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Piezoelectric transformer, Short circuit protection, Rosen type, Short accident, Resonance frequency

1. 서 론

전기 시스템 동작 중 단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 과전류로 인한 소자 파손,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차단기 동작을 위해 20~30A가량의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면 시스템 온도 증가, 아크에 의한 화재 발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시스템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단락 보호 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개발된 시스템을 살펴보면 과전류 제한 회로와 릴레이를 결합한 시스템이 개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릴레이를 적용한 단락 사고 방지 회로는 릴레이 소자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단락 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릴레이가 동작했을 때 buzzer와 lamp가 동작하여 단락 사고를 인지할 수 있으며 접점 변화를 통해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간단한 회로 구성을 통해 단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용량의 시스템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해 부하 저항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출 수 없어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기 때문에 용량이 제한된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릴레이에 의한 용량 제한을 완화 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전 소자를 적용한 단락 사고 보호 기술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압전 소자를 활용하여 용량 제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락 시 압전 소자로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보호 시스템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과 분석을 하고자 한다.

2. 압전 소자 특성

2.1 압전 현상 및 압전 소자 특성 분석

압전 소자란 응력 혹은 장력을 가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전압을 가함으로써 소자의 변형을 통해 기계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소자이다. 압전 소자는 2가지 압전 효과를 가지는데 첫 번째 효과는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직접 효과, 두 번째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역효과이다.

압전 소자는 형상에 따라 상하 진동 혹은 좌우 진동이 발생한다. 압전 소자의 두께, 높이, 반경, 분극 방향 등에 의해 진동 모드가 변경된다. 다양한 파라미터에 의해 압전 소자의 진동 모드가 결정되며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는 입력 전원의 전압과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특정 주파수에서 강한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를 공진 주파수라 한다. 일반적으로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임피던스에 의한 영향이 현저히 줄어들어 출력이 높게 나타나며 반 공진 주파수 부근에서 임피던스에 의한 영향이 급격히 증가하여 출력이 낮아진다. 압전 소자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와 출력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압전 소자의 전기적 등가회로 모델링이 필요하다.

압전 소자의 등가회로 모델은 직렬 공진 및 병렬 공진에서 전기-기계 특성을 고려한 모델인 BVD(Butterworth-Van-Dyke) 등가 모델을 주로 사용한다. 압전 소자의 전국판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은 damping capacity라고 부르며 압전 소자의 기계적인 성분을 전기적 등가회로로 모델링 시 R, L, C로 표현할 수 있다. R은 기계 진동에 의한 손실에 비례하는 값이며 C, L은 질량과 탄성력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값이다. 이러한 등가회로 모델을 통해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계산할 수 있다.

2.2 압전 변압기 형상 및 등가회로

다양한 압전 소자 중 압전 변압기는 입력 커패시터에 의한 고조파 제거 및 승압비에 따른 출력 전압 검출에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압전 변압기의 특성 및 등가회로를 분석하여 단락 보호회로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압전 변압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압전 직접 효과와 압전 역효과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 일반 압전 소자와 다른 형상을 가진다.

그림. 1. 압전 변압기 형상

Fig. 1. Shape of piezoelectric transformer(PZT)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png

그림. 2. 압전 변압기 에너지 변환

Fig. 2. Piezoelectric transformer energy conversion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2.png

압전 변압기의 구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교류 전압을 압전 변압기 1차측에 인가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압전 역효과에 의해 얻은 기계에너지는 압전 변압기 2차측에 전달되어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압전 직접 효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압전 변압기의 내부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변압비에 따라 전압이 승압 혹은 강압되어 출력된다. 권선형 변압기와 비교하였을 때 권선이 필요하지 않아 자기 손실이 없어 효율이 높고 크기가 작아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압전 변압기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2가지의 압전 소자가 물리적으로 결합한 형태이다.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압전 변압기가 존재하며 형상에 따라 압전 소자의 분극 방향과 진동 방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압전 변압기의 전기적 등가회로는 권선형 변압기와 유사하게 모델링된다. 압전 변압기의 세부적인 기능에 따라 전달부, 결합부, 수신부로 구분되며 입력 주파수와 승압비에 따라 출력 전압이 결정된다. 변압기의 1차측에 교류 전원 인가 시 전기에너지가 기계에너지로 변환되어 진동이 발생한다. 진동은 입력 교류의 크기 및 주파수, 압전 소자의 길이 등에 비례하여 발생하며 진동이 생성되는 부분을 전달부라 한다.

그림. 3. Rosen type 압전 변압기

Fig. 3. Rosen type piezoelectric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3.png

그림. 4. 두께 진동 타입, 방사형 진동 타입 압전 변압기

Fig. 4. Thickness vibration type, radial vibration type PZT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4.png

그림. 5. 압전 변압기 등가회로

Fig. 5. Piezoelectric transformer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5.png

전달부에 의해 발생한 진동은 변압기의 2차측으로 전달되는데 1차측과 2차측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진동이 전달된다. 진동이 전달되는 면을 결합부라고 하며 결합부에 의해서 전달된 진동은 2차측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압전 직접 효과에 의해 진동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출력되는 전압은 압전 변압기의 파라미터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한다. 압전 소자의 파라미터에 따라 출력 전압의 크기가 결정되며 권선 변압기의 권선비와 매칭된다.

압전 변압기 등가회로에 표현된 파라미터는 기존 압전 소자의 파라미터를 모델링 한 것과 같으며 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1)
$C_{"\in "}=\dfrac{d_{31}^{2}}{k_{31}\bullet s_{11}}\bullet(1-k_{31}^{2})(W\bullet l /t)$

(2)
$C_{out}=\dfrac{d_{31}^{2}}{k_{31}\bullet s_{11}}(1-k_{33}^{2})(W\bullet t/l)$

(3)
$R_{1}=l\bullet w_{r}/Q$

(4)
$L_{1}=\dfrac{1}{C_{1}\bullet w_{r}^{2}}$

(5)
$C_{1}=4\bullet k_{33}^{2}/\pi^{2}\bullet C_{out}$

(6)
$n=\dfrac{4}{\pi^{2}}\bullet\dfrac{d_{31}\bullet g_{33}}{s}\bullet\dfrac{t}{l}\bullet Q$

여기서 $w_{r}$은 압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하며 Q는 압전 변압기의 기계적 품질 계수를 의미한다. $k$는 전기기계 결합계수, $d$와$g$는 압전 상수, $s$는 Elastic 상수로 탄성력을 의미하며 압전 변압기의 전계 방향, 세기, 전속 밀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압전 변압기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계수와 공진 주파수, 압전 변압기의 크기에 따라 전기적인 파라미터가 결정되는 것을 위의 식을 통해 알 수 있다.

3.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

3.1 Rosen type 압전 변압기 시뮬레이션을 통한 임피던스 분석

다양한 형상의 압전 변압기가 존재하지만,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Rosen type 압전 변압기 중 가장 기본적인 Single- layer type의 압전 변압기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실제 Single-layer type 압전 변압기 제품의 파라미터를 적용한 등가회로를 MATLAB Simulink를 활용하여 임피던스 변화와 공진 주파수를 분석하였다. 제품에 명시된 공진 주파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공진 주파수를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회로 설계 시 고려하고자 한다. MATLAB Simulink를 활용하여 압전 변압기의 등가회로를 구성하고 제품의 파라미터를 참고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후 이를 통해 압전 변압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림 5의 압전 변압기 등가회로 모델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압전 변압기의 1차측 전압/전류, 2차측 전압/전류를 분석하였고 임피던스 분석을 통하여 압전 변압기의 입력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분석하여 공진 주파수를 확인하였다.

표 1. Single-layer type 압전 변압기 파라미터

Table 1. Single-layer type PZT parameter

Parameter

Value

$R_{1}$

30[Ω]

$L_{1}$

102[mH]

$C_{1}$

45[pF]

$C_{"\in "}$

1250[pF]

$C_{out}$

16[pF]

$N_{1}/N_{2}$

1/8

표 2. Single-layer type 압전 변압기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2. Single-layer type PZT simulation result

$v_{1}$[V]

$v_{2}$[V]

$i_{1}$[mA]

$i_{2}$[mA]

Value

73.81V

589.4V

33.9mA

4.237mA

표 3. Single-layer type 압전 변압기 상세 스펙

Table 3. Single-layer type detail specification

Single-layer type detail specification

voltage step up ratio

8

Natural Resonance frequency

71.5kHz±2kHz

Working Resonant frequency

71.5kHz±2kHz

Max. Input rated voltage

140 $V_{rms}$

Max. Output rated voltage

2500 $V_{rms}$

Max. Output rated power

12W

Single-layer type 압전 변압기의 파라미터를 참고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제품의 상세 스펙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입력 전압 주파수가 제품에 명시된 공진 주파수일 때, 임피던스 매칭에 의해 전압 감쇄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전압이 많이 감소하였고 임피던스 분석을 통해 압전 변압기 등가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실제 공진 주파수 간에 약 2.8㎑ 정도의 공진 주파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제품과 시뮬레이션 간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원인은 등가회로 모델링 방식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압전 변압기는 동작 시 진동이 발생하며 진동에 대한 모델링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진동에 대한 상세한 모델링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진동에 대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등가회로를 통해 임피던스 변화 경향을 분석할 수 있어 진동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였다.

그림. 6. 압전 변압기 공진 주파수 측정을 위한 MATLAB 시뮬레이션

Fig. 6. MATLAB simulation for measuring PZT resonant frequency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6.png

그림. 7.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한 압전 변압기 공진 주파수 분석

Fig. 7. Analysis of PZT resonant frequency with MATLAB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7.png

3.2 단락 사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부하 전류 변화 분석

단락 사고 발생 시 압전 변압기 유무에 따른 부하 전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임의로 단락 사고를 모의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1㏀, 0.001Ω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단락 사고 이전에는 1㏀ 저항을 통해 전류가 흐르며 단락 사고 발생 시 0.001Ω 저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마치 단락 사고가 발생한 것처럼 모의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단락 사고 발생 시 부하의 전류는 급증하고 전압은 급감한다. 압전 변압기의 입력이 급감할 때 압전 변압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를 관측하고 압전 변압기 유무에 따른 부하 출력 전류 및 전압의 차이에 대하여 관측하고 압전 변압기를 통해 단락 사고 발생 신호 감지 및 단락 사고 방지 회로 구현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8. 단락 사고 발생 시 압전 변압기 출력 분석을 위한 MATLAB 시뮬레이션 회로

Fig. 8. MATLAB simulation circuit for PZT output analysis in case of short-circuit fault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8.png

압전 변압기 입력단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는 단락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의 전류이며 전류의 고조파 성분이 제거되면서 압전 변압기 입력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한다. 이를 통해 압전 변압기가 단락 사고 시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를 필터링하고 고조파 전류 감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압전 변압기로 인해 고조파 전류가 감쇄되어 부하 전류가 급격히 상승하지 않고 완만하게 상승하는 것을 그림 9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압전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락 사고가 발생했을 때 고조파가 포함된 전류가 부하에 흐르면서 전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그림 9의 (c)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9. 단락 시 압전 변압기 입력 커패시터 전류 및 압전 변압기 유무에 따른 부하 전류

Fig. 9. Piezoelectric transformer input capacitor current in case of short circuit and load current with and without piezoelectric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9_1.png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9_2.png

3.3 동작 실험 및 결과

시스템에 압전 변압기를 적용하였을 때 실제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정상적으로 전압을 공급받지만, 단락 사고 발생 시 전압이 급격히 감소한다. 실제 단락 사고 발생 상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얻었고 VA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하였다. 단락 사고 발생 시 부하의 전압은 급감하기 때문에 압전 변압기의 입력이 차단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VA의 전원을 차단하여 압전 변압기의 입력이 차단되었을 때 압전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여 단락 사고 발생 시 압전 변압기의 출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MATLAB Simulink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락 사고 시 압전 변압기의 2차측 출력 전압을 분석하면 그림 10과 같다.

그림. 10. 단락 사고 발생 시 압전 변압기 2차측 출력 전압 변화

Fig. 10. Piezoelectric transformer secondary output voltage change in case of short circuit accident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0.png

단락 사고 발생 시 전압의 위상에 따라 서지 전압의 크기가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 발생 지점을 총 6가지로 나누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단락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입력 전압의 주파수가 60㎐로 공진 주파수와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압이 감쇄된다. 그로 인해 단락 사고 발생 이전에 낮은 전압이 출력되며 단락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발생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출력된 후 진동을 일으키며 서서히 감소한다. 단락 사고가 발생하여 입력 전압이 급격히 낮아질 때 생성되는 고조파에 의해 공진이 발생하고 단락 사고 발생 시 입력 전압의 전위차에 비례하여 서지 전압이 형성된다. 출력 전압의 크기는 입력 전압과 부하 저항값 등에 따라 변경된다. 부하 저항과 입력 전압 및 주파수, 차단 시 입력 전압의 위상 등에 따라 압전 변압기의 출력은 다양하게 변화하는데 이를 활용하여 단락 보호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차단 시 압전 변압기의 출력 전압을 고려하여 단락 감지 전압을 설정하고 단락 감지 전압 이상으로 전압이 상승하였을 때 단락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감지하고 시스템으로 과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면 압전 소자만을 이용하여 단락 사고 방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 2V를 단락 감지 전압으로 설정하였을 때 단락 감지 시간은 약 1.53㎲로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전압 감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단시간에 단락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단락 사고가 감지되었을 때 주변 회로를 구성하여 단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비교기 등의 소자를 활용하여 보호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차단 시간, 내압 등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림. 11. 압전 변압기 실험 구성

Fig. 11. PZT experimental configuration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1.png

MATLAB Simulink에서 진행한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VA를 활용하여 압전 변압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VA를 활용하여 압전 변압기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그림 11과 같이 실험 환경을 구성하였으며 VA와 차단기를 연결하고 압전 변압기 1차측과 차단기를 연결하여 교류 전원이 압전 변압기에 공급되도록 구성하였고 압전 변압기의 2차측은 부하 저항과 프로브를 연결하여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파형을 분석하였다. VA의 출력을 차단하였을 때 압전 변압기의 출력 전압과 MATLAB 시뮬레이션 파형을 비교하여 실제 실험과 시뮬레이션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림. 12. 단락 시 입력 전압 위상에 따른 압전 변압기 2차측 출력 전압

Fig. 12. Output voltage of secondary side of PZT according to input voltage phase in case of short circuit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2_1.png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2_2.png

그림. 13. 반복 실험을 통한 압전 변압기 출력 전압 시간 측정

Fig. 13. Measurement of piezoelectric transformer output voltage detection time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3_1.png

../../Resources/kiee/KIEE.2022.71.7.979/fig13_2.png

위의 실험을 통해 얻은 실험 결과는 그림 13과 같다. 단락 사고가 발생했을 때 출력 전압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빠르게 감쇄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실험을 통한 출력 전압값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출력 전압값 사이에 차이가 있지만, 이는 완벽한 등가회로 모델링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 단락 시 서지 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활용하여 단락 사고 검출 전압 크기를 설정하고 사고 발생 시 검출하는 시간을 파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약 50번의 반복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V 전압을 감지하는데 최소 17.4㎲, 최대 39.4㎲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100㎲ 이내에 전압 감지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하여 단락 사고 감지 및 보호 가능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기존의 릴레이와 과전류 보호회로를 적용한 시스템의 1㎳로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락 사고 시 발생하는 서지 전압과 설정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여 서지 전압이 감지되었을 때 비교기 혹은 AFE(Analog Front End)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를 통해 단락 사고를 보호할 수 있는 주변 회로를 구성하여 압전 변압기를 활용한 단락 사고 보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구성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압전 변압기의 출력 전압 파형이 시뮬레이션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짧은 시간 내에 단락 사고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단락 사고 보호회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압전 변압기를 활용할 수 있고 용량 제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락 사고 보호회로의 원리와 한계점을 소개하고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압전 변압기를 적용한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압전 변압기를 시스템에 적용하기 이전에 압전 소자가 가지는 기본적인 효과와 등가회로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압전 소자의 형상, 분극 방향, 반경, 높이 등 다양한 파라미터에 의하여 진동 방향과 공진 주파수가 결정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압전 변압기의 형상 및 등가회로에 대하여 파악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압전 변압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품에 명시된 공진 주파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공진 주파수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진동에 대한 모델링을 배제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임피던스 곡선은 압전 소자의 임피던스 곡선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압전 변압기의 임피던스 변화 경향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단락 사고를 모의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을 때 압전 변압기의 입력단 커패시터를 통해 고조파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입력단 커패시터를 통해 고조파가 제거되어 부하 전류가 급격하게 상승하지 않고 비교적 완만하게 상승하는 것을 시뮬레이션 파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압전 변압기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출력 전류 변화에 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압전 변압기를 단락 사고 보호회로에 적용하였을 때 고조파 필터 역할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단락 사고 시 압전 변압기의 2차측 출력 전압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단락 사고 이전에는 주파수에 의해 0V에 가까운 낮은 전압이 출력되지만, 단락 사고 발생 시 최대 10V의 서지 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압전 변압기 동작 실험에서는 사고 이전에 0V에 가까운 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단락 시 최대 100V 이상의 다소 높은 서지 전압이 검출되었다. 단락 사고 검출 전압을 ±2V로 설정하였을 때 시뮬레이션 상에서 검출 시간은 최대 2.3㎲, 실험에서는 최대 39.4㎲로 다소 차이가 존재했다. 시뮬레이션과 실험 간의 출력 전압과 검출 시간 차이가 있지만, 이는 실험 환경 차이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되며 100㎲ 이내에 서지 전압을 검출하는 데는 이상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단락 사고 검출 시간이 단축되고 시스템 사용 전력이 제한된다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어 더 좋은 성능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단락 사고 보호회로에 압전 변압기를 적용한다면 단락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할 수 있으며 단락 시 모든 구간에서 압전 변압기의 2차측 출력 전압 검출을 통해 단락 사고 보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서지 전압 크기, 시스템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비교기 혹은 AFE 등 아날로그 증폭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감지하고 전압이 감지되었을 때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는 회로를 구성한다면 기존의 릴레이를 활용한 단락 사고 보호회로의 단점인 용량 제한을 해결할 수 있고 압전 변압기의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21~2022.

References

1 
A. Othman, 2017, Modeling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embedded in soldier's boot using Matlab/Simulink,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litary Technologies (ICMT), pp. 787-792DOI
2 
Ehson Muhammad Syed, , Analysis and modeling of piezoelectric transformers.Google Search
3 
S. Niyomthai, A. Sangswang, S. Naetiladdanon, E. Mujjalinvimut, 2017, A predictive control of class E resonant inverter for ultrasonic cleaners, IECON 2017 - 43rd Annual Conference of the IEEE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pp. 6319-6324DOI
4 
Ray-Lee Lin, 2001, Piezoelectric transformer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nic ballast, Dis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Google Search
5 
Jina Kim, 2008, Electrical modeling of piezoelectric ceramics f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sensory systems., 2008 IEEE Sensors Applications Symposium. IEEEDOI
6 
Hyungjong So, Hyung Geun Ahn, Deuk-young Han, 1999, Basic theory of piezoelectric transformer,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Vol. 12, No. 5, pp. 1-6Google Search
7 
K. F. Kwok, 2004, General study on piezoelectric transformer, Proceedings. 2004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Systems and Applications, pp. 216-220Google Search
8 
A. Papoulis, 1991, Probability, Random Variables, and Stochastic Processes, 3rd Edition, New York:McGraw-HillGoogle Search
9 
J.M. Lee, S. Lee, J.R. Lee, H.S. Mok, 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Sized High Efficiency AC/DC Converter Using Piezoelectric Transformer, Trans. Korean Inst. Power Electron, Vol. 9, No. 2, pp. 171-177Google Search
10 
E. L. Horsley, M. P. Foster, D. A. Stone, 2007, State- of-the-art Piezoelectric Transformer technology, 2007 European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pp. 1-10DOI

저자소개

안종수(Jongsu An)
../../Resources/kiee/KIEE.2022.71.7.979/au1.png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20.

He is currently pursuing a M.S degree a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김태규(Taekue kim)
../../Resources/kiee/KIEE.2022.71.7.979/au2.png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06, 2008 and 2015.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a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곽군평(Gunpyoung Kwak)
../../Resources/kiee/KIEE.2022.71.7.979/au3.png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orm Korea University in 1982, 1985 and 1990.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