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Korea.)



Optimal Power Flow, Unit Commitment, Curtailment, HVDC power reversal transmission

용어 정리

A. Indices and Sets

$n$ $\quad$ 유닛 n

$t$ $\quad$ 시간 t

B. Parameters

$d_{s,\:t}$ $\quad$ 시간 t에서 모선 s의 부하 [MW]

$\overline{P_{n}},\:\underline P_{n}$ $\quad$ 유닛 n의 최대/최소 발전량 [MW]

$MC_{n}$ $\quad$ 유닛 n의 한계비용 [$/MW]

$CSU_{n},\:CSD_{n}$ $\quad$ 유닛 n의 기동/정지 비용 [$/MW]

$RU_{n},\:RD_{n}$ $\quad$ 유닛 n의 최대 증/감발량 [MW]

$TU_{n},\:TD_{n}$ $\quad$ 유닛 n의 최소 작동/정지 시간 [h]

$F_{l}$ $\quad$ 선로 $l$의 최대 송전량 [h]

$HF_{dc}$ $\quad$ HVDC 선로 $l$의 최대 송전량 [h]

$LF_{dc}$ $\quad$ HVDC 선로 $l$의 최소 송전량 [h]

C. Variables

$uc_{n,\:t}$ $\quad$ 시간 t에서 유닛 n의 운전상태 결정변수

$su_{n,\:t},\: sd_{n,\:t}$ $\quad$ 시간 t에서 유닛 n의 기동정지 결정변수

$p_{n,\:t}$ $\quad$ 시간 t에서 유닛 n의 발전량 [MW]

$f_{l,\:t}$ $\quad$ 시간 t에서 선로 $l$의 송전량 [MW]

1. 서 론

기후 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원의 발전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자연조건에 따라 출력이 변동하는 간헐성으로 인해 출력조정이 어렵다. 이로 인해 송전혼잡, 과잉공급이 발생하면 재생에너지의 출력제어가 지시된다. CAISO는 과잉 공급으로 인한 출력제한이 발생할 경우 풍력 발전기의 공급비용을 순차적으로 $-\$ 150 / \mathrm{MWh},-\$ 300 / \mathrm{MWh}$로 감소시켜 시장 기반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ERCOT는 송전혼잡과 과잉공급으로 인해 출력제어가 발생하였다. 송전선을 보강하고, LMP 산정과 더욱 짧은 간격의 스케쥴링을 통해 전체 계통 운영을 개선하여 출력제어를 2012년 4%에서 2013년 1.6%로 감소시켰다(1).

유럽의 경우 High Voltage Direct Current(HVDC)를 통해 국가간 전력망 연계가 이루어져 있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지시하는 대신 타국으로 송전하는 전략을 채택하였다. 덴마크는 서부 지역에 4.89GW 규모의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여 풍력 발전량이 과잉 공급된 시간이 2012년에만 405시간에 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가 포함된 계통에서 발전기의 증감발 제약조건, HVDC 전송이 출력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되었다. (2)에 따르면 출력제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HVDC 전송 용량의 제한이다. 덴마크와 스웨덴 사이의 HVDC 전송량을 100MW 증가시켰을 경우 약 3%의 출력제어량이 감소한다고 한다.

아일랜드는 2013년 2.4GW 규모의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였고, 일출 시간대 부하가 낮고 풍력 발전량이 높아 출력제어가 지시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과 연계된 HVDC를 통한 송전이 시행되었다(3).

제주는 CFI 2030 정책을 펼치며 재생에너지의 설비용량이 증가하였다(4). 하지만 부하는 재생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 인해 과잉공급이 발생하여 재생에너지원에 출력제어가 지시되고 있다. 출력제어를 완화하기 위해 제주계통의 잉여전력을 육지계통으로 역송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5). #1, 2 HVDC는 전류형 HVDC로 역송이 가능하긴 하지만 정역송 변환이 용이하지 않아 #1 HVDC를 역송 운전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6), (7). (8)에서는 #1, 2 HVDC 역송운전과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의 제어 기능을 통해서 제주지역 재생에너지의 수용성 증대와 계통 안정도를 분석하였다.

Unit commitment(UC) 문제는 송전 및 계통 신뢰성 제약을 고려하여 비용 효율적인 전력 수급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적용된다(10). 재생에너지원의 확대로 인해 예기치 못한 발전기의 기동정지가 발생하여 복잡성이 증가한 계통에서 정수 제약조건을 통해 발전기의 기동정지를 고려할 수 있는 UC 문제가 Optimal power flow(OPF) 문제보다 정확한 계획을 수립한다(9-11). (10)에서는 $uc_{n,\:t}$와 $su_{n,\:t},\: sd_{n,\:t}$를 발전기의 증감발, 최소 운전/정지, 기동/정지 제약조건에 적용하여 발전기의 상태변수를 보다 유기적으로 고려하였다. 해당 논문은 기본적인 UC의 제약조건과 목적함수를 차용하였으나 HVDC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11)에서는 HVDC의 정격 용량에 대한 제약조건을 고려한 UC 모델이 제안되었다. 해당 논문에서는 불안정한 계통에서 HVDC가 계통 유연성을 증가시켜 계통 운영비용의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HVDC를 포함한 제주계통에서의 UC를 최적화한 선행 연구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23년 완공 예정인 #3 HVDC을 포함하여, 제주계통의 발전기 기동정지 계획을 수립하여 HVDC 운영 전략의 효용성을 비용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UC를 기반으로 제주계통 발전기의 공급비용을 반영한 최적 스케쥴링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출력제어 발생 시 발전기의 비용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살펴보았다.

2. 전력계통 운영 고려 요소

2.1 제주계통의 부하 추세, 패턴

제주계통은 지역 특성상 육지계통과는 다른 전력소비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력부하 패턴도 상이하다. 그림 1과 같이 2022년 기준 농림 수산업이 제주도의 산업별 전력소비의 28.96%를 차지한다. 또한 제주의 주요 산업인 관광산업에 속하는 숙박, 음식, 임대업이 30.20%를 차지한다. 제조업을 살펴보면 제조업의 비중이 57.96%인 육지계통과는 반대로, 제주계통은 제조업의 비중이 7.25%로 상대적으로 계절별 전력 부하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12).

제주계통의 여름철 부하 패턴은 그림 2와 같이 냉방부하로 인해 10~21시에 부하가 높고 일몰 직후 시간대에 최대 부하가 발생한다. 겨울철 부하 패턴은 난방과 전등 부하 등으로 인해 18~21시에 최대 부하가 발생한다. 봄, 가을철에는 냉·난방 부하가 없기 때문에 부하가 낮아 출력제어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한다(13).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증가하면 여름·겨울철에도 출력제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1. 제주계통 산업별 부하 비중

Fig. 1. Industry-wise load distribution in Jeju pow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1.png

그림. 2. 월별 제주 평균 부하

Fig. 2. Monthly average load on Jeju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2.png

2.2 제주계통 특성 및 재생에너지 영향

제주계통은 HVDC를 통해 육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버터 기반 전원의 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계통 운영을 위해 250MW 규모의 필수운전 발전기를 운영하고 있다(4). 이로 인해 순부하가 낮아 과잉공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출력제어 횟수는 꾸준히 증가할 예정이다.

2.2.1 기존 발전원 현황

제주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된 동기 발전기는 제주, 남제주, 한림복합 화력발전소이다. 계통 규모 대비 발전설비 단위용량이 크고 설비 수가 적기 때문에 조류량이 많거나, 부하변화가 급격한 상황에서 계통 유연성이 떨어져 정전의 가능성이 높다(5).

인버터 기반 전원의 비중이 증가하면 계통의 관성이 하락하여 주파수 불안정 문제를 겪는다. 제주계통의 경우 제주 화력발전기 75MW 2대와 남제주 화력발전기 100MW 2대를 필수운전 발전기로 가동하여 관성을 지원한다.

그림. 3. 제주계통도

Fig. 3. Jeju System Diagram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3.png

2.2.2 제주 HVDC 연계선

제주계통은 육지계통과 분리된 독립계통이지만 HVDC를 통해 육지계통과 연계되어 있다. HVDC는 조류제어가 가능하여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지원하기에 활용성이 높고, 육지의 System Marginal Price(SMP)를 적용받기 때문에 경제성이 있다(5). 현재 #1 HVDC 150MW, #2 HVDC 250MW를 가동하여 제주계통 부하의 약 30% 이상을 육지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1, 2 HVDC는 전류형 HVDC로 사이리스터 소자를 사용하여 점호각을 조절하여 DC 평균 전압을 제어한다. 컨버터 효율, 전송 효율 등을 고려한 전류형 HVDC 시스템의 효율은 약 98.6%로 전압형 HVDC보다 높다. 다만, 정역송 변환을 위해서는 최소 6시간 동안 양단의 컨버터를 차단하고 선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해야 하므로 정역송 변환이 용이하지 않다(7).

현재 완도와 동제주를 연계하는 #3 HVDC가 2023년 말까지 준공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3 HVDC는 전압형 HVDC로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IGBT) 소자의 점호각과 소호각을 조절하여 전압의 크기와 위상을 제어한다. 전압형 HVDC의 전체 시스템 효율은 약 98.0%이며, 전류형 HVDC와 달리 정역송 변환이 용이하여 출력제어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14). HVDC별 파라미터는 표 1과 같고, HVDC의 전송비용은 효율에 의한 손실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려된다.

표 1. 제주 HVDC별 파라미터

Table 1. Parameters for each Jeju HVDC

최대 송전

[MW]

최소 송전

[MW]

전송 효율

#1 HVDC

150

30

0.986

#2 HVDC

250

40

0.986

#3 HVDC

200

-200

0.980

2.2.3 재생에너지 영향 및 출력제어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특성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 시간의 순부하가 감소하고 일몰 후부터 순부하가 급증하였다. 또한 순부하가 급증하는 저녁 시간대에 동기 발전기의 증감발량 및 기동/정지 제약에 의해 증발이 제한되는 경우 전력 수급 균형이 무너지게 된다. 동기 발전기 특성상 기동/정지에 일정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동기 발전기를 운전상태로 유지하고 재생에너지원을 출력제어하여 전력 수급 균형을 맞춘다.

CFI 2030 정책으로 인해 제주계통 내 재생에너지원의 설비용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표 2와 같이 2022년 태양광 580MW, 풍력 324MW에서, 2036년 태양광 1,586MW, 풍력 2,345MW로 증가할 예정이다(15). 그러나 제주계통 부하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부하의 일정량까지 근접하면 출력제어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표 2. 연도별 재생에너지 설비계획

Table 2. Renewable Energy Facility Plan by Year

연도

발전설비 용량 [MW]

태양광

풍력

2022

580

324

2028

1,143

1,311

2030

1,299

2,345

2036

1,586

2,345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제어량도 증가하고 있다. (15)에 따르면 출력제어율이 2023년 1.08%에서 2036년 24.57%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3 유연성 공급 자원, 출력제어 완화 방안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HVDC 역송, ESS 설치 등을 통해 계통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필수운전 발전량을 감소시키면 출력제어를 완화할 수 있다(6). 그러나 ESS 설치와 필수운전 발전량 감소를 적용하는 방안은 본 논문의 범주를 벗어나기 때문에 생략한다.

HVDC 운영 전략은 표 3과 같이 구성하였다. Case 1, 2는 #1, 2 HVDC만 운전하는 경우에서 #1 HVDC의 역송 여부에 따른 수급 계획을 모의하였다. 앞서 2.2.2절에서 언급하였듯이, 전류형 HVDC의 특성상 정역송 변환을 위해서 최소 6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1 HVDC를 역송 운전하는 Case로 설정하였다(8). Case 3은 #1 HVDC가 역송하고 #3 HVDC가 운전하는 경우의 발전기 기동정지계획을 모의하였다.

표 3. Case별 HVDC 운영 전략

Table 3. HVDC operation strategies by case

#1 HVDC

#2 HVDC

#3 HVDC

Case 1

정송

정송

-

Case 2

역송

정송

-

Case 3

역송

정송

정/역송

3. 전력계통 운영 기법

3.1 Optimal Power Flow (OPF)

발전기의 증분비용만을 고려하는 경제급전 문제로는 계통의 송전과 손실 등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OPF를 통해 발전기에 대해 적절히 스케쥴링한다. OPF는 발전기, 송전선 등 계통 요소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면서 계통의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최적화 문제이다(9), (10).

3.1.1 목적함수

OPF의 목적함수는 식(1)과 같이 계통 운영비용의 최소화이다. 계통 운영비용은 발전기의 발전비용만을 고려하였다. 전력거래소는 식(2)와 같이 발전비용함수를 2차 함수로 고려하므로 표 4그림 4와 같이 발전원별로 증분가격계수 및 가격상수를 지정하였다(16).

(1)
$\min\sum_{t}f(Pg)$

(2)
$f(P)=a P^{2}+b P+c$

표 4. 발전원별 증분가격계수 및 가격상수

Table 4. Incremental price coefficient and price constant for each generation source

발전원

a

b

c

Thermal Power

0.17

65.47

1957.46

Gas Turbine

0.31

187.06

1583.11

Steam Turbine

0.31

187.06

1583.11

Diesel Power

0.26

86.56

1058.89

HVDC

0.13

79.87

1318.04

그림. 4. 발전기별 발전비용함수

Fig. 4. Generation cost function for each generator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4.png

3.1.2 제약조건

(1) 발전기 발전량 제약조건

발전기의 효율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식(3)과 같이 발전기의 최대/최소 발전량 범위에서 발전해야 한다. 재생에너지원의 경우 설비용량에 따라 최대 발전량만을 고려하였다.

(3)
$\underline P_{n}\le p_{n,\:t}\le\overline{P_{n}}$

(2) 발전기 증감발 제약조건

동기 발전기 터빈은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온도와 압력을 서서히 변동해야 하므로 증감발률을 식(4)와 같이 제한한다. 증감발률은 발전기가 분당 출력을 증가/감소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4)
$-RD_{n}\le p_{n,\:t}-p_{n-1,\:t}\le RU_{n}$

(3) 송전 제약조건

본 연구는 DC Optimal Power Flow를 활용하기 때문에 선로의 저항 성분과 무효전력을 무시하고, 모든 모선의 전압을 1.0 pu로 가정한다. 따라서 선로의 송전량은 식(5)와 같이 모선 n과 모선 m 사이의 위상각과 선로의 리액턴스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선로의 열용량 제약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식(6)과 같이 최대 송전량을 제한하였다.

(5)
$f_{l,\:t}=\dfrac{\theta_{n,\:t}-\theta_{m,\:t}}{x_{l}}$

(6)
$-F_{l}\le f_{l,\:t}\le F_{l}$

HVDC 선로를 통해 흐르는 전력은 식(7)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임피던스와 위상각에 따라 조류량이 결정되는 송전선과 다르게 HVDC는 컨버터를 통해 송전하기 때문에 선로의 열용량 한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송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류형 HVDC의 경우 식(8)과 같이 최소 전송량이 제한된다. #1 HVDC의 최소 정송량은 30MW, #2 HVDC는 40MW이다. #3 HVDC는 전압형 HVDC이기 때문에 최소 전송량이 없고 송전선로의 열용량 제약조건과 동일하게 식(6)에 해당하는 제약조건을 고려하였다.

(7)
$\left | f_{l,\:t}\right | =F_{l}$

(8)
$LF_{dc}\le f_{dc,\:t}\le H F_{dc}$

(5) 전력 균형 제약조건

전력 수급 균형이 무너지면 계통 주파수가 변동하기 때문에 식(9)와 같이 각 발전기의 합은 전체 부하와 같다는 전력 수급 균형 제약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9)
$\sum_{n}d_{n,\:t}-\sum_{n}p_{n,\:t}=0$

3.2 Unit Commitment (UC)

재생에너지의 확대로 인해 기동정지가 빈번해지자 발전기의 기동/정지를 고려할 수 없는 OPF를 대신하여 UC가 사용되었다. UC는 쉽게 설명하자면 발전기의 기동정지를 고려한 OPF이다. 따라서 발전기의 기동정지를 고려하기 위해 정수 제약조건을 포함하여 최적화한다. UC 문제를 최적화하는 해법으로 우선순위열거법, 동적계획법, 라그랑지 완화법 등이 있으나 실수와 정수 제약조건을 고려하는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MILP)을 사용하였다. MILP는 Branch and Bound 기법을 사용하여 최적해를 찾는다(17). 본 논문에서 UC의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은 (10), (11), (17)을 참고하였다.

3.2.1 목적함수 및 제약조건

UC의 목적함수는 식(10)과 같이 OPF의 계통 운영비용에 발전기의 기동/정지 비용을 포함한다. 발전기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하여 일정량의 에너지가 소비되며, UC에서 해당 에너지를 기동/정지 비용이라고 정의한다(9).

(10)
$\min\sum_{t}(f(P_{nt})+CSU_{nt}su_{n}+CSD_{n}sd_{nt})$

동기 발전기의 제약조건은 최대/소 발전량, 증감발, 최소 운전/정지 시간을 고려하였고 그림 5와 같다. 발전기의 최대/소 발전량을 고려하여 발전할 수 있으며, 발전기의 증감발량은 발전기별 증감발률로 제한된다. 또한 기동/정지 시 최소 운전/정지시간동안은 발전기가 운전/정지해야 한다.

그림. 5. 동기 발전기 특성

Fig. 5. Synchronous generator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5.png

(1) 발전기 발전량 제약조건

기존의 발전량 제약조건에 $uc_{n,\:t}$를 추가하여 발전기의 기동정지를 고려한다. 발전기가 정지하면 $uc_{n,\:t}$가 0이 되어 발전량이 0이 되고, 발전기가 기동하면 $uc_{n,\:t}$가 1이 되어 식(11)과 같이 기존의 발전량 제약조건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식(12)는 발전기의 운전상태와 기동정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11)
$uc_{n,\:t}\underline P_{n}\le p_{n,\:t}\le uc_{n,\:t}\overline{P_{n}}$

(12)
$uc_{n,\:t}-uc_{n,\:t-1}=su_{n,\:t}-sd_{n,\:t}$

(2) 발전기 증감발 제약조건

UC에서의 증감발 제약조건은 이진 변수 $uc_{n,\:t}$와 $su_{n,\:t}$, $sd_{n,\:t}$를 통해 더욱 엄격하게 제한된다. 식(13), (14)를 통해 기동 및 정지시 최대 발전량까지 제약할 수 있다.

(13)
$p_{n,\:t}-p_{n-1,\:t}\le RU_{n}uc_{n,\:t}+(SU_{n}-\underline P_{n}-RU_{n})su_{n,\:t}$

(14)
$p_{n,\:t}-p_{n-1,\:t}\ge - RD_{n}uc_{n,\:t-1}-(SD_{n}-\underline P_{n}-RD_{n})su_{n,\:t}$

(3) 발전기 최소 운전/정지 시간

동기 발전기 특성상 발전기의 기동정지 시 시간이 필요하다. 다수의 발전기를 스케쥴링하면 모든 발전기를 운전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부 발전기를 기동/정지한다. 발전기가 운전 중이라면 식(15)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정지시킬 수 있고, 정지한 상황이라면 식(16)과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기동시킬 수 있다.

가스 발전기와 같이 첨두부하용 발전기는 기동시간이 짧고 기동비용이 낮다. 화력발전기의 경우는 기동시간이 길고 기동비용이 높다.

(15)
$\sum_{t'=t+1-TU_{n}}^{t}su_{n,\:t'}\le uc_{n,\:t}$

(16)
$\sum_{t'=t+1-TD_{n}}^{t}sd_{n,\:t'}\le 1- uc_{n,\:t}$

4. Case study

4.1 시뮬레이션 환경 및 조건

UC 스케쥴의 대상 기간은 1일이며, 시간당 시계열 데이터값 12개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부하와 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는 출력제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가을철인 2022년 10월 24일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2036년에 예상되는 부하량과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증가시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18). 제주의 HVDC를 모델링하기 위해 육지계통을 충분한 설비용량을 가진 발전기와 300MW의 부하를 가진 3개의 연계된 모선으로 등가화하였다. 그림 6은 육지계통의 부하를 포함한 부하 그래프이다. 해당 데이터는 부하가 낮고,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량과 변동폭이 높아 재생에너지의 설비용량이 증가하였을 경우 출력제어가 발생할 수 있다.

부하 데이터를 살펴보면 최대 부하는 18시에 1,412.78MW가 발생하였으며, 평균 부하는 1,144.87MW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데이터를 살펴보면 그림 7과 같이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은 07시부터 증가하여 정오에 최고 발전량을 보이고 18시에 정지한다. 또한 풍력 발전량은 오전과 저녁 시간대에 높은 발전량을 보이고 태양광 발전기가 최대 발전량을 보이는 정오 시간대에는 발전량이 감소하였다.

그림. 6. 육지계통을 포함한 시간대별 부하

Fig. 6. Hourly loads including land systems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6.png

그림. 7. 시간대별 재생에너지 발전량

Fig. 7. Renewable energy generation by hour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7.png

4.2 HVDC 운영 전략별 모의 결과

HVDC의 운영 전략별로 UC를 계산하여 각 발전원별 발전비중, HVDC 전송량, 출력제어량을 확인하였다. 만약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부하와 필수운전 발전량 및 HVDC 정송량의 차를 초과할 경우 과잉공급이 발생하여 출력제어가 발생한다.

2036년의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시뮬레이션한 Case 1의 UC 결과는 그림 8과 같이 과잉공급이 발생하여 대부분의 시간대에 출력제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력제어가 발생한 시간대에서는 육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아도 되지만 그림 9와 같이 HVDC의 최소 전송량 제약에 의해 #1 HVDC는 30MW, #2 HVDC는 40MW를 정송하였다. 또한 부하가 급증한 일출 및 일몰 시간대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부족하여 증분가격이 가장 낮은 화력발전기가 증발하였다. 육지계통의 등가 발전기의 증분가격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으나 등가 발전기의 증분가격, HVDC의 효율 등을 고려했을 때 제주계통의 화력발전기를 증발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최적이다.

Case 2의 UC 결과는 #1 HVDC이 역송 운전함에 따라 그림 10과 같이 육지계통의 발전기가 감발하였다. Case 1과는 다르게 전체 HVDC의 최소 정송량이 –10MW이기 때문에 부하가 급증하는 시간대에는 육지계통 발전기와 화력발전기가 동시에 증발하였고 #1 HVDC의 역송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몰 시간대에서는 최대 부하가 발생하여 그림 11과 같이 #2 HVDC의 정송량이 증가하였다. 반대로 부하가 낮고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높아 출력제어가 발생한 시간대에는 #1 HVDC가 잉여전력을 역송하고 #2 HVDC는 최소 전송량만큼 정송하여, 육지계통의 발전기가 순 역송량만큼 감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Case 1의 시간대별 발전비중

Fig. 8. Generation composition by time period in Case 1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8.png

그림. 9. Case 1의 시간대별 HVDC 전송량

Fig. 9. HVDC transmission amount by time period in Case 1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9.png

그림. 10. Case 2의 시간대별 발전비중

Fig. 10. Generation composition by time period in Case 2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10.png

그림. 11. Case 2의 시간대별 HVDC 전송량

Fig. 11. HVDC transmission amount by time period in Case 2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11.png

Case 3의 UC 결과는 그림 12와 같고, 정역송 변환이 용이한 #3 HVDC로 인해 역송 가능량이 증가하여 출력제어량이 더욱 감소하였다. 또한 부하가 급증하는 시간대에는 그림 13과 같이 #1, 3 HVDC의 역송량을 감소시켰다. 특히 저녁 시간대에는 정지한 발전기 중 증분가격이 가장 낮은 디젤 발전기를 기동시켜 전력 수급 균형을 맞추었다.

그림. 12. Case 3의 시간대별 발전비중

Fig. 12. Generation composition by time period in Case 3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12.png

그림. 13. Case 3의 시간대별 HVDC 전송량

Fig. 13. HVDC transmission amount by time period in Case 3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13.png

4.3 결과 분석 및 고찰

Case 1에서는 #1, 2 HVDC의 정송 운전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HVDC 역송 가능량이 0MW이고, Case 2에서는 #1 HVDC의 역송 운전을 고려하여 HVDC 역송 가능량이 110MW이다. Case 3에서는 #3 HVDC의 운전을 고려하여 HVDC 최대 순역송량이 310MW이다.

표 5. Case별 출력제어량 및 운영비용

Table 5. Curtailment amount and operation cost by case

Curtailment [GW]

Cost [₩]

Case 1

62.69

19,206,323

Case 2

24.46

15,103,225

Case 3

9.52

13,703,538

그림. 14. Case별 출력제어량

Fig. 14. Curtailment amount by case

../../Resources/kiee/KIEE.2023.72.6.701/fig14.png

Case별 출력제어량은 그림 14와 같고, 운영비용은 표 4와 같다. Case 2, 3에서는 발전비용이 0인 재생에너지원의 발전량을 출력제어하지 않고 HVDC를 통해 육지계통으로 역송하여 동기 발전기가 상대적으로 감발하여 운영비용이 낮다. Case 1에 비해 Case 2의 운영비용이 낮은 이유는 #1 HVDC의 역송 운전으로 인해 출력제어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Case 3의 경우 #3 HVDC의 운전으로 인해 역송 가능량이 증가하여 운영비용이 감소한다. 이를 통해 HVDC 역송 가능량이 증가할수록 제주계통의 잉여전력을 역송하여 출력제어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육지의 발전기가 감발하여 운영비용도 감소하였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HVDC 역송을 고려하여 제주계통의 일간 기동정지계획 문제를 해석하였다. 제주계통에서 24시간 동안의 부하와 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발전기의 운영계획문제를 해석하고,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Case 1에서는 현재 HVDC 운영 전략을 유지할 경우 2036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제어가 급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se 2, 3에서는 #1 HVDC 역송운전과 #3 HVDC의 운전을 통해 제주계통의 잉여전력을 역송할 경우 출력제어량과 운영비용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경제적인 제주계통 운영 전략 수립에 활용되길 기대하며, 추후 계통 신뢰도 및 안정도를 고려한 필수운전 발전기의 운전 대수 감소와 장주기 ESS의 영향 등을 고려해 미래 제주계통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21년 선정 기초연구개발과제 및 2022년 선정 기초연구개발과제 지원에 의한 성과입니다. (과제번호:R21XO01-1, R22XO05-02)

References

1 
Bird, Lori, Cochran Jaquelin, 2014, Wind and solar energy curtailment: experience and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US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Golden, Colorado Available at https://www nrel gov/docs/fy14 osti/60983 pdfDOI
2 
Nycander, Elis, 2020, Curtailment analysis for the Nordic power system considering transmission capacity, inertia limits and generation flexibility, Renewable Energy 152, pp. 942-960DOI
3 
Bird, Lori, 2016, Wind and solar energy curtailment: A review of international experience,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5, pp. 577-586DOI
4 
Energy Corporation Jeju, 2019, CFI 2030 Plan Amendment and Supplement Service (Summary)Google Search
5 
Energy Economics Institute Korea, 2019,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Jeju Island and the direction of stable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Google Search
6 
of Trade Ministry, and Energy Industry, 2021, Efforts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minimize output control of renewable energyGoogle Search
7 
KEPCO, 2017, Easy-to-understand HVDCGoogle Search
8 
E. S. Kwak, 2021, A Study on HVDC and BESS Application for High Penet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Journal of the KIECS, Vol. 16, No. 6, pp. 1339-1348Google Search
9 
Wood, Allen J., Bruce F. Wollenberg, 2013, Power generation, operation, and control, John Wiley & SonsGoogle Search
10 
Tejada-Arango, A. Diego, 2019, Which unit-commitment formulation is best? A comparison framework,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35.4, pp. 2926-2936DOI
11 
Sufan Jiang, 2020, A novel robust security constrained unit commitment model considering HVDC regulation, Applied Energy 278DOI
12 
KEPCO, 2021, Power data open portal systemGoogle Search
13 
KPX, 2023, Jeju electricity demand by hourGoogle Search
14 
KEPCO, 2018, Understanding voltage type HVDCGoogle Search
15 
Ministry of Trade,Industry and Energy, 2023, The 10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Google Search
16 
KPX, 2022, Full text of electricity market operation rulesGoogle Search
17 
J. Ostrowski, M. F. Anjos, A. Vannelli, feb. 2012, Tight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mulations for the Unit Commitment Problem,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7, No. 1, pp. 39-46DOI
18 
Gridwiz Energy Management System, 2022, Real-time power supply and demand status (Jeju)Google Search

저자소개

최지웅(Ji Woong Choi)
../../Resources/kiee/KIEE.2023.72.6.701/au1.png

He received B.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3.

Currently, master’s student at Kwangwoon University,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operation and analysis using optimization.

이호준(Ho Jun Lee)
../../Resources/kiee/KIEE.2023.72.6.701/au2.png

He received B.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2.

Currently, master's student at Kwangwoon University,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operation and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장정수(Jung Soo Jang)
../../Resources/kiee/KIEE.2023.72.6.701/au3.png

He received BS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2.

Currently, master’s student at Kwangwoon University,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Cost Analysis, IBRs application on power systems and IBRs protection.

윤민한(Min Han Yoon)
../../Resources/kiee/KIEE.2023.72.6.701/au4.png

He received his Ph.D. degree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5.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5, and a Senior Engineer with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KERI) during 2015-2017.

Currently, he is Associate Professor in Kwangwoon University,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transients and AC-DC system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