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Single-cage, Deep-bar, Double cage, Induction motor, Equivalent Circuit Diagram, Starting Current, Voltage Drop

1. 서 론

국내 소수력 발전소는 단위 설비용량이 대부분 3,000kW이하이며 약 48개소에 총 설비용량 약 62,852㎾ 수준이며 동기발전기와 유도발전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총 발전기 설치 대수의 약 85%이상이 유도발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도발전기는 동기발전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초기 투자비가 낮아 소수력 또는 마이크로급 발전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1-8).

유도발전기의 가장 큰 단점은 유도전동기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기동할 때 발생하는 높은 전류로 같은 간선 또는 모선에 연결된 다른 기기에 전압강하를 일으켜 기기의 동작을 어렵게 할 수 있다(4-9).

유도전동기는 회전자 형상에 따라 전류와 토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10,11). 유도전동기는 용량 및 기동전류를 고려하여 회전자를 일반 농형(single-bar), 심구형(deep-bar) 그리고 이중 농형(double-cage)으로 제작하고 있다(1,2,5-15). 대용량의 경우는 일반 농형 회전자 대신에 심구형 또는 이중 농형 구조를 가진 것을 주로 사용한다(11,12,14).

유도발전기는 정지 상태에서 기동하여 동기속도를 넘는 동안에 전동기의 운전영역(5)을 거치는데 회전자 형상에 따라 전동기 운전영역과 발전기 운전영역에서 전류의 크기와 전압의 차이 그리고 전력 및 역률의 변화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이 차이는 같은 간선에 연결된 다른 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유도전동기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부분의 연구는 회전자가 일반 농형인 경우를 대상으로 제어 또는 출력의 변화를 해석하였지만, 실제로 유도전동기나 유도발전기는 회전자의 형상에 따라 토크 및 전류 특성이 서로 다르므로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각각의 동작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반 농형 회전자 외 심구형 회전자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기의 회전자 형상이 일반 농형, 심구형 및 이중 농형의 3종의 유도발전기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각 해석 모델이 배전 선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과도 동작 특성을 분석하였다.

2. 유도기의 회전자 형상 및 등가회로도

유도기는 다양한 회전 부하에 적합하여 여러 산업 분야에 전동기나 발전기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기기이다.

2.1 회전자 형상에 따른 특성 차이

유도기는 부하의 운전 특성을 고려하여 회전자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있다. 기동할 때 큰 토크를 요구하는 것과 운전하는 동안 큰 토크를 요구하는 것에 따라 회전자의 형상을 다르게 설계한다(11,14,15). 그림 1은 NEMA(14)에서 규정하고 있는 회전자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A와 D는 일반 농형 회전자의 구조이고, B는 심구형 회전자이며, C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구조이다. D와 같은 일반 농형 회전자는 기동할 때 큰 토크를 요구하는 곳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대부분의 유도발전기 회전자는 A, B, C와 같은 형상으로 설계 제작되고 있다

그림. 1. 유도기의 회전자 형상

Fig. 1. Rotor shape of induction machine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1.png

고정자의 형태는 모두 같고, 회전자의 형상을 그림 1과 같이 4가지(A, B, C, D)로 설계·제작한 경우 정지 상태에서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의 토크 곡선에 대해 NEMA에서 규정한 특성 곡선은 그림 2와 같다(2,10,14,15). 회전자 형상에 따라 기동할 때와 운전할 때 토크의 크기가 다르고 또한 최대 토크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 기동할 때 토크가 가장 큰 것은 D형 회전자이고, 최대 토크가 가장 큰 것은 A형 회전자이다. A형과 B형의 회전자는 기동할 때 토크가 거의 비슷하다.

그림. 2. NEMA A, B, C, D 회전자의 토크 곡선

Fig. 2. Torque curves for NEMA A, B, C, and D rotors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2.png

2.2 유도발전기의 등가회로도

그림 3은 유도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 농형 및 심구형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5,10,12). 이 등가 회로도는 전동기로 사용할 때는 물론이고 발전기로도 운전할 때의 특성 해석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림. 3. 유도기의 등가회로도

Fig. 3.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induction machine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3.png

여기서 $I_{s},\: I_{m,\:}I_{r}$은 각각 고정자 전류, 자화전류 및 회전자 전류이고, $X_{sd,\:}X_{m,\:}X_{rd}$ 는 각각 고정자, 자화 및 회전자의 리액턴스이며, $X_{1d,\:}X_{2d}$ 와 $R_{1,\:}R_{2}$ 는 각각 심구 및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 및 바깥쪽 리액턴스와 저항을 의미한다. 그리고 $s$는 슬립이며, $V_{s}$는 고정자 전압이다.

그림 3⒝에서 첨자 1은 회전자의 안쪽(inner)을 의미하고, 첨자 2는 회전자의 바깥쪽(outer)을 의미한다.

그림 3의 등가회로도 표시된 각각의 파라미터 값과 고정자와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등을 알면 유도발전기의 동작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3⒜그림 3⒝에서 일반 농형 회전자 임피던스 $Z_{p S}(s)$ 및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병렬 임피던스 $Z_{p D}(s)$는 식(1)과 같다.

(1)-a
$Z_{p S}(s)=\dfrac{1}{\dfrac{1}{j X_{m}}+\dfrac{1}{R_{r}+j X_{rd}}}$

(1)-b
$Z_{p D}(s)=\dfrac{1}{\dfrac{1}{j X_{m}}+\dfrac{1}{\dfrac{R_{1}}{s}+j X_{1d}}+\dfrac{1}{\dfrac{R_{2}}{s}+j X_{2d}}}$

위의 식(1)에서 구한 병렬 임피던스와 고정자의 임피던스로부터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는 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8,9).

(2)
$I_{s}(s)=\dfrac{V_{s}}{R_{s}+j X_{sd}+Z_{p}(s)}$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은 약간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일반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I_{r}$ 와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I_{1}$) 및 바깥쪽($I_{2}$)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3)과 같다.

(3)-a
$I_{r}(s)=-\dfrac{Z_{p S}(s)\times I_{s}(s)}{\dfrac{R_{1}}{s}+j X_{sd}}$

(3)-b
$I_{1}(s)=-\dfrac{Z_{p D}(s)\times I_{s}(s)}{\dfrac{R_{1}}{s}+j X_{1d}}$

(3)-c
$I_{2}(s)=-\dfrac{Z_{p D}(s)\times I_{s}(s)}{\dfrac{R_{2}}{s}+j X_{2d}}$

자속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화전류는 고정자에서 회전자로 흐르는 전류를 제외한 것으로서 다음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은 약간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일반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I_{r}$ 와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I_{1}$) 및 바깥쪽($I_{2}$)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4)과 같다. 와 같이 고정자 전류와 역률의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4)
$I_{m}=I_{s}\sin\theta =I_{s}\times\sqrt{1-pf^{2}}$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경우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에서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외한 값으로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은 약간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일반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I_{r}$ 와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I_{1}$) 및 바깥쪽($I_{2}$)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5)과 같다. 와 같은 관계식으로도 자화전류를 구할 수 있다.

(5)
$I_{s}=\left(I_{r1}+I_{r2}\right)+j I_{m}$

고정자에 유입되어야 할 유효전력($P$), 자속을 만드는데 필요한 무효전력($Q$) 및 역률($pf$)은 각각 아래 식과 같이 구하면 된다.

(6)
$P=Re\left(\sqrt{3}\times V\times I_{s}\right)$

(7)
$Q=Im\left(\sqrt{3}\times V\times I_{s}\right)$

(8)
$pf=\dfrac{P}{\sqrt{P^{2}+Q^{2}}}$

슬립에 따른 유도발전기의 토크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일반 농형의 토크는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은 약간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일반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I_{r}$ 와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I_{1}$) 및 바깥쪽($I_{2}$)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9)과 같다. 와 같고,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의 경우 토크는 회전자 안쪽 저항과 바깥쪽 저항 각각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다음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은 약간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일반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I_{r}$ 와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I_{1}$) 및 바깥쪽($I_{2}$)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10)과 같다.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T_{S}(s)=\dfrac{3p}{w_{r}}\left(I_{r}(s)^{2}\times\dfrac{R_{r}}{s}\right)$

(10)
$T_{D}(s)=\dfrac{3p}{w_{r}}\left(I_{1}(s)^{2}\times\dfrac{R_{1}}{s}+I_{2}(s)^{2}\times\dfrac{R_{2}}{s}\right)$

여기서 $p$는 유도발전기의 극수 이고, $w_{r}$는 회전자의 각속도이다.

토크와 속도에 의한 유도발전기의 운동방정식은 다음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 농형과 심구 또는 이중 농형은 약간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일반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 $I_{r}$ 와 심구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의 안쪽($I_{1}$) 및 바깥쪽($I_{2}$)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11)과 같다. 과 같다.

(11)
$T_{m}=J\left(\dfrac{2}{p}\right)\dfrac{dw_{r}}{dt}+Dw_{r}+T_{g e}$

여기서, $J$ 는 관성모멘트이며, $T_{m}$ 는 발전기에 연결된 기계적인 토크이며, $T_{g e}$는 유도발전기의 전자계 토크이고, $D$ 는 마찰로 발생하는 손실에 해당하는 점성 계수이다.

3. 동작 특성 분석

유도발전기의 회전자 형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발전해서 배전 선로에 연결할 때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NEMA에 규정하고 있는 일반 농형, 심구형 및 이중 농형의 회전자를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3.1 회전자 형상에 따른 유도발전기 사양 및 계통 구성

유도기에서 회전자를 일반 농형과 심구형 그리고 이중 농형으로 적용할 때 차이가 나는 부분은 바로 기동 토크, 최대 토크 그리고 효율 부분이다. 표 1은 본 연구에 사용한 3상, 380V, 6극, 300마력 유도발전기의 사양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림 2에서와 같이 회전자의 형상에 따라 효율, 기동 토크, 최대 토크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림 4는 본 해석에 사용된 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 변전소(S/S)로부터 변압기(TR)까지 약 10㎞의 배전 선로(AW-OC)에 역률 0.9의 8,000㎾의 부하(Load)가 연결되어 있고, 유도발전기(IG)가 연결된 변압기(TR) 용량은 600kVA, 변압기(TR) 임피던스는 6%이며, 저압 구내에는 역률 0.9가 되는 100㎾의 전동기 부하가 연결되어 있다.

3.2 과도 특성 분석

표 1에서 제시한 300마력의 유도발전기를 변압기 2차에 연결하여 운전할 때 회전자의 형상에 따라 발생하는 동작 특성의 변화에 대해 모의하였다. 유도발전기가 기동할 때 발생하는 동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계 과도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16).

표 1. 유도발전기의 사양

Table 1. Specification of induction generator

Parameters

Values

Single bar (A)

Deep bar (B)

Double cage (C)

Rated Output [hp]

300

Rated Frequency [Hz]

60

Rated voltage [V]

380

Synchronous speed [rpm]

1,200

Efficiency [%]

92

92

90

Power factor

0.8

0.8

0.8

Starting torque [pu]

1.4

1.4

2.0

Maximum torque [pu]

2.0

2.0

2.1

Locked rotor current [pu]

6.5

6.5

6.5

Stator

Resistance [pu]

0.056566

0.056566

0.056566

Inductance [pu]

0.065536

0.065336

0.061744

Magnetizing inductance [pu]

1.548822

1.548822

1.548822

Rotor

Resistance of inner conductor [pu]

0.024635

0.019237

0.058768

Resistance of outer conductor [pu]

-

0.019237

0.014478

Inductance [pu]

0.065536

0.065336

0.061744

그림. 4. 계통 구성도

Fig. 4. Schematic diagram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4.png

그림 5는 유도발전기를 기동하여 배전 선로에 연결할 때 발생하는 기동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5에서 유도발전기는 1초에서부터 운전을 시작하였다. 운전을 시작한 결과 일반 농형(single-bar:○) 회전자를 가진 경우가 가장 큰 전류를 나타내고, 이중 농형(double cage:△) 회전자의 경우가 가장 낮은 전류의 발생과 가장 빠른 정상전류의 확보가 가능하며, 심구형(deep-bar:□) 회전자를 가진 경우가 가장 늦게 정상전류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유도발전기를 기동하여 발전된 전력을 계통에 보내기 전에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바로 전동기의 운전영역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류에 의한 전압강하이다. 그림 6은 발전기용 변압기의 저압 및 특고압에서 발생하는 상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유도발전기의 기동으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해 변압기 1차와 2차에서의 전압강하를 모의한 결과 그림 6⒜와 같이 저압에서는 큰 전압강하가 발생하지만, 그림 6⒝와 같이 특고압에서는 전압강하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회전자 형상에 따라 전압강하의 크기는 물론이고, 전압강하의 지속시간에도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전압강하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경우는 일반 농형 회전자를 사용할 때이고, 이중 농형 회전자를 적용한 경우는 심구형 회전자나 일반 농형 회전자에 비해 전압강하가 조금 더 낮게 나타났다. 전압강하와 더불어 전압강하의 지속시간에도 서로 차이가 나는데 이중 농형 회전자를 사용할 때 다른 두 가지에 비해 조금 더 짧게 지속함을 알 수 있다.

그림. 5. 유도기의 기동전류

Fig. 5. Starting current of induction machine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5.png

그림. 6. 변압기 저압측과 고압측의 전압강하

Fig. 6. Voltage drop at low voltage side and high voltage side of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6.png

표 2는 회전자 형상을 일반 농형, 심구형 그리고 이중 농형으로 각각 적용한 경우, 저압(LV) 및 특고압(HV)에서의 전압강하($\triangle V$)와 전압 강하율($\epsilon$)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 특고압에서는 전압강하가 낮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저압에서는 전압강하가 40% 전후로 너무 높아 같은 간선에 연결된 다른 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을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변압기 2차에서는 별도의 전압강하 대책이 필요하다.

표 2. 전압강하와 전압 강하율

Table 2. Voltage drop and voltage drop rate

section

rotor type

V1[V]

V2[V]

$\Delta V$[V]

$\epsilon(\%)$

LV

single

351.81

206.8

145.01

41.2

deep

351.81

214.97

136.84

38.9

double

351.81

223.09

128.72

36.59

HV

single

22,230

21,991

239

1.08

deep

22,230

22,003

227

1.02

double

22,230

22,008

222

1.0

그림 7은 회전자 형상에 따라 기동할 때 발전기로 동작하기에 앞서 전동기 운전 모드로 동작할 때의 토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기동하는 순간에 가장 높은 토크를 발생하는 것은 이중 농형 회전자이고, 심구형 회전자나 일반 농형 회전자를 가진 경우 기동 토크는 크게 차이가 없으며, 최대 토크는 일반 농형 회전자의 경우가 가장 높으며, 전동기 운전영역이 가장 짧은 것은 이중 농형 회전자를 적용한 경우이다.

그림. 7. 유도기의 회전자 형상에 따른 토크

Fig. 7. Torque according to rotor shape of induction machine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7.png

다음 그림 8은 회전자 형상에 따른 유도발전기의 기동 및 정상으로 운전할 때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그리고 역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유도기가 발전기로 운전하기 전에 전동기로 운전하는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은 이중 농형 회전자의 경우이고, 가장 길게 운전하는 경우는 심구형 회전자를 적용할 때이다. 유도기가 동기속도를 약간 지나 발전기의 운전 모드로 운전할 때 유효전력에 해당하는 부분이 바로 유도발전기의 출력으로 전동기로 운전할 때와 달리 부호가 반대이다. 이는 유도전동기는 전원에서 유효전력이 제공되는 것이지만, 유도발전기는 유효전력의 전원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무효전력은 자화에 필요한 전력으로서 전동기 운전 모드로 운전할 때 가장 높고, 이 무효전력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3가지 회전자 형상에서 이중 농형 회전자를 적용할 때 가장 낮은 무효전력이 필요하므로 역률은 다른 두 가지에 비해 조금 더 높은 편이다. 유도발전기로 운전할 때 회전자 형상에 따라 발생하는 무효전력의 차이는 역률 보상에 필요한 전력이 차이와 관계가 있다.

그림. 8. 유도기의 유효전력, 무효전력, 역률

Fig. 8.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nd power factor of induction machine

../../Resources/kiee/KIEE.2023.72.6.724/fig8.png

4. 결 론

유도발전기를 계통에 연결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기동전류에 의한 전압강하이다. 실제 유도발전기는 유도전동기와 마찬가지로 회전자 형상에 따라 토크나 전류의 크기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자 형상에 따른 유도발전기를 소수력 발전소에 적용할 때 기동하는 순간과 정상적으로 운전할 때 저압 및 특고압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 및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차이를 해석하였다. 회전자 형상에 따라 전류의 크기와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무효전력의 크기는 기동하는 순간에 이중 농형 회전자를 사용할 때 가장 낮고, 정상적인 운전에는 심구형 또는 이중 농형 회전자가 일반 농형 회전자의 것보다도 낮아 역률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소수력 또는 마이크로급 발전소에 유도발전기를 적용하여 기동할 때 전압강하를 줄이고, 역률을 높이기 위해 회전자 형상을 어떤 형태로 적용할 것인지의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Theodore Wildi, 2002, Electrical Machines, Drives and Power Systems, Prentice HallGoogle Search
2 
IEEE Standard Test Procedure for Poly-phase Induction Motors and Generators, IEEE Std. 112–2004Google Search
3 
S. Chapman, 2005, Electric Machinery Fundamentals, McGraw-Hill EducationGoogle Search
4 
Jong-Gyeum Kim, 2016, Soft Start-up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quirrel Cage Induction Generator, Trans. on the KIEE, Vol. 65, No. 1, pp. 103-107Google Search
5 
Jong-Gyeum Kim, 2022, Study on the Current and Voltage Drop When Starting Induc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ransformer Impedance, Trans. on the KIEE, Vol. 71, No. 5, pp. 760-765Google Search
6 
Jong-Gyeum Kim, 2020,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Induction Motor Generator in Fish Farm, Trans. on the KIEE, Vol. 69, No. 2, pp. 104-110Google Search
7 
M. Godoy Simoes, Felix A. Farret, 2004, Renewable Energy Systems-Design and Analysis with Induction Generators, CRC PressGoogle Search
8 
K. S. Pankaj, J. P. Nelson, 1997, Application Guidelines for Induction Generators, Pro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Drives, Milwaukee, Wisconsin, May 18-21, 1997, pp. Paper WC1/5.1-WC1/5.3DOI
9 
Jong-Gyeum Kim, 2014, Analysis for Voltage Fluctuation and Power Flow at the Grid-Connected Time of Squirrel Cage Induction, Trans. on the KIIEE, Vol. 28, No. 6, pp. 45-51Google Search
10 
Minho Park, 1987, Induction Machines, DongmyungsaGoogle Search
11 
M. H. Haque, 2008, Determination of NEMA Design Induction Motor Parameters From Manufacture Data, IEEE Trans. on EC, Vol. 23, No. 4, pp. 997-1004DOI
12 
G. J. Rogers, D. Shirmohammadi, 1987, Induction machine modeling for 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 IEEE Trans. on Energy Conversion, Vol. EC-2, No. 4, pp. 622-628DOI
13 
D. W. Novotny, T. A. Lipo, 1996, Vector Control and Dynamics of AC Drives, New York: Oxford Univ. Press, pp. 186-187Google Search
14 
1993, NEMA Standards MG-1, Publication No. MG-1-1993(2006 )Google Search
15 
Jong-Gyeum Kim, 2015, A Study on the Voltage Drop of Induction Generator along the Rotor Shape, Trans. on the KIEE, Vol. 64P, No. 2, pp. 62-66Google Search
16 
H.W. Dommel, 1986,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Reference Manual (EMTP Theory Book), BPA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동주 (Dong-Ju Lee)
../../Resources/kiee/KIEE.2023.72.6.724/au1.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in 1996, 1998 and 2021, respectively.

From 1999 to 2010, he worked at R&D department of Ehwa Technologies Information as a chief research engineer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military 400Hz power converter system.

From 2010 to 2017, he worked at R&D department of Kukje Electric Co., Ltd. as a chief design engineer for the development of transformer-les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he is a chief technology officer for the developments of energy storage system since 2017.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s of analysis and design of induction machine and development of power conversion system.

김종겸 (Jong-Gyeum Kim)
../../Resources/kiee/KIEE.2023.72.6.724/au2.png

Jong‑Gyeum Kim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in 1984, an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1991 and 1996 respectively.

In 1987, he worked for KT, and from 1988 to 1996, he worked for K-water.

He was a Visiting Professor at Wisconsin State University from 2013 to 2014 and the University of Idaho from 2022 to 2023.

He has been work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6.

His research interest i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Power Quality.

He is fellow member of the KI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