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SPMSM, Winding function, Back EMF, Airgap flux density distribution, Slotless

1. 서 론

표면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 Mounted PM motor)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계자 자속을 형성하는 전동기로, 여타 권선형 회전자를 갖는 전동기와 비교하여 고효율, 고출력밀도의 장점을 갖는다(1,2). 1900년 후반에 이르러 비약적으로 발전한 전력전자 기술을 바탕으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져 현재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PMSM의 설계기법은 전력전자 기술과 더불어 발전해왔으나, 대부분의 내용이 FEM과 같은 수치적인 방법을 이용한 최적설계에 관해 이루어져 왔을 뿐(3-6), 기초설계에 관한 자세한 문헌은 없는 실정이다. 일부 문헌에서 기초적인 설계기법에 대해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으나(7,8), 이는 고전적인 전동기에 대한 것이며 설계 수순에서 경험적인 값을 다소 이용한다. 최근 전동기의 성능 향상에는 최적설계의 발전이 주요한 것은 사실이나, 근본적인 관점에서 기초설계가 원활히 수행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전동기의 전자기적 성능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는 토크와 역기전력이며, 대부분의 설계기법은 역기전력을 만족하기 위한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고전적인 전동기 설계기법에서 역기전력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경험적인 계수가 다소 이용될뿐더러 추후 설계 결과와 다소 다른 경향을 보일 때가 많다.

따라서 원활한 기초설계를 위해 역기전력을 정확하고 빠르게 해석하는 방법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접근으로 본 논문에서는 SPMSM의 기초설계에서 주요한 부분 중 하나인 무부하 역기전력을 해석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권상용 SPMSM의 설계를 사례연구로 채택한다. 이 SPMSM는 12극 54슬롯의 극 슬롯 조합을 가지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0극 54슬롯 즉, slotless 모델에 대해 공극 자계 분포를 산출한다(9). 산출된 공극 자계 분포를 Winding Function과 결합하여 쇄교 자속과 역기전력 수식을 각각 도출하고, Matlab을 통해 각 계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FEM 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된 계산 결과를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설계 사양에 대해 0슬롯과 54슬롯 즉, slotless 모델과 slotted 모델에 대한 각 FEM 해석 결과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SPMSM의 설계를 위해 slotless 모델을 제시한 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다.

2. Slotless SPM Model의 공극 자계 분포

본 논문의 사례연구로 권상용 SPMSM의 설계를 채택하였고, 이에 대한 설계 사양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권상용 SPMSM의 설계 사양

Table 1 Design spec. of hoisting SPMSM

Motor type

SPM type

Output power

$P_{out}$

33

kW

Rated torque

$\tau$

263

Nm

Rated Speed

$n_{m}$

1,200

rpm

Voltage Limit

$v_{i n}$

380

Vrms

그리고 본 논문은 SPMSM을 설계하는 것이 아닌 SPM 모델의 역기전력을 해석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표 1에 대한 설계 제원은 표 2에 나타내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표 2 권상용 SPMSM의 설계 제원

Table 2 Design parameter of hoisting SPMSM

Slot number

$Q$

54

-

Pole number

$2p$

12

Pole arc ratio

$\alpha_{p}$

0.78

-

PM thickness

$l_{m}$

10

mm

PM residual flux density

$B_{r}$

1.31

T

Relative recoil permeability

$\mu_{r}$

1.05

-

Radius of the rotor surface

$R_{r}$

99.15

mm

Radius of the PM surface

$R_{m}$

109.15

mm

Radius of the stator bore

$R_{s}$

110

mm

Air gap length

$g$

0.85

mm

이 전동기에 대한 slotless 모델을 위해 표 2의 제원을 이용하여 전동기 모델을 구성하여 그림 1에 나타내었다. 그림 1에서는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슬롯 영역을 제거하고, 자기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고정자 철심을 ring 형상으로 대체하였다. 대체된 ring 형상은 표 2와 동일한 고정자 보어를 갖고, 외경은 고정자 보어의 1.2배를 가정하였다. 그리고 그림 1에 나타낸 모델에 대해 공극 자계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1) 철심의 투자율은 무한대이다.

2) 자속밀도 분포는 축 방향으로 변하지 않는다.

그림 1 Slotless SPM 모델의 단면도

Fig. 1 Section of slotless SPM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1.png

그림 1에서 $\vec{M}$ 은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으로 식(1)와 같으며, 그림 2와 같이 radial과 parallel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M_{r}$과 $M_{\theta}$ 는 식(2), (3)과 같으며, $M_{rh}$ 과 $M_{r\theta}$ 는 영구자석의 자화방향에 따라 식(4), (5)와 같다. 여기서 $h$ 는 고조파 차수이다.

그림 2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

Fig. 2 Magnetization direction of PM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2.png

(1)
$\vec{M}=M_{r}\vec{a}_{r}+M_{\theta}\vec{a}_{\theta}$

(2)
$M_{r}=\sum_{h=1,\:3,\:5,\:\cdots}^{\infty}M_{rh}\cos(h p\theta)$

(3)
$M_{\theta}=\sum_{h=1,\:3,\:5,\:\cdots}^{\infty}M_{\theta h}\sin(h p\theta)$

for radial magnetization,

(4)
$M_{rh}=\dfrac{B_{r}}{\mu_{0}}\dfrac{4}{h\pi}\sin\dfrac{h\pi\alpha_{p}}{2}$, $M_{\theta h}=0$

for parallel magnetization,

(5)
$M_{rh}=\dfrac{B_{r}}{\mu_{0}}\alpha_{p}\left(A_{1h}+A_{2h}\right)$, $M_{\theta h}=\dfrac{B_{r}}{\mu_{0}}\alpha_{p}\left(A_{1h}-A_{2h}\right)$

for $hp\ne1$,

(6)
$A_{1h}=\dfrac{\sin\left\{(hp+1)\alpha_{p}\dfrac{\pi}{2p}\right\}}{(hp+1)\alpha_{p}\dfrac{\pi}{2p}}$, $A_{2h}=\dfrac{\sin\left\{(hp-1)\alpha_{p}\dfrac{\pi}{2p}\right\}}{(hp-1)\alpha_{p}\dfrac{\pi}{2p}}$

그림 1과 같은 내전형 slotless SPM 모델에 대해서 공극 자계 분포의 해석은 경계조건을 고려하여 공극 영역에서의 지배 방정식을 풀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공극 자계 분포의 radial 성분을 식(7)에 나타내었고, 이는 홀수 고조파만을 포함하는 푸리에 급수 형태로 표현된다. 여기서 $r$ 은 공극 자계 분포를 관찰하고자 하는 위치까지의 반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R_{m}+g/2$ 로 채택하였다. $\phi$는 원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는 공극 내의 특정 위치를 의미한다.

for $hp\ne 1$,

(7)
\begin{align*} B_{r}(r,\:\phi)=\sum_{h=1,\:3,\:5,\:\cdots}^{\infty}\dfrac{\mu_{0}}{\mu_{r}}M_{h}\dfrac{hp}{(hp)^{2}-1}\\ \\ \left[\left(\dfrac{r}{R_{s}}\right)^{hp-1}\left(\dfrac{R_{m}}{R_{s}}\right)^{hp+1}+\left(\dfrac{R_{m}}{r}\right)^{hp+1}\right]\\ \\ \left[\dfrac{\left(A_{3h}-1\right)+2\left(\dfrac{R_{r}}{R_{m}}\right)^{hp+1}-\left(A_{3h}+1\right)\left(\dfrac{R_{r}}{R_{m}}\right)^{2hp}}{\dfrac{\mu_{r}+1}{\mu_{r}}\left\{1-\left(\dfrac{R_{r}}{R_{s}}\right)^{2hp}\right\}-\dfrac{\mu_{r}-1}{\mu_{r}}\left\{\left(\dfrac{R_{m}}{R_{s}}\right)^{2hp}-\left(\dfrac{R_{r}}{R_{m}}\right)^{2hp}\right\}}\right]\\ \\ \cos(hp\phi) \end{align*}

for radial magnetization and $hp\ne 1$,

(8)
$A_{3h}=hp$

for parallel magnetization and $hp\ne 1$,

(9)
$A_{3h}=\left(hp-\dfrac{1}{hp}\right)\dfrac{M_{rh}}{M_{r}}+\dfrac{1}{hp}$

식(7)을 Matlab으로 해석하여 그림 3에 나타내었다. 고조파 차수는 99차까지 고려하였으며, FEM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수식을 검증하였다. 그림 3에서 $y$축은 자속밀도의 크기이며, $x$축은 전동기의 단면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는 공극 위치를 의미한다. 그림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7)의 계산은 slotless SPM 모델에 대해 공극 자계 분포의 극 전환 혹은 극 외곽 부분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 공극 자계 분포의 Analytical Solution 및 검증

Fig. 3 Anlaytical solution and validation of airgap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3.png

3. 공극 자계 분포의 Analytical Solution 및 검증

3.1 Winding Function

Winding Function theory는 여러 문헌에서 전동기의 인덕턴스를 분석하기 위해 소개된 이론이다(10,11). 여기서 winding Function은 앞서 언급한 공극 자계 분포와 등일하게 공극 내의 특정 위치인 $\phi$ 에 대해 전동기에 배치된 권선 레이아웃을 푸리에 급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Winding Function Theory의 적용 대상은 전동기의 주기성이 극쌍수와 일치하는 대칭 전동기로 제한된다. 즉, 풀 피치 집중권 혹은 분포권을 만족하는 전동기에 대해 Winding Function $N(\phi)$은 식(10)과 같이 푸리에 급수 전개의 형태로 표현된다. 여기서, $N_{ah}$와 $N_{bh}$는 푸리에 급수 계수이며, $\phi$는 전동기의 단면도에서 $\phi =0$[deg]인 가로 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는 공극 위치, $h$ 는 고조파 차수, $p$ 는 극쌍수를 의미한다.

(10)
$N(\phi)=\sum_{h=1}^{\infty}\left(N_{ah}\cos hp\phi +N_{bh}\sin hp\phi\right)$

본 논문의 사례연구로 채택된 12극 54슬롯의 경우에는 전동기의 주기성과 극쌍수가 6으로 일치하여 대칭 전동기에 해당하므로, 코일피치에 따라 식(10)의 형태로 Winding Function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2극 54슬롯에서 가장 높은 권선계수 기본파 성분을 기대할 수 있는 4코일피치를 선정하였다. 12극 54슬롯 4코일피치를 갖는 전동기의 임의의 한 상 권선을 2차원 단면도로 나타내면 그림 4와 같다. 여기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은 권선이 증가하는 방향이며,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은 권선이 감소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각 슬롯 위의 숫자는 본 논문에서 Winding Function 을 서술하기 위한 Slot Number 이다.

그림 4 12극 54슬롯 4코일피치의 권선 레이아웃

Fig. 4 Winding layout of 12pole 54slot 4coilpitch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4.png

그림 4의 $\phi =0$[deg]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시켜 기계적 한 주기를 나타내면 그림 5와 같다. 이는 푸리에 급수 전개를 만족시키는 주기 함수와 같고, 기계적으로 2$\pi$[rad] 주기를 갖는 주기 함수에 대해 식(10)을 구성하는 각 푸리에 급수 계수는 식(11)식(12)를 이용하여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 5의 $x$축은 그림 4에서 나타낸 Slot Number이며, $y$축은 Winding Function $N(\phi)$의 크기이다. 그리고 각 상 Winding Function의 경향을 관찰하기 위해 턴 수는 1로 고려하였다. 그림 4그림 5에서 나타낸 12극 54슬롯 4코일피치의 Winding Function을 푸리에 급수로 나타내면 식(13)와 같다. 다른 두 상에 대한 Winding Function은 식(13)에서 120[deg]의 위상 차이만 고려하면 얻을 수 있다.

그림 5 12극 54슬롯 4코일피치에 대한 Winding function

Fig. 5 Winding function of 12Pole 54Slot 4Coilptich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5.png

(11)
$N_{ah}=\dfrac{1}{2\pi}\int_{0}^{2\pi}N(\phi)\cos hp\phi d\phi$

(12)
$N_{bh}=\dfrac{1}{2\pi}\int_{0}^{2\pi}N(\phi)\sin hp\phi d\phi$

(13)
\begin{align*} N(\phi)= &\sum_{h=1}^{\infty}\left\{\dfrac{1}{h\pi}\sin\dfrac{1}{9}h\pi\left(\cos h\pi -2\cos\dfrac{1}{9}h\pi\right)\right\}\cos hp\phi \\ \\ & +\left\{\dfrac{1}{h\pi}\left(3\cos h\pi\cos\dfrac{1}{9}h\pi -\cos\dfrac{2}{9}h\pi -2\right)\right\}\sin hp\phi \end{align*}

3.2 Flux Linkage and Back EMF Calculation

슬롯이 제거된 slotless SPM 모델에서 공극 자계 분포는 회전자 위치에 동기되어 이동하며, 푸리에 급수 전개에 따라 식(7)식(14)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14)
$B_{r}(\phi ,\:\theta)=\sum_{h=1,\:3,\:5,\:\cdots}^{\infty}B_{rh}\cos h(p\phi -\theta)$

그림 6는 회전자 위치 변화에 따른 공극 자계 분포를 나타낸다. 회전자 위치는 전기각 한 주기만큼 이동시켰으며, slotless SPM 모델의 공극 자계 분포는 회전자 위치에 동기되어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 회전자 위치에 동기된 slotless SPM 모델의 공극 자계 분포

Fig. 6 Airgap flux density of slotless SPM model synchronized with rotor position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6.png

식(10)의 winding function과 식(14)의 공극 자계 분포를 이용하면, 영구자석에 의해 권선에 쇄교되는 자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5)
\begin{align*} \lambda_{pm}(\theta) & =R L\int_{0}^{2\pi}N(\phi)B_{r}(\phi ,\:\theta)d\phi \\ \\ & =\pi R L\sum_{h=1}^{\infty}N_{ah}B_{rh}\cos h\theta +N_{bh}B_{rh}\sin h\theta \\ \\ & =\sum_{h=1}^{\infty}\lambda_{ah}\cos h\theta +\lambda_{bh}\sin h\theta \end{align*}

식(1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권선 함수의 고조파와 공극 자계 분포의 고조파가 서로 같은 차수 즉, 홀수 고조파를 가질 때만 쇄교 자속은 유효한 값을 가진다. 고조파 차수의 정의역으로 모든 자연수를 포함하는 식(13)를 공극 자계 분포와 대응하는 홀수 고조파로만 나타내면 그림 5그림 7와 같이 수정된다. 기존의 모든 자연수를 고조파 차수를 갖는 그림 5에 비해 홀수 고조파만 포함하는 그림 7에서 winding function이 비교적 정현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 홀수 고조파만 포함하는 12극 54슬롯 4코일피치의 Winding function

Fig. 7 12Pole 54Slot 4Coilptich winding function with odd harmonics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7.png

회전자가 $\theta =\omega t$ 와 같은 각속도로 회전할 때, 식(15)에 대해 권선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은 식(16)와 같다. 식(16)에 따르면, 권선에 유기되는 역기전력은 기본파를 포함한 모든 고조파의 위상이 쇄교 자속에 비해 90[deg] 앞서며, 그 크기는 회전속도, 고조파 차수, winding function의 계수 그리고 공극자계 분포의 계수 등에 비례한다. 식(15)(16)의 검증을 위해 Matlab을 이용하여 slotless SPM 모델의 각 상 쇄교 자속과 역기전력을 계산하였다. Winding function은 식(13)을 이용하였으며,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은 radial과 parallel 두 가지를 모두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기서 이용된 전동기 설계제원은 1의 턴 수를 제외하면 표 1을 이용하였다. 계산된 쇄교 자속과 역기전력을 그림 8그림 9에 각각 나타내고, 이에 대한 결과를 표 3표 4에 각각 정리하였다. 그림 8그림 9에서 각 $x$축은 회전자 위치를 의미한다.

(16)
\begin{align*} e_{pm}(\theta) & =\dfrac{d\lambda_{pm}(\theta)}{dt}\\ \\ & = -\sum_{h=1}^{\infty}\omega_{r}h\lambda_{ah}\sin h\theta +\sum_{h=1}^{\infty}\omega_{r}h\lambda_{bh}\cos h\theta \\ \\ & = -\pi R L\omega_{r}\sum_{h=1}^{\infty}h N_{ah}B_{rh}\sin h\theta + h N_{bh}B_{rh}\cos h\theta \\ \\ & =\sum_{h=1}^{\infty}e_{ah}\sin h\theta +e_{bh}\cos h\theta \end{align*}

그림 8 Slotless SPM 모델의 각 상 쇄교 자속

Fig. 8 Flux linkage of slotless SPM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8.png

그림 9 Slotless SPM 모델의 각 상 역기전력

Fig. 9 Back EMF of slotless SPM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9.png

표 3 쇄교 자속 계산 결과

Table 3 Calculation result of flux linkage

Detail

analytical

Unit

pk-pk

raidal

0.2440

Wb

parallel

0.2467

Wb

표 4 무부하 역기전력 계산 결과

Table 4 Calculation result of flux linkage

Detail

analytical

Unit

RMS

raidal

63.55

V

parallel

64.73

V

THD

raidal

11.29

%

parallel

8.97

%

3.3 Validation

실제 권선은 그림 4와 같이 고정자 슬롯 안에 배치되므로, 식(15)(16)의 검증을 위해 그림 10과 같은 모델을 제안하고 이에 대해 FEM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모델에서는 slotless 모델에서 권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고정자 보어 인근에 아주 작은 원형의 도체를 고려하였다. 이에 대한 FEM 해석 결과는 그림 1112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림 11그림 12에서 각 $x$축은 회전자 위치를 의미한다. 표 56그림 11그림 12의 각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56에 따르면, 각 FEM 결과가 갖는 오차율은 쇄교 자속의 pk-pk 값에서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과 관게없이 매우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역기전력의 실효값에서 radial의 경우 0.02 %, parallel의 경우 0.03 % 그리고 역기전력의 THD 값에서 raidal의 경우 2.4 %, parallel의 경우 3.7 %를 나타내었다. 무부하 역기전력도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FEM 결과가 대체로 일치하는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THD에서 비교적 높은 오차율을 갖는 것은 식(15)(16)의 계산에서 고조파 차수를 99차까지 고려하여 FEM 계산에 비해 고조파 차수가 낮기 때문이다.

그림 10 미소 도체를 고려한 FEM 모델

Fig. 10 FEM model considering micro-conductor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10.png

그림 11 slotless SPM 모델의 쇄교 자속 검증

Fig. 11 Validation for flux linkage of slotless SPM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11.png

그림 12 slotless SPM 모델의 역기전력 검증

Fig. 12 Validation for back EMF of slotless SPM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12.png

표 5 쇄교 자속 비교 결과

Table 5 Comparison result of flux linkage

Detail

analytical

FEM

Unit

pk-pk

raidal

0.2440

0.2440

Wb

parallel

0.2467

0.2467

Wb

표 6 무부하 역기전력 비교 결과

Table 6 Comparison result of flux linkage

Detail

analytical

FEM

Unit

RMS

raidal

63.55

63.53

V

parallel

64.73

64.71

V

THD

raidal

11.29

11.57

%

parallel

8.97

9.30

%

그러나 실제의 전동기 모델은 권선을 삽입하기 위한 슬롯의 구조로 인해 실제 역기전력과 차이가 있다. 그림 10에서 이용된 slotless 모델의 경우 공극 자계 분포가 회전자 위치에 동기되어 회전자 위치와 관계없이 일정한 분포를 나타내지만, 그림 4에 나타낸 slotted 모델에서는 회전자 위치에 동기되는 것이 아닌 고정자 슬롯의 기계적인 위치에 고정된 슬롯 고조파의 영향으로 회전자 위치마다 공극 자계 분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를 관찰하기 위해 표 1의 slotless SPM 모델에 slotted 구조를 적용하고, 전기적으로 0, 30, 60 그리고 90 [deg]만큼 회전자 위치를 이동시켜 슬롯 유무에 따른 공극 자계 분포를 FEM으로 해석하여 그림 13에 나타내었다. 슬롯 고조파의 영향은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과 관계없이 나타나므로 그림 13에서는 radial의 경우만 나타내었다.

그림 13 슬롯 유무에 따른 공극 자계 분포 FEM 결과

Fig. 13 FEM result of airgap flux dens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slot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13.png

그림 13에서 슬롯 고조파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은 slotless 모델과 slotted 모델에서 1상의 무부하 역기전력을 FEM으로 각각 해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7그림 13에 대해 각 역기전력을 비교한 것이다.

표 7 슬롯 유무에 따른 역기전력 실효값 비교

Table 7 Comparison of back EMF

Detail

analytical

FEM

Unit

error

RMS

0.2440

0.2440

Wb

1.29%

THD

0.2467

0.2467

Wb

4.60%

그림 14 슬롯 유무에 따른 역기전력

Fig. 14 Back EMF according to slot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2.71.3.503/fig14.png

식(16)에서 슬롯 구조 유무에 따라 역기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식(7)에 나타낸 공극 자계 분포의 계수로, 슬롯 고조파에 의한 공극 자속 밀도의 기본파 강하가 역기전력에 미치는 영향은 2 % 내외인 것을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제의 전동기는 권선 삽입을 위해 슬롯 구조를 가지며, 여러 자기 등가회로법이나 공간 고조파법에서 이를 고려하기 위해 카터 계수를 반영한다. 카터 계수는 고정자의 치 인근에서 증가하는 자기 경로를 공극으로 치환하여 유효 공극의 증가분을 나타내는 계수로, 유효 공극의 증가에 따라 식(7)에 따라 공극 자속밀도가 달라지며, 이는 식(15)의 쇄교 자속 및 식(16)의 무부하 역기전력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표 5 ~ 7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유효 공극에 대한 고려 없이 슬롯이 반영된 무부하 역기전력에 비교적 일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바, 실제의 SPMSM을 설계하는 경우 예상되는 공극 길이를 적용해도 정확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5.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SPM 전동기의 설계 단계에서 경험적인 값을 배제하고 공극 자계 분포, 쇄교 자속 그리고 무부하 역기전력을 정확하게 고려하기 위해 해석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극 자계 분포는 실제의 slotted 모델이 아닌 고정자가 ring 형상으로 대체된 slotless 모델에 대해 경계조건을 적용한 지배 방정식을 풀이하여 얻은 수식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FEM으로 해석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정확히 일치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쇄교 자속 및 무부하 역기전력은 권선 레이아웃을 공극 위치에 대해 정의되는 Winding Function을 이용하여 수식적으로 도출했으며, 이는 ring 형상을 갖는 고정자 보어에 미소도체를 고려하여 수행한 FEM 해석 결과를 통해 제안된 수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수식은 권선 레이아웃이나 턴 수 그리고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 혹은 물성치에 대해 자유도가 높아 기초 설계 단계에서 쇄교 자속 및 무부하 역기전력을 관찰하는데 있어 높은 장점을 가진 것을 판단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푸리에 급수 전개를 통해 Winding Function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난해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은 아니지만, 여러 형태의 극/슬롯 조합 그에 대한 다양한 코일피치에 대응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slotless SPM 모델에 대한 것이나, 표 7에 나타낸 것처럼 슬롯 구조의 영향은 매우 작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매우 정밀하게 요구되는 사례가 아니라면, 슬롯 고조파에 대한 정확한 고려 없이 slotless 모델에 대한 결과로도 원활한 설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Conformal Mapping 기법을 통해 슬롯 고조파의 영향을 정확하게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논문의 추후 연구로 수행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Pellegrino Gianmario, Vagati Alfredo, Boazzo Barbara, Guglielmi Paolo, Nov 2012, Comparison of Induction and PM Synchronous Motor Drives for EV Application Including Design Examples, IEEE Transaction on Industry Application, Vol. 48, No. 6, pp. 2322-2332DOI
2 
Patel, K. H., Nagarsheth Raj, Parnerkar Sharang, 2012, Performance comparison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and induction motor for cooling tower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y and Advanced Engineering, Vol. 2, No. 8, pp. 167-171Google Search
3 
Hong, Guo, Wei Tian, Ding Xiaofeng, April 2018, Multi-objective optimal design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high efficiency and high dynamic performance, IEEE Access, Vol. 6, pp. 23568-23581DOI
4 
A. Kalimov, S. Shimansky, March 2015, Optimal Design of the Synchronous Motor With the Permanent Magnets on the Rotor Surface,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1, No. 3, pp. 1-4DOI
5 
M. Hejra, A. Mansouri, H. Trabeisi, 2014, Optimal design of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Application of in-wheel motor,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Congress (IREC), pp. 1-5DOI
6 
G. Cvetkovski, L. Petkovska, 2016, Multi-objective optimal design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EEE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and Motion Control Conference (PEMC), pp. 605-610Google Search
7 
Hanselman, Duanek, 2012, Brushless motors: magnetic design, performance, and control of brushless dc a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E-Man Press LLCGoogle Search
8 
Lipo, Thomas A, 2017, Introduction to AC machine design, John Wiley & SonsGoogle Search
9 
Z. Q. Zhu, D. Howe, E. Bolte, B. Ackermann, Jan 1993, Instantaneous magnetic field distribution in brushless permanent magnet DC motors. I. Open-circuit field,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29, No. 1, pp. 124-135DOI
10 
K.I. Woo, 2011, Torqu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by Winding Function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5, No. 7, pp. 26-31DOI
11 
J.G. Kim, H.S. Park, K.I. Woo, 2015, Torque Calculation of Flux Switching Motor by Winding Function Theory,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39, No. 4, pp. 478-482DOI

저자소개

이호현 (Ho-Hyun Lee)
../../Resources/kiee/KIEE.2022.71.3.503/au1.png

Ho hyun Lee was born in 1993. He received the B.S., M.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2016, 2018 and 2022, respectivel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al machines analysis and design.

우경일 (Kyung-Il Woo)
../../Resources/kiee/KIEE.2022.71.3.503/au2.png

Kyung il Woo was born in Korea in 1969. He received the B.S., M.S.,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in 1995, 1997 and 200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serving a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al machines analysis and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