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Energy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Distributed Generation Capacity Planning, Renewable Energy, Energy Storage System, Reserve Deployment

1. 서 론

현재 국내에는 132 곳의 자가발전 도서지역이 존재하며 (1), 대부분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디젤발전을 이용한 전력생산으로 전력수요를 감당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탄소 중립과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자립 섬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의 증가로 기존 디젤발전 중심의 전원을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분산전원으로 전환하는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2-4).

에너지 자립 섬 분산전원의 주요 신재생에너지원은 풍력, 태양광으로서, 출력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고, 간헐적인 경향을 보여 전력시스템의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에 연계하여 출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5).

전력시스템의 예비력은 발전기의 불시고장, 예상하지 못한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발전용량으로, 전력시스템 운영 시 예비력 확보는 필수적이다 (6). 응답속도가 빠른 수력발전, 가스터빈발전 시스템 등이 예비력 공급에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ESS를 예비력 확보에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7,8).

신재생에너지와 ESS를 포함한 분산전원의 구성 및 용량은 전력생산비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제성 평가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 예로, 미국 국립재생에너지 연구소에서 개발된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포함된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에 활용되는 HOMER (Hybrid Optimization of Multiple Resources)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으며, 이 외에도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분산전원의 구성 및 용량 산정에 대한 많은 연구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논문 (5)에서는 재생에너지 사업자의 수익을 최대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의 최적 용량을 산정하였고, 발전원의 공급신뢰도 지수인 LOLE (Loss of Load Expectation)와 전력망에 의한 전력손실을 최소로 하는 분산전원의 최적 용량을 산정하는 연구가 발표되기도 하였다 (9). 또한, 부조일로 인한 정전시간의 계통 신뢰도 (10), 이산화탄소의 배출 저감에 따른 외부비용 (4) 등을 분산전원 설치 및 운영비용과 함께 고려한 분산전원의 최적용량 산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유인도서지역을 대상으로 건설, 운영비용을 최소로 하는 풍력, 태양광 발전시설 및 ESS를 포함한 분산전원의 최적용량을 산정한다.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적화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고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비율과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정책을 적용할 때 최적 분산전원 믹스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또한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최적 전원믹스에는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이 연구를 통해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 최적의 분산전원 믹스를 도출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분산전원의 구성에 따른 비용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 및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목표량의 차등 설정으로 인한 분산전원의 구성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2. 분산전원의 구성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전라남도의 유인도서 지역 중 하나인 A 섬으로 선정하였고, 적용된 분산전원의 모델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천연가스와 디젤을 사용하는 화석연료 발전기, 태양광 및 풍력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기, ESS, 부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 분산전원 구성도

Fig. 1. Structure of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1.png

ESS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에 연계되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전력을 통해서만 충전이 가능하도록 모델링 되었고, 화석연료 발전기의 출력 전력은 ESS를 충전할 수 없다. 즉,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발전된 전력은 전력망으로 유입되거나, ESS를 충전할 수 있고, ESS에 저장된 에너지는 필요한 시기에 방전되어 부하공급에 이용될 수 있다.

2.1 부하패턴

A 섬은 약 8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마을로서,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의 기간 동안 최대부하전력은 1536.31 kW이다. 1시간 간격의 부하전력 데이터를 해당 기간 동안 수집하여 분산전원 용량선정을 위한 최적화 모델의 부하패턴으로 사용하였다 (11). 일부 이상치가 관찰되거나, 값이 누락된 부하자료에 대해 선형보간법을 이용하여 오류를 보정하였으며, 수정된 A 섬의 24시간 동안 평균 부하전력패턴은 그림 2에 나타내었다.

그림. 2. A 섬의 부하전력패턴

Fig. 2. Electric load pattern for island A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2.png

2.2 발전원 특성

분산전원을 구성하는 발전원들의 데이터는 표 1과 같으며 비용 및 $CO_{2}$ 배출량은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 공개된 자료를 참조하였다 (12,13). ESS의 종합 효율은 95%로, 충전 상태 (State of Charge, SOC)는 10%-90%로 설정하였으며, ESS의 시간당 방전량은 1516 kWh로 가정하였다.

표 1. 분산전원의 상세 내역

Table 1. Specific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Technology

Capacity (kW)

EA

Capital Cost

($/kW)

Operation Cost

($/kWh)

$CO_{2}$ Emission

(kg/kWh)

Natural gas turbine

1210

1

2075

0.0108

0.613

Natural gas engine

1200

1

2469

0.0147

0.536

Diesel

350

2

2614

0.0191

0.637

PV systems

100

-

2799

-

-

Wind

100

-

2930

-

-

ESS

1516

4

2402

0.0002

-

본 연구에 사용되는 전력시스템 구성에서 신재생에너지를 대표하는 태양광, 풍력은 날씨 등의 외부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상청이 제공하는 해당 지역의 기온, 일사량, 일조시간, 풍속 데이터를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였다 (14).

태양광 모듈의 발전량은 일사량 및 기온, 일조시간, 모듈의 효율 등에 의해 변화된다. 해당 조건들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식(1), (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모듈의 파라미터 값들은 한화큐셀의 태양광 모듈 자료를 이용하였다 (15,16). 정격 300 W의 태양광 모듈의 시간대별 평균 발전전력은 그림 3과 같다. 1년 동안의 동 모듈의 시간당 발전전력은 3장 수리모델에서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대비 발전비율 ($\alpha_{t}$) 계산에 사용된다.

(1)
$\eta_{i}=\left[1 - 0.0042(\dfrac{I}{18}+ T - 20)\right]\eta_{o}\eta_{i nv}$

(2)
$Po^{PV}= A I\eta_{i}$

\begin{align*} I : 태양복사조도(k W /m^{2})\\ T : 주위 온도(^{\circ} {C})\\ \eta_{i}: PV 시스템의 변환 효율\\ \eta_{o}: PV 셀의 효율\\ \eta_{i nv}: PV 시스템의 인버터 효율\\ Po^{PV}: PV 시스템의 출력(k W)\\ A : 패널의 면적(m^{2}) \end{align*}

그림. 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시간대별 평균 발전 전력

Fig. 3. Averaged hourly power generation of photovoltaic systems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3.png

그림. 4. 풍력 발전기의 시간대별 평균 발전 전력

Fig. 4. Averaged hourly power generation of wind turbines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4.png

논문의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풍력발전기는 SEOLTECH 사의 풍력터빈 특성을 적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시동풍속은 2.5 m/s, 정격풍속은 10 m/s, 타워 높이는 30 m 이다 (17).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풍속 값은 지상으로부터 10 m 높이에서 측정된 값으로, 풍력발전기의 타워높이에 맞춰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보정된 풍속 V [m/s] 및 아래 식(3)을 이용하여 타워 높이 30 m 인 풍력발전기의 출력을 계산할 수 있다 (18,19). 그림 4는 100 kW 풍력발전기의 시간대별 평균 발전전력을 나타낸다.

(3)
$P = 0.5\times\rho\times A\times C_{p}\times V^{3}\times N_{g}\times N_{b}$

\begin{align*} \rho : 공기 밀도(1.20 kg/m^{3}으로 가정)\\ A : 블레이드의 회전 면적(m^{2})\\ C_{p}: 성능 계수\\ N_{g}: 발전기의 효율\\ N_{b}: 기어박스의 효율\\ V : 풍속(m/s) \end{align*}

3. 최적 용량 산정을 위한 수리적 모델

분산전원의 최적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최적화 모델의 목적함수는 다음 식(4)와 같다.

(4)
\begin{align*} Min\sum_{c\in C}A_{c}x_{c}+\sum_{r\in R}A_{r}y_{r}+\sum_{j\in J}A_{j}e_{j}+ h[\sum_{t\in T}\sum_{i\in I}V_{i}P_{ti}\\ +\rho\sum_{t\in T}\sum_{j\in J}(P_{tj}^{ch}+ P_{tj}^{dch})+M\sum_{t\in T}\lambda_{t}+ N\nu] \end{align*}

모델의 전체 계획기간은 1년으로, 총 건설비용은 1년 동안 소요되는 비용으로 환산되었고, 운영비용은 1시간 간격으로 1년동안 계산되어 전체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결정변수를 찾도록 설계된 모델이다. 각 비용요소는 건설비용 ($A_{c}x_{c}$, $A_{r}y_{r}$, $A_{j}e_{j}$), 발전원들의 변동비만을 고려한 운영비용 ($V_{i}P_{ti}$), ESS의 운영비용 ($\rho P_{tj}^{ch}$, $\rho P_{tj}^{dch}$), 각 제약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부분에 대한 페널티 비용 ($M\lambda_{t}$, $N\nu$)이다.

각 발전기 및 부하공급 등에 관한 제약조건은 식(5) - (21)에 나타나 있다.

subject to

(5)
$\sum_{c\in C}P_{tc}+\sum_{r\in R}IP_{tr}+\sum_{j\in J}P_{tj}^{dch}+\lambda_{t}= D_{t},\:\forall t\in T$

(6)
$0\le x_{c}\le P_{c}^{\max},\:\forall c\in C$

(7)
$0\le y_{r}\le P_{r}^{\max},\:\forall r\in R$

(8)
$0\le P_{tc}\le x_{c},\:\forall t\in T,\:\forall c\in C$

(9)
$0\le P_{ts}\le\alpha_{t}y_{s},\:\forall t\in T,\:\forall s\in S$

(10)
$0\le P_{tw}\le\beta_{t}y_{w},\:\forall t\in T,\:\forall w\in W$

(11)
$0\le IP_{tr}\le P_{tr},\:\forall t\in T,\:\forall r\in R$

(12)
$\sum_{r\in R}P_{tr}=\sum_{r\in R}IP_{tr}+\sum_{j\in J}P_{tj}^{ch},\:\forall t\in T$

(13)
$0\le e_{j}\le P_{j}^{\max},\:\forall j\in J$

(14)
$0\le P_{tj}^{ch}\le e_{j},\:\forall t\in T ,\:\forall j\in J$

(15)
$0\le P_{tj}^{dch}\le e_{j},\:\forall t\in T ,\:\forall j\in J$

(16)
$E_{tj}= E_{(t-1)j}+ h(\eta_{j}P_{tj}^{ch}- P_{tj}^{dch}),\:\forall t\in T,\:\forall j\in J$

(17)
$SOC_{j}^{\min}e_{j}CR_{j}\le E_{tj}\le SOC_{j}^{\max}e_{j}CR_{j},\:\forall t\in T,\:\forall j\in J$

(18)
$0\le PR_{tc}+ P_{tc}\le x_{c},\:\forall t\in T,\:\forall c\in C$

(19)
$R_{t}\le\sum_{c\in C}PR_{tc},\:\forall t\in T$

(20)
$\sum_{t\in T}\sum_{r\in R}IP_{tr}+\sum_{t\in T}\sum_{j\in J}P_{tj}^{dch}+\nu\ge a\sum_{t\in T}(D_{t}-\lambda_{t})$

(21)
$h\sum_{t\in T}\sum_{i\in I}CE_{i}P_{ti}\le b TC$

집합

\begin{align*} i\in I : 모든 발전기\\ c\in C : 화석연료 발전기,\: C\subset I\\ r\in R : 신재생 발전기,\: R\subset I\\ s\in S : 태양광 발전기,\: S\subset R \end{align*}

\begin{align*} w\in W : 풍력 발전기,\: W\subset R\\ j\in J : 에너지저장장치,\:ESS\\ t\in T : 총 운영시간,\: T =\{1,\:2,\:3,\:\cdots ,\:8760\} \end{align*}

의사결정변수

\begin{align*} x_{c}: 화석연료 발전기의 건설 용량 변수(k W)\\ y_{r},\: y_{s},\: y_{w}: 신재생,\: 태양광,\: 풍력 발전기들의 건설 용량 변수(k W)\\ e_{j}: j번째 ESS의 건설 변수(k W)\\ P_{ti}: 시간 t에서 발전기 i의 발전량(k W)\\ IP_{tr}: 시간 t에서 신재생 발전기에서 계통으로 유입되는 전력(k W)\\ P_{tj}^{ch}: 시간 t에서 j번째 ESS의 충전량(k W)\\ P_{tj}^{dch}: 시간 t에서 j번째 ESS의 방전량(k W)\\ E_{tj}: 시간 t에서 j번째 ESS에 저장된 에너지(k Wh)\\ PR_{tc}: 시간 t에서 발전기 c의 예비력(k W)\\ PR_{tj}: 시간 t에서 j번째 ESS의 예비력(k W)\\ \lambda_{t}: 시간 t에서의 부하 차단(k W)\\ \nu :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에 대한 부족량(k W) \end{align*}

파라미터

\begin{align*} A_{c},\: A_{r},\: A_{j}: 화석연료 발전기,\: 신재생 발전기,\: ESS의 연간등가 \\ 건설 비용($/k W)\\ V_{i}: 발전기 i의 운영비용($/k Wh)\\ \rho : ESS의 운영비용($/k Wh)\\ h : 운영 시간(h)\\ D_{t}: 시간 t에서 전력 수요(k W)\\ P_{c}^{\max}: 화석연료 발전기의 최대 발전 용량(k W)\\ P_{r}^{\max}: 신재생 발전기의 최대 발전 용량(k W)\\ P_{j}^{\max}: j번째 ESS의 최대 정격 출력(k W)\\ \alpha_{t}: 시간 t에서 태양광 발전기의 용량대비 발전비율(\times 100\%)\\ \beta_{t}: 시간 t에서 풍력 발전기의 용량대비 발전비율(\times 100\%)\\ \eta_{j}: j번째 ESS의 종합 효율(\times 100\%)\\ CR_{j}: j번째 ESS의 충방전 주기(h)\\ SOC_{j}^{\min}: j번째 ESS의 최소충전상태(\times 100\%)\\ SOC_{j}^{\max}: j번째 ESS의 최대충전상태(\times 100\%)\\ R_{t}: 시간 t에서의 예비력(k W)\\ a :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비율(\times 100\%)\\ b :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times 100\%)\\ CE_{i}: 발전기 i의 이산화탄소 배출량(kg/k Wh)\\ TC : 기준 사례의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kg)\\ M : 시간 t에서의 부하 차단에 대한 페널티 비용($/k Wh)\\ N :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부족량에 대한 페널티 비용($/k Wh) \end{align*}

식(5)는 매 시간 발전전력,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력이 망에 유입되는 양, ESS의 방전 전력의 합이 전력수요와 같도록 한다. 여기서 $\lambda_{t}$는 발전전력의 부족으로 인한 부하차단을 나타낸다.

식(6), (7)은 화석연료 발전기,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의 최대 건설용량을 제약하는 조건이다. 풍력 발전기 설치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풍력발전의 최대 건설용량을 대상 지역 피크 부하의 두 배로 제한하였다.

식(8)-(10)은 화석연료 발전기, 태양광, 풍력 발전기의 설치용량에 따른 발전량의 제약을 나타낸다. 신재생에너지로부터 발전되어 망에 유입되는 전력은 식(11)에 의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넘지 못하도록 제약된다. ESS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에 연계되어 있으므로, 식(12)에 의해 계통으로 유입되는 전력과 ESS의 충전 전력의 합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과 같아진다.

ESS의 건설용량 제약은 식(13), 매 시간 충, 방전량의 제약은 식(14) 및 (15)에 의해 표현되었다. 시간 t에서 ESS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식(16)에 의해 충, 방전분 및 시간 t-1일 때 저장분의 합으로 표현되었고, 저장된 에너지 $E_{tj}$는 식(17)에 의해 최소, 최대 저장용량 범위 내에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예비력은 매 시간 부하의 15%로 설정하였고, 식(18), (19)는 화석연료 발전기만이 예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식(20), (21)은 각기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량을 제한하는 제약조건이다.

예비력을 화석연료 발전기와 ESS가 함께 공급하는 경우 식(15), (19)는 아래 식(22)-(24)로 대체된다. 또한, 시간 t에서 j번째 ESS의 예비력 $PR_{tj}$의 범위는 식(24)를 통해 제약된다.

(22)
$0\le P_{tj}^{dch}+ PR_{tj}\le e_{j},\:\forall t\in T ,\:\forall j\in J$

(23)
$R_{t}\le\sum_{c\in C}PR_{tc}+\sum_{j\in J}PR_{tj},\:\forall t\in T$

(24)
$0\le PR_{tj}\le SOC_{j}^{\max}e_{j}CR_{j},\:\forall t\in T ,\:\forall j\in J$

4. 사례 연구

전력분야에서 주로 적용되는 두 가지 정책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제약조건이 분산전원 최적 용량 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준사례, 사례 1, 사례 2로 나누어 최적용량을 산정하였다. 각 사례는 ESS가 예비력을 공급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로 다시 구분하여 분산전원 최적용량에 나타나는 변화를 함께 비교하였다. 최적화 수리모델의 해는 MATLAB R2020b를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각 사례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아래 4.1-4.3절에 기술하였다.

4.1 기준 사례

신재생에너지 발전 또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관련한 정책 조건을 설정하지 않고 최적 분산전원의 용량을 산정하여 그것을 기준 사례로 정하였다. 기준 사례에 대한 최적 분산전원 구성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와 ESS가 건설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젤 발전기는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이 타 발전기에 비해 높아 건설되지 않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406384.59의 총 비용이 발생하였다.

표 2. 기준 사례의 최적 분산전원 용량 (기준 사례)

Table 2. Optimal distributed generation capacity (Base case)

Technology

Installed Capacity (kW)

Natural gas turbine

1210

Natural gas engine

556.76

Diesel

0

Photovoltaic

0

Wind

0

ESS

0

4.2 사례 1 :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정책 적용

사례 1은 부하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부터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을 제약조건으로 적용한 경우이다. 해당 모델의 풍력, 태양광 발전기는 ESS와 연계되어 생산된 전력은 전력망으로 공급되거나, ESS에 저장되므로 망 유입전력 및 ESS 방전량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으로 고려하였다.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을 10%부터 50%까지 10%씩 증가시키면서 찾아낸 최적 분산전원 용량을 그림 5에 나타내었다.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이 30%보다 작을 때, ESS는 건설되지 않으며, 그 비율이 증가할수록 ESS의 건설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변동성이 크고, 발전량이 부하량 패턴과 일치하지 않아서 효용성이 감소되는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ESS가 보완하므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증가하면 ESS의 건설용량도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같은 조건에서, ESS가 예비력을 공급할 때 분산전원의 최적용량은 그림 6에 나타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기 및 ESS의 건설용량 증가에 따른 화석연료 발전기의 건설용량이 ESS가 예비력을 공급할 때 더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비력 공급을 위해 필요한 화석발전 용량이 ESS의 예비력 공급으로 인해 작아지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즉,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분산전원 구성에서 신재생에너지에 연계된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도록 하면, 화석연료 발전기의 용량이 더 작아진다.

그림. 5. ESS가 예비력 미공급 시 분산전원 최적용량 (사례 1)

Fig. 5. Optimal capacity of distributed generating units with different RPS rates when reserves are not deployed by ESSs (Case 1)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5.png

그림. 6. ESS가 예비력 공급 시 분산전원 최적용량 (사례 1)

Fig. 6. Optimal capacity of distributed generating units with different RPS rates when reserves are deployed by ESSs (Case 1)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6.png

표 3. RPS 비율에 따른 총 비용 (사례 1)

Table 3. Total costs with different RPS rates (Case 1)

RPS rates

Total costs when reserves are not deployed by ESSs ($)

Total costs when reserves are deployed by ESSs ($)

10%

645302.28

645302.28

20%

981627.32

981627.32

30%

1628533.53

1611884.13

40%

3256199.82

3246670.99

50%

5156544.63

5154499.45

그림. 7. ESS 충, 방전 횟수

Fig. 7. The number of ESS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7.png

비용을 포함한 총 비용이 표 3에 나타나 있다.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는 경우,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 구간 30–50%에서 ESS가 건설되고 예비력 확보를 위한 화석연료 발전기들의 건설용량이 감소하여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대비 총 비용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7은 1년 동안 ESS의 충, 방전 횟수를 나타내는데, 충전보다 방전횟수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짧은 시간동안 대량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방전이 다회에 걸쳐 나타나는 ESS의 운전특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이 증가하면서 방전횟수도 크게 증가하는데, ESS의 건설용량이 함께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4.3 사례 2 :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정책 적용

사례 2는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정책을 적용한 경우이다. 기준 사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을 10%부터 50%까지 10%씩 증가시킬 때 최적용량 변화를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지 않을 때와 공급할 때에 대해 그림 8그림 9에 나타내었다.

그림 8에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이 20%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 1936.93 M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 증가가 나타났고, 저감 비율이 30%에서 40%로 증가할 때, 3440.36 M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추가되었다. 사례1과 마찬가지로 ESS가 예비력을 공급할 때 화석연료 발전기의 용량감소

그림. 8. ESS가 예비력 미공급 시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비율에 따른 분산전원 최적용량 (사례 2)

Fig. 8. Optimal capacity of distributed generating units with different $CO_{2}$ emissions reduction rates when reserves are not deployed by ESSs (Case 2)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8.png

그림. 9. ESS가 예비력 공급 시 분산전원 최적용량 (사례 2)

Fig. 9. Optimal capacity of distributed generating units with different $CO_{2}$ emissions reduction rates when reserves are deployed by ESSs (Case 2)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9.png

표 4. $CO_{2}$ 배출 저감 비율에 따른 총 비용 (사례 2)

Table 4. Total costs with different $CO_{2}$ emissions reduction rates (Case 2)

$CO_{2}$ emissions reduction rates

Total costs when reserves are not deployed by ESSs ($)

Total costs when reserves are deployed by ESSs ($)

10%

435324.6

435324.6

20%

657970.94

657970.94

30%

1030600.93

1030600.93

40%

1873750.87

1837935.48

50%

3836891.29

3802808.63

가 나타나는데, 특히 저감 비율이 높을 때 kWh당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큰 천연가스 터빈의 최적 건설용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에 따른 총비용을 표 4에 나타내었다. ESS를 이용하여 예비력을 공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 대비 배출 저감 비율이 40%일 때 $35815.39, 50%일 때 $34082.66의 총 비용 감소가 나타난다. 화석연료 발전기의 예비력 공급 부담 감소로 인해 건설용량이 줄어들고 최종적으로 총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그림 10, 11은 사례 1, 사례 2에 대해 각 발전원 및 ESS로

그림. 10. 신재생공급의무비율 정책 적용 시 예비력 확보량 (사례 1)

Fig. 10. Reserve deployments when RPS is implemented (Case 1)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10.png

그림. 11.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정책 적용 시 예비력 확보량 (사례 2)

Fig. 11. Reserve deployments when $CO_{2}$ emissions reduction is implemented (Case 2)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fig11.png

부터 확보한 최적 예비력을 나타낸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을 적용한 사례 1에서는 대부분의 예비력을 천연가스 엔진으로 할당한다. 예비력은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여 확보되는 발전용량이므로 발전비용이 높은 천연가스 엔진을 주로 예비력 확보에 이용하였다.

반면, 사례 2에서는 이산화탄소 저감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가스 터빈의 예비력 할당이 증가한다. 천연가스 터빈은 kWh당 높은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나타내므로 이산화탄소 저감 목표가 있는 경우, 전력생산에 기여하는 것 보다는 예비력 확보에 이용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이 40%와 50%일 때, 각각 74.9%, 92.0%의 예비력을 ESS로부터 확보한다. 그 결과, 예비력 확보에 이용되는 화석연료 발전기의 건설용량이 크게 감소되고, 건설비용 또한 감소하여 효율적 시스템 구성이 가능해진다.

사례 2와 비교하여 사례 1에서는 ESS의 예비력 확보 비중이 낮다. 이것은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의 제약으로 인해 ESS가 예비력 확보에 이용되는 것보다 신재생에너지의 충, 방전에 이용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정책을 적용할 때,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와 연계된 ESS의 예비력 공급 여부에 따라 최적 분산전원 구성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에너지 자립섬의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 비율과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이 증가할수록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와 ESS의 건설비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무공급 비율 및 배출 저감 비율이 낮을 때, 신재생발전기는 건설되지 않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변동성을 완화시키는 ESS 또한 건설되지 않는다.

신재생 의무발전 비율 및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비율이 높을 때 ESS가 예비력을 공급하는 경우, 예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대비 화석연료 발전기의 건설용량이 감소하고 1년 동안의 운영 및 건설비용을 포함한 총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비율이 높을 때, ESS를 이용한 예비력 확보가 현저히 증가한다.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은 분산전원 구성 시 ESS를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와 함께 설치하고, 예비력을 ESS를 통해 공급하도록 운영하면 필요한 화력발전 용량이 감소하고 총 비용도 함께 감소하여 높은 ESS의 비용의 일부 상쇄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에 연계된 ESS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변동성 완화의 역할 뿐 아니라 예비력 공급원으로 이용될 경우 화석연료 발전기의 설치용량을 줄이는 긍정적 효과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높은 비용으로 인해 ESS의 설치와 이용에 제약이 있었던 만큼 향후 예비력 공급원으로 ESS가 사용된다면 화석연료 발전기의 건설용량이 줄어드는 효과로 인해 ESS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전원 모델의 경제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P;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NRF-2020R1A1064957)

References

1 
B. Kim, J. Jung, H. Kim, Y. Beum, J. Ryu, 2011, Economic Evaluation Between Diesel vs Renewable Energy for Remote Islands, Proceeding of 2011 KIEE Summer Conference, pp. 584-585Google Search
2 
B. Chang, C. Moon, Y. Chang, T. Park, M. Jeong, Nov 2015, A Study on Optimal Capacity Design of Renewable Combined Power System for Energy Self-Sufficient Islan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0, No. 11, pp. 1271-1276DOI
3 
M. Baek, S. Kim, 2016, A Pre-feasibility Study on the Promotion of Hybrid Power System in Ulleung Island,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ol. 53, No. 1, pp. 36-43Google Search
4 
J. Kwon, J. Kim, J. Kim, 2018, Optimization of an Eco-Friendly Energy System for an Isolated Island Considering CO2 External Cost,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ol. 55, No. 4, pp. 293-306DOI
5 
B. Kim, K. Kwag, T. H. Kim, H. Shin, W. Kim, 2021,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Optimal ESS Capacity Considering Resource Scheduling and Commitment, Trans. Korean Inst. Electr. Eng., Vol. 70, No. 3, pp. 447-456DOI
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June 2015., Power System Reliability and Electricity Quality Maintenance StandardGoogle Search
7 
N. Padmanabhan, M. Ahmed, K. Bhattacharya, Jan 2020,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in Energy and Reserve Markets, IEEE Trans. Power Syst., Vol. 35, No. 1, pp. 215-226DOI
8 
M. Habibi, V. Vahidinasab, J. Aghaei, B. Mohammadi-Ivatloo, Feb 2021, Assessment of Energy Storage Systems as a Reserve Provider in Stochastic Network Constrained Unit Commitment, IET Smart Grid, Vol. 4, No. 2, pp. 139-150DOI
9 
M. Na, J. Kim, 2019, Optimal Sizing and Location of Renewable Energies in a Microgrid, New & Renewable Energy, Vol. 15, No. 1, pp. 55-61Google Search
10 
J. Baek, S. Han, D. Kim, H. Lee, S. Cho, 2017, Optimal Sizing Method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for a Stand-alone Microgrid by Using Reliability-based Genetic Algorithm, Trans. Korean Inst. Electr. Eng., Vol. 66, No. 5, pp. 757-764DOI
11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https://bigdata.kepco.co.krGoogle Search
12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May 2020., Distributed Generation, Battery Storage, and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Characteristics and Costs in the Buildings and Industrial SectorGoogle Search
13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6, Carbon Dioxide Emissions CoefficientsGoogle Search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Data Service, https://data.kma.go.krGoogle Search
15 
Hanwha Q CELLS, Aug. 2020., Q.PEAK BFR-G4.4Google Search
16 
W. Muneer, K. Bhattacharya, C. A. Canizares, Nov 2011, Large-Scale Solar PV Investment Models, Tools, and Analysis: The Ontario Case, IEEE Trans. Power Syst., Vol. 26, No. 4, pp. 2547-2555DOI
17 
SeolTech,, May 2018., WindRose Ⅲ–100kW Turbine General SpecificationsGoogle Search
18 
G. M. Masters, 2004, Renewable and Efficient Electric Power Systems, John Wiley & Sons, Hoboken, NJGoogle Search
19 
B. Priyadharshini, V. Ganapathy, P. Sudhakara, 2020, An Optimal Model to Meet the Hourly Peak Demands of a Specific Region With Solar, Wind, and Grid Supplies, IEEE Access, Vol. 8, pp. 13179-13194DOI

저자소개

Sangwoo Park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au1.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nergy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22.

He is currently pursuing his M.S. degree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eejung Park
../../Resources/kiee/KIEE.2022.71.12.1731/au2.png

She received the B.E.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and the M.S.E.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X, USA, in 2008 and 2013, respectively.

She was a software engineer at SIEMENS, MN, USA, from 2014 to 2015 and a market application specialist at SIEMENS, Philippines in 2016.

She was an assistant professor at Wonkwang University from 2017 to 2019 and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School of Energy Engineering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