 빠르고 쉽게 알 수 있으므로, 관련 전문가가 부족하고 복잡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어려운 여건의 개발도상국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현장에서 빠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다.

향후 가스 그리드와 전력 그리드의 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공급지장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아울러, 이번 연구에서는 디젤발전기를 제외한 모든 설비를 직류로 연결한 구조를 고려했는데, 이는 설비들이 인접하여 하나로 묶기 편하다는 가정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향후에는 현지 여건을 고려한 각 설비의 최적 위치와 교류 및 직류 연계 결정 기준을 개발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EPCO Research Institute (Grant number: R19DA04)

References

1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October 2020, World Energy Outlook 2020Google Search
2 
Eun-Young Ko, February 2016, Determining the Optimal Capacities of Distributed Generators Installed in A Stand-alone Microgrid Power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5, No. 2, pp. 239-246DOI
3 
Ja-Hyun Baek, May 2017, Optimal Sizing Method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for a Stand-alone Microgrid by using Reliability based Genetic Algorith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5, pp. 757-764DOI
4 
Moonsu Na, March 2019, Optimal Sizing and Location of Renewable Energies in a Microgrid, New & Renewable Energy, Vol. 15, No. 1, pp. 55-61Google Search
5 
Su-Mi Lee, February 2010, Assessment of Optimal Constitution Rate of Windturbine and Photovoltaic Sources for Stable Operationof Microgird,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 No. 2, pp. 272-276DOI
6 
Sung-Wook Hwang, February 2015, A Study on the Optimal Resource Configuration Considering Load Characteristics of Electric Vehicles in Micro Grid Environment, The Tran- 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 No. 2, pp. 228-231DOI
7 
Min-Hyeok Kang, March 2019,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icrogrid in Chujado Island, Journal of IKEEE, Vol. 23, No. 1, pp. 289-294DOI
8 
Kyu-Ho Kim, January 2015, The Optimal Microgrid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Change of Average Wind Speed and Fuel Cos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 No. 1, pp. 35-40DOI
9 
Yong-Hyun Nam, January 2019,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Daily Load Curve for the Optimization Design and Economic Evaluation of Stand-alone Microgrids Based on HOMER Simulation in Off-Grid Limiting the Supply of Electricit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1, pp. 27~35-DOI
10 
Jong-hwa Kim, Dec 2008, The Status and Prospects into Over- seas Market of Power Grid Technology,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12Google Search
11 
Korea Smar Grid Association, October 2014, The 2nd seminar to support overseas expansion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Google Search
12 
J.-A. Noh, July 2013, Off-Grid System of Power Undersupply Areas among Overseas, Proceedings of Summer Meeting, Vol. kiee, pp. 1154-1155Google Search
13 
BIR (Black Isle Renewables), August 2014, Solar Power Business and New and Renewable Energy Domestic and Overseas Industry Trends and ProspectsGoogle Search
14 
Website of Kumho E&G, http://www.escokh.comGoogle Search
15 
Website of EATON Korea, http://www.eaton.krGoogle Search
16 
Ministry of Commerce, August 2004, Industry and Energy Distribution System Supply Reliability and Economic Evaluation Method under a Competitive Structure, Final ReportGoogle Search
17 
Jung-Hoon Kim, November 2014,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Optimal Capacity of the Diesel and Rene- wable Energy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Using the HOMER Program in the Off-grid, Proceedings of autumn meeting, Vol. kiee, pp. 225-227Google Search
18 
Jung-Hoon Kim, November 2014, A Study on the Impact Assessment of the Optimal Capacity of the Existing Generation Inclu- ding Renewable Power Plant Using the HOMER Program in the Off-grid with Uncertain Load Conditions, Pro- ceedings of autumn meeting, Vol. kiee, pp. 239-241Google Search
19 
Jung-Hoon Kim, March 2010, Transmission and Substation Engineering, MunundangGoogle Search
20 
KEPCO Research Institute, September 1993, Basic Plan Establishment Study for the Installation of Power System Simulator, Final ReportGoogle Search
21 
2014, National Electrification Administration of Philippines, Internal MaterialsGoogle Search
22 
Website of NREL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 tory), http://www.nrel.govGoogle Search
23 
Website of Oil & Gas Monitor, http://www.oilgasmonitor.coGoogle Search
24 
Website of NASA Surface meteorology and solar energy, http://eosweb.larc.nasa.gov/sse/Google Search
25 
2014, The Central Bank of Philippines, Internal MaterialsGoogle Search
26 
Vivek Mohan, June 2017, Microgrid Energy Management Com- bining Sensitivities, Interval and Probabilistic Uncertainties of Renewable Generation and Loads, IEEE Journal ON Emerging and Slected Topics In Circutis and Systems, Vol. 7, No. 2, pp. 262-170DOI
27 
N. Y. Soltani, July 2020, Chance-Constrained Optimization of Energy Storage Capacity for Microgrid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1, No. 4, pp. 2760-2770DOI
28 
Mohandes Baraa, July 2020, Optimal Design of an Islanded Microgrid With Load Shifting Mechanism Between Electrical and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35, No. 4, pp. 2642-2657DOI
29 
KEPCO Research Institute, 2020, Demonstration research of P2G-based multiple microgrid operation and distribution grid interconnection, 1st year interim reportGoogle Search

저자소개

Jung-Hoon Kim
../../Resources/kiee/KIEE.2021.70.2.314/au1.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78, 1981 and 198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rofessor in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since 1981.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lanning & operation, stability, load model, demand res- ponse, electrical safety and so on.

Yu-Seok Lee
../../Resources/kiee/KIEE.2021.70.2.314/au2.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elec- 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5 and 2017,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his Ph.D degre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lanning & operation, stability, reliability and so on.

Hak-Ju Lee
../../Resources/kiee/KIEE.2021.70.2.314/au3.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1989, 1991 and 2004,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principal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 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distribution planning & power quality and power electronics.

Sung-Wook Hwang
../../Resources/kiee/KIEE.2021.70.2.314/au4.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1999 and 2012,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at KEPCO Research Institute.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 grid, demand response, renewable energy, energy mix, power system resilience and distribution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