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E-mail: shengli1968song@gmail.com)



Power imbalance, Scott transformer, Current controller, Active power

1. 서 론

3상 계통 시스템에서의 불평형 문제는 급전 효율에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발전기의 출력 저하와 기계적인 진동의 원인이 되고, 전동기 측에서의 출력 감소와 회전기 등의 발열을 유발하며. 3상 불평형은 3상 전원 시스템에 단상 부하가 연결됨으로써 주로 발생한다(1). 국내 전기철도의 경우 350km/h의 속도로 운행할 경우 12MW의 전력을 소비하며, 이러한 대용량 단상 전력을 3상측에서의 직접적인 공급은 전압 불평형을 유발한다(2). 현재 국내 전기 철도 시스템은 계통으로부터 3상 154kV를 수전하며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해 스코트 변압기를 이용하며 단상 55kV의 M상과 T상으로 나누어서 각각 25kV를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한다(3). 하지만 시스템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스코트 변압기로만으로는 보상하기에는 부족하며, 이러한 불평형은 국제 표준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C(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ttee)와 국내의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의거하면 정상상태에서는 표 1을 만족해야 한다.

Table 1. Simulation parameter Voltage unbalance value

기준

불평형률[%]

기준 시간

전기설비 기술기준

3%

2시간

IEEE Std 1159:2009

0.5%

10분

IEC 61000-3-13:2008

2%

10분

국내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 267조는 교류식 전기철도의 단상 부하에 의한 전압불평형의 한도를 3% 이하로 규정하며 연속 2시간 부하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IEEE의 경우 식(1) 과 같이 전압 불평형률을 상전압과 상전압의 평균값을 이용한 최대 편차(PVUR, Phase Voltage Unbalance Rate)로 규정하며, 정상상태에서의 10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측정한다(4).

(1)
$$ P V U R(\%)=\frac{\max \left[\left|V_{a}-V_{a v g}\right|,\left|V_{b}-V_{a v g}\right|,\left|V_{c}-V_{a v g}\right|\right]}{V_{a v g}} \times 100 \% $$

그에 따라서 동일본철도의 경우 미쓰비시, 후지 전기의 15MVA급 RPC(Railway static Power Conditioner)를 운영하며, 한상에 2개의 직렬 인버터를 4 병렬로 구성됨으로써 대용량 시스템에 대응하며, 540Hz의 낮은 스위칭 주파수를 4병렬 구조를 통해 4.3kHz와 동일한 결과를 만든다. 주요 동작의 경우 유효 및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RPC모드와 무효전력을 보상하는 SVC-Q모드, 공급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해주는 SVC-V모드로 구성된다(5). 독일 지멘스사의 RAB(Railway Active Balance)는 3상 전력을 단상으로 변환할 경우 3상의 A상-B상, B상-C상에 단상 변압기를 각각 연결하여 변환하며, 3상 전원과 변압기 사이에 RAB가 연결됨으로써 3상의 불평형을 직접적으로 제어한다(6). 국내 철도는 디젤 철도 시스템을 줄이며 기존 동력 집중식 전기철도에 비해 전력소비량이 낮으며 고속인 동력 분산식 전기철도로 대체해 나가면서 국내의 전기철도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할 예정으로 전력보상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7).

본 논문에서는 IEEE 기준 식(1)의 PVUR을 바탕으로 전류의 불평형률 PCUR 식(2)를 이용하여 3상의 전류 불평형을 계산한다.

(2)
$$ \operatorname{PCUR}(\%)=\frac{\max \left[\left|I_{a}-I_{\text {avg }}\right|,\left|I_{b}-I_{\text {avg }}\right|,\left|I_{c}-I_{\text {avg }}\right|\right]}{I_{\text {avg }}} \times 100 \% $$

실제 국내 전기철도 시스템과 같이 스코트 변압기를 이용하며, 양단의 다른 크기의 부하를 이용하여 전류 불평형을 유발하고 이를 보상하는 새로운 전력보상장치 제어기의 성능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2. 전력보상장치와 스코트 변압기

2.1 전력보상장치 구조

그림 1은 스코트 변압기를 이용하여 3상 전원을 2개의 단상으로 변환하는 전기철도 급전시스템 전기 구조를 나타내며, 전력보상장치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전력보상장치의 경우 전력의 방향이 항상 바뀌기 때문에 백투백 형식으로 구성된다. 시스템 내부는 단상 3레벨 NPC 타입 컨버터로 구성하며 DC 전압을 유지해주는 커패시터($V_{dc_{-}T}$, $V_{dc_{-}B}$)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상 컨버터의 출력단에는 L 필터($L_{M}$, $L_{T}$)로 구성된다. 스코트 변압기 2차측에서 나오는 전류는 M상 $I_{MS}$, T상 $I_{TS}$, 부하전류 M상 $I_{ML}$, T상 $I_{TL}$로 구성되며, 컨버터의 출력 전류는 $I_{MC}$, $I_{TC}$이다.

Fig. 1. Configuration of power compensator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1.png

2.2 스코트 변압기

전기 철도에서는 단상 부하로 발생하는 불평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스코트 변압기를 도입한다. 스코트 변압기는 3상 전원을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는 단상 전원 2개의 M상, T상을 만들며, 내부 권선은 그림 2(a)와 같다. 권선비가 다른 단상 변압기 2개를 같이 연결하고 2차 전압 페이저에 각도가 90도인 2개의 단상 전원을 얻을 수 있도록 M상 권선의 1차 측의 중성점을 T상 변압기 1차 측 $\dfrac{\sqrt{3}}{2}$ 지점에 연결한다. T상 부하 전류의 경우 M상 중앙점으로 M상 권선 좌우에 균등하게 흐르게 되면서 철심의 자속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T상의 전류는 M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림 2(b)는 전압의 위상을 나타낸다. M상의 2차 전압 $V_{M}$은 3상측 전압 $V_{ab}$와 동상이 되며,$V_{T}$는 3상 전압의 $-V_{c}$에 해당하는 전압을 갖는다. $V_{c}$와 $V_{ba}$는 90도이고 $V_{c}$와 $V_{cb}$가 30도 이므로 $V_{ba}$와 $V_{cb}$는 120도가 되고 같은 이유로 $V_{ba}$와 $V_{ac}$또는 $V_{ac}$와 $V_{cb}$는 각각 120도가 됨으로써 1차 전압은 3상 평형을 이룬다. 그림 2 (c)는 전류의 위상을 나타낸다. 각 변압기의 2차 전류 $I_{M}$, $I_{T}$의 발생시 1차측 전류 $I_{M1}$, $I_{T1}$는 권선비에 따라서 식(3)(4)로 계산한다.

(3)
$I_{M1}= I_{M}$

(4)
$I_{T1}= -\dfrac{2}{\sqrt{3}}I_{T}$

Fig. 2. Scott transformer modeling (a) Wiring diagram (b) Voltage phase (c) Current phase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2.png

그림 3은 단상 전류에 따른 3상 전류의 위상을 나타낸 것이며 (a)의 경우 M상과 T상에 동일한 부하, (b)의 경우 M상에만 부하, (c)의 경우 T상에만 부하가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M상과 T상에 같은 크기의 부하가 걸렸을 때 변압기의 1차 전류를 계산하면 A, B, C상은 식(5)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상과 T상이 평형일 때 1차 전류는 크기가 같고 120도의 위상차이가 발생함으로써 3상 평형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 \begin{aligned} &\mathrm{A} \text { 상 전류 : } \mathrm{M} \text { 상에 의한 전류 : } I_{M}=-j I_{M} \\ &\mathrm{~T} \text { 상에 의한 전류 : } I_{T 1}=0.577 \times I_{T} \\ &\mathrm{~B} \text { 상 전류 : } \mathrm{M} \text { 상에 의한 건류 : } I_{M}=j I_{M} \\ &\mathrm{~T} \text { 상에 의한 전류 : } I_{T 1}=0.577 \times I_{T} \\ &\mathrm{C} \text { 상 전류 : } \mathrm{M} \text { 상에 의한 전류 : } 0 \\ &\mathrm{~T} \text { 상에 의한 전류 : } I_{T 1}=-1.1547 \times I_{T} \\ &I_{a}=\left(\frac{2}{\sqrt{3}} I_{T}-j I_{M}\right), \\ &I_{b}=\left(\frac{2}{\sqrt{3}} I_{T}+j I_{M}\right), \\ &I_{c}=-\frac{2}{\sqrt{3}} I_{T} \end{aligned} $$

M상에만 부하가 있는 경우 식(6)과 같으며, T상에만 부하가 존재하는 경우 식(7)로 나타난다.

(6)
$I_{a}=- j I_{M}$, $I_{b}= j I_{M}$, $I_{c}= 0$

(7)
$I_{a}= 0.577I_{T}$, $I_{b}= 0.577I_{T}$ , $I_{c}=- 1.1547I_{T}$

위와 같은 결과를 정리하면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3. Three-phase current according to single-phase (a) Main-phase, Teaser-phase balanced load (b) Teaser-phase load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3.png

Table 2. Current ratio of Scott Wired Transformer

구분

1차

2차

M상

T상

A상

B상

C상

M상 부하, T상 부하

-j

0

-j

j

0

M상 부하, T상 부하

0

-1

-0.577

-0.577

1.1547

M상, T상 동일부하

j

1

$1.1547\angle 240^{\circ}$ $1.1547\angle 120^{\circ}$ $1.1547\angle 0^{\circ}$

3. 전력보상장치 제어기

3.1 무변압기형 PCS

위상 동기 제어기는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 역률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단상 측의 전압 $V_{M}$, $V_{T}$를 직접 측정하면 변압기 누설 인덕턴스로 인한 노치 현상이 발생하여 전압 왜곡이 발생하여, 위상 추종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그림 4의 구조를 갖는 관측기를 적용하여 전압의 기본파 성분을 추출한다(8). 전압 $V_{M}$을 2차 적분기로 구성된 관측기를 이용하여, 정지좌표계에 해당하는 $V_{M_{-}ds}$와 $V_{M_{-}qs}$의 노이즈를 제거한 전압을 만든다. 이를 통해서 나온 정지좌표계의 전압은 그림 5의 SRF-PLL(Synchronous Reference Frame Phase locked Loops) 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며, 동기좌표계의$V_{M_{-}de}$와$V_{M_{-}qe}$로 변환되어 d축 성분을 0으로 만들어주는 $V_{de}^{*}$의 지령치를 바탕으로 비례-적분 제어기를 통해서 제어함으로써 M상 전압의 위상 $\theta_{M}$을 추종한다.

Fig. 4. Observer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4.png

Fig. 5. SRF-PLL Controller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5.png

3.2 불평형 전류 보상 기법

스코트 변압기의 분석을 통해 3상측 전류는 두 개의 단상측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평형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단상측의 전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제어기를 제안하며, 그림 6(a)는 스코트 변압기 2차측의 전류를 측정하여 동일하게 만들어 주는 제어기를 나타낸다.

Fig. 6. Block diagram of unbalanced current compensation (a) Overall controller structure (b) Current controller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6.png

M상의 스코트 변압기 2차측 전류 $I_{MS}$와 T상의 스코트 변압기 2차측 전류 $I_{TS}$를 측정하며, 이는 그림 4의 관측기를 통해서 정지좌표계에서 $I_{MS_{-}ds}$, $I_{TS_{-}ds}$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갖는 $I_{MS_{-}qs}$, $I_{TS_{-}qs}$를 계산한다. 이를 다시 Park 변환을 통해서 동기좌표계로 변환하여 유효 성분 $I_{MS_{-}qe}$, $I_{TS_{-}qe}$와 무효 성분인 $I_{MS_{-}de}$, $I_{TS_{-}de}$를 만든다. 이를 통해서 전원측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유효측 성분과 무효측 성분을 분리하며, AC에 해당하는 전류 성분을 DC로 변환을 통해서 제어가 간편해진다.

M상과 T상에 흐르는 유효전류 성분 $I_{MS_{-}qe}$와 $I_{TS_{-}qe}$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서 두 측정값의 차이를 0으로 만드는 비례-적분 제어기를 사용하며, M상의 컨버터와 T상의 컨버터가 절반씩 부담, 극성은 서로 반대로 한다.

무효전류 성분 $I_{MS_{-}de}$와 $I_{TS_{-}de}$의 경우 3상측에서 공급하지 않고 컨버터를 통해서 공급하는 STATCOM(Static Compensator)으로 동작하며, 무효측 성분을 0으로 만들기 위한 d축 성분 지령치로 각 $I_{MS_{-}de_{-}ref}$와 $I_{TS_{-}de_{-}ref}$로 구성된다. 이는 비례-적분 제어기를 통해서 M상 컨버터와 T상 컨버터에서 별도로 동작한다.

위와 같은 제어기를 통해서 최종적인 컨버터의 전류 제어기의 지령치는 유효성분 제어를 위한 $I_{MC_{-}qe}^{*}$와 $I_{TC_{-}qe}^{*}$로 구성되며, 무효성분을 제어하기 위한 $I_{MC_{-}de}^{*}$와 $I_{TC_{-}de}^{*}$로 구성된다.

그림 6(b)은 M상, T상에 대해 전류 제어기를 나타내며, 그림 6(a)의 전류 지령치 제어기를 통해서 나온 동기좌표계에 해당하는 전류의 지령치를 모델예측제어기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정지좌표계로의 변환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I_{MC_{-}\alpha}^{*}$와 $I_{TC_{-}\beta}^{*}$에 해당하는 전류 지령치를 구성한다. MPC는 모델예측제어기(Model Predictive Control)를 약자이며, 단상 인버터에 적용된 전류제어기법이다(9). 최종적인 인버터의 a폴에 해당하는 전압 명령치 $V_{Ma}^{*}$, $V_{Ta}^{*}$와 b폴에 해당하는 전압 명령치 $V_{Mb}^{*}$, $V_{Tb}^{*}$로 마무리된다.

그림 6과 같이 M상, T상 2차측 전류 $I_{MS}$, $I_{TS}$를 동일하게 제어하면 그림 3과 같이 3상 계통측 전류를 평형하게 만들 수 있다.

4.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7은 논문에서 제안한 전력보상장치를 시뮬레이션툴 PSIM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회로도로 나타낸다. 실제 철도차량의 환경을 고려하여 스코트 변압기의 1차 측에 3상 계통이 공급되어 2차측에 위상차 90도를 가지는 2개 단상 전압$V_{M}$, $V_{T}$가 출력되며 M상, T상 각각의 부하와 컨버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Fig. 7. 제목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7.png

Simulation circuit of power compensator system 표 3은 본 논문에서 사용된 전력보상장치의 시뮬레이션과 실험 파라미터이다. 전력 변환 동작을 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전력 손실이 발생하며, 대용량 시스템의 전력 손실로 인한 발열 문제는 냉각 시스템과 같은 부가적인 시스템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전력보상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600Hz 낮은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며 3레벨 컨버터는 2레벨 컨버터에 비해 스위칭 손실이 적은 장점을 갖기 때문에 전력보상장치의 백투백 컨버터를 3레벨 NPC 타입 컨버터로 선정한다. 이 단상 3레벨 백투백 컨버터 양단 L 필터는 5mH, DC링크 커패시터는 3000uF 이다.

Table 3. Simulation parameter

parameter

Value

Switching frequency

600Hz

DC Voltage ($V_{dc}$)

500V

$L_{M}$

5mH

$L_{T}$

5mH

DC link capacitor ( $C_{dc}$ )

3000uF

Grid voltage ( $V_{g}$ )

220V

Grid frequency

60Hz

시뮬레이션은 실험 환경의 제한된 전력조건에 맞추어 축소형 모델로 구성하였으며, 저항부하를 이용하여 불평형을 구성하였다. 각 M상 부하 5kW, T상 부하 1kW의 상태에서 스코트 변압기 2차측 전류를 제어하는 제안한 불평형 전류 보상기법을 검증한다.

Fig. 8. Simulation results (a) Before Compensation Source Current (b) Before Compensation Three-phase Current (c) After Compensation Source Current (d) After Compensation Three-phase Current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8.png

그림 8은 M, T상의 전원단 전류 및 3상 전류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을 보여주며, (a)의 경우는 스코트 변압기 M, T상에 크기가 다른 부하인 상태에서 전력보상장치의 보상 전에 보여주는 파형이다. 보상하기 전에 백투백 컨버터가 동작하지 않고 양쪽이 다른 크기의 부하이기 때문에 $I_{MS}$는 $22.7A$, $I_{TS}$는 $4.54A$의 전원단 전류에 크기 차이가 발생한다. (b)의 경우는 보상하기 전의 계통 3상 전류 파형을 보여준다. A상과 B상이 스코트 변압기의 1차 측에 연결되기 때문에 전력보상장치가 동작하기 전에 A상과 B상 전류은 동일한 $22.87A$가 흐르고 C상 전력은 1kW 부하이기 때문에 $5.24A$가 흐른다. (c)와(d)의 경우는 보상 후의 전류 파형이다. 보상 후의 각 단상 전원측 전류가 $I_{MS}$는 $13.57A$, $I_{TS}$는 $13.64A$로 동일한 크기로 흐리고 동시에 3상 계통 측 전류 A상 $15.99A$, B상 $15.92A$, C상 $15.8A$의 크기로 불평형률이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실험 결과

전력보상장치의 실험 세트는 그림 9처럼 3상 계통, 스코트 변압기, 부하와 백투백 컨버터로 구성한다. 시뮬레이션과 동일하게 스코트 변압기를 통해 M상 부하 5kW, T상 부하 1kW의 서로 다른 조건에서 진행한다. 표 3과 동일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Fig. 9. Experimental set of power compensator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9.png

그림 10은 실험 결과 파형으로 각각 전력보상장치 동작 전, 후의 M상, T상 전원단 전류 및 3상 계통 전류의 파형이다. M상 5kW, T상 1kW 부하가 요구하는 전력의 크기만큼 (a)와 (b)처럼 스코트 변압기 2차 측 전원단과 3상 계통측에는 크게 불평형 전류가 나타난 것을 보여준다. 보상하기 전에는 전원단 M상 $I_{MS}$는 $20.75A$, T상 $I_{TS}$는 $4.21A$ 전류가 다르며, 3상 계통 측 전류는 A상 $21.22A$, B상 $21.07A$, C상 $5.05A$의 불평형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전류보상기법 적용 후의 전원단 전류(c)처럼 M상 $12.92A$, T상 $13.18A$의 동일한 전류가 흐린다. 3상 계통 측도 A상 $15.3A$, B상 $15.21A$, C상 $15.39A$으로 각 상전류 크기의 차이가 감소하여 불평형을 보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0. Experimental results (a) Before Compensation Source Current (b) Before Compensation Three-phase Current (c) After Compensation Source Current (d) After Compensation Three-phase Current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fig10.png

표 4에 실험 결과를 정리하며 3상 계통 전류의 불평형률은 식(2)를 적용하여 3상 계통 전류의 불평형률이 67.99%에서 0.58%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불평형 보상 방식의 성능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검증할 수 있다.

Table 4. Experiment results

보상 전

보상 후

$I_{MS}$ $20.75A$ $12.92A$
$I_{TS}$ $4.21A$ $13.18A$
$I_{a}$ $21.22A$ $15.30A$
$I_{b}$ $21.07A$ $15.21A$
$I_{c}$ $5.05A$ $15.39A$

6. 결 론

본 논문은 실제 철도차량의 환경을 고려하여 스코트 변압기를 적용해서 3상 계통전압을 90도 위상차의 M, T상단상 전압을 만들고 백투백 컨버터을 이용한 전력보상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불평형 전류 보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3상 계통 불평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스코트 변압기 2차측 전원단 전류를 적용해서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과 실험은 5kVA급 부하, 2개의 단상 3레벨 NPC 컨버터로 구성된 백투백 컨버터를 제작하여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제안한 불평형 전류보상제어기법을 검증하였으며, 3상 계통 전류의 불평형률을 67.99%에서 0.58%로 감소시키는 성능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NPF-2021R1I1A3058123)

References

1 
B. Banerjee, June 2000, Voltage unbalance : Power quality issues, related standards and mitigation technique, EPRI Technical ReportGoogle Search
2 
Chan-Bae Park, Byung-Song Lee, Hyung-Woo Lee, 2012, Prediction and Analysis of the Energy Consumption Considering the Electric Railway Vehicle’s Driving, Journal of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5, pp. 777-781DOI
3 
Sung-Dae Kim, Kyu-Hyoung Choi, June 2010, Scott Transformer Modeling using PSIM on the AC Substation in the Electric Railroad,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892-1897Google Search
4 
IEEE 1159, 2009,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Quality, IEEEGoogle Search
5 
H. Oso, T. Kaneko, and A. Suzuki, 2015, Railway static power conditioner for shin-kurobe substation of hokuriku shinkansen, Fuji Electric, Rev. 61, pp. 52-57Google Search
6 
Tae-Hoon Lee, Seung-Beom Jeong, Hyun-Woo Kim, Myung- Hwan Min,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ltage Unbalance in AC Electric Railway System, KIEE Summer Conference, pp. 2051-2052Google Search
7 
Gil-Hyun Kang, 2015, Commercialization of HEMU 430X and introduction of power distributed high-speed rail vehicles,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45-48Google Search
8 
Yong-Soon Park, Hyeon-Sik Kim, Seung-Ki Sul, 2017, Frequency- Adaptive Observer to Extract AC-Coupled Signals for Grid Synchronization,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pp. 273-282DOI
9 
Jeong-Hyeon Lee, Jong-Min Jo, Chang-Hoon Shin, Tae-Hoon Lee, Han-Ju Cha, 2020, A Study on a Current Control Based on Model Prediction for AC Electric Railway Inbalance Compensation Devic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5, No. 6, pp. 490-495DOI

저자소개

송승리(Shengli Song)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au1.png

S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0; the M.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2.

서정진(Joungjin Seo)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19. and M.S, degree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1.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차한주(Hanju Cha)
../../Resources/kiee/KIEE.2021.70.12.1879/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8; the M.S. degree from the Poha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in 1990; and the Ph.D. degree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USA, in 2004,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1990 to 2001, he was at LG Industrial Systems, Anyang, Korea, where he was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s and adjustable speed drives.

Since 2005,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