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Power Technology Institute, KEPCO E&C, Korea.)



EMTP/RV,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Power Quality, Turbo Expander Driven Induction Generator, Voltage Sag

1. 서 론

한국가스공사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id Natural Gas) 생산기지에서 전국 주배관망에 7MPa의 압력으로 가스를 송출하고 있으며, 전국 100여개 이상의 공급관리소(정압기지)에서 다시 발전소나 도시가스사에 보내질 경우 정압기(PRV; Pressure Regulating Valve)를 통해 2.5MPa 또는 0.85MPa로 감압하여 공급한다(1). 감압과정에서 상당량의 버려지는 압력에너지(이하 폐압)가 발생하며, 이러한 폐압 에너지의 활용을 위해 기존 정압기 대신 터보 팽창기 (Turbo-expander)를 사용하여 압력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발전기(TEG; Turbo Expander Generator)와 연결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2).

TEG는 시간별로 LNG 수급유량의 변동성을 가진 폐압 에너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풍력, 소수력 발전설비와 동일하게 유도발전기 형태를 취하게 되며, 계통으로부터 여자전류(무효전력)를 공급받기 때문에 계통 병입 시 필연적으로 돌입전류(Inrush current) 및 순시전압강하(Instantaneous voltage dip) 문제가 발생하며, 설계 단계에서 이에 대한 계통 과도해석이 수행되어야 한다(3). 국내의 경우 (4)에서 1.5MW급 유도발전기형 TEG의 한전 계통 연계 전후 변전소 전압 변화와 STATCOM을 활용한 무효전력 보상에 따른 전압 제어효과를 순시전압변동률 3%를 기준으로 계통 영향을 분석하였다. TEG 트립 조건에서 전압변동은 약 0.1%로 미미하여 계통 연계 시 전압 측면의 영향을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소수력을 이용한 1,000kW 이상의 유도발전기를 대상으로 (5-8)에서 회전자 속도, 회전자 형상, 기계적 특성 등에 따른 돌입전류의 크기와 순시전압강하를 허용범위와 비교 분석하고 기동방법 변경 등의 현장 운전을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외의 경우 가스정압소의 MW급 유도발전기 또는 동기발전기 형태의 터보팽창기의 터빈, 노즐, 샤프트 및 기어박스, 발전기 모델을 구현하고 측정데이터와 모의결과를 통해 TEG의 동적 성능을 검증하였다. 사례연구에서 공통접속점(PCC; Point of Common Coupling)에 발생하는 순시전압강하를 분석하고, DVR, STATCOM 등 FACTS를 통해 전력품질을 개선하였다. (3, 9- 13)

본 논문은 국내 천연가스 정압소에서 추진중인 TEG 실증사업과 관련하여 유도발전기 형태의 TEG의 계통 연계 시 예상되는 전력품질 문제를 EMTP/RV를 활용한 과도해석을 통해 검토하고 안정적인 연계 운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TEG 발전기의 특성과 계통 구성 그리고 연계기술기준을 검토한다. 3장에서는 EMTP/RV를 활용한 TEG를 포함한 테스트 네트워크 모델을 구현하고 계통 병입시점, 3상 단락 등 사례연구를 통해 TEG의 계통 연계 시 과도 특성을 분석한다.

2. TEG 계통 구성 및 연계 기준 검토

TEG는 그림 1과 같이 정압기와 병렬로 구성되며, 우선적으로 TEG로 천연가스를 흐르게 하고, TEG 정격을 초과하는 경우 정압기로 흐르도록 구성된다(1). 여기서, 고압(60bar)의 천연가스는 방사형 방향으로 터빈에 유입되어 팽창되면서 터빈을 회전시키고, 감압된 천연가스는 터빈 축 방향으로 출력된다. 터빈의 회전에너지는 유도발전기와 연결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회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그림 1과 같이 60bar의 고압 가스를 수요측 압력인 8.5bar로 급속하게 감압할 경우 시스템 성능이 낮아지므로 1단 공력부인 HP(60bar → 27bar)와 2단 공력부인 LP(27bar → 8.5bar)로 구성하여 팽창을 실시한다(4). 일반적으로 정압소로 유입되는 가스의 온도는 0℃이며 감압과정에서 가스 특성으로 인하여 온도 강하가 발생하는데 TEG를 활용하는 경우 온도 강하가 더욱 크게 발생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력부(HP 및 LP) 전단에 히팅 시스템(보일러+열교환기)을 적용하여 온도를 보상한다(4).

그림. 1 TEG 구성도

Fig. 1 Configuration diagram of TEG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1.png

2.1 TEG 계통 구성

그림 2는 한전 변전소, 배전선로, 변압기, 부하 그리고 TEG 유도발전기로 구성된 전력계통 구성도이다. 22.9kV 특고압으로 한전 전력계통에 연계되며, 상시 900kW(역률 90%)의 부하가 연결되어 있다. 그림 1의 2단 터빈의 샤프트에 연결된 회전자의 속도가 상승하여 계통 병입속도 이상이 될 경우 GCB(ACB_TEG)가 투입된다.

그림. 2 TEG 계통 연계 구성도

Fig. 2 Conceptual diagram of TEG connected to grid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2.png

2.1.1 TEG 발전기

TEG는 활용되는 폐압 에너지가 천연가스 정압소의 수급유량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원동기(Prime mover)의 속도 변화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동기화 절차 없이 어떠한 주파수에서도 계통 병입이 가능한 유도발전기 형태를 선정한다(15). 유도발전기는 동기속도 이상으로 원동기를 회전시키면 회전자 도체는 회전자계를 추월하게 되어 전력을 계통에 전송하게 된다. 통상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싼 장점을 가진 농형 회전자가 이용되며 회전자계 생성을 위한 여자전류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계통 병렬 접속을 하지 않고 단독으로는 발전이 불가능하게 된다(16).

본 논문에서는 3상 보통 농형(single bar squirrel-cage type) 유도발전기의 출력을 계통에 직입하는 방식으로 슬립의 크기가 천연가스 수급유량에 따라 변동하나 매우 작은 변동 범위를 가진다고 가정하여 고정속도형(Fixed or constant speed) 유도발전기로 정의한다(17).

유도발전기의 과도특성 해석을 위해 표 1과 같은 유도발전기 특성값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 중 회전자 구속전류(LRC; Locked Rotor Current), 기동시간은 유도발전기의 과도성능을 해석하기 위한 필수적인 입력 데이터로 고려되며, 기동시간은 3초로 가정한다.

표 1 TEG 사양

Table 1 Specification of TEG

Quantity

Values

Number of poles

4

Rated Voltage(Line-to-line, r.m.s)

440V

Rated output

1,600kW

Power factor@Full load

0.85

Efficiency@Full load

92%

Slip

-0.61%

LRC(or Starting current)

650%

표 2의 TEG 회로 정수는 기기 용량(Sb=Srated) 기준 p.u. 단위로 표현되며, EMTP/RV의 “Enable Nameplate in input calculator” 기능을 이용하여 표 1의 효율, 역률, 슬립 및 기동전류로부터 계산한다 (18). 여기서, 슬립은 양의 부호만 입력 가능하기 때문에 유도발전기 출력의 전기적 특성이 전동기 영역의 속도-토크 특성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표 2 TEG 파라미터

Table 2 Parameters of TEG

Parameters

Values [p.u.]

Stator resistance, Rs

0.0290878

d-axis linkage inductance, Lmd

2.98171

q-axis linkage inductance, Lmq

2.98171

Rotor resistance, Rr

0.00626706

Stator leakage inductance, Lls

0.0758666

Rotor leakage inductance, Llr

0.0758666

2.1.2 배전계통 및 인입선로

한전 변전소의 등가 임피던스는 책임분계점 1차측을 등가 전원으로 EMTP/RV의 “임피던스를 포함한 3상 전원모델(Three-phase voltage source with impedance modeㅣ)”로 구현한다. 등가 전원의 전압은 표 3과 같이 TEG 설치 전 조류계산 값을 반영하며, 등가 임피던스는 변전소 주변압기 2차측 모선의 등가 %임피던스와 기준 임피던스(기준전압 : 22.9kV, 기준용량 : 100MVA)를 이용하여 실제 저항 및 리액턴스 값으로 환산하였다. 연계선로는 변전소에서 TEG 전력계통의 인입케이블 전단까지 총 4,730m의 배전선로와 PCC 후단의 인입케이블이 직렬로 구성된 형태를 의미한다.

표 3 한전 변전소 등가 전원 및 선로 정수

Table 3 Parameter of Grid and Distribution Line

Parameters

Values

Voltage source w/ impedance

(@KEPCO S/S)

Voltage Magnitude

1.0458 p.u. (4)

R1

0.0001783Ω

X1

1.738944Ω

D/L impedance

Length

4,730m

R1

1.593928Ω

X1

1.845294Ω

Incoming cable

(Backward PCC)

R1

0.008047Ω

X1

0.00459Ω

2.1.3 변압기 및 부하

변압기는 표 4와 같이 Δ-Y 결선의 22.9/0.44kV의 2.5MVA급 몰드변압기를 채택하며, %임피던스는 5%를 선정한다. 부하는 정전력부하모델(Constant power load model)로 900kW, 역률 90%로 구현한다.

표 4. 발전기 승압용 변압기 사양

Table 4. Specification of generator step-up transfomer

Items

Values

Output

2.5MVA

Voltage

22.9/0.44kV

%Impedance

5%

Connection

DYn11

2.2 계통 연계 조건 검토

2.2.1 전압 변동 허용 범위

TEG를 한전계통에 연계하는 경우 분산전원 계통연계 기술기준에 따라 상시전압변동률(Normal voltage fluctuation rate)은 저압의 경우 3%, 특고압의 경우 2%로 제한된다(19). 여기서, 상시전압변동률은 식(1)과 같이 연계 전 안정상태의 전압 실효값(V1)과 연계 후 정격출력 기준의 전압 실효값(V2)의 차이(steady-state voltage change)를 계통의 공칭전압(Vn)에 대한 백분율로 정의한다.

(1)
$$ V_{\text {normaldrop }}=\frac{V_{1}-V_{2}}{V_{n}} \times 100[\%] $$

특고압 계통의 분산형전원 연계로 인한 순시전압변동률(Instantaneous voltage fluctuation rate)은 변동 빈도를 정의하기 어려운 경우 3%를 적용한다. 저압 계통의 계통 병입 시 돌입전류를 필요로 하는 유도발전기 등의 발전원에 대해서 순시전압변동률은 6% 이내로 제한된다(19). 여기서 순시전압변동률은 일반적으로 분산형 전원의 기동, 탈락 등으로 인해 과도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발생하는 계통전압 실효값의 급격한 변동(rapid voltage change)을 계통 공칭전압에 대한 백분율로 정의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계 전 안정상태의 전압 실효값(V1)과 연계 후 돌입전류에 의해 일시적으로 전압이 가장 낮아지는 값(Vmin)에 대해 다음 식(2)와 같이 그 비율을 정의한다(20).

(2)
$$ V_{i nst,\:drop}=\dfrac{V_{1}-V_{\min}}{V_{n}}\times 100[\%] $$

만약 제시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분산형전원 설치자가 출력변동 억제, 기동․탈락 빈도 저감, 돌입전류 억제 등 순시전압변동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을 실시해야 한다.

표 5 Permissible voltage variation for KEPCO grid connection

Table 5 한전 계통 연계 시 전압 변동 허용범위

Voltage

Normal voltage fluctuation rate

Instantaneous voltage fluctuation rate

440V

3%

6%

(Induction generator)

22.9kV

2%

(Voltage upper/lower limit margin)

3%

(3-5%, As Per frequency of fluctuation)

2.2.2 계통 고장전류 검토

만약 TEG를 분산형전원으로 가정한다면, 일반적으로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기준의 신재생 발전설비 신뢰도 기준에 따라 대상 분산형전원을 포함한 해당 선로상 총 발전설비 연계용량이 대상 분산형전원의 책임한계점에 가장 가까운 특고압측 지점에서 그 배전선로 최대 고장전류의 10%를 초과하는 만큼의 전류를 기여하지 않을 경우, 해당 계통의 전력품질을 저하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21). 이 경우 분산형전원으로부터 유출되는 고장전류는 계통 보호기기의 감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며, 분산형전원의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전압 교란도 다른 전기사용 고객에게 공급되는 전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2.2.3 계통 병입 조건 및 전력품질 개선방안

유도발전기도 병렬연계 장치 투입 전에 원동기에 의해 동기속도 부근에서 구동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유도 전동기와 매우 흡사한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동기 발전기와는 특성이 다르며, 별도의 여자전류원이 없으므로 단자전압을 생성하지 못하며, 한전 계통에 병입될 경우 전압 생성을 급격하게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TEG를 계통에 투입하는 경우 원동기로 회전속도를 높여서 동기 속도 부근에서 일정 슬립 이내가 되는 경우에 강제 병렬 접속한다(16,19). 전전압(직입) 기동방식의 경우 이론상 돌입 전류 순시치는 식(3)과 같이 정격전류의 약 5~7배가 되며, 10주기 이내에 감쇄한다(16).

(3)
$i=i_{ac,\:st}\sin(\omega t+\phi)+i_{ac,\:tr}e^{-t/T}\sin(\omega t+\phi')+i_{dc,\:tr}e^{-t/T}\sin(\phi'')$

$i_{ac,\:st}$ : 정상 교류분

$i_{ac,\:tr}$ : 과도 교류분

$i_{dc,\:tr}$ : 과도 직류분

$T$ : 시정수($=\dfrac{X_{1}+ X_{2}'}{\omega r_{2}'}$)

$X_{1}$ : 1차 누설 리액턴스

$X_{2}'$ : 2차 누설 리액턴스(1차 환산)

$r_{2}'$ : 2차 저항(1차 환산)

TEG 발전기는 계통 병렬운전 시 무효전력을 계통으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발전기 차단기(GCB; Generator Circuit Breaker) 투입 시 전압강하, 개방 시 전압 상승이 예상된다. 따라서 전압강하 및 전압 상승을 모두 고려하여 계통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역률을 유지하기 위한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필요 시 적정용량을 선정한다. 만약 전전압 기동 시 큰 돌입전류로 전압강하가 발생하여 기동 불능 또는 인접한 전력설비에 악영향을 준다면 1차 전압을 강압하거나 기동전류를 제한해야 한다.

3. EMTP/RV 과도특성 해석

TEG 발전기는 실증 중인 전력계통에서 상대적으로 큰 발전 용량을 가진다. 만약 발전기가 속도 0에서 기동한다면 상당량의 무효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는 기동 시간 동안 돌입전류의 크기, 전압강하 문제를 야기하며, 전동기 또는 발전기 모드 상태로 전압강하 시간을 지속시킨다. 운전 영역에서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TEG의 회전자 속도가 동기 속도의 0.95 pu일 때 발전기 차단기를 투입한다(3,6). 이러한 방법은 발전기의 과도 진동(transient oscillations)을 억제하며, 만약 여전히 상당량의 무효전력을 계통으로부터 필요로 할 경우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추가하여 전압강하 문제를 해결한다.

3.1 TEG 연계 계통 모델 구축

TEG의 계통 연계 시 과도해석을 위한 시험 계통은 그림 3과 같이, 한전 전원을 포함한 등가 배전계통, 변압기, 차단기, 부하, TEG 등의 전력설비부와 전압, 전류, 주파수, 위상 측정부, TEG 회전자 속도(ωrm, mechanical speed) 신호 생성부 그리고 TEG 계통 병입을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림. 3 EMTP/RV 시뮬레이션 모델

Fig. 3 EMTP/RV simulation test model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3.png

3.1.1 계통 병렬 연계 장치 모델

EMTP/RV의 “Table function with limiter” 모델을 활용하여 TEG의 회전자 속도 신호 발생기 모델을 구현한다. 해당 모델은 TEG의 회전자 속도가 동기속도(Synchronous speed)를 넘어 발전기 운전영역에서 정격 슬립인 –0.61%에 해당하는 379.295 rad/s에 도달하는데 3초가 소요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발전기 계통 병입 판정부는 EMTP/RV의 “Control function f(u) model”을 활용하여 TEG의 회전자 속도가 동기속도의 95%에 해당하는 358.141rad/s에 도달하는 경우 계통에 병입하기 위한 차단 신호를 3상 일괄 스위칭 기반의 GCB에 전달하도록 구현한다.

3.1.2 EMTP/RV ASM 초기화 방법 선정

EMTP/RV의 비동기(ASM; Asynchronous Machine Model) 모델의 초기화 방법은 “none”과 “정상상태(steady-state)” 선택사항이 있으며, 전자의 경우 초기화 조건 없이 TEG가 기동하는 방법이며, 후자의 경우 정상상태 계산치로부터 기동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화 선택사항에 따른 TEG의 고정자의 전기적 출력(Pe)과 토크(Teg) 출력 상태를 그림 4와 같이 도식화하고, 최종적으로 회전자 속도가 0에서 기동하도록 슬립 100%(ωrm=0)의 정상상태 조건을 선정하였다.

그림. 4 ASM 초기화 방법별 TEG 출력

Fig. 4 TEG output by initialization method of ASM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4.png

3.2 사례분석

3.3.1 TEG 계통병입 특성 검토

TEG 모델의 기본 속도-토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정지 상태에서 계통에 연계되는 상황을 모의하여 그림 5와 같이 TEG의 정상 전류(I1_Gen1A), 슬립, 토크, 전기적 출력을 도식화하였다. TEG 정상 전류 그래프에서 초기 기동 전류인 LRC는 약 450%이며, 3초 이후 정격 출력 상태에서 1p.u.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슬립은 1p.u.에서 시작하여, 3초 이후 정격 슬립인 –0.61%를 유지하였다. 토크와 전기적 출력은 전형적인 유도기 특성을 보여주며, 토크 그래프에서 3초 이후 정격 출력 조건에서 토크는 4,740kNm이며, 기동토크는 582kNm, 정동토크는 6,750kNm로 분석된다.

그림. 5 TEG의 계통 연계에 따른 모의 결과 (ωrm = 0)

Fig. 5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grid connection of TEG (ωrm = 0)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5.png

발전기의 과도 진동 억제를 위해 TEG의 회전자 속도가 동기 속도의 95%가 되는 시점에 계통에 병입되는 경우 모선 전압, 주파수, 무효전력, 회전자 전류의 모의 해석 결과는 그림 6과 같이 나타내었다. 모선 전압 그래프는 한전 변전소, 고압 모선, 저압 모선의 정상 전압(V1_SSV1, V1_HVV1, V1_LVV1)을 중첩한 것으로 계통 병입 시점인 3초에 모든 모선전압은 순시전압강하가 발생하며, 이후 안정화된 전압으로 회복된다. 순시전압강하에 의한 하한값은 저압모선에서 0.8061p.u.로 저전압 계전기의 설정값이 80%인 경우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주파수 변동은 병입 시점에 최대 0.146Hz이며, 병입 전후 안정화된 주파수는 60Hz로 허용범위인 ±0.2Hz를 만족하였다. 무효전력 그래프는 승압용 변압기 2차 측(PQgen)과 인입케이블 말단(PQmain)의 PQ 프로브를 통해 출력된 결과를 중첩하여 나타낸 것으로, 계통 병입 시점에 TEG는 최대 6.31MVar의 무효전력을 공급받으며, 이후 안정화되어 940kVar만을 계통으로부터 공급받는다. 계통 병입에 따라 TEG는 회전자계 생성을 위한 무효전력을 단시간에 흡수하며, 이는 고정자 전류의 급속한 증가를 의미한다. 그림 6의 고정자 전류 그래프는 각 상의 순시 상전류(ias, ibs, ics)를 중첩한 것으로, 병입 시점인 3초 전후에 각 상의 전류는 0A에서 최대 21.6kA(b상)까지 증가하며, 이후 안정화된 전류는 3.53kA를 유지한다.

그림. 6 TEG의 계통 연계에 따른 모의 결과 (ωrm = ωN × 95%)

Fig. 6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grid connection of TEG (ωrm = ωN × 95%)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6.png

3.3.2 무효전력 보상설비 검토

발전기가 접속되는 모선에 적정 용량의 무효전력 보상설비인 분로 커패시터(Sh.C, Shunt capacitor)를 투입하여 농형 유도발전기의 기동 시 발생하는 전압강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TEG 사양(정격출력 1,600kW, 역률 : 0.9p.u.)을 기준으로 역률 1p.u.를 유지하기 위한 이론적 무효전력 보상량(775kVar, 0.24983Ω)과 직렬 리액터 용량(보상설비용량의 4%, 0.00999Ω)을 산정하였다. 표 6은 계통 연계 직후 커패시터 뱅크 투입에 따른 전압 및 전압변동률을 보여준다. 상시 및 순시전압변동률은 커패시터 뱅크 투입과 무관하게 표 5의 전압 변동 허용 범위를 만족하며, 커패시터 투입에 따라 전압변동률은 개선되었다.

표 6 커패시터 뱅크 투입 전후 전압 변동 개선 효과

Table 6 Voltage profile before and after Sh.C energization

Bus

before Sh.C energization

After Sh.C energization

Voltage [p.u.]

Voltage drop [%]

Voltage [p.u.]

Voltage drop [%]

V1

V2

Vmin

Δnorm

Δinst

V1

V2

Vnorm

Δnorm

Δinst

S/S

1.0454

1.0422

1.0216

0.0032

0.0228

1.0454

1.0449

1.0233

0.0005

0.0211

HV

1.0421

1.0403

0.9860

0.0018

0.0538

1.0421

1.0462

0.9896

-0.0041

0.0504

LV

1.0421

1.0243

0.8061

0.0178

0.2265

1.0421

1.0499

0.8223

-0.0078

0.2109

3.3.3 3상 단락사고 발생 시 과도특성 분석

배전계통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고유형은 1선 지락이나, TEG의 과도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해당 전력계통의 안정도 측면에서 최악의 조건인 3상 단락사고를 가정하였다. 이 경우 사고가 제거되기 까지 3상 전압은 0으로 유지되며, TEG 및 전원측으로부터 사고지점에 고장 전류가 모이게 된다. 3상 사고는 4.01초에 발생하여 3주기 동안 지속되다가 제거된다. TEG가 계통 연계 운전 이후 3상 사고 발생에 따른 영향은 그림 7과 같이 모선 전압, 전류, TEG 토크 및 고장자 전류 측면에서 나타낸다. 모선 전압은 변전소(V1_SSV1), PCC 후단(V1_HVV1) 및 승압용 변압기 2차 측(V1_LVV1)의 정상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며, 3상 사고 발생 시점에 저압 모선의 전압(three-phase voltage dip)은 순간적으로 0.3 p.u.(LV)까지 강하되었다가 정상 전압으로 회복된다. GCB 전・후단의 정상 전류(I1_Gen1B, I1_Gen1A)와 사고 전류(I1_DEV1/Fault1)를 중첩한 그래프에서 TEG 정상운전 조건에서 전류는 1,096A이며, 3상 사고 발생 동안 최대 사고 전류는 21.3kA이며, 전원 측으로 부터 최대 15kA, TEG로부터 최대 6.26kA가 유입된다. TEG의 고정자 각 상의 순시 전류(ias, ibs, ics)를 중첩한 그래프에서 사고 발생 기간 중 전류의 최대 변동은 a상에서 –32.09kA로 나타났다. TEG 토크 출력은 계통 병입 후 –4.98kNm으로 안정화 되었다가, 3상 사고 발생 기간 동안 최대 6.62kNm, 최소 29.9kNm으로 변동되며, 사고 제거 이후 다시 –4.98kNm으로 안정화된 토크를 출력한다.

그림. 7 발전기 단자의 3상 단락 사고 발생 시 모의 결과

Fig. 7 The simulation results during a bolted three-phase fault at generator terminals

../../Resources/kiee/KIEE.2022.71.5.708/fig7.png

4.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천연가스 정압소에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설치 중인 터보팽창형 유도발전기(TEG)의 전력계통 연계 시 발생 가능한 순시전압강하 문제를 모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계통 병입조건, 무효전력 보상효과, 단락사고 조건 등을 고려한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6MW급 TEG를 포함한 전력계통과 제어/측정부를 포함한 과도 해석 모델을 EMTP/RV를 활용하여 구현하고, 시계열 해석을 수행하였다. 모의 해석 결과 계통 연계 시 순시전압강하에 따른 전압 변동은 허용범위인 상시/순시 변동률을 만족하였으며, 주파수 허용범위 또한 만족하였다. 역률 개선을 위해 무효전력 보상 설비를 추가하는 조건에서 전압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설치 효과가 미미하여 무효전력 보상설비의 추가하지 않는 연계 방안이 합리적일 것이라 판단된다. 추후 TEG 실증 운전 데이터 확보 후 시뮬레이션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하고, TEG 발전기 운전방식 변경, 능동형 무효전력 보상, LNG 수급유량의 가변성을 고려한 터빈, 노즐 시스템 모델 구현 및 사례 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by supported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under Grant 20193510100040.

References

1 
Jong-Man Ha, Seong-Ho Hong, Hyun-Seok You, Kyung -Chun Kim, June 2012, Turbo Expander Power Generation Using Pressure Drop at Valve Station in Natural Gas Transportation Pipeli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6, No. 3, pp. 1-7DOI
2 
H. Daneshi, H. Khorashadi Zadeh, A. Lotfjou Choobari, July 2008, Turbo-expander as a distributed generators, In Proceedings of the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 Conversion and Delivery of Electrical Energy in the 21st Century, Pittsburgh, PA, USA, pp. 1-7Google Search
3 
T. karymian, B. Noshad, M.R. Taherykhani, H.R. Seriyasat, H. Zamany, September 2014, Turbo Expander Driven Induction Generator Power Quality Improvement Using Fuzzy-PI Controlled STATCOM, Journal of Applied Science and Agriculture, Vol. 9, No. 14, pp. 16-27Google Search
4 
Hyoungtae Kim, Hyunsuk Yoo, Kyoungshik Choi, Jinwook Kim, Iloh Kang, Sojin Park, Sangwook Han, December 2020, A Study on Power System Connection of Turbo Expander Generat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p, No. 4, pp. 207-213Google Search
5 
Jong-Gyeum Kim, Young-Jeen Park, Il-Jung Kim, Young-Kuk Kim, December 2011, Characteristics Analysis of Induction Generator with a Change in Rotor Speed,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12, pp. 2225-2229DOI
6 
Young-Kuk Kim, Jong-Gyeum Kim, May 2013, A Study on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of Induction Generator in the Small Hydropower Plan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5, pp. 632-638DOI
7 
Jong-Gyeum Kim, June 2014, Analysis for Voltage Fluctuation and Power Flow at the Grid-Connected Time of Squirrel-Cage Induction Generat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8, No. 6, pp. 45-51DOI
8 
Jong-Gyeum Kim, June 2015, A Study on the Voltage Drop of Induction Generator along the Rotor Shap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 No. 2, pp. 62-66DOI
9 
Mehdi Taleshian Jelodar, Hasan Rastegar, Hossein Askarian Abyaneh, January 2013, Modeling turbo-expander systems, Transactions of the Society for Modeling and Simulation International, pp. 1-15DOI
10 
Mohammadali Norouzi, Matti Lehtonen, October 2019, Providing Fault Ride-Through Capability of Turbo-Expander in a Thermal Power Plant, Energies, Vol. 12, No. 21, pp. 1-19DOI
11 
Mehdi Babaei Turkemani, Hassan Rastegar, August 2009, Modular modeling of turbo-expander driven generators for power system studies, IEEJ Trans. Electr. Electron. Eng., Vol. 4, No. 5, pp. 645-653DOI
12 
Dragan Ristanovic, Matt Taher, Neeraj Bhatia, November/December 2020, Turbo- Expander Generators for Supplemental Power Generation in LNG Liquefaction Plants, IEEE Trans. Ind. Appl., Vol. 56, No. 6, pp. 6094-6103DOI
13 
Mehdi Taleshian, Hasan Rastegar, Hossein Askarian Abyaneh, 2012, Modeling and Power Quality Improvement of Grid Connected Induction Generators Driven by 1Turbo-Expan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 2, No. 4, pp. 131-137Google Search
14 
Sojin Park, Hyoungtae Kim, Jinwook Kim, Iloh Kang, Hyunsuk Yoo, Kyoungshik Choi, October 2020, A Basic Design of Multi Energy Hub Based on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Transactions of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31, No. 5, pp. 405-410DOI
15 
J.C. Das, 2010, Transients in Electrical Systems: Analysis, Recognition, and Mitigation, 1st Edition, NewYork, McGraw Hill, pp. 265-291Google Search
16 
Korea Energy Agency, 2003, Chapter 4. Components, In the Cogeneration technology guidebook, Retrieved from http://www.beco.or.kr/kor/ajx_json/UploadMgr/download Run.do?qcode=Qm9hcmQsMTI5MyxZGoogle Search
17 
Seung-Ho Song, Eel-Hwan Kim, Byung-Moon Han, 2003,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grid interaction of wind turbine generator,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8, No. 6, pp. 21-27Google Search
18 
Powersys solutions, 2020, EMTP® Device, Retrieved from http://www.emtp.com/documents/EMTP%20Documentation /doc/asynchronous_machine/Asynchronous_machine.pdfGoogle Search
19 
Distribution Planning Department of KEPCO, 2021, echnical Standards for Connecting Distribution System to Distributed Power,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trieved from http://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H/C/CYHCHP 00801.jspGoogle Search
20 
Il-Jung Kim, Jong-Gyeum Kim, March 2018, Voltage Drop Reduction on Inrush Current during Grid Interconnection of Induction Generators installed in Thermal Power Plants, New & Renewable Energy, Vol. 14, No. 1, pp. 41-47Google Search
21 
IEEE Std 1547.2-2008 WG, 2008, IEEE Standard for Interconnecting Distributed Resources with Electric Power Systems, New York, pp. 1-207Google Search

저자소개

정기석(Ki-Seok Jeong)
../../Resources/kiee/KIEE.2022.71.5.708/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08, 2010 and 2014, respectively.

From 2014 to 2016, he performed postdoctoral research a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From 2016 to 2021, He was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in Power Technology Institute of KEPCO E&C since 2021.

E-mail : jksowl@kepco-enc.com

정태영 (Tae-Young Jyung)
../../Resources/kiee/KIEE.2022.71.5.708/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04, 2006 and 201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senior researcher in Power Technology Institute of KEPCO E&C since 2011.

E-mail : tyjyung@kepco-e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