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Variable Renewable Source(VRS), Steady-State, Penetration Limit, Maximum Installed Capacity, Minimum Power Generation Constraint of Thermal Power Source, Power Output Variability

1. 서 론

전력계통의 운영은 요구되는 전력수요에 맞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발전기의 출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동기발전기가 전력계통 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정책으로 인해 전력계통 내의 동기발전원 비중이 감소하고, 반대로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30년까지 전력소비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2).

이처럼 전력계통 내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변동성 재생발전원은 시시각각 변하는 태양, 바람과 같은 기상조건에 의해 출력이 결정됨에 따라 원하는 수준으로 출력을 조정하는 것이 어렵고 출력변동성이 크며, 동기발전기와 달리 전력변환 장치 기반의 설비로 전력계통과 비동기되어 있어 계통관성에 대한 기여가 매우 적다. 이러한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전력계통 수용이 증대될수록 전력수요에 적절하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전력계통 내 변동성이 증가하여 계통주파수의 변동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계통관성이 저하되어 외란 후 주파수 하락이 심화될 수 있다. 이는 전력계통의 운영기준을 위반하는 등의 계통 안정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음에 따라 전력계통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재생발전원을 전력계통에 수용하기 위해선 전력수급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력계통의 변동성, 안정성 및 운영조건을 준수하는 범위 이내로 수용을 제한해야 한다.

변동성 재생발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에서는 전력수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재생발전원 이외의 출력을 재생발전원의 출력만큼 감소시켜야 하며, 재생발전원 출력특성을 고려하여 전력공급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재생발전원의 출력에 따라 출력을 조정해야 하는 발전원은 경제급전에 따라 화력발전원이 해당되는데, 화력발전원은 설비 특성상 최소발전용량이 존재하여 조절할 수 있는 출력 용량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재생발전원의 계통 수용이 제한된다(3)(4)(5). 또한, 재생발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은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성으로 인해 전력계통의 총 변동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계통주파수의 변동을 증가시킨다. 이때, 전력계통의 변동성으로 인한 계통주파수의 변동은 전력계통에서 확보한 예비력 중 정상상태 시에 가용한 예비력을 통해 대응 가능하며, 따라서 전력계통에서 확보하고 있는 정상상태 시 가용예비력으로 인해 전력계통의 재생발전원 수용이 제한된다. 과도상태 측면에서는 재생발전원의 수용으로 인해 전력계통의 관성응답 성능이 저하되고 이는 주파수안정도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로 인해 전력계통에 발전기 탈락과 같은 외란이 발생했을 때 주파수가 더 빠르게 감소하여 더 큰 주파수 하락을 야기하며 이는 전력계통에서 규정하는 운영기준을 위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 이때, 계통주파수는 전력계통에서 규정한 운영기준을 위반하지 않아야 하며, 이에 따라 전력계통의 재생발전원 수용이 제한된다. 이처럼 전력계통에는 재생발전원의 수용용량을 제한하는 요인들이 있다.

이중 본 논문에서는 정상상태 측면에서의 전력계통 내 재생발전원 수용용량을 제한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후 국내 전력계통의 운영조건을 고려한 해당 요인에 의한 수용한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계통계획 DB와 실적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한 2034년의 국내 전력계통 운영조건을 고려하여 재생발전원의 정상상태 시 수용한계를 사례연구로써 산정하였다(7).

2. 전력계통의 운영조건을 고려한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정상상태 시 수용용량 제한 분석

정상상태 측면에서의 재생발전원 수용용량 제한요소에는 전력수급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반되는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제약과 정상상태 운영 시에 발생하는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성이 존재한다.

2.1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용량 제한

태양광 발전원 비중이 높은 전력계통의 재생발전원 일간 출력은 일사량이 높은 주간 시간대에 높고 일사량이 감소하는 심야 시간대에 낮은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재생발전원의 전력계통 수용은 경제급전 방식에 따라 상대적으로 발전단가가 비싼 화력발전원의 출력을 대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재생발전원의 출력이 높은 주간 시간대에는 화력발전원의 출력을 감발 혹은 정지함으로써, 재생발전원의 출력이 낮은 심야 시간대에는 화력발전원 출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각 시간대의 수요에 맞게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다만, 심야 시간대의 화력발전원 출력 증대는 화력발전원의 설비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한다. 화력발전원은 설비 재가동 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발전기의 성능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출력이 확보되어야 해당 발전기의 기동 유지가 가능한 최소발전제약이라는 설비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심야 시간대 수요에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화력발전기는 주간 시간대에도 기동이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해당 발전기들은 주간 시간대에 최소발전용량 이상으로 출력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즉, 전력수급 균형유지를 위해 수반되는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해 최소발전용량 만큼은 재생발전원의 출력으로 대체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전력계통의 재생발전원 수용이 제한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설비 특성상 유동적인 출력조정이 어려운 원자력발전원과 운영방식이 일반적인 동기발전원과 달리 피크부하 저감 및 재생발전원의 출력 변동성 보완과 같은 특수 목적에 의한 출력조정이 수반될 수 있는 양수발전원은 출력을 감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재생발전원의 출력으로 대체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제한을 도식화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1.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용량 제한 도식화

Fig. 1. Schematic Diagram of Penetration Capacity Limit by Minimum Power Generation Constraint of Thermal Power Source

../../Resources/kiee/KIEE.2023.72.2.162/fig1.png

즉, 전력계통에 수용 가능한 재생발전원의 출력은 수용한계를 산정하는 시점의 총 발전출력에서 비대체발전원의 출력과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용량을 제외한 용량만큼으로 제한된다.

그림. 2. 전력계통 변동성 간 관계 도식화

Fig. 2.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on between Power System Variation

../../Resources/kiee/KIEE.2023.72.2.162/fig2.png

2.2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용량 제한

변동성 재생발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총 변동성($VR_{SYS}$) 산출 식은 통계기법에 따라 다음 식, 그림과 같이 부하변동성($VR_{Load}$)과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VR_{RES}$)의 RMS(Root Mean Square) 값으로 존재하며, 이는 전력계통의 수급불균형을 유발하여 계통주파수의 변동을 야기한다(8).

(1)
$VR_{SYS}=\sqrt{VR_{Load}^{2}+VR_{RES}^{2}}$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계통 운영기관에서는 정상상태 시 일정 예비력을 확보하여 계통을 운영하며, 이 중 부하변동 대응 예비력을 제외한 예비력만큼을 재생발전원 출력변동 대응 예비력으로 확보할 수 있고 해당 예비력으로 대응할 수 있는 출력변동성 수준 내에서 재생발전원의 계통 수용이 가능하다. 즉, 재생발전원의 계통 수용은 정상상태 시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에 가용한 예비력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변동성 수준 내로 제한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를 평가할 때 전력계통의 변동성을 산출하는 식(1)에 대표값을 적용하여 평가한다. 이에 대해 본 절에서는 2019년의 부하, 재생발전원의 출력데이터를 사용하여 전력계통의 순부하 변동성 계산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2034년의 수용한계를 평가한다. 검증 방법은 전력계통 순부하 변동성 산출 식에 의해 도출된 순부하 변동성과 시계열 데이터 통합으로 도출된 순부하 변동성을 비교함으로써 유효성을 검증한다. 검증에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최소 주기의 데이터인 5분 단위 태

그림. 3. 2019년 5분 단위 부하 및 재생발전원 출력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

Fig. 3. Time Series Graph of Power Data per 5 Minutes in 2019

../../Resources/kiee/KIEE.2023.72.2.162/fig3.png

양광 및 풍력 계량데이터를 2019년 1년치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시계열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9)(10).

위 데이터인 부하와 재생발전원 출력에 대해 현재 국내 전력계통에서 부하변동량 산정 시 적용되는 신뢰도 99%의 변동성을 구하면 다음 표와 같이 부하변동성은 711MW,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은 77MW로 산출된다. 이를 전력계통 순부하 변동성 계산방법에 적용하여 순부하 변동성을 계산하면 715MW로 도출된다. 다음으로 2019년 시계열 데이터 기반의 순부하 변동성을 구해보면 2019년 순부하 변동성은 714MW로 도출된다. 결과를 정리하면 전력계통 순부하 변동성 계산방법에 의한 순부하 변동성은 715MW, 시계열 데이터 기반의 순부하 변동성은 714MW이다. 두 값 사이에는 1만큼의 오차가 존재하지만, 시계열 데이터 기반으로 도출된 순부하 변동성 기준 0.14%의 오차율로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위 등식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용한계 산정 시에 사용하는 전력계통 순부하 변동성 계산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표 1. 2019년 전력계통 변동성 산출 결과

Table 1. Power System Variation Calculation Results in 2019

Average

Standard

Deviation

Variation

Gross Load

(MW)

0

276MW

711MW

VRS

(MW)

0

30MW

77MW

Net Load

(MW)

0

277MW

714MW

3. 전력계통의 운영조건을 고려한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정상상태 시 수용한계 평가방법

본 절에서는 앞서 분석한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정상상태 시 수용용량 제한요소별로 수용한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재생발전원의 수용한계란 전력계통에 수용 가능한 재생발전원의 최대 설비용량을 의미함에 따라 전력계통에 수용 가능한 재생발전원의 최대출력을 먼저 산정한 후 해당 값에 재생발전원 설비 이용률을 나누어 설비용량으로 환산해주어야 한다.

3.1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한계 평가방법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해 전력계통에 수용 가능한 재생발전원의 최대출력은 앞선 분석과 같이 수용한계 산정 시점의 총 출력에서 비대체 발전원의 출력과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용량을 제외한 만큼의 용량이다. 따라서 이 값에 수용한계 평가 시점의 재생발전원 설비 이용률을 나눈 값이 해당 요소에 의한 수용한계가 되고, 이는 다음 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begin{align*} P_{RES,\: li m,\: The {al}_{-} {mi n}}\\ =\dfrac{1}{C.F._{RES}}\\ \times(P_{S um \quad of \quad G en \quad power(No t \quad Non \quad Rep)}-\sum_{i=1}^{n}P_{G en,\: The {al}_{-} {mi n},\: {i}}) \end{align*}

이때 $P_{S um \quad of \quad G en \quad power(No t \quad Non \quad Rep)}$는 수용한계 평가 기준시점에서의 비대체 발전원의 출력을 제외한 총 출력이며, 전력계통에 수용 가능한 재생발전원 출력에 재생발전원 설비이용률($C.F._{RES}$)을 나누어 수용한계를 평가한다.

3.2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 평가 방법

변동성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P_{RES,\: li m,\: RES_{-}VAR}$)는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에 대응 가용한 예비력에 따라 제한되며 이는 정상상태 시 총 가용예비력($SFR$)과 부하변동에 대응 가용한 예비력($DVR$)의 RMS 차로 결정된다. 또한, 해당 요소에 의한 수용한계의 경우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성이 반영된 출력만큼 계통에 수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에 대응 가용한 예비력을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률로 나누어준 후 이 값에 재생발전원 설비이용률을 나누어 수용한계를 평가한다. 평가식은 다음 식과 같다.

(3)
\begin{align*} P_{RES,\: li m,\: RES_{-}VAR}\\ =\dfrac{1}{C.F._{RES}}\times\dfrac{1}{RES_{rr_{-}5\min}}\times\sqrt{SFR^{2}-DVR^{2}} \end{align*}

이때 $RES_{rr_{-}5\min}$은 5분 단위 재생발전원 출력변동률이다.

4. 사례 연구

본 절에서는 국내 실계통을 대상으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이에 따른 송·변전 확충계획이 반영된 계통계획 DB를 통해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수용한계가 가장 높게 도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2034년의 전력계통 운영조건을 반영하여 수용한계를 평가하였다. 이때 수용한계를 평가하는 데에 반영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2034년 운영조건에는 2034년 신재생에너지 설비계획 등이 있으며, 이 중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설비계획 용량은 다음 표와 같다.

또한, 수용한계를 평가하기 위해선 재생발전원의 설비이용률 값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때 설비이용률은 본 논문에서 수 하며, 이는 표 2와 같은 2034년의 전력계통 운영조건과 과거 재생발전원 실적데이터를 통해 해당 연도의 설비이용률을 추

표 2. 2034년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설비계획 용량

Table 2. Planned Capacity of Variable Renewable Source in 2034

Variable

Renewable

Source

Planned Installed Capacity

Solar

45,594 MW

Wind

24,874 MW

정하였다. 이때 재생발전원의 실적데이터는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추정 방법은 실적데이터를 통해 태양광 발전원과 풍력 발전원의 설비이용률을 각각 산정한 후 2034년 계획 설비용량을 적용하여 가중 평균함으로써 추정치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용률의 발생 확률을 고려하여 평균이용률을 적용하였으며, 추정 과정은 다음 표와 같다.

표 3. 2034년 변동성 재생발전원 설비이용률 추정

Table 3. Estimation of VRS Capacity Factor in 2034

Solar

Wind

VRS Average

Capacity Factor

in 2020

57.1%

20.8%

Planned Installed

Capacity in 2034

45.6GW

24.9GW

Estimated VRS

Capacity Factor

in 2034

$\dfrac{45.59\times 0.571+24.87\times 0.208}{(45.59+24.87)}=0.4429$

용한계를 평가하는 시점인 2034년의 설비이용률을 적용해야 도출된 재생발전원 설비이용률은 정상상태 시의 수용한계 결정 요인인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과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를 평가할 때 모두 적용된다.

4.1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한계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한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가 기준시점인 재생발전원 최대이용률 시점에서의 총 출력과 비대체 발전원의 출력, 심야 피크부하 시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수반되는 최대이용률 시점에서의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용량을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심야 피크부하 시점에서의 요구되는 화력발전원의 출력 용량, 가동하는 화력발전기 종류를 알아야 한다. 다만 본 논문에서 평가하는 수용한계는 미래인 2034년 계통을 대상으로 함에 따라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수립된 2034년의 전력계통 운영조건을 고려하여 계산 요소 값들을 추정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용한계를 평가해야 한다.

2034년의 발전원별 출력은 해당 연도의 운영조건과 가동 발전기의 종류 데이터를 모두 고려하는 9차 계통계획 DB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이때 수용한계 평가 기준시점인 최대 설비이용률 시점과 심야 피크부하 시점에서의 수요에 따라 DB 부하수준 별 계통을 적용하였으며, 재생발전원 최대이용률 시점은 80% 부하수준의 계통을, 심야 피크부하 시점은 60% 부하수준의 계통을 적용하였다. 먼저 심야 피크부하 시점에서의 화력발전원 출력 요구량을 산정해야 한다. 이때, 9차 DB의 경우 재생발전원이 전원구성에 포함되어 있으며 재생발전원 출력이 설비이용률의 연평균 값을 적용한 것임에 따라 심야 피크부하 시의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신재생발전원 출력을 과거 이력데이터를 통해 해당 시점에서의 설비이용률을 산정한 후 이를 2034년 설비계획 용량에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심야 피크부하 시의 원자력 및 양수발전원의 출력은 주간 시간대와 심야 시간대 간에 상당한 양의 출력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추측됨에 따라 재생발전원 최대이용률 시점에서의 출력과 동일한 출력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추정과 분석에 따라 도출된 심야 피크부하 시의 발전원별 출력 값은 다음 표와 같다.

표 4. 심야 피크부하 시의 발전원별 출력 추정값

Table 4. Estimated Power Value by Power Generation Source at the time of Night Peak Load

Generation Type

Estimated Power

Night Peak

Load

Nuclear and Hydro

18.2 GW

Thermal

32.1 GW

Renewable Energy

9.6 GW

Sum of Output

59.9 GW

그림. 4. 2034년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한계 산정결과 도식화

Fig. 4. Schematic Diagram of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Penetration Capacity Limit by Minimum Power Generation Constraint of Thermal Power Source in 2034

../../Resources/kiee/KIEE.2023.72.2.162/fig4.png

재생발전원 최대이용률 시점에서의 총 출력은 2034년 80% 부하수준 계통의 총 출력인 79.1GW이고, 이 중 원자력발전원과 양수발전원인 비대체 발전원의 출력이 18.2GW, 심야 피크부하 시 32.1GW의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수반되는 주간 시간대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용량이 16.6GW로 도출되었다. 이는 위 그림으로 도식화할 수 있으며, 수용한계 평가식 (2)를 통해 계산해보면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한계는 100.0GW로 도출된다.

4.2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

국내 전력계통에서는 현재 정상상태 시 가용예비력으로 주파수제어예비력을 700MW 확보하고 있다(11). 다만 주파수제어예비력은 기존연구를 통해 도출된 2016년 5분 단위 신뢰구간 99%의 부하변동량을 기반으로 부하변동성에 대응하도록 확보하고 있으며, 따라서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력은 현재 확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12). 이러한 계통 상황에서 전력계통에 재생발전원 수용 증대로 계통주파수의 변동이 증가하게 되면 주파수편차에 따라 동작하는 1차예비력에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상상태 시 가용예비력을 1차예비력인 1,000MW로 적용하여 수용한계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용한계 평가에 필요한 요소 값인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률은 과거 2019년의 재생발전원의 출력 이력데이터를 통해 부하변동량과 같이 5분 단위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변동률 산정 식은 다음 식과 같다.

(4)
$RES_{rr_{-}5\min}=ABS(\dfrac{P_{t+5}-P_{t}}{P_{t}})$

그림. 5. 2019년 5분 단위 재생발전원 출력변동률

Fig. 5. Power Variation Ratio of Variable Renewable Source per 5 minutes in 2019

../../Resources/kiee/KIEE.2023.72.2.162/fig5.png

표 5. 2019년 5분 단위 재생발전원 출력변동률의 99% 신뢰구간 산정결과

Table 5. Calculation Result of 99% Confidence Interval of Power Variation Ratio of Variable Renewable Source per 5 minute in 2019

Average

Standard Deviation

99%

Confidence

Interval

VRS Power

Variation Ratio

per 5 minute

0.89%

0.87%

-1.34%

~ 3.12%

또한, 부하변동성 대응 예비력인 주파수제어예비력 산정 기준과 같이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률도 99% 신뢰구간의 값으로 산정하였으며 상세 산정결과는 위 그림과 표와 같다.

도출된 99% 신뢰구간을 가지는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률은 3.12%이며, 이 값과 앞서 도출된 값들을 적용하여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를 평가하면 다음 식처럼 51.7GW의 수용한계가 도출된다.

(5)
$\dfrac{1}{0.4429}\times\dfrac{1}{0.0312}\times\sqrt{1,\:000^{2}-700^{2}}= 51.7 GW$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의 재생발전원 수용용량을 제한하는 정상상태 시의 제한요소인 화력발전원의 최소발전제약과 재생발전원의 출력변동성의 특성을 분석한 후 수용용량 제한 요소별로 국내 전력계통의 수용한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때, 수용한계를 평가할 때 필요한 제한요소별 세부 항목 값들은 국내 전력계통의 운영조건과 계통 특성 등을 분석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제안한 수용한계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재의 국내 계통운영 조건을 기반으로 2034년의 계통구성을 가정하여 전력계통의 변동성 재생발전원 수용한계를 평가해 보았으며 이를 위해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계통계획 DB와 실계통 이력데이터 등을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2034년의 평가 결과는 화력발전원 최소발전제약에 의한 수용한계가 100.0GW, 재생발전원 출력변동성에 의한 수용한계가 51.7GW 수준이며 다만 여기에는 현재 국내 전력계통에서 추진되고 있는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확충을 위한 대응 방안들은 고려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용한계 평가방법을 통해 평가대상 시점이나 계통 운영조건 등을 고려하여 변동성 재생발전원의 수용한계를 평가할 수 있으며, 도출된 결과들은 전력계통의 변동성 재생발전원 수용 가능용량을 효율적으로 증대하기 위한 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partially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OTI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id Code and Power Market System for Renewable Energy Expansion, 20193710100061)

References

1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Dec. 2015., Paris AgreementGoogle Search
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Dec. 2017., Renewable Energy 3020 PlanGoogle Search
3 
Han-Na Gwon, Woo-Yeong Choi, Kyung-Soo Kook, Nov 2019, Evaluation Method for Penetration Limit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Korean Power System, EnergiesDOI
4 
Ch. Ulam-Orgil, Hye-Won Lee, Yong-Cheol Kang, Jul 2017, Evaluation of the Wind Power Penetration Limit and Wind Energy Penetration in the Mongolian Central Power System, JEET, Vol. 7, No. 6, pp. 852-858DOI
5 
O’Sullivan Jon, Rogers Alan, Nov 2014, Studying the Maximum Instantaneous Non-Synchronous Generation in an island system–Frequency Stability Challenges in Ireland, IEEE Transaction on Power System, Vol. 29, No. 6, pp. 2943-2951DOI
6 
Tumiran, Multa Putranto Lesnanto, Sarjiya, Yudo Pramono Eko, Jan 2021, Maximum penetration determination of variabl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 case in Java-Bali power systems, Applied Renewable Energy, Vol. 163, pp. 561-570DOI
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Dec. 2020., The 9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 and DemandGoogle Search
8 
Ackermann Thomas, 2005, Wind Power in Power System, John Wiley & Sons, Vol. ltd, pp. 158DOI
9 
Korea Power Exchange (KPX), Jul. 2022., 5 Minute Solar Metering Data, [Online] Available:https://www.data.go. kr/data/15065240/fileData.doGoogle Search
10 
Korea Power Exchange (KPX), May. 2022., 5 Minute Solar Metering Data, [Online] Available:https://www.data.go. kr/data/15099452/fileData.doGoogle Search
11 
Korea Power Exchange (KPX), Jun. 2022., Operating Market and Korean Power System Operating GuideGoogle Search
12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ERI), Jul. 2017., The Study on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Operating Reserve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윤영(Youn Young Lee)
../../Resources/kiee/KIEE.2023.72.2.162/au1.png

S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in 2021.

She is currently a M.S. student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Automatic Generation Control, and Renewable Energy Source.

Her e-mail address is young1001 @jbnu.ac.kr

양재영(Jae Young Yang)
../../Resources/kiee/KIEE.2023.72.2.162/au2.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in 2020 and 2022.

He is currently a Ph.D student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Renewable Energy Source, and Power System Inertia.

His e-mail address is wwep123@jbnu. ac.kr

송유훈(Yu Hoon Song)
../../Resources/kiee/KIEE.2023.72.2.162/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in 2021.

He is currently a M.S. student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Republic of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Analysis, Frequency control, Renewable Energy Source,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His e-mail address is syh4671@jbnu.ac.kr

국경수(Kyung Soo Kook)
../../Resources/kiee/KIEE.2023.72.2.162/au4.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in 1996 and 1998, respectively.

He obtained a Ph.D. degree in the same field from the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Virginia Tech.), USA, in 2007.

From 1998 to 2004 he was with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s a senior researcher.

From 2007 to 2010, he was with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as a senior project engineer.

In May 2010, he joined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s a faculty memb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Operations and Controls, Renewable Energy Sources, Smart Grid, and Energy Storage Systems.

His e-mail address is kskook@jb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