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Korea.)
  2. (Dept. Korea Testing Laboratory.)



ESS, Li-ion Battery, Used Battery, Re-purpose, Recycle, Resistance, DC IR, AC IR

1. 서 론

최근 국내외 환경규제와 소비자의 환경의식 강화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확장으로 향후 사용후 배터리 배출량의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전세계 전기차 보급량은 2020년 600만대에서 2030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27%인 2,600만대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국내의 경우 2020년 누적기준 9.3만대 규모에서 『2030년 국가로드맵』기준 2030년 300만대로 추정되어 사용후 배터리 규모 역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3). 환경부 통계 기준 2030년국내 발생 사용후 배터리는 1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보이며, 20개 컨소시엄에 달하는 규제실증특례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용후 배터리 활용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EU에서는 배터리 규정안 발표(2020. 12.)를 통해 재생원료 최소함량 기준, 탄소발자국, 공급망 실사 등 지속가능한 기준 수립 및 배터리 여권제도를 도입하여 폐배터리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지원 계획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협력사, 시스템 공급사 간 데이터 공유를 단일 플랫폼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 역시 사용후 배터리 관련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산업화와 제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사용후 배터리는 운용환경 및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배터리의 열화 특성으로 인해 전수검사가 필수로 요구되며, 전수검사 시간의 감소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 즉, 비교적 신속한 검사 특성을 갖는 내부저항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후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열화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저항 측정방법으로 IEC 61960-3, IEC 62620, ISO 12405-4, UL 1974 등의 표준을 근거하여 AC IR 과 DC IR의 측정 메커니즘을 제시한다(5-8). 여기서, AC IR 측정 메커니즘은 1kHz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류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 양단에서 측정된 전압에 의하여 내부저항을 산정한다. 또한, DC IR 측정 메커니즘은 일정한 직류 전류를 주입한 후 전압 변동을 측정하여 해당 전류에 의하여 저항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에서 제시한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평가하기 위하여, AC 및 DC 전원부, 계측부, 리튬이온배터리 셀 등으로 구성된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시험장치와 AC 및 DC 전원부, 계측부, 리튬이온배터리 셀, fuse, relay, BMS 등으로 구성된 배터리 팩의 내부저항 시험장치를 구현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메커니즘과 구현한 시험장치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나리오별 배터리 셀 및 팩의 내부저항을 평가한 결과, SOH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은 DC IR 측정 방법이 AC IR 측정 방법에 비해 분포도가 더 커서 효과적인 측정 방법임을 알 수 있으며, 접속부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은 AC IR 측정 방법이 DC IR 측정 방법에 비해 분포도가 더 증가하여 효과적인 측정방법임 알 수 있다.

2. 사용후 리튬이온배터리의 내부저항 특성

배터리의 내부저항은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즉, 배터리는 열화가 진행될수록 내부저항이 높아지게 되고, 줄열(Joule Heat)에 따른 에너지 손실과 방전 말단 전압(discharge termination voltage) 강하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내부저항은 제조공정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값이 달라질 수 있어, 대부분의 배터리 제조공정에서 내부저항을 핵심적인 평가항목으로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내부저항 평가항목은 소형 배터리에 적용되는 IEC 61960-3과 산업용 배터리에 적용되는 IEC 62620 및 제조사 자체 표준에 따라 운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후 배터리 관련 표준으로 국제표준인 IEC 63330이 제정 중에 있고, 국외 표준으로 UL1974가 제정되어 시행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사용후 배터리 실증특례 대상 임시 안전기준(안)을 기반으로 2023년 10월 내 신규 KC 제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기의 모든 표준에서 내부저항 평가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사용후 배터리의 내부저항 측정은 상기의 표준을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이 배터리의 열화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배터리 열화는 크게 배터리 셀 자체의 열화와 접속부 열화로 구분된다. 먼저, 셀의 열화는 셀 내부 리튬 이온의 이동에 따른 내부 화학적 변화에 기인하며, 높거나 낮은 주변 온도 및 고전류로 해당 열화가 가속될 수 있다(9-11).

그림. 1. 중대형 배터리의 열화 종류

Fig. 1. Types of degradation for middle & large sized battery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1.png

한편, 접속부 열화는 배터리가 사용된 제품의 지속적인 진동·충격과 같은 물리적인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열화로 인해 높아진 임피던스에 따른 상승된 저항열이 배터리 셀에 영향을 미쳐 안전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 열화에 의한 임피던스는 접촉부의 리액턴스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측정 방법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저항의 측정에 사용되는 AC IR 및 DC IR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험장치를 구현하여 사용후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3. 중대형 배터리의 내부저항 측정 메커니즘

3.1 AC IR 측정 메커니즘

AC IR은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측정하는 방법과 특정 주파수에서 측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여러 국제표준에 제시되어 있는 1kHz 주파수에서 측정하는 AC IR 방법을 적용한다. 여기서, AC IR은 간편하고 신속한 측정 방법으로 배터리 셀 제조공정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입고 및 출고 검사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대상으로 하는 IEC 61960-3과 ESS를 포함하는 산업용 배터리의 IEC 62620 표준 내 셀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그림 2와 같이 IEC 62620의 AC IR 측정 방법을 바탕으로 1kHz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류($I_{a}$)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배터리 양단에서 측정된 전압($U_{a}$)에 의하여 내부저항($R_{a}$)을 식(1)과 같이 산정한다(12). 여기서, 교류 전류는 피크 전압이 20mV 이하로 유지되도록 해야한다.

(1)
$R_{ac}=\dfrac{U_{a}}{I_{a}}(\Omega)$

여기서, $R_{a}$ : AC IR 내부 저항, $U_{a}$ : 교류 RMS 전압, $I_{a}$: 1kHz 교류 RMS 전류

그림. 2. 배터리 AC IR 측정 방법

Fig. 2. Measurement method for AC IR of battery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2.png

한편, AC IR 측정방법은 그동안 대부분 휴대용 소형기기에 사용되는 셀 및 소형 팩 단위로만 사용되었으므로, 중대형 모듈 혹은 팩 단위의 고전압 배터리 측정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중대형 배터리의 재사용을 위한 중대형 셀 및 이를 활용한 모듈 및 팩 등에 대한 측정 방법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AC IR 측정 방법은 높은 주파수의 AC 전류원을 이용하는 만큼 리액턴스 성분까지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접속부가 존재하는 중대형 모듈과 팩 단위의 고전압 배터리의 열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3.2 DC IR 측정 메커니즘

DC IR 측정 방법은 일정한 직류 전류를 주입한 후 전압 변동을 측정하여 해당 전류에 의하여 저항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그림 3과 같이 짧은 시간동안 전류($I_{1}$)로 방전하여 전압($U_{1}$)을 측정하고, 다시 증가된 방전전류($I_{2}$)로 전압($U_{2}$)을 측정하여, 상기의 전압 변동분을 바탕으로 식(2)과 같이 저항($R_{dc}$)을 산정한다.

그림. 3. 배터리 DC IR 측정 방법

Fig. 3. Measurement method for DC IR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3.png

(2)
$R_{dc}=\dfrac{U_{1}-U_{2}}{I_{2}-I_{1}}(\Omega)$

여기서, $R_{dc}$ : 내부 저항, $U_{1}$, $U_{2}$ : 측정된 전압, $I_{1}$, $I_{2}$: 방전 전류

상기와 같이 방전을 수행하면서 측정하는 방법 외에 충전을 수행하며 내부저항을 구하기도 한다. 하지만, DC IR 방법은 내부저항 측정 중에 배터리가 직류전류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충전, 방전이 이루어지므로 SOC(state of charge)가 변동되어 반복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하고, 충·방전 설비 준비 및 전류 경로 형성을 위한 고정 등 시험 준비 시간 소요 등의 단점이 있다. 그러나, DC IR 측정 방법은 실제 사용 조건과 동일하게 전류를 흘리면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고전류 특성 및 이에 따른 열화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인버터 등과 연결된 대용량 배터리의 경우 별도의 시험설비를 연결하지 않고 현장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AC IR 측정 방법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DC IR 측정 방법은 소형 및 중대형 셀과 팩 단위로 활용되어 왔으나, 재사용 배터리의 SOC, SOH(state of health), 온도 등과 같은 조건에 따른 측정값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4. 중대형 배터리 내부저항 시험장치 구현

4.1 배터리 셀 내부저항 시험장치 구현

중대형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을 위한 시험장치의 구성은 그림 4와 같다. 즉, 내부저항 시험 장치는 배터리 셀 외부로 도출된 양극과 음극에 내부저항 측정을 위한 AC 및 DC 전류를 인가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전압 변동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며, AC 및 DC 전원부, 계측부, 리튬이온배터리 셀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AC 전원부는 3.1절의 메커니즘에 따라 1kHz의 AC 전류를 배터리에 인가하며, DC 전원부는 3.2절의 메커니즘에 따라 서로 다른 c-rate로 충·방전을 수행한다. 또한, 계측부는 충·방전 전류 및 리튬이온배터리의 양단 전압을 측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 셀 내부의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 변동을 계측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의 내부저항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열화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SOC, SOH, 온도 등의 변수에 따른 내부저항을 평가하여, 배터리 셀의 성능 및 안전성을 판단한다.

그림. 4. 배터리 셀 내부저항 측정 구성도

Fig. 4. Configuration of measurement for cell internal resistance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4.png

4.2 배터리 팩 내부저항 시험장치 구현

중대형 배터리 팩의 내부저항 시험장치는 그림 5와 같이, AC 및 DC 전원부, 계측부, 리튬이온배터리 셀, fuse, relay, BMS 등으로 이루어진 배터리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장치는 배터리 팩 외부로 연결된 커넥터와 고전류 도선의 양극과 음극에 내부저항 측정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여 전압 변동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배터리 팩 단위 내부저항 측정의 경우, 셀의 시험과는 다르게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류가 배터리 팩 내부의 연결부, relay 및 fuse 등을 통과하므로 배터리 셀의 열화와 더불어 배터리 전류 경로 내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배터리 팩 내부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많은 접속부가 있는데, 해당 부분이 열화 등을 통해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저항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 뿐만 아니라 연결부 및 기타 소자의 저항 특성 역시 온도 등의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SOC, SOH, 온도 등의 파라미터에 따른 내부저항을 평가하여, 배터리 팩의 성능 및 안전성을 판단한다.

그림. 5. 배터리 팩 내부저항 측정 구성도

Fig. 5. Configuration of measurement for pack internal resistance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5.png

5. 시험 결과 및 분석

5.1 시험 조건

본 논문에서는 상용화된 NMC 계열 중대형 배터리로 각 조건별 내부저항 측정을 통해 배터리의 내부저항 특성을 제시한다. 즉, 배터리의 충전도와 열화도를 반영하여 SOC 및 SOH별 내부저항 특성을 제시하고, 온도에 따른 비저항 특성 및 내부 화학적 변화를 고려하여 온도별 특성도 분석한다. 또한, 셀 또는 모듈의 연결부의 열화 특성을 반영하여 배터리 접속부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도 제시한다. 각 시험별 조건에 따라 SOC를 설정하는 방법은 IEC 62660-1에 따라 표준 충전 후 안정화 시간을 거쳐 방전하는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여기서, SOC에 따른 내부저항 측정을 위한 SOC 선정값은 관련 국제표준을 바탕으로 표 1과 같이 상정한다. 즉, AC IR 측정을 위한 SOC의 경우, IEC 62620에 명기된 50%와 운용범위의 최대값, 최소값인 100%, 0%와 운송 및 보관에 일반적인 25%로 상정하고, DC IR의 측정을 위한 SOC는 UL 1974와 IEC 12405-4에서 지정한 최소값인 20%와 최대값 80%, IEC 62620에서 지정한 50%으로 상정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원통형 셀이 아닌, 상용화된 NMC 계열 중대형 모듈 혹은 팩 단위의 배터리를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특성을 분석한다.

표 1. 내부저항 관련 표준 및 시험 SOC 조건 산정

Table 1. SOC test condition for internal resistance with related standards

standards

SOC for AC IR

SOC for DC IR

UL 1974

-

20%, High

ISO 12405-4

-

20~80%

IEC 62620

(50 ± 10)%

(50 ± 10)%

Test SOC

0/25/50/100%

20/50/80%

한편, SOH에 따른 내부저항 측정을 위해, IEC 62620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용량 측정을 수행한 후 내부저항을 측정한다. 또한, 온도에 따른 내부저항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의 운용온도 범위인 0℃에서 50℃를 10℃ 단위로 적용하고, 접속부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 측정을 위해 모듈 간 체결부의 토크값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열화 상황을 상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원통형 셀로 분석된 내부저항이 아닌, 상용화된 NMC 계열 중대형 배터리로 특히 모듈 혹은 팩 단위의 배터리를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특성을 분석한다.

5.2 SOC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

SOC에 따라 배터리의 AC IR 측정 방법에 의한 내부저항 특성은 표 2와 같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SOC 0% 일 때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시험한 결과, SOC가 높아질수록 AC IR 측정값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은 있으나, 최대 3% 정도로 DC IR에 비하여 감소폭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SOC 0%와 25%에서 측정된 AC IR의 내부저항 분포도는 모두 1.8% 이내임을 알 수 있다.

표 2. SOC 조건에 따른 배터리 AC IR 특성

Table 2. AC 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C conditions

soc(%)

sample

0%

25%

50%

100%

no. 1(pu)

1

0.9821

0.9751

0.9658

no. 2(pu)

1

0.9877

0.9821

0.9698

no. 3(pu)

1

0.9958

0.9810

0.9803

한편, SOC에 따라 배터리의 DC IR 측정 방법에 의한 내부저항 특성은 표 3과 같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SOC 20% 일 때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시험한 결과, SOC 50%일 때 DC IR 측정값이 최대값 대비 5% 내외 분포도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SOC 20% 및 80%인 경우, SOC 50%보다 높은 DC IR 측정값을 가지는데, 이는 전압-전류 방전곡선 내 SOC 50%가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작은 평탄한 구간에 위치하는 리튬이온배터리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SOC에 따른 AC IR과 DC IR에 의한 측정값이 다소 큰 분포도를 보이므로, 내부저항 측정 시 특정 SOC 범위를 지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표 3. SOC 조건에 따른 배터리 DC IR 특성

Table 3. DC IR characteristics accroding to SOC conditions

soc(%)

sample

20%

50%

80%

no. 1(pu)

1

0.9494

0.9864

no. 2(pu)

1

0.9573

0.9971

no. 3(pu)

1

0.9828

1.0202

5.3 SOH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

AC IR 측정 방법에 의하여 SOH를 고려한 배터리의 내부저항 특성은 그림 6과 같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초기 SOH 100%의 AC IR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시험한 결과, SOH가 낮아질수록 AC IR 측정값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셀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이 증가하는 특성을 AC IR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AC IR 측정값이 초기 대비 7% 내외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 SOH 조건에 따른 배터리 AC IR 특성

Fig. 6. AC 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H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6.png

한편, DC IR 측정 방법에 의하여 SOH를 고려한 배터리의 내부저항 특성은 그림 7과 같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초기 SOH 100%의 DC IR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시험한 결과, SOH가 낮아질수록 DC IR 측정값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셀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이 증가하는 특성을 DC IR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DC IR 측정값이 초기 대비 50% 이상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OH에 따른 AC IR 측정값에 비해 DC IR 측정값이 더 큰 분포도가 발생하여, 배터리 셀 자체 열화를 진단하는데 있어 DC IR 측정 방법이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 SOH 조건에 따른 배터리 DC IR 특성

Fig. 7. DC 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H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7.png

5.4 온도 조건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

배터리의 온도 조건에 따른 AC IR 측정 방법에 의한 내부저항 특성은 그림 8과 같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상온(25℃) 기준 AC IR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시험한 결과, 온도별로 방치시간에 관계없이 AC IR 측정값이 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저항 값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배터리 팩 내부의 도체와 배터리 셀의 비저항계수(ρ)가 온도 증가에 의해 작아짐에 따라 전체 저항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AC IR 측정 방법은 상온 대비 최대 6% 정도의 분포도가 발생하여, 내부저항 측정 시 명시된 온도조건을 준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림. 8. 온도 조건에 따른 배터리 AC IR 특성

Fig. 8. AC IR characteristics with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8.png

한편, 배터리의 온도 조건에 따른 DC IR 측정 방법에 의한 내부저항 특성은 그림 9와 같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0℃ 기준 DC IR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시험한 결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저항 값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온도별로 최대 70% 정도의 분포도를 가지는데, 이는 AC IR과 동일하게 배터리 팩 내부의 도체와 배터리 셀의 비저항계수에 기인하는 요인과 더불어 실제 전류가 흐르며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DC IR에서는 배터리 화학적 특성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DC IR 측정 방법은 상온 대비 최대 70% 내외의 분포도가 발생하여, 내부저항 측정 시 더욱 엄격하게 명시된 온도조건을 준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림. 9. 온도 조건에 따른 배터리 DC IR 특성

Fig. 9. DC IR characteristics with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s

../../Resources/kiee/KIEE.2023.72.6.717/fig9.png

5.5 배터리 접속부 열화에 따른 내부저항 특성

표 4는 접속부 열화를 모사하기 위해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부의 토크값 변경하여 접속부를 열화시킨 후, AC/DC IR 측정 방법에 의하여 내부저항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실제 상용화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정상상태의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접속부 열화 전후를 비교한 결과, DC IR 측정값은 SOC에 관계 없이 1% 미만의 증가율을 보이는 반면, AC IR은 최대 319%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접속부 열화를 확인하는데 AC IR 측정 방법이 DC IR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접속부 열화 전후 내부저항 검사 결과

Table 4. 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nection degradation

item

SOC

normal status IR(%)

connection degradation IR(%)

rate of increase(%)

AC IR

30%

100.00

217.62

117.62

90%

100.00

419.68

319.68

DC IR

30%

100.00

100.89

0.89

90%

100.00

100.68

0.68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배터리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NMC계열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상으로, 내부저항 측정 시 국제표준의 시험방법을 바탕으로 공인교정을 통해 소급성이 확보된 장비를 활용하여 신뢰성 높은 분석을 수행한다. 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내부저항 측정을 SOC, SOH, 온도, 접속부 열화 등 다양한 시험 조건에 따라 수행하고, 이를 분석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OC 시험조건에 따른 AC IR, DC IR 측정 방법은 각각 최대 3%, 5% 내외의 분포도를 보이므로, 내부저항 측정 시 특정 SOC 범위를 지정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SOH 시험조건에 따른 AC IR, DC IR 측정 방법은 각각 7%, 50% 정도의 분포도를 보이므로, 배터리 셀 자체 열화를 진단하는데 있어 DC IR 측정 방법이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3) 온도 시험조건에 따른 AC IR, DC IR 측정 방법은 각각 6%, 70% 정도의 분포도를 보이므로, DC IR 측정 방법은 AC IR 측정 방법보다 더욱 엄격하게 온도 조건을 명시하고 준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4) 접속부 열화조건에 따른 DC IR 측정값은 SOC에 관계없이 1% 미만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반면, AC IR 측정값은 최대 31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접속부 열화를 확인하는데 AC IR 측정 방법이 DC IR 측정 방법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5) 상기의 결과에 따라, 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내부저항 측정 시 온도 및 SOC 조건을 준수하고, 셀 자체의 열화 진단은 DC IR 측정 방법이 적합하고, 접속부 열화 진단은 AC IR 측정 방법이 적정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확인한 배터리 내부저항 특성이 신속하고 정확한 성능 및 안전성 진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향후 사용후 배터리 분야의 정확한 상태 진단을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development of fire prevention, suppression system and maintenance guideline for ESS installation space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ed financial resource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No. 20215910100030)

References

1 
J. B. Jung, M. G. Lim, J. Y. Kim, D. S. Rho, 2021,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hort-Circuit in Li-ion Battery Considering Operation and Environment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2, No. 8, pp. 663-672DOI
2 
J. M. Kim, D. H. Tae, I. M. Lee, G. P. Lim, D. S. Rho, 2021, A Study on Modeling of Leakage Current in ESS Using PSCAD/EMTDC,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2, No. 2, pp. 810-818DOI
3 
S. M. Choi, S. Jian, M. Y. Kim, J. H. Son, D. S. Rho, 2021, Operation Algorithm for Protection Cooperation Device in High Voltage Customer with ESS for Demand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2, No. 12, pp. 437-446DOI
4 
A. S. Mussa, A. Liivat, F. Marzano, M. Klett, B. Philippe, C. Tengstedt, G. Lindbergh, K. Edstrom, R. W. Lindstrom, P. Svens, 2019, Fast-charging effects on ageing for energy-optimized automotive iNi1 / 3Mn1 / 3Co1 / 3O2 / graphite prismatic lithium-ion cell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422, pp. 175-184DOI
5 
IEC 61960-3,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containing alkaline or other non-acid electrolytes - Secondary lithium cells and batteries for portable applications - Part 3: Prismatic and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made from them.Google Search
6 
IEC 62620,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containing alkaline or other non-acid electrolytes – Secondary lithium cells and batteries for use in industrial applications.Google Search
7 
ISO 12405-4, Electrically propelled road vehicles - Test specification for lithuim-ion traction battery packs and systems - Part 4: Performance testing.Google Search
8 
UL 1974, March 30, 2018, The Standard for Evaluation for Repurposing Batteries.Google Search
9 
S. Ma, M. Jiang, P. Tao, C. Song, J. Wu, T. Deng, W. Shang, 2018, Temperature effect and thermal impact in lithium-ion batteries: A review, Progress in Natural Science : Materials International, Vol. 28, No. 6, pp. 653-666DOI
10 
C. Mikolajczak, M. Kahn, K. White, R. T. Long, 2011, Lithium-Ion Batteries Hazard and Use Assessment, The Fire Protection Research FoundationGoogle Search
11 
Z. Gao, X. Zhang, Y. Xiao, H. Gao, H. Wang, C. Piao, 2019, Influence of Low-Temperature Charge on the Mechanical Integrity Behavior of 18650 Lithium-Ion Battery Cells Subject to Lateral Compression, energies, Vol. 12, No. 5, pp. 797DOI
12 
T. Mori, 2021, Advanced Technologies for Impedance-based Performance Estima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Lithium-ion batteries, Kogyo Zairyo, Vol. 69, No. 7, pp. 30-35Google Search

저자소개

정재범(Jae-Beom Jung)
../../Resources/kiee/KIEE.2023.72.6.717/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M.S. & Ph.D degree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He is interested in energy storage system, coordination of protection devices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임민규(Min-Gyu Lim)
../../Resources/kiee/KIEE.2023.72.6.717/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1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M.S. & Ph.D degree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He is interested in energy storage system, coordination of protection devices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김남현(Nam-Hyun Kim)
../../Resources/kiee/KIEE.2023.72.6.717/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2013.

He is interested in energy storage system, reuse battery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김현재(Hyun-Jae Kim)
../../Resources/kiee/KIEE.2023.72.6.717/au4.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Industri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in 2012.

He is interested in electric vehicle, reuse battery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노대석(Dae-Seok Rho)
../../Resources/kiee/KIEE.2023.72.6.717/au5.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1985 and 1987, respectively.

He earned a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in 1997.

He has been working as a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since 1999.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dispersed storage and generation systems and powe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