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Transition metal oxide,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anode, sodium ion, battery, Lithium ion, Sodium Ion Battery, capacity

1. 서 론

지난 수십 년 동안 재생 불가능한 화석 연료의 과도한 소비를 통해 산업의 빠른 발전과 비약적인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지난 수십 년 동안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대규모 폐기물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런 환경 오염으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 등 지구 생태계 파괴의 징후가 보이면서 환경 보호에 대한 세계의 국가 지도자들과 과학자들의 인식이 커지게 되고, 이는 곧 지구의 탄소 중립이라는 위대한 목표를 설정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많은 연구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탄소 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자원이 풍부하고 저비용이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 전지를 개발하는 것은 탄소 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가운에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배터리는 전기에너지를 화학 물질 및 산화 환원 반응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직류 전기를 제공한다. 방전은 배터리의 양극에서 전자를 얻는 화학적 환원 과정과 음극에서 전자를 잃는 산화 과정을 의미한다. 현재 시장을 지배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 ion battery, LIB)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전력 공급원 장치로 크게 기여하고 있다(1).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 기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수요는 휴대용 전자 장비부터 전기 자동차 분야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 전력 밀도, 저 비용, 긴 수명 특성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높은 작동 전압,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사이클 안정성으로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2,3,4). 하지만 리튬은 지각 내에 0.006 wt%의 비율로 존재하며 남아메리카 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이런 리튬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하여 리튬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적용이 제한된다(5,6).

대조적으로, 나트륨은 지구상에 자원이 매우 풍부해서 낮은 상업적 가격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므로 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대안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제조비용은 그림 1에 나와 있으며 리튬과 나트륨의 간략한 비교는 표 1에 나와 있다. 이론적으로 나트륨은 1165 mAh g–1 만큼 높은 가역 용량(reversible capacity)을 가지며, 이 나트륨 이온을 고용량 양극 물질과 조합을 하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맥락에서, 나트륨 금속 양극과 칼코겐 음극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최근 몇 년 동안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그림 2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국제 간행물 증가 추이에서 볼 수 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유사한 전기 화학적 특성,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가지면서 자원이 풍부해서 대규모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의 대안으로 활발히 연구된다(8). 그러나 나트륨 이온이 리튬 이온보다 커서 나트륨 이온이 더 느리게 전극으로 삽입되어 가역 용량을 감소시키고 전극의 구조를 변형시킨다(9,10).

표 1. 리튬과 나트륨의 특성 비교 (7)

Table 1. Characteristics of lithium vs. sodium.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7. Copyright 2013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Category

리튬(Lithium)

나트륨(Sodium)

원자 질량

0.69 g mol-1

23 g mol-1

이온 반경

0.76 Å

1.02 Å

Cost

High

Low

Preferred

coordination

Tetrahedral,

octahedral

Prismatic,

octahedral

capacity

(mA h $g^{-1}$)

3829

1165

그림. 1. 리튬 이온 배터리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제작비용 비교 (11)

Fig. 1. Evaluation of the fabrication costs for LIB and SIB.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11. Copyright 2022 RSC advance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1.png

그림. 2.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국제 간행물 증가 추이 (11)

Fig. 2. Evaluation of the fabrication costs for LIB and SIB.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11. Copyright 2022 RSC advance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2.png

전이 금속 산화물(transition metal oxode, TMO)과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transition dicalchcogenide, TMD)는 나트륨 이온에 대한 높은 가역 용량을 나타내어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 소재로 유망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전이 금속 산화물과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 기반 음극 소재는 배터리의 수명과 안정성, 가역 용량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전이 금속 산화물과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를 이용하여 나노섬유, 나노 튜브 구조, 나노 큐브 구조, 3D 샌드위치와 같은 나노구조로 제작하여 음극 재료로 사용한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성능 변화에 관해 기술한다. 이후 조사한 논문들의 사례를 통해 나트륨 이차 전지의 성능 개선을 위한 전이 금속 기반 음극 소재의 개발 동향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2. 본 론

2.1 나트륨 이온 배터리 동작 원리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네 가지의 구성요소 음극(anode), 양극(cathode),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LIB와 NIB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표 2에 나와 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나트륨 이온이 음극과 양극 사이를 이동하며 일어나는 전극과의 화학반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양극의 나트륨 비중이 높을수록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가역 용량이 커지며 음극과 양극 구조에 따른 전위차가 배터리 전압에 영향을 준다(12). 음극은 양극에서 나온 나트륨 이온을 저장 및 방출하며 전해질은 나트륨 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돕는 매개체로서 이온 전도도가 높은 물질인 Ethylene Carbonate(EC), Propylene Carbonate(PC),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ethylmethyl carbonate(EMC) 등이 사용된다(13). 전해질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이온 전도성이 높아야 하며 넓은 전압 및 온도 범위에서 열역학적 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액체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고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막인 분리막을 사용해야 한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한다. 분리막은 배터리의 반응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화학적 안정성, 습윤성, 내열성이 우수한 다공성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14).

표 2. 리튬 이온 배터리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구성 (11)

Table 2. Components of LIBs and SIBs.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11. Copyright 2022 RSC advance.

구성 요소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

Hard carbon on foil of aluminium, organic binder

Graphite on foil of copper, organic or aqueous binder

양극

Layered oxide on foil of aluminium

Layered oxide foil of aluminium, organic binder

분리막

Polymer film

Polymer film

전해질

Na salt (NaPF6, NaClO4)in organic solvent (EC/DMC)

Li salt (LiPF6, LiTFSI) in organic solvent (EC/DMC)

Cell housing

Prismatic, pouch, or round cells

Pouch, prismatic, or round cells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에 (-), 양극에 (+) 전압이 인가되면 나트륨 이온이 양극에서 전해질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하여 음극에 삽입되고 전자는 도선을 통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을 충전이라고 한다. 음극은 양극에서 나온 나트륨 이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양극과 음극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나트륨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고 나트륨 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를 방전이라고 한다. 탄소(C6) 음극과 전이 금속 산화물 NaMO2를 양극으로 사용하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개략도는 그림 3에 나와 있으며 반응식은 식 (1)과 같다.

(1)
NaxC6 + Na1-xMO2 ↔ NaMO2 + C6

그림. 3.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개략도 (15)

Fig. 3. Schematic diagram of sodium ion battery.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15. Copyright 2020 ACS Energy Letter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3.png

2.2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 소재 개발의 필요성

나트륨 이온 반경이 리튬 이온의 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나트륨 이온이 리튬 이온보다 더 느리게 삽입된다 (Na+ 반경: 0.102 nm, Li+ 반경: 0.076 nm)(16). 충/방전 사이클링이 증가하면 느린 이온 수송으로 인해 가역 용량 감소가 발생한다. 그리고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에 나트륨 이온이 많이 삽입되면 부피가 크게 변하여 음극의 구조가 변형되고 사이클링 안정성과 가역 용량이 감소한다(17). 나트륨의 큰 이온 반경과 흑연의 좁은 층간 거리로 인하여 리튬 이온 배터리의 대표적인 음극 소재인 흑연은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372 mAh $g^{-1}$의 가역 용량을 나타내지만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서는 35 mAh $g^{-1}$의 더 낮은 가역 용량을 나타낸다(18,19). 따라서 나트륨 이온으로 인한 부피 변화를 최소화하고 흑연을 대체할 고용량의 음극 소재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의해 전이금속 기반 음극 소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2.3 전이 금속 산화물과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 특성

전이 원소는 주기율표의 4주기에서 7주기, 3족에서 12족 원소에 해당하며 금속에 속하기 때문에 전이 금속(Transition metal)으로 표현한다. 전이 금속은 우수한 안정성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유망한 음극 소재이다.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TMD)는 전이금속과 칼코겐 원소가 공유 결합된 물질로 MoS2, FeS2, WS2 등이 있다. 전이 금속의 구성에 따라 초전도체, 반도체, 금속의 특성을 나타내며 단일층 내에서 강한 공유 결합을 이루는 2차원 물질이고 단일 격자 구조에 따라 안정한 구조를 갖는다. TMD는 약한 반데르발스 결합을 갖기 때문에 층간 거리가 멀다(20). 이는 나트륨 이온에 대한 가역 용량을 향상시키고 나트륨 이온이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여 고출력, 고용량의 충/방전 특성을 갖게 한다.

전이 금속 산화물은 전이금속과 산소가 결합된 형태이고 높은 전도도, 자성체, 강유전체 또는 초전도체의 특징을 갖는다. 전이 금속 산화물 기반 음극 소재는 전이 금속 산화물 당 한 개 이상의 나트륨 이온을 저장할 수 있어서 300 mAh $g^{-1}$ 이상의 높은 가역 용량을 갖는다. 이차 전지의 음극 소재 중 하나인 산화 코발트(CoOx)는 높은 이론적 가역 용량(890 mAh $g^{-1}$)을 갖으며, 산화철(FeOx)는 저렴한 비용과 높은 이론적 가역 용량(1007 mAh $g^{-1}$)을 갖는다고 발표되었다(21).

2.4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 기반 음극 소재

Zhenhai Wen 교수 연구진은 탄소 기반 음극 소재가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서 나트륨의 큰 이온 크기로 인해 충/방전 동안 부피 팽창, 사이클링 안정성 감소, 30 mAh $g^{-1}$의 낮은 가역 용량을 보이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탄소로 코팅한 Te 나노케이블에 MoS를 도핑한 Carbon-coated/MoS/Te nanocable을 제작하였다(그림 4)(22).

그림. 4. MoS1.5Te0.5@C nanocables (a) 개략도 (b, c) SEM 이미지 (d, e) TEM 이미지 (22)

Fig. 4. MoS1.5Te0.5@C nanocables (a) schematic (b, c) SEM images and (d, e) TEM images.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2. Copyright 2022 Nature communication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4.png

MoS2는 나트륨 이온에 대해 670 mAh $g^{-1}$의 가역 용량을 갖기 때문에 나트륨 이온을 저장하기 적합한 물질이며 Te는 MoS2와 결합하여 전도도를 향상시킨다. 이 복합 물질을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 소재로 사용하였을 때 그림 5(a)와 같이 1 A $g^{-1}$ 이상의 전류밀도에서 다른 연구 결과에서 사용한 MoS2 기반 음극 소재보다 높은 가역 용량을 보이며, 그림 5(b)와 같이 200 사이클의 충/방전동안 뚜렷한 감소 없이 안정적으로 가역 용량을 유지하였다.

그림. 5. Carbon-coated/MoS/Te nanocables의 (a) 이전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가역 용량 비교 (b) 사이클 테스트 (22)

Fig. 5. Carbon-coated/MoS/Te nanocables anode (a) Comparison of storage performance with previously reported MoS2-based anode (b) cycling performance at current density 0.1 A $g^{-1}$.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2. Copyright 2022 Nature communication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5.png

Jeong Gon Son 교수 연구진은 충/방전 시 음극 소재의 부피 팽창과 가역 용량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894 mAh $g^{-1}$의 가역 용량을 갖는 큐브 구조의 FeS2를 질소와 탄소로 코팅하고 graphene 수용액에 SWCNT를 분산시켜 제작한 graphene/SWCNT와 혼합시켜 FSCGS를 제작하였다(23). 그림 6(a)와 같이 제작된 FSCGS는 순수한 FeS2(FS), FeS2에 질소와 탄소를 코팅한 FSC와 비교하여 높은 가역 용량을 보였다(그림 6(b)). 이러한 결과는 질소와 탄소로 된 코팅이 전해질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으로부터 음극 소재를 보호하고 고 전도성의 gaphene/SWCNT가 이온 수송을 향상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림. 6. (a) FSCGS 제작 과정 (b) 각 전류 밀도에서 FSCGS, FSC, FS 가역 용량 비교 (23)

Fig. 6. (a) FSCGS fabrication process. (b) Comparison of capacities of FSCGS, FSC, and FS with respect to current density.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3. Copyright 2022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6.png

2.5 전이 금속 산화물 기반 음극 소재

Kyung Yoon Chung 교수 연구진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가역 용량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산화물인 SnO2, Co3O4의 결정 구조를 변형하여 높은 표면적을 갖는 다공성 Co2.4Sn0.6O4 전극을 제작했다(그림 7)(24). 높은 표면적과 다공성은 나트륨 이온에 대한 전극의 결합력과 가역 용량을 증가시켜 그림 8(b)와 같이 80 mA $g^{-1}$의 전류밀도에서 576 mAh $g^{-1}$의 가역 용량을 얻었다. Co와 결합된 Sn은 충/방전 과정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개선한다고 설명했다.(24)

그림. 7. Co2.4Sn0.6O4 TEM 이미지 (24)

Fig. 7. Co2.4Sn0.6O4 TEM image.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4. Copyright 2022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7.png

그림. 8. Co2.4Sn0.6O4의 (a) 구조 개략도 (b) 가역 용량 그래프 (24)

Fig. 8. Co2.4Sn0.6O4 anode (a) Structural schematic (b) capacity graph.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4. Copyright 2022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8.png

Yu Gao 교수 연구진은 나트륨의 큰 이온 크기로 인해 낮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가역 용량을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가역 용량을 같는 전이 금속 산화물인 FeVO4와 높은 전기 전도성(20000 S cm-1)을 갖는 2차원 구조 물질인 MXene을 결합한 FeVO4/MXene을 제작했다(25). 그림 9(a)와 같이 FeVO4/MXene 음극은 첫 번째 사이클에서 418 mAh $g^{-1}$의 가역 용량을 나타냈으며 2500사이클 후 99.4 % 쿨롱 효율로 291 mAh $g^{-1}$의 가역 용량을 유지했다. 이 원인으로는 그림 9(b)와 같이 FeVO4가 MXene 층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부피 팽창을 줄이고 전극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SIB의 수명을 연장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림. 9. FeVO4/MXene 음극의 (a) 사이클 테스트 그래프 (b) SEM 이미지 (25)

Fig. 9. FeVO4/MXene anode (a) cycling stability graph (b) SEM image.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5. Copyright 2022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9.png

Yongsheng Li 교수 연구진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서 음극 물질의 부피 변화를 최소화하고 고 전류밀도에서 사이클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소 도핑된 다공성 탄소 나노구조(MFe2O3@N-HCN)를 제작하였다(그림 10)(26).

그림. 10. MFe2O3@N-HCNs 제작 개략도 (26)

Fig. 10. Illustration for the synthetic procedure of MFe2O3@N-HCNs.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6. Copyright 2021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10.png

MFe2O3@N-HCN 음극 재료는 그림 11(a)와 같이 0.1 A $g^{-1}$의 전류밀도에서 100회 사이클 후 417 mAh $g^{-1}$의 우수한 가역 용량을 보였고, 그림 11(b)와 같이 2 A $g^{-1}$의 전류밀도에서 4500 사이클 후 364 mAh $g^{-1}$의 가역 용량을 보였다. 저자는 이러한 우수한 성능은 탄소의 계층적 다공성 구조에 존재하는 Fe2O3 코어로 인한 것이며, Fe2O3 코어가 배터리의 충전/방전 시 나트륨 이온에 의한 음극 재료의 부피 변화를 완화할 뿐 아니라 음극과 양극 사이의 나트륨 이온의 이동을 촉진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질소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탄소 네트워크는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이온 수송 채널 역할을 하며 배터리의 방전/충전 과정에서 음극에 발생되는 부피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과잉 완충층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림. 11. MFe2O3@N-HCNs의 (a, b) 충방전 그래프 (26)

Fig. 11. MFe2O3@N-HCNs anode (a) their cycling performance at 0.1 A g−1 (b) cycling performance at 2 A g−1.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 26. Copyright 2021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Resources/kiee/KIEE.2023.72.3.406/fig11.png

표 3.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소재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anode materials for SIB

음극 소재

가역 용량

ref.

Carbon-coated/MoS/Te nanocables

462.9 mAh $g^{-1}$

(22)

FSCGS

1115.7 mAh $g^{-1}$

(23)

Co2.4Sn0.6O4

576 mAh $g^{-1}$

(24)

FeVO4/MXene

291 mAh $g^{-1}$

(25)

MFe2O3@N-HCN

417 mAh $g^{-1}$

(26)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동작 원리에 대해 소개하고 나트륨 이온의 큰 이온 크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그 해결에 대해 기술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충전/방전 과정에서 나트륨 이온이 음극과 양극 사이를 이동하며 생기는 화학반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 소재에 나트륨 이온이 많이 삽입되면 음극 소재의 부피가 변하여 구조가 변형되고 사이클링 안정성과 가역 용량이 감소한다. 이는 나트륨 이온의 큰 원자 반경에 의한 것임을 설명하였다(Na+ 반경: 0.102 nm, Li+ 반경: 0.076 nm).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트륨 이온에 대해 높은 가역 용량을 가진 물질을 음극 재료로 사용하여야 하는데, 전이 금속은 우수한 안정성, 에너지 밀도를 갖기 때문에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유망한 음극 소재이다. 단일 층 내에서 강한 공유 결합을 이루는 2차원 물질인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는 단일 격자 구조에 따라 안정한 구조를 갖고 층간 거리가 멀어 나트륨 이온에 대한 가역 용량이 높으며 고출력, 고용량의 충/방전 특성을 갖는다. Zhenhai Wen 교수 연구진이 제작한 Carbon-coated/ MoS/Te nanocables, Jeong Gon Son 교수 연구진이 제작한 FSCGS는 각각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 물질인 MoS2와 FeS2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462.9 mAh $g^{-1}$, 1115.7 mAh $g^{-1}$의 우수한 가역 용량을 보였다. 전이 금속 산화물은 전자와 전자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로 인해 전이 금속 산화물 당 한 개 이상의 나트륨 이온을 저장할 수 있어 높은 가역 용량을 갖는다. Kyung Yoon Chung 교수 연구진이 제작한 다공성 Co2.4Sn0.6O4, Yu Gao 교수 연구진이 제작한 FeVO4/MXene, Yongsheng Li 교수 연구진이 제작한 다공성 탄소 나노구조(MFe2O3@N-HCN)는 각각 전이 금속 산화물인 CoOx, FeVO4, Fe2O3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각각 최대 576 mAh $g^{-1}$, 291 mAh $g^{-1}$ , 417 mAh $g^{-1}$ 의 우수한 가역 용량을 가짐을 발표하였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 소재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에 대한 비교는 표 3에 정리했다. 이처럼 최신 연구 동향에서 고용량의 전이 금속 산화물, 전이 금속 디칼코게나이드를 사용한 나노 복합체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배터리의 수명과 고용량의 음극 소재 제작을 가능하게 했다. 하지만 여전히 상업적 목적을 위해 저비용, 우수한 사이클링 안정성, 높은 가역 용량과 속도 성능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은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상업적 요구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저비용, 고에너지 밀도, 긴 수명, 높은 속도 성능의 물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No. 2022R1F1A1068690).

References

1 
Palomares Verónica, 2013, Update on Na-based battery materials. A growing research path,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Vol. 6, No. 8, pp. 2312-2337DOI
2 
Huang Taohua, 2019, Semiconducting borophene as a promising anode material for Li-ion and Na-ion batteries, Materials Science in Semiconductor Processing, Vol. 89, pp. 250-255DOI
3 
Bauer Alexander, 2018, The scale‐up and commercialization of nonaqueous Na‐ion battery technologies, Advanced Energy Materials, Vol. 8, No. 17, pp. 1702869-DOI
4 
Muñoz‐Márquez, Miguel Ángel, 2022, Structure, Composition, Transport Propertie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phase in Non‐Aqueous Na‐Ion Batteries,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Vol. 9, No. 8, pp. 2101773DOI
5 
Palomares Verónica, 2013, Update on Na-based battery materials. A growing research path, Energy &Environmental Science, Vol. 6, No. 8, pp. 2312-2337DOI
6 
Zhang Zhijia, 2022, Recent progress on three-dimensional nanoarchitecture anode materials for lithium/sodium storage,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TechnologyDOI
7 
Michael D. Slater, 2013, Sodium‐ion batteri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Vol. 23, No. 8, pp. 947-958DOI
8 
Jiang Yu, 2018, Design Nitrogen (N) and Sulfur (S) Co‐Doped 3D Graphene Network Architectures for High‐Performance Sodium Storage, Small, Vol. 14, No. 10, pp. 1703471DOI
9 
Sawhney M. Anne, 2022, Process‐Structure‐Formulation Interactions for Enhanced Sodium Ion Battery Development: A Review, ChemPhysChem, Vol. 23, No. 5, pp. e202100860DOI
10 
Xiang Long Huang, Xue Dou Shi, M. Wang Zhiming, 2022, Fibrous cathode materials for advanced sodium-chalcogen batteries, Energy Storage Materials, Vol. 45, pp. 265-280DOI
11 
Kanwade Archana, 2022, Transition metal oxides as a cathode for indispensable Na-ion batteries, RSC advances, Vol. 12, No. 36, pp. 23284-23310DOI
12 
Hawley W. Blake, 2019, Electrode manufacturing for lithium-ion batteries—Analysis of current and next generation processing,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25, pp. 100862DOI
13 
Muñoz‐Márquez Miguel Ángel, 2022, Structure, Composition, Transport Propertie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phase in Non‐Aqueous Na‐Ion Batteries,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Vol. 9, No. 8, pp. 2101773DOI
14 
Muñoz‐Márquez Miguel Ángel, 2017, Na‐ion batteries for large scale applications: a review on anode materials and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formation, Advanced Energy Materials, Vol. 7, No. 20, pp. 1700463DOI
15 
K. M. Abraham, 2020, How comparable are sodium-ion batteries to lithium-ion counterparts?, ACS Energy Letters, Vol. 5, No. 11, pp. 3544-3547DOI
16 
Lin, Zhiya =, 2022, Rational construction of yolk–shell CoP/N, P co-doped mesoporous carbon nanowires as anodes for ultralong cycle life sodium-ion batteries, RSC advances, Vol. 12, No. 44, pp. 28341-28348DOI
17 
Yu Jiang, 2018, Design Nitrogen (N) and Sulfur (S) Co Doped 3D Graphene Network Architectures for High‐Performance Sodium Storage, Small, Vol. 14, No. 10, pp. 1703471DOI
18 
Yang Wen, 2014, Expanded graphite as superior anode for sodium-ion batteries, Nature communications, Vol. 5, No. 1, pp. 1-10DOI
19 
Khossossi Nabil, 2022, Flexible 3D porous boron nitride interconnected network as a high-performance Li-and Na-ion battery electrodes, Electrochimica Acta, Vol. 421, pp. 140491DOI
20 
Chhowalla Manish, 2013, The chemistry of two-dimensional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nanosheets, Nature chemistry, Vol. 5, No. 4, pp. 263-275DOI
21 
Wang Lei, 2019, Metal oxide/graphene composite anode materials for sodium-ion batteries, Energy Storage Materials, Vol. 16, pp. 434-454DOI
22 
Yangjie Liu, 2022, Carbon-coated MoS1. 5Te0. 5 nanocables for efficient sodium-ion storage in non-aqueous dual-ion batteries, Nature communications, Vol. 13, No. 1, pp. 1-13DOI
23 
Syam Kandula, 2022, FeS2@ NC nanorattles encapsulated in N/S dual-doped graphene/carbon nanotube network composites for high performance and high rate capability anodes of sodium-ion batterie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135678DOI
24 
Ghulam Ali, 2022, Self-standing Co2. 4Sn0. 6O4 nano rods as high performance anode materials for sodium-ion battery and investigation on its reaction mechanism,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135791DOI
25 
Huajun Xu, 2022, Synergy of ferric vanadate and MXene for high performance Li-and Na-ion batterie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436, pp. 135012DOI
26 
Meiwan Chen, 2021, A movable Fe2O3 core in connected hierarchical pores for ultrafast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in sodium-ion batteries,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Vol. 4, No. 6, pp. 5888-5896DOI

저자소개

김민기 (Minki Kim)
../../Resources/kiee/KIEE.2023.72.3.406/au1.png

Minki Kim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engi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in 2021.

Currently, he is working toward the M.S. degree in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snstlfur9@naver.com

박정호 (James Jungho Pak)
../../Resources/kiee/KIEE.2023.72.3.406/au2.png

James Jungho Pak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rdue University, USA, in 1985, 1988, and 1992, respectively.

He was a Senior Device Physicist at Intel Corporation, USA, from 1992 to 1995.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 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laser induced graphene/MXene and applications, microsystems including bio/chemical sensors, flexible/wearable electronics/sensors, and novel semiconductor devices and processing.

E-mail : pak@kore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