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AN TECHNOLOGY, Korea)



Urban rail station, Machine learn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1. 서 론

‘철도건축물 제로에너지 로드맵’에 따르면 2025년부터 모든 철도역에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추진을 목표로 한다. 인증 등급은 2023년 기준 4등급 수준에서 2025년까지 3등급 이상으로 상향할 계획이다 (1)-(2).

국내 도시철도 역사는 전국에 712개이다 (3). 712개 도시철도 역사의 ZEB 등급 취득은 ECO2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ECO2는 신축 건물의 에너지 소비예측량에 따른 등급 정의에 특화된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기축 건물인 도시철도 역사의 리모델링에 의한 ZEB 등급 취득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타당성이 부족하다. 신축 건물과 차별화되는 도시철도 역사의 특성을 반영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역사의 건물 에너지 성능개선과 ZEB 등급 취득을 위한 초기 기획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기수행연구에서 정의된 도시철도 역사의 대표유형 3가지를 기반으로 EnergyPlus(5)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EnergyPlus 시뮬레이션으로 도출된 에너지 소요량을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델을 보정하고, 보정된 모델을 기반으로 에너지 성능개선 요소 기술 변경에 따른 에너지 소요량의 변화를 개선 요소 기술 케이스 별로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학습데이터 과정 후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며, 에너지 소요량에 대한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구성하였다.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성능 판단은 회귀성능 평가지표별 예측성능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에 따라 에너지 소요량 결과와 ZEB 등급 취득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필요 용량을 확인시켜주는 웹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개발하였다.

2. 도시철도 역사 에너지 시뮬레이션

2.1 군집 분석을 통한 유형별 도시철도 역사 선정

서울교통공사가 관리 하의 291개 도시철도 역사에 대한 K-means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K-means 수행 결과, 군집에 따른 특성 정의가 불가하여 K-means의 단점을 보완한 GMM clustering을 활용하였다. 수행 결과, 특성 정의가 가능한 3개의 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4).

GMM clustering의 결과, cluster-0의 특성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역사는 대림역, 당산역, 건대입구역이다. 다만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형상 구축 시에는 임대 상가 면적이 중앙값과 가장 근접한 건대입구역을 cluster-0의 형상으로 선정하였다. cluster-1의 특성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역사는 상월곡역, 수락산역, 중앙보훈병원역이다. 임대 상가 면적과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을 고려하여, 수락산역을 cluster-1의 대표성이 보이는 형상으로 선정하였다. cluster-2 군집은 층 규모, 면적, 준공연도 등의 측면에서 철도역사 중 가장 표준에 해당하는 일반적 형태를 보이는 유형이다. 이들 중 사용특성(승하차 평균 인원, 임대상가 면적 등)이 중앙값에 부합하는 홍대입구역을 cluster-2의 형상으로 선정하였다 (4).

표 1. 군집 유형에 따라 선정된 도시철도 역사의 특성 요약 (4)

Table 1.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urban rail station by clustering type (4)

Type Model

by Cluster

Konkuk Univ.

Suraksan

Hongik

Univ.

Subway Line

2

7

2

Length (m)

205

165

205

Floor Scale

3rd

3rd

2nd

Area (m2)

6,543

10,488

7,721

Built Year

1980

1997

1984

Platform

Type

Side

the Others

Island

Above Ground

/ Under Ground

Above

Ground

Under

Ground

Under

Ground

Transfer

O

X

O

Number of People

38,724

12,284

62,604

Lease Area (m2)

302

371

212

2.2 유형별 도시철도 역사 에너지 시뮬레이션 형상 구축

건축물 에너지성능 도출에 활용되는 ECO2, EnergyPlus 등은 독립적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변수 입력체계가 복잡하여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기반이 되는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수행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3차원의 에너지 시뮬레이션 수행이 가능한 EnergyPlus를 이용하였다.

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건축, 기계, 전기적 요소 등으로 다양한 입력변수가 존재한다. 그러나 철도역사의 경우는 도시철도 역사인 경우가 많아 건축적 요소(지붕, 외벽, 창문 등)를 고려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수행 시에는 기계 및 전기 설비에 관한 변수를 입력변수로 한정하여 에너지 해석 형상을 구축하였다.

그림. 1. 건대입구역 2호선 지상 3차원 에너지 해석 형상 구축 (2)

Fig. 1. Modeling of ground 3D energy analysis of Konkuk National University station line 2 (2)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fig1.png

2.3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도시철도 역사 설비시스템 구성

선정한 도시철도 역사 내의 설비시스템은 냉방기능을 포함하는 공조기, 급탕, 환기, 그리고 개별 에어컨으로 구성하였다. 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선정한 건대입구역, 수락산역, 홍대입구역 3개의 도시철도 역사 모두 난방 공조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는다. 다만 역사 내의 사무실 등의 공간에서는 개별 에어컨을 적용하여 난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2.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설비시스템 적용 구성

Fig. 2. Applied facility system configuration for energy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fig2.png

2.4 선정된 도시철도 역사의 시뮬레이션-실제 사용량 오차 검토

2호선의 지상 역사와 7호선의 지하 역사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건대입구역의 에너지 사용량은 수락산과 홍대입구역과는 다르게 전열 부하(Room Electricity)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도시철도 역사의 일부인 지상에 노출되어있는 지상 역사 내 임대상가의 부재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군집 유형별 특성을 바탕으로 선정한 도시철도 역사의 연간 실제 에너지 사용량은 건대입구역 1,490,653kWh, 홍대입구역 2,330,580kWh, 수락산역 2,309,217kWh이다.

도시철도 역사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된 에너지 소요량은 건대입구역 1,337,853kWh, 홍대입구역 2,174,721kWh, 수락산역이 2,238,051kWh의 결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에너지 소요량과 실제 에너지 사용량 간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건대입구역은 10% 수준, 홍대입구역은 7% 수준, 수락산역은 3% 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다만 해당 오차 수준은 공조면적을 평가면적의 단위로 환산하는 과정이 동반되지 않았으므로 오차 검토에 대한 설득력이 부족하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소요량의 평가는 단위면적당 원 단위 기준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조면적에 대한 평가면적 단위로 환산 시, 건대입구역은 –2.91%, 홍대입구역은 –2.02%, 수락산역은 0.12%의 오차를 보이고, 절대오차 비율은 3% 이내이다.

표 2. 시뮬레이션 상 사용량 결과와 2020년 실제 에너지 사용량 비교

Table 2. Compare simulated usage results with actual energy use in 2020

Type Model

Energy Requirements

Actual Energy Usage

Absolute

Error rate

kWh/m2·yr

kWh/m2·yr

Konkuk Univ.

221.4

227.8

-2.91%

Hongik

Univ.

238.1

243

-2.02%

Suraksan

220.43

220.17

0.12%

표 3. 에너지 사용처별 사용량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3. Simulation results by energy use source

Type Model

Konkuk Univ.

Hongik Univ.

Suraksan

Room Electricity

320,841

1,147,513

1,110,023

Lighting

357,137

430,050

460,488

System Fans

250,743

241,001

273,224

System Pumps

1,956

1,856

2,021

Heating (Electricity)

76,916

13,151

42,414

Cooling (Electricity)

328,604

339,599

348,864

DHW (Electricity)

1,656

1,550

1,018

3. 머신러닝 기반 에너지 사용량 예측모형 구축

3.1 다중회귀 분석기법을 활용한 예측모형 구축

서울권 내 291개의 도시철도 역사가 존재하고, 다른 지역을 포함하면 712개이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DB 구축은 절대적인 수량 문제와 다양한 도시철도 역사의 형태로 인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비효율적이다. 존재하는 도시철도 역사의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은 시뮬레이션 결과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신뢰 불가함을 의미한다.

이에 군집 유형 특성에 따라 유형별 대표로 선정한 도시철도 역사의 에너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도시철도 역사의 에너지성능 산출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은 아래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종속변수의 설정은 에너지 시뮬레이션 수행 시 발생하는 연간 에너지 소요량으로 하였다. 다중 회귀분석 수행을 위한 독립변수는 기계·설비 위주의 변수로 제한하였다. ‘지상층 유무, 지하층 유무, 층 규모, 공조면적, 공조기 이코노마이저 유무, 공조기 열 교환효율, 팬 효율, 펌프 효율, 냉동기 효율, 조명밀도, 침기율’의 총 11개 독립변수를 구성하여 연간 에너지 소요량을 예측하는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표 4.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조정 CASE 설정

Table 4. Set the case of independent variable adjustments that affect energy usage

Energy Consumption CASE

CASE index

Base Status

BASE

ACH 50 / Ventilation 20

C-1

ACH 50 / Ventilation 15

C-2

Lighting 6.5W/m2

C-3

Lighting 5.5W/m2

C-4

Chiller COP 6.5

C-5

Chiller COP 7.5

C-6

Pump Efficiency 0.8

C-7

Pump Efficiency 0.7

C-8

Fan Total Efficiency 80%

C-9

Fan Total Efficiency 90%

C-10

AHU Heat Exchanger Efficiency 85%

C-11

AHU Heat Exchanger Efficiency 95%

C-12

AHU Economiser On

C-13

표 5. 도시철도 역사 에너지 소요량 예측모형 - 1

Table 5. Urban rail station energy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 1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

Ground

Basement

Floor

Occupied

Floor

Area

Room Electricity

-

6,573

-110,711

225

Lighting

-

8,379

72,209

21

Fans

-

-77,243

385

23

Pumps

-

-394

86

-

Heating

-

-92,276

15,123

4

Cooling

-

-35,615

-5,685

17

DHW

-

50

-1,044

-

표 6. 도시철도 역사 에너지 소요량 예측모형 - 2

Table 6. Urban rail station energy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 2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

AHU Econo

miser

Heat Exchanger Efficiency

Fan

Total Efficiency

Pump Efficiency

Room Electricity

-

-

-

-

Lighting

-

-

-

-

Fans

730

3,646

-261,698

-3,662

Pumps

-475

1,488

-368

-2,603

Heating

44,712

-5,542

2,112

-491

Cooling

-118,781

292,444

-46,589

-2,189

DHW

-

-

-

-

표 7. 도시철도 역사 에너지 소요량 예측모형 - 3

Table 7. Urban rail station energy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 3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

Chiller

COP

Lighting

density

ACH 50

y

intercept

Room Electricity

-

-

-

-847,866

Lighting

-

55,984

-

-336,068

Fans

366

-145

542

279,349

Pumps

4

17

1

2,438

Heating

42

-2,068

545

42,922

Cooling

-44,392

4,292

-374

267,207

DHW

-

-

-

5,651

3.2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예측성능 평가

머신러닝 지도학습 기법의 하나인 다중회귀 예측모형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는 주요 방법으로는 6가지 평가지표가 존재한다. 6가지의 평가지표는 R2(R-Squared), SSE(Sum Squared Error), MSE(Mean Squared Error), RMSE(Root Mean Square Error), MAE(Mean Absolute Error),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RMSE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는 SSE와 MSE 결과는 별도로 도출하지 않았다.

R2는 0~1 사이의 수치로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낸다. 1에 가까울수록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설명력이 높다. 본 연구에서 학습된 다중회귀 예측모형은 0.978의 설명력을 보이므로 다중회귀 예측모형에 대한 신뢰성 입증이 가능하다. RMSE는 표준편차 공식과 같으므로 실제값을 예측한 수치의 표준편차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RMSE는 589.75로 나타났다. 도시철도 역사의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2,000,000kWh/yr 수준이므로 2백만에서 589.75 수준에 해당하는 RMSE 수치는 0.03%의 변동성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이처럼 RMSE는 표본데이터 규모에 영향을 받으므로 종속변수의 단위가 커질수록 RMSE의 단위도 커진다. 따라서 RMSE는 예측모형별 절대적인 수치로 비교 불가능하다. MAE는 에러에 관한 절댓값의 평균을 의미한다. RMSE와의 차이로는 RMSE는 평균 제곱 오차이고, MAE는 평균 절대오차이다. 이로 인해 다중회귀에 따른 예측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RMSE로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평가하고, 절대적인 전체 오차 크기가 더 중요하다면 MAE로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평가한다. MAPE는 MAE를 퍼센트로 변환한 것으로, 0~∞(무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0에 가까울수록 우수한 다중회귀 예측모형이라고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 평가된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MAPE 결과는 0.067로 평가되었고, 구축한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신뢰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표 8. 도시철도 역사 에너지 소요량 예측모형에서 다중회귀 모델 성능 평가 결과

Table 8.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on urban rail station energy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Value Index

Result

R2

0.978

RMSE

589.75

MAE

240.027

MAPE

0.067

4. 웹 기반 데이터 시각화 및 의사결정 지원 도구 개발

4.1 웹 기반 데이터 시각화 도구 개발

웹 기반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시각화 및 의사결정 지원 도구의 제작을 위해 개발언어로 Python을 이용하였다.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웹 퍼블리싱은 Streamlit 패키지(6)를 활용하였고, 에너지 사용량 예측모형 구축은 Scikit-Learn(7)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Streamlit 패키지는 머신러닝, 딥러닝,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의 결과를 웹을 통해 시각화하는 대시 보드 구성 기능을 지원한다. 별도 서버가 필요 없는 Back-end(백-앤드) 리스 형태라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웹 퍼블리싱이 용이하고, 웹 형태이므로 다중 접속이 가능하며, 배포와 수정이 쉬운 시각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웹 기반 데이터 시각화 및 의사결정 지원 도구는 인터넷이 제공되는 환경이라면 웹 링크 소지 시 장소와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Scikit-learn 라이브러리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한 데이터 학습과 다중회귀 예측모형의 구축 등 데이터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의 변경에 따라 데이터 교체 시 실시간으로 예측모형이 수정되도록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열린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4.2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의 시각화

웹 시각화 대시 보드는 건물 기본정보를 기준으로 건물 개선 전과 후의 변수 입력 시,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통해 에너지성능에 대한 시각화 그래프를 출력한다.

그림. 3. 도시철도역사 기본정보 및 기술정보 입력부

Fig. 3. Basic and technical information input for urban railroad stations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fig3.png

출력한 시각화 그래프는 개선 전과 후의 연간 2차 에너지 사용량에 관하여 Bar-Chart 그래프로 표현된다. 냉방, 난방, 급탕, 환기, 조명의 5개 사용처별 에너지 소요량을 연도별·월별 단위로 결과가 나타나도록 구축하였다.

그림. 4. 에너지 사용량 출력 시각화 그래프 화면(좌-Web, 우-Mobile) (8)

Fig. 4. Energy usage output visualization graph screen(L-Web, R-Mobile) (8)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fig4.png

4.3 ZEB 등급 취득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 가이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의사결정 지원 도구는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소 목표치의 ZEB 등급 달성을 위해 필요한 건물 에너지 절감량을 제공한다. 또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로써 개발된 대시 보드는 필요한 건물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적용량에 대한 가이드를 제안한다.

의사결정 지원 도구는 ZEB 등급 취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해야 한다. 다중회귀 예측모형으로부터 도출된 건물 에너지 소요량을 기반으로 ZEB 등급 취득 대상이 되는 도시철도 역사의 기본정보를 입력한다. 기본정보로는 도시철도 역사가 위치한 지역, 도시철도 역사 내 실제 공조면적 비율, ZEB 인증 목표 등급을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사용자가 알고 있는 기본정보 입력 시, ZEB 목표 등급 취득을 위해 필요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용량 수준을 산정하여 안내한다. 산정된 신재생 에너지를 실제 도시철도 역사에 적용하는 경우, 신재생 에너지 적용 전과 후에 대한 개선 효과를 분석하여 Bar-Chart 그래프로 제공한다.

그림. 5. ZEB 인증 취득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적용 가이드 화면(좌-Web, 우-Mobile) (8)

Fig. 5.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guide for ZEB Certification screen(L-Web, R-Mobile) (8)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fig5.png

그림. 6. 신재생 에너지 적용 시의 개선 효과 시각화 그래프 화면(좌-Web, 우-Mobile) (8)

Fig. 6. Graph screen of the improvement effect of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L-Web, R-Mobile) (8)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fig6.png

5. 결 론

건축에서 탄소절감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경우, 사업 주체가 사업 전과 후의 에너지성능 및 사업비용 등을 분석하기 어렵다. 이에 효율적인 사업의 운영을 위해서는 사업 관리자들이 주체적으로 수행하고 판단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제공한다. 도시철도 역사의 ZEB 등급 취득 및 역사 에너지성능 개선 시에도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필요하다.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통해 사업 주체가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전문 인력 비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사업시장 전체의 활성화로 이어지며, 본 연구의 근본적인 목적이다.

선행된 연구에서는 GMM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군집 유형별 특성이 반영된 3개의 도시철도 역사를 선정하였다. 3개의 도시철도 역사는 건대입구역, 수락산역, 홍대입구역이다. Design Builder로 선정한 도시철도 역사에 대한 3차원 형상을 구축하여 선정된 도시철도 역사의 에너지 시뮬레이션 및 역사 에너지 사용량 변수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다중회귀 예측모형 구축을 위하여 에너지성능 개선 요소 기술 변경에 따른 케이스 별 시뮬레이션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실제 사용량과 유사하게 보정을 진행한 시뮬레이션 모형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구축된 도시철도 역사 형상들에 대한 EnergyPlus 기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실제 사용량과 비교하여 보정 모형을 작성하였다.

EnergyPlus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한 실제 에너지 사용량은 2018년~2020년의 3개년 평균 수치로 하였다. 군집 유형별로 선정한 도시철도 역사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에너지 사용량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 사용량 절대 오차율은 최소 0.12%(수락산역)에서 최대 2.91%(홍대입구역)로 나타났다. 구축된 형상의 시뮬레이션 결과인 에너지 소요량은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97% 유사도를 보였다. 이는 에너지성능 개선 요소 기술에 따라 다수의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가 사용하기에 타당함을 의미한다. 에너지성능 개선 요소 기술별로 수행된 결과를 근거로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회귀모형의 설명력으로 R2는 0.978로 나타나 회귀 예측모형의 설명력이 97.8%의 수준임을 증명했다. MAPE는 0.067로 나타나 예측모형이 설명하는 오류 확률이 약 6.7%임을 검증하였다.

군집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는 도시철도 역사를 선정하고, 실제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교정(Calibration)한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며, 교정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데이터 세트를 구성하여 다중회귀 예측모형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예측모형을 통해 웹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 대시 보드를 개발하였다. 해당 대시 보드는 시설물 관리자에게 현재 도시철도 역사가 이용하는 에너지 수준,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설비 요소 개선 시의 예상 절감량 등에 관한 시각화 그래프를 제공한다. 또한, ZEB 인증 취득 등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적용 수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돕는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머신러닝을 활용한 웹 기반 의사결정 지원 도구는 도시철도 역사의 에너지 성능개선과 ZEB 등급 취득을 위한 초기 기획 단계에서 의사결정의 판단 근거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D Program (Virtualization-based railway station smart energy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K2303E1​) of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References

1 
operation of related ministries Joint, 2021, 2050 Carbon Neutral Scenario, ministries, pp. 4-21Google Search
2 
operation of related ministries Joint, 2021,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NDCs) for 2030, ministries, pp. 6-15Google Search
3 
Public Data Portal, Sept 2023, Nhttps://www.data .go.kr/data/ 15066707/fileData.do, accessed 20Google Search
4 
Seungkwon Shin, 202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models of subway stations using clustering analysis techniques for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subway stations, Trans. of KIEE, Vol. 71, No. 10, pp. 1427-1433Google Search
5 
Sept 2023, U.S. Department of Energy’s (DOE) Building Technologies Office (BTO), and managed by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EnergyPlus, accessed 22 .Google Search
6 
SnowFlake, Sept 2023, A faster way to build and share data apps, accessed 22Google Search
7 
Fabian Pedregosa, Gael Varoquaux, Sept 2023, Alexandre Gramfort and Vincent Michel ,scikit-learn. https://scikit-learn.org/stable/ index.html#, accessed 22.Google Search
8 
Hansol Song, Sept 2023, Zero-energy railway station construction strategy decision-making support program, https://krri-2023-sub-energy. streamlit.app, Vol. accessed 22Google Search

저자소개

신승권 (Seungkwon Shin)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au1.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Ph.D. degree in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1995, 1998 and 2001, respectively.

Hs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i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E-mail : skshin@krri.re.kr

송한솔 (Hansol Song)
../../Resources/kiee/KIEE.2023.72.10.1275/au2.png

She received her B.S. and M.S. degrees in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from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Korea, in 2020, 2021 respectively.

She is currently a researcher of a department in Korea EAN TECHNOLOGY.

E-mail : shs@eante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