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Estimation of Behind-the-Meter Solar PV Capacity, Lighting Load, Load Forecasting

1. 서 론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과 같은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친환경 저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는 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하였다(1). 그린 뉴딜 정책에 따라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친환경 재생에너지 설비가 확산되고 있다. 이 중 태양광 발전기의 경우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의 2025년 목표치인 21.4GW 보급에서 12.1GW 증가시킨 33.5GW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2).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라 1MW 초과 태양광 발전기의 경우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계측하여 전력거래소에 정보를 제공해야한다(3). 국내 태양광의 대부분은 1MW 이하의 소용량 발전기로 전력수요 계량기 후단에 위치한 BTM(Behind-the-Meter)으로 분류된다(4). 국내 발전단 전력수요는 발전기 출력단자에서 측정한 전력수요의 합계를 의미하며 송전단 전력수요는 발전기 주변압기 고압측과 송전설비와의 계량점에서 계량한 전력수요 합계를 말한다(3). 계량기 후단에 위치하여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측정되지 않는 BTM 발전량은 전력수요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는 전력수요를 감소시키는 형태로 나타난다. 재생에너지 확산에 따른 BTM 태양광 발전량의 증가는 기상 변화로 인한 전력수요의 변동성을 증가시켜 전력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BTM 발전의 영향을 전력수요예측에 반영하기 위하여 BTM 태양광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연구된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 기법에는 크게 태양광 모델링을 통한 발전량 추정 기법과 대표 태양광 발전기 선정을 통한 설비용량 비례식을 이용하여 발전량을 추정하는 기법이 존재한다.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을 바탕으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하며 전력수요예측 오차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설비용량 추정 기법과 흐린 날과 맑은 날의 전력수요 차이 분석을 통한 설비용량 추정 기법 등이 있다(5-7).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 관련 선행 연구의 대부분은 흐린 날과 맑은 날의 전력수요 차이를 BTM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으로만 가정한다. 하지만 흐린 날은 맑은 날에 비하여 조명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두 날의 전력수요 차이에는 조명부하 변동량이 포함된다. 또한 두 날의 기온차이로 인한 냉・난방부하 사용량 변동이 전력수요 차이에 포함된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흐린 날과 맑은 날의 전력수요 차이를 이용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할 경우 조명부하 또는 냉・난방부하의 영향이 BTM 태양광의 영향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논문에서는 냉・난방부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봄, 가을의 전력수요를 사용하며 추가적인 기온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기온의 영향이 최소화된 날을 선별하고 조명부하 변동량 추정을 이용한 수요 재구축 방법을 통해 조명부하의 영향을 제거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진행한다.

2.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 알고리즘

BTM 태양광 발전기는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량되지 않아 발전량이 전력수요에 반영되지 않으며 이는 전력수요를 감소시키는 형태로 나타난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에 따른 BTM 발전량의 증가는 전력수요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수요예측 정확도가 낮아지고 있다(8). 전력수요예측에 BTM 태양광 발전기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한다. 기온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최소화된 날을 선별하고 조명부하 추정을 이용한 수요 재구축 방법을 통하여 전력수요에 대한 조명부하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BTM 태양광 발전량을 제외한 기타 인자의 영향이 최소화된 재구축 수요에 격자탐색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진행하며 추정 과정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조명부하를 고려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 과정

Fig. 1. The estimation process of BTM solar PV capacities considering lighting load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1.png

2.1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

태양광 발전기는 거래계약 형태에 따라 설비를 분류할 수 있다. 전기사업법 시행령에 따라 1MW 초과의 설비용량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기의 경우 생산된 전력을 전력시장을 통하여 거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9). 이러한 전력시장을 통해 전력을 거래하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전력거래소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설비로 분류한다. 발전사업자가 1MW 이하의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거래하는 경우 한국전력공사와 직접 거래할 수 있다. 한국전력공사와 전력수급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을 체결하고 전력을 거래하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한국전력공사 PPA 태양광 발전설비로 분류한다. 전력시장을 이용하지 않는 한국전력공사의 상계거래 태양광, 지자체 태양광과 같은 나머지 태양광 발전기를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로 분류한다. 거래계약 형태에 따른 태양광 발전기는 표 1과 같다.

표 1. 거래계약 형태에 따른 태양광 설비 분류 및 정보 취득여부

Table 1. Whether to acquire data for capacity and real-time power generation by contract type of solar PV resource

분류

설비용량 취득여부

실시간 발전량 취득여부

전력거래소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설비

한국전력공사 PPA 태양광 발전설비

×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

×

×

BTM 발전기는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는 발전기를 의미한다.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라 1MW 초과 설비용량 발전기를 보유한 신재생발전사업자는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계측해야하며 전력거래소는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태양광 발전기와 전력수급계약을 체결한 태양광 발전기의 전국 및 지역단위 설비용량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3).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측되는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설비는 BTM 태양광 설비로 분류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발전량이 계측되지 않는 한국전력공사 PPA 태양광 발전설비와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를 BTM 태양광 발전설비로 분류한다.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산출 방법은 식 (1)과 같다.

(1)
$\widehat{S C}^{B T M}=S C^{P P A}+\widehat{S C}^{E T C}$

여기서, $\widehat{S C}^{B T M}$는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 $S C^{P P A}$는 한국전력공사 PPA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widehat{S C}^{E T C}$는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를 의미한다.

한국전력공사 PPA 태양광 발전설비와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와 같은 BTM 태양광 발전설비의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취득하기 어렵다. 정확한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을 위해서는 설치연도, 위치, 패널 효율과 같은 정확한 설치정보가 필요하며, 이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BTM 태양광 발전량을 추정하기 위해 실시간 발전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이용한다. BTM 태양광 발전설비와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을 유사하다고 가정하며,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기의 단위 용량 당 발전량을 이용하여 BTM 태양광 발전량을 산출한다. BTM 태양광 발전량 산출 방법은 식 (2)와 같다.

(2)
$\widehat {BTMSG}_{t}=\dfrac{KPXSG_{t}}{SC^{KPX}}\times \widehat{S C}^{B T M}$

여기서, $\widehat {BTMSG}_{t}$는 $t$시점의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 $KPXSG_{t}$는 $t$시점의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량, $SC^{KPX}$는 전력거래소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widehat{S C}^{B T M}$는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를 의미한다.

2.2 격자탐색을 이용한 냉・난방 기준기온 추정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최소화된다면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전력수요 변동량의 원인은 대부분 BTM 태양광 발전량과 조명부하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기온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1년 중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적은 봄과 가을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봄은 4월, 5월을 의미하며 가을은 9월, 10월을 의미한다. 봄과 가을의 전력수요를 이용하더라도 기온이 평상시보다 높거나 낮은 날은 냉・난방부하가 작동한다. 이러한 기온의 영향을 받는 날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온필터링을 이용한다. 기상청(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에서는 일반적으로 일평균기온이 18℃ 이하 또는 26℃ 이상이 되면 사람들이 냉・난방부하를 작동한다는 개념의 냉・난방 기준기온을 제공한다(10). 기상청 냉・난방 기준기온 적용한 기온필터링 데이터는 아래 그림 2와 같다.

그림. 2. 기상청 냉・난방 기준기온을 적용한 2019년 봄철 필터링 데이터

Fig. 2. Filtering data applied by the KMA heating and cooling base temperature in spring 2019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2-1.png../../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2-2.png

그림 2에서 초록색 실선 그래프는 필터링된 데이터 중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은 날을 의미한다.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최소화된다면 태양광 발전량에 비례하여 전력수요가 감소한다. 하지만 전력수요의 초록색 실선 그래프의 경우 태양광 발전량이 많음에도 전력수요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온의 영향으로 인한 냉방부하 사용량 증가가 BTM 태양광 발전량의 전력수요 감소분을 상쇄 또는 초과하여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 인해 전력수요와 태양광 발전량의 상관관계가 0.23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최소화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온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냉・난방 기준기온을 생성한다.

평상시와 다르게 새벽시간에 기온이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기온 패턴을 가진 날의 경우 평균기온은 냉・난방 기준기온 범위에 속하지만, 전력수요가 평상시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기온 패턴까지 필터링하기 위하여 입력 데이터로 사용되는 날들의 시간별 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한 냉・난방 기준기온을 생성한다. 전력수요에 대하여 기온의 영향이 최소화된다면 태양광 발전량에 따라 전력수요가 변동하는 것은 전력수요와 태양광 발전량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한 격자탐색(Grid Search) 방법을 사용하며 냉・난방 기준기온을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시키며 전력수요와 태양광 발전량 간의 상관관계가 최대가 되는 기준기온을 탐색한다. 격자탐색이란 변수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시도하여 최적화된 값을 탐색하는 방법이다(5). 이때 사용 데이터는 태양광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13시의 데이터를 이용한다.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피어슨상관계수를 사용하며 상관계수 산출 방법은 식 (3)과 같다(11).

(3)
$p(X,\:Y)=\dfrac{Cov(X,\:Y)}{\sigma_{X}\sigma_{Y}}$

여기서, $p(X,\:Y)$은 피어슨상관계수, $Cov(X,\:Y)$는 $X$와 $Y$의 공분산, $\sigma_{X}$는 $X$의 표준편차, $\sigma_{Y}$는 $Y$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시간별 냉・난방 기준기온을 적용한 기온필터링 방법은 식(4)과 같다.

(4)
$Av{g}T_{t}-\alpha\sigma_{T_{t}}<T_{t}<Av{g}T_{t}+\beta\sigma_{T_{t}}$

여기서, $Avg T_{t}$는 $t$시의 평균 기온, $\sigma_{T_{t}}$는 $t$시 기온의 표준편차, $T_{t}$는 $t$시의 기온, $\alpha$와$\beta$는 냉・난방 기준기온 계수를 의미하며 $\alpha$와$\beta$는 그림 3의 알고리즘 1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격자탐색 방법을 이용한 냉・난방 기준기온 계수 추정 알고리즘은 그림 3과 같으며 이를 통해 구해진 냉・난방 기준기온을 적용하여 필터링된 전력수요와 태양광 발전량의 상관관계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3. 냉・난방 기준기온 계수 추정 알고리즘

Fig. 3. The estimation algorithm of heating and cooling base temperature parameters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3.png

그림. 4. 제안된 냉・난방 기준기온을 적용한 2019년 봄철 필터링 데이터

Fig. 4. Filtering data applied by the proposed heating and cooling base temper ature in spring 2019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4.png

2.3 조명부하 추정

흐린 날은 맑은 날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부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두 날의 전력수요 차이에는 조명부하의 영향과 BTM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이 함께 포함된다. 정확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위해서는 전력수요에 대한 조명부하의 영향을 최소화해야한다. 따라서 맑은 날과 흐린 날의전력수요 차이를 이용하여 조명부하 변동량을 추정한다.

태양광 발전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던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흐린 날과 맑은 날의 전력수요 차이는 조명부하의 영향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기 보급용량이 거의 없던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전력수요 데이터를 이용한다(4).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앞서 기술한 기온필터링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2000년부터 2005년까지는 태양광 발전량이 존재하지 않아 제안한 방법을 통해 냉・난방 기준기온을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2019년에서 추정된 냉・난방 기준기온을 적용한다. 맑은 날과 흐린 날을 분류하기 위하여 일사를 이용해 기상 상태를 맑음, 구름 조금, 구름 많음, 흐림 4단계로 분류한다(6). 흐림으로 분류된 날과 맑음으로 분류된 날의 전력수요 차이를 산출하여 월별 전력수요 차이의 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수요 차이 평균값에 보간법을 이용하여 매월 조명부하 변동량을 추정한다.

태양광 발전기 보급의 활성화 시점 이후에는 흐린 날과 맑은 날의 전력수요 차이에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이 포함되어 조명부하 변동량 추정이 어렵다. 2005년 이후의 조명부하 변동량 추정을 위하여 기본전력수요를 이용한다. 기본전력수요란 기타 인자의 영향을 제외한 국내총생산, 인구증가 등의 전력수요의 자연증가분만을 고려한 전력수요이다(12). 2000년부터 2005년에서 산출된 조명부하 변동량을 기본전력수요 대비 비율로 설정하여 2005년 이후의 조명부하 변동량을 추정한다. 기본전력수요를 이용한 조명부하 변동량 추정 방법은 식 (5)와 같다.

(5)
$\triangle LightingLoad_{t}=BasicLoad\times L_{ratio}$

여기서, $\triangle LightingLoad_{t}$는 $t$시점의 조명부하 변동량, $Basic Load$는 기본전력수요, $L_{ratio}$는 기본전력수요 대비 조명부하 변동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2.4 조명부하를 고려한 재구축 수요

흐린 날 전력수요의 경우 BTM 태양광 발전량이 적고 조명부하의 사용량이 많아 전력수요가 높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맑은 날의 전력수요의 경우에는 BTM 태양광 발전량이 많고 조명부하의 사용량이 적어 전력수요가 낮게 나타난다. 두 날의 전력수요 차이에는 BTM 태양광의 영향 외에도 조명부하의 영향 반영되어 있다. 기존의 수요 재구축 방법은 BTM 태양광만의 영향만을 고려한다(13,14). 조명부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하게 되면 조명부하의 영향이 BTM 태양광의 영향으로 포함되어 설비용량이 과대 추정될 가능성이 있다. 정확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위해 전력수요에 대한 BTM 태양광과 조명부하의 영향 모두를 최소화하는 조명부하를 고려한 수요 재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전력수요에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를 더해 BTM 태양광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고 조명부하 변동량을 빼 조명부하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 조명부하를 고려한 재구축 수요 생성 방법은 식 (6)그림 5와 같다.

(6)
\begin{align*} Reconst uted Load_{t}^{L}=N et Load_{t}+\widehat{BTMSG}_{t}\\ -\triangle LightingLoad_{t} \end{align*}

여기서, $Reconst uted Load_{t}^{L}$는 $t$시점의 조명부하를 고려한 재구축 수요, $N et Load_{t}$는 $t$시점의 전력수요, $\widehat{BTMSG}_{t}$는 $t$시점의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치, $\triangle LightingLoad_{t}$는 $t$시점의 조명부하 변동량을 의미한다. 이때 $\triangle LightingLoad_{t}$는 맑은 날을 기준으로 조명부하 변동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맑은 날의 조명부하 변동량은 0으로 나타난다.

그림. 5. 조명부하를 고려한 재구축 수요 생성 방법

Fig. 5. Reconstituted load method considering lighting load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5.png

2.5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

BTM 태양광 발전설비는 총 발전설비용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다. BTM 태양광으로 분류되는 한국전력공사 PPA 태양광 발전설비의 경우에는 설비용량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BTM 태양광의 총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위해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한다. 전력수요는 단기적으로 기상요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전력수요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은 기온에 따른 냉・난방부하 사용량이며, 재생에너지 보급용량 증가에 따라 BTM 발전량의 변화 또한 전력수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단기적 전력수요에서 기상요소로 인한 변동을 보정해 줄 수 있다면 보정된 전력수요는 유사하게 나타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한다.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적은 봄 또는 가을의 전력수요를 사용하고 기온필터링을 이용하여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을 최소화된 날을 선별하여 냉・난방부하 사용량 변화로 인한 전력수요의 변동을 최소화한다. 선별된 날들의 전력수요에 조명부하를 고려한 수요 재구축 방법을 적용한다면 BTM 태양광 발전량의 영향과 조명부하의 영향을 최소화 시켜 기상요소로 인한 변동을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된 전력수요는 유사하게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BTM 태양광 발전량 반영을 위해 미지수인 기타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변수로 지정하고 재구축 수요 간의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것을 목적함수로 취한다. 재구축 수요 간 유사도가 최대인 것은 재구축 수요 간 분산이 최소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분산을 산출하는 방법은 식 (7)과 같다.

(7)
$Variance(X)=\dfrac{1}{N-1}\sum_{i=1}^{N}(X_{i}-\mu)^{2}$

여기서, $Variance(X)$는 $X$의 분산, $N$은 표본의 크기, $\mu$는 표본의 평균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 알고리즘은 그림 6과 같다.

그림. 6.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 알고리즘

Fig. 6. The estimation algorithm of BTM solar PV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6.png

3. 사례연구

재생에너지 보급에 따라 증가하는 BTM 발전량으로 인한 전력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한다.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2015년부터 2019년의 봄, 가을에 대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수행한다. 조명부하가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명부하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 추정을 진행한다. 추정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의 검증을 위하여 2019년 4월 중 평일에 대해 BTM 태양광을 반영한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한다. 시간별 전력수요예측 오차는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를 사용하며 산출하는 방법은 식 (8)과 같다.

(8)
$\operatorname{MAPE}(\%)=\frac{100}{n} \sum_{t=1}^{n}\left|\frac{L_{t}^{\text {Measured }}-L_{t}^{\text {Forecast }}}{L_{t}^{\text {Measured }}}\right|$

여기서, $n$은 시점의 개수, $L_{t}^{Measured}$는 $t$시점의 계측된 전력수요, $L_{t}^{\text {Forecast }}$는 $t$시점의 예측된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은 BTM 태양광 발전량 이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의 영향이 적은 봄과 가을에 대하여 추정을 진행한다. 사용된 데이터는 수요관리 전 발전단 전력수요와 기온, 일사, 전력시장 태양광 발전량 실적데이터와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사용한다(15,16). 조명부하 추정을 위하여 기본전력수요를 이용하며 조명부하 변동량은 태양광이 없던 과거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정된 기본전력수요 대비 1.1% 비율을 사용한다. 연도별 조명부하 추정치는 표 2와 같다. 기온필터링 과정을 통해 선별된 날들에 대하여 조명부하를 고려한 수요 재구축 방법을 적용해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진행한다. 연도별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는 그림 7과 같다.

표 2. 연도별 조명부하 변동량 추정치

Table 2. Estimated amount of variation of lighting load by year

연도

조명부하 변동량 (MW)

봄(4월, 5월)

가을(9월, 10월)

2015

686

690

2016

696

700

2017

705

709

2018

715

719

2019

724

728

그림. 7. 연도별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

Fig. 7. Estimated capacities of BTM solar PV by year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7.png

조명부하를 고려한 경우에는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이 연도별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반면 조명부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명부하 변동량이 BTM 태양광의 영향으로 취급되어 설비용량이 상대적으로 과대하게 추정되었으며 연도별로 증가, 감소가 반복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한다. 전력수요예측을 위하여 참고문헌(17)에서 제안한 전력수요예측 모형을 활용한다. 참고문헌(17)의 전력수요예측 모형은 Long Short-Term Memory(LSTM)층과 Fully-Connected(FC)층이 연결된 심층 신경망 기반의 예측 모형이며 입력변수를 선택하여 적용이 가능하고 입력변수의 비선형적인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익일의 24시간 시간별 송전단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송전단 전력수요, 기상인자, 시간, 요일의 실적 데이터를 입력 인자로 사용하며 추가적으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를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예측 오차를 비교한다. 2015년부터 2019년 중 태양광 보급이 가장 많은 2019년을 선정하며 일사량이 많아 BTM 태양광의 영향이 큰 4월을 대상으로 한다. 월요일과 주말을 제외한 16일에 대해 전력수요예측을 수행한다. 기존 모형의 사용 기상인자는 전력수요, 태양광 발전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기온과 일사로 구성하였으며 BTM 태양광 입력 모형은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를 추가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2019년 4월 시간별 전력수요예측 오차는 그림 8과 같다.

그림. 8. 2019년 4월 시간별 평균절대백분율 오차

Fig. 8. The hourly MAPE in April 2019

../../Resources/kiee/KIEE.2021.70.5.742/fig8.png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를 입력인자로 사용한 BTM 태양광 입력 모형과 기존 모형의 오차는 각각 1.06%와 1.34%로 제안된 모형의 예측 오차가 0.28%p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태양광 발전량이 나타나는 낮 시간대의 오차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예측 정확도가 개선되었으며 특히 태양광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12시에서 14시의 오차가 가장 많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4. 결 론

그린 뉴딜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정책에 따른 재생에너지의 보급 증가로 인하여 태양광 발전기 보급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태양광 발전기의 대부분은 BTM 발전기로 전력수요 변동성을 증가시켜 전력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BTM 태양광 발전량으로 인한 전력수요예측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하였다.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위해 격자탐색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냉・난방 기준기온을 생성하였으며, 태양광이 없던 과거의 전력수요를 이용하여 조명부하 변동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이용한 기온필터링 과정과 조명부하를 고려한 수요 재구축 방법을 통하여 전력수요에 대한 기온과 조명부하의 영향을 제거한 후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을 진행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조명부하를 고려하여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추정 할 경우 설비용량의 과대추정 부분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한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 추정치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력수요예측에 BTM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입력인자로 사용하였으며, 수요예측 정확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정확한 BTM 태양광 발전량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전력수요예측 정확도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Human Resources Program in Energy Technology”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ed financial resource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No. 20184010201690)

References

1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Jul. 2020, The Korean New Deal National Strategy for a Great TransformationGoogle Search
2 
Korea Energy Agency, Sep. 2020, Renewable energy policy and RE100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Google Search
3 
Korea Power Exchange, Nov. 2020, Electricity Market RulesGoogle Search
4 
Korea Energy Agency, Nov. 2020, 2019 Renewable Energy Supply StatisticsGoogle Search
5 
Y. Wang, N. Zhang, Q. Chen, D. S. Kirschen, P. Li, Q. Xia, May 2018, Data-Driven Probabilistic Net Load Forecasting With High Penetration of Behind-the-Meter PV, IEEE Trans. on Power Systems, Vol. 33, No. 3, pp. 3255-3264DOI
6 
K. Li, F. Wang, Z. Mi, M. Fotuhi-Firuzabad, N. Duić, T. Wang, Nov 2019, Capacity and output power estimation approach of individual behind-the-meter distributed photovoltaic system for demand response baseline estimation, Applied Energy, Vol. 253DOI
7 
Korea Power Exchange, Jun. 2019, The Behind-the-Meter Solar Capa- city Estimation for 2019Google Search
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Jan. 2021, Enforcement Decree of Electric Utility ActGoogle Search
9 
D. Bae, B. Kwon, C. Moon, S. Woo, K. Song, Nov 2020, Short- Term Load Forecasting Algorithm on Weekdays consi- dering the Amount of Behind-The-Meter Gen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34(11), pp. 37-43Google Search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ec. 2020, “http://kma.go.kr/,”Google Search
11 
J. Liu, Y. Zhang, Q. Zhao, Nov 2019, Adaptive ViBe Algorithm Based 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2019 Chinese Automation Congress (CAC), pp. 4885-4889DOI
12 
S. Jo, B. Kwon, K. Song, Mar 2019, Day Ahead 24-Hours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Latest Weather Forecasting, The Transaction of KIEE, Vol. 68, No. 3, pp. 416-422Google Search
13 
Itron, 2017, Improving Short-Term Load Forecasts by Incorporating Solar PV GenerationGoogle Search
14 
PJM, 2019, Improving Load Forecasting with Behind-the-Meter Solar ForecastingGoogle Search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ec.2020, Improving Load Forecasting with Behind-the-Meter Solar Forecasting, https://data.kma.go.kr/Google Search
16 
PJM, 2019, Improving Load Forecasting with Behind-the-Meter Solar ForecastingGoogle Search
17 
B. Kwon, R. Park, K. Song, Jul 2020, Short-Term Load Forecasting Based on Deep Neural Networks Using LSTM Layer,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5, No. 4, pp. 1501-1509DOI

저자소개

Dong-Jin Bae
../../Resources/kiee/KIEE.2021.70.5.742/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ehdwls7191@naver.com

이향범 (Hyang-beom Lee)
../../Resources/kiee/KIEE.2021.70.5.742/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Korea, in 2018.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bosung1994@naver.com

Su-Hwa Woo
../../Resources/kiee/KIEE.2021.70.5.742/au3.png

She received her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s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shiningpon@naver.com

Chan-Ho Moon
../../Resources/kiee/KIEE.2021.70.5.742/au4.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mch9293@naver.com

Kyung-Bin Song
../../Resources/kiee/KIEE.2021.70.5.742/au5.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Korea,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 neering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as in 1995.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oad forecasting, load modeling, power system operation and power system economics.

E-mail : kbsong@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