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Robotics, Hoseo University, Korea.)
  2. (Dept. of Robotics and Automation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Korea.)
  3. (Dept. of Robotics, Hoseo University, Korea.)
  4. (Dept. of Automotive ICT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Korea.)
  5. (Azita co., Ltd., Korea)



Smart livestock farming monitoring system, Indoor positioning, BLE beacon, Computer vision, Deep learning, MQTT

1. 서 론

스마트 농업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 중요한 사업 분야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2020년 138억 달러에서 2025년 22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국내 시장 역시 2020년 2.4억달러에서 2025년 4.9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2)(3).

우리나라 농·축산업 분야는 2022년 통계에 따르면 216만 명으로 전년 대비 2.3 % 감소하였다. 이 중 70세 이상이 전체 농가 인구의 34.9 %로 가장 많았으며 65세 이상 비율은 49.8 %로 전체 농가 인구의 절반에 해당한다(4). 이처럼 농가 인구의 고령화와 젊은 층의 유입 부족으로 인해 생산량 축소, 소득 감소, 성장률 저하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5).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스마트 농업 관련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자동화와 스마트화로 농·축산업의 편의성과 생산성 증진 및 생산비 절감을 통한 경제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ICT 융·복합 장비와 디지털 장비 및 서비스를 지원하여 적은 노동력으로 생산성을 높여 농·축산업 분야의 발전과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지원과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6)(7). 특히 스마트 축산 분야에서는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은 축산업에서의 자동화 및 스마트 시스템 구축에 있어 정확한 위치 파악을 통해 효율적인 운용과 생산 프로세스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축사 내부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개체별 실내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스마트 축사 환경에서 가축 개체별 생체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8)(9).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축사 복합환경 멀티센싱(Multi-sensing)과 가축 개체별 생체정보 측정을 위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결합한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스마트 축사 내의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BLE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가축의 개체별 위치를 추적한다. 또한 가축의 개체별 체온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각 개체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거나 비정상적인 체온 변화를 감지하여 가축 감염병 방역에 조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2. 스마트 축사 환경 구축

그림 1은 BLE 기반 스마트 축사시스템으로 축사 환경을 센서와 카메라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가축의 건강, 활동 수준, 주변 환경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가축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BLE 기반 스마트 축사 시스템은 복합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가축의 복지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농가와 축산업자에게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그림 1 BLE 기반 스마트 축사 시스템

Fig. 1 Smart livestock farming system based on BLE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1.png

그림 2는 BLE 기반 스마트 축사 시스템에서 사용된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토픽을 나타낸다.

그림 2 스마트 축사 모니터링을 위한 MQTT 토픽

Fig. 2 MQTT topics for monitoring of smart livestock farming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2.png

2.1 BLE 기반 스마트 축사 복합환경 멀티센싱

본 연구를 위해 축사 내부의 온도, 습도, 조명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 BLE 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림 3은 BLE 기반의 멀티센싱 모니터링 시스템 블록도 이다. BLE 장치에서 얻은 데이터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BLE 비콘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MQTT는 경량 프로토콜로써, 주로 IoT 장치간에 효율적인 메시지를 교환하는데 사용한다(10). MQTT 브로커(Broker) 역할을 하는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는 BLE 비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전송한 각 BLE 장치의 센서값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구독 정보에 맞게 발행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MQTT 구독을 통해 받은 센서값은 토픽을 통해 구분하여 스마트 축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서 문자와 그래프로 보여진다.

그림 3 스마트 축사 복합환경 멀티센싱 모니터링 시스템

Fig. 3 The multi-sensing monitoring system for complex environment of smart livestock farming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3.png

2.2 BLE 기반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한 가축 개체별 생체 정보 측정

그림 4는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과 체온 측정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 이다. CMOS 카메라로 축사를 촬영하고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인 YOLOv5를 활용해 가축의 위치를 인식하여 얻은 위치 정보와 특정 개체에 장착된 BLE 장치를 이용해 얻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가축 개체별 실내 위치를 판단한다. BLE 비콘을 이용해 측정된 개체의 실내 위치 좌표가 YOLOv5 개체 인식 알고리즘에서의 ROI 영역과 일치하면, CMOS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필셀 좌표와 일치하는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픽셀 좌표를 통해 특정 개체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림 4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 및 체온 측정 시스템

Fig. 4 Respective livestock position recognition and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4.png

스마트 축사 내부에서 사육 중인 가축의 개체별 위치 인식을 위해 개체별로 BLE 장치를 부착한다. BLE 비콘을 통해 BLE 장치를 부착한 가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로 전송한다. 실내 측위 알고리즘을 이용해 해당 가축의 실내 위치를 판단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동시에 축사 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해 그림 5와 같이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축 객체를 식별한다. BLE 비콘을 통한 위치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확인된 위치를 통합하여 특정 개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그림 5 BLE 기반 가축 위치 인식 및 체온 측정

Fig. 5 Indoor positioning and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or livestock based on BLE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5.png

3. 실내 위치 측위 기술

실내 위치 측위에 사용되는 무선 기술은 Wi-Fi, VLC, RFID, BLE 등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한다(11). 그 중 BLE 비콘(Beacon)은 저전력 소비, 저비용 등의 이유로 실내 위치 측위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BLE 비콘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으로 BLE를 탐지하고 신호 강도를 평가하여 주변 환경에서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1)은 RSSI값을 구하는 식이다.

(1)
$RSSI=-10nlog_{10}(d)+a$

여기서 $n$은 경로 손실 지수이고 $d$는 거리이며 $a$는 특정 거리에서 수신기로부터 측정된 RSSI값이다. 거리 $d$에 대한 식으로 바꾸면 (2)와 같다.

(2)
$d = 10\dfrac{a-RSSI}{10n}$

BLE 비콘의 RSSI값은 외부 요소에 영향을 받아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어 상황에 따른 필터 또는 평균화 알고리즘을 적용을 통해 외부 요소의 영향을 완화하여 사용하여야 한다(12)(13)(14). 그림 6는 RSSI값에 포함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이동평균 필터와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이동평균 필터를 적용한 후에 칼만 필터를 추가 적용하였다.

그림 6 RSSI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 적용

Fig. 6 Applying filters to remove noise included in RSSI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6.png

3.1 실내 측위 알고리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 방법은 삼변측량(Trilateration)을 이용한 방식,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방식, 근접법 등이 있다(15). 근접법은 무선 통신 장치가 수신한 RSSI값을 측정하고, RSSI값이 높을수록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깝고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핑거프린팅 방식은 트레이닝 단계와 추정 단계로 작동한다. 트레이닝 단계에서는 측위할 지역을 여러 개의 셀로 분할한다. 셀의 크기는 주로 환경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설정되며, 셀로 나누는 이유는 정밀한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각 셀 내에는 BLE 비콘의 신호강도(RSSI)를 측정하고 이 값을 저장한다.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각 셀에서 수집한 RSSI값 중에서 대표적인 값을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추정 단계에서는 장치가 위치한 장소에서 주변 BLE 비콘의 RSSI값을 측정하고, 이 값을 이전에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대표 RSSI값과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를 추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경적인 요소로 인한 영향을 사전에 설정된 정보를 통해 보상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비콘 재배치와 환경 변화에 따라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고 비콘의 배치밀도가 낮으면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림 7은 3개 이상의 기준점 좌표를 활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삼변측량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그림 7 BLE 기반 삼변측량법

Fig. 7 Trilateration measurement method based on BLE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7.png

BLE 기반 삼변측량법은 BLE와 각 Beacon과의 RSSI값을 거리로 변환한 후 이를 바탕으로 (3)을 활용하여 BLE의 위치 좌표 $(x,\: y)$를 구할 수 있다.

(3)
\begin{align*} d_{1}^{2}=(x-x_{1})^{2}+(y-y_{1})^{2}\\ d_{2}^{2}=(x-x_{2})^{2}+(y-y_{2})^{2}\\ d_{3}^{2}=(x-x_{3})^{2}+(y-y_{3})^{2} \end{align*}

(3)의 방정식을 단순화하기 위해 원 $Beacon_{1}$의 중심 $(x_{1,\:}y_{1})$를 원점으로 선택하면 BLE의 위치$(x,\: y)$는 (4)와 같다.

(4)
$\begin{cases} x=\dfrac{d_{1}^{2}-d_{2}^{2}+x_{2}^{2}}{2x_{2}}&\\ y=\dfrac{d_{1}^{2}-d_{3}^{2}-2x_{3}\times x+y_{3}^{2}+x_{3}^{2}}{2y_{3}}& \end{cases}$

3.2 적응형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위치 인식 알고리즘

실내 위치 인식을 위하여 기존 삼변측량법 적용 시 주변 환경의 변화, 다중 경로 간섭, 장애물 등으로 인한 신호 강도의 불안정성과 이로 인한 현실적인 환경에서의 거리와 RSSI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정확한 위치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기존 삼변측량법은 3개 이상의 기준점 좌표를 활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으로 삼변측량을 위해 사용되는 RSSI값은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값이여야한다. 하지만 스마트 축사 내의 가축 개체별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해당 개체에 BLE 장치를 부착한 경우 다른 개체에 의한 통신 음영이나 해당 개체의 다양한 움직임 등으로 인한 노이즈로 인해 신뢰할 수 없는 RSSI값을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삼변측량법으로 개체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거나 위치 인식 정확도가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축사 내의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스마트 축사 적응형 삼변측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적응형 삼변측량 알고리즘은 그림 8과 같이 기존 삼변 측량법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된 3개의 RSSI값 중 신뢰할 수 없는 RSSI값이 존재할 때 위치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신호강도가 가장 큰 Beacon 3개를 선정한 다음 (2)를 사용하여 각 비콘의 거리 $d_{1}$, $d_{2}$, $d_{3}$ 를 구하고 (3)의 방정식을 수립한다. (3)의 방정식을 (5)와 같은 함수로 변환 후 (6)을 이용하여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과 교점 $\lambda_{n}$을 구할 수 있다.

(5)
\begin{align*} Beacon_{1}: f(x,\:y)= x^{2}+y^{2}+ax+bx+c\\ Beacon_{2}: g(x,\:y)= x^{2}+y^{2}+a^{'}x+b^{'}x+c^{'}\\ Beacon_{3}: h(x,\:y)= x^{2}+y^{2}+a^{''}x+b^{''}x+c'' \end{align*}

(6)
$f(x,\:y)-g(x,\:y)=0$

교점$\lambda_{n}$의 개수가 1개 이상인 경우 각 교점과 $Beacon_{3}$와의 거리 $\overline{\lambda_{n}Beacon_{3}}$를 구한 후, 판단식 (7)의 조건을 만족하는 교점의 개수 $\delta$을 구한다. $\lambda_{n}$의 개수와 $\delta$에 따라 적응형 삼변측량법 적용 조건을 판단한다.

(7)
$\overline{\lambda_{n}Beacon_{3}}\le d_{3}$

$\delta$의 값이 1인 경우 기존 삼변측량법을 적용하고, $\delta$의 값이 1이 아닌 경우 패턴 $\phi_{1}$와 패턴 $\phi_{2}$로 구분하여 각 패턴에 맞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BLE 위치를 판단한다. 교점$\lambda_{n}$의 개수가 2개이고 $\delta$의 값이 2인 경우를 패턴 $\phi_{1}$라고 정의한다. 그림 8은 패턴 $\phi_{1}$인 경우 중 하나를 나타낸다.

그림 8 비정상 RSSI를 포함한 패턴 $\phi_{1}$

Fig. 8 Pattern $\phi_{1}$ with abnormal RSSI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8.png

교점$\lambda_{n}$의 개수가 2개이고 $\delta$의 값이 0인 경우를 패턴 $\phi_{2}$ 라고 정의한다. 그림 9는 패턴 $\phi_{2}$인 경우 중 하나를 나타낸다.

그림 9 비정상 RSSI를 포함한 패턴 $\phi_{2}$

Fig. 9 Pattern $\phi_{2}$ with abnormal RSSI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9.png

그림 10은 패턴 $\phi_{1}$과 패턴 $\phi_{2}$의 경우 BLE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패턴 $\phi_{1}$, $\phi_{2}$는 삼변측량법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된 3개의 RSSI값 중 1개의 RSSI값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경우이다. 그림 8그림 9에서의 $Beacon_{3}$이 수신받은 RSSI값은 신뢰성이 의심되는 값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그림 8그림 9의 $Beacon_{3}$을 알고리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한 다음 그림 10과 같이 두 원 $Beacon_{1}$과 $Beacon_{2}$을 정의한다.

그림 10 패턴 $\phi_{1}$, $\phi_{2}$에 대한 BLE 위치 판단

Fig. 10 BLE positioning for pattern $\phi_{1}$,$\phi_{2}$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10.png

그림 10에서 점$P(x_{P},\:y_{P})$는 두 원 $Beacon_{1}$과 $Beacon_{2}$의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 위의 한 점이다. (8)을 사용하여 점$P$의 좌표를 계산하고 BLE의 위치로 판단한다.

(8)
$x_{p=}\dfrac{x_{2}d_{1}+x_{1}+d_{2}}{d_{1}+d_{2}}y_{p=}\dfrac{y_{2}d_{1}+y_{1}d_{2}}{d_{1}+d_{2}}$

(6)을 이용하여 구한 교점$\lambda_{n}$의 개수가 0인 경우는 신호 강도가 약한 두 개의 비콘이 수신받은 RSSI값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경우이며 이를 패턴 $\phi_{3}$라 한다. 그림 11은 패턴 $\phi_{3}$일 경우 BLE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그림 11 패턴 $\phi_{3}$에 대한 BLE 위치 판단

Fig. 11 BLE positioning for pattern $\phi_{3}$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11.png

그림 11에서 (8)을 사용하여 계산된 $P$와 원 $Beacon_{1}$ 의 중심점을 지나가는 직선의 방정식은 (9)과 같다. 두 방정식 (9)(10)를 이용하여 구한 두 개의 교점 중 $P$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점 $B\le(x_{b\le},\: y_{b\le})$를 BLE의 실제 위치로 판단한다.

(9)
$m=\dfrac{y_{p}-y_{3}}{x_{p}-x_{3}},\: y=mx+(y_{3}-mx_{3})$

(10)
$d_{1}=\sqrt{(x-x_{3})^{2}-(y-y_{3})^{2}}$

적응형 삼변측량법은 기존 삼변측량법에서 발생하는 외부 간섭으로 인한 불안정한 위치 인식 정확도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기존의 위치 측정 방법들은 주로 복잡한 알고리즘과 사전설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적응형 삼변측량법은 신뢰성 있는 RSSI값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해 위치 인식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였다. 이는 실시간 위치 추적의 측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보인다.

4. 실 험

본 논문에서는 BLE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확인하고 가축 개체별 생체정보 측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축사 내 하나의 개체에 BLE 장치를 부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존 삼변측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록된 개체의 위치 데이터와 본 논문에서 개발한 적응용 삼변측량 알고리즘에 의한 위치 인식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축사의 천장부에 설치된 카메라로 녹화한 영상을 이용해 사람의 육안 검사에 의한 개체 위치 측정 결과와 적응형 삼변측량 알고리즘의 위치 인식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육안 검사를 통한 개체 위치 인식을 위하여 관측 대상 개체에 색상형 식별표시를 부착하였다. 그림 12는 가로 8m, 세로 6m 크기의 돈사에 설치된 BLE 비콘과 카메라의 배치도이다. 표 1의 위치 데이터는 그림 12에 표시된 블록 좌표를 기반으로 기록되었다.

그림 12 가축 개체별 생체 정보 측정을 위한 BLE 배치

Fig. 12 Smart livestock farming BLE beacon layout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fig12.png

표 1은 기존 삼변측량법과 적응형 삼변측량법으로 인식한 가축의 블록 좌표를 육안 검사를 통해 확인한 실제 위치와 비교한 결과의 일부이다. 표 1의 온도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 및 체온 측정 시스템으로 측정한 실험 개체의 체온이다.

표 1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 및 체온 측정 실험

Table 1 Experiment for respective livestock indoor positioning and temperature measurement

no.

Trilateration

Adaptive Trilateration

Visual

Inspection

loc.

(x,y)

temp.

(℃)

loc.

(x,y)

temp.

(℃)

loc.

(x,y)

temp.

(℃)

1

(2, 2)

39

(2, 2)

39

(2, 2)

39

2

(1, 2)

39

(1, 2)

39

(1, 2)

39

3

(1, 3)

N/A

(2, 3)

39

(2, 3)

39

···

···

···

···

···

···

···

표 2는 실험 데이터의 구성을 보여준다. 양돈 10마리가 있는 사육실을 대상으로 5시간 12분 32초 동안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기록된 레코드의 수는 18,752개이다.

표 2 가축 개체별 위치 인식 및 체온 측정 실험 데이터

Table 2 Experimental data for respective livestock indoor positioning and temperature measurement

Category

Value

Length of the video

5h 12m 32s

Number of recorded coordinates

18,752

표 3은 삼변측량법과 적응형 삼변측량법, 그리고 사람의 육안 검사에 의한 가축 개체별 실내 위치 인식 정확도를 나타낸다. 삼변측량 알고리즘을 적용한 가축 개체별 실내 위치 인식 정확도는 78.54 %이다. 이에 반해, 적응형 삼변측량 알고리즘을 적용한 가축 개체별 실내 위치 인식은 90.12 %의 정확도로 삼변측량 알고리즘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육안 검사에 의한 가축 개체별 위치 판단 정확도는 98.97 %로 가장 높았으나, 가축이 누워있거나 장애물에 의해 식별표시를 영상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193회 발생하였다.

표 3 BLE 기반 가축 개체 위치 판단 정확도 실험 결과

Table 3 The result of experiment for respective livestock positioning accuracy based on BLE

Applied algorithm

Correct

Incorrect

Accuracy

(%)

Trilateration

14,728

4,024

78.54

Adaptive Trilateration

16,899

1,853

90.12

Visual Inspection

18,559

193

98.97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축사 환경을 위한 멀티센싱 및 BLE 기술,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개체 위치 인식과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측정 시스템은 축사 내부 환경의 온도, 습도, 조명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멀티센싱 시스템을 구축하고, BLE와 WLAN,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축사의 환경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CMOS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 그리고 BLE 비콘을 사용하여 가축 개체별로 위치와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실내 측위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위치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응용 삼변측량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BLE와 적응형 삼변측량법, 컴퓨터 비전 기술을 결합한 개체 위치 인식 알고리즘은 90.12 %의 높은 위치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단독으로 사용된 BLE 비콘 또는 비전 센서의 정확도보다 상당히 향상된 결과로 스마트 축사 환경에서 개체 위치 인식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한다. 또한 스마트 축사 환경에서 가축의 건강관리와 환경 모니터링에 중요한 복합환경 멀티센싱과 개체별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개발에 따른 자동화와 스마트화로 농·축산업의 편의성과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농업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농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효율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2025축산현안대응산업화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322102-03)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IPET) through 2025 Livestock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un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NO. 322102-03).

References

1 
J. Muangprathub, N. Boonnam, S. Kajornkasirat, N. Lekbangpong, A. Wanichsombat, and P. Nillaor, 2019, IoT and agriculture data analysis for smart farm.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 156, pp. 467-474DOI
2 
V. Moysiadis, P. Sarigiannidis, V. Vitsas, and A. Khelifi, 2021, Smart farming in Europe. Computer science review, Vol. 39DOI
3 
Geo-Song Yoo, Chang-Min Yeo, 3, 2021, KISTEP Technology Trends Briefing,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3Google Search
4 
Geo-Song Yoo, Chang-Min Yeo, 2021, KISTEP Technology Trends Briefing,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3Google Search
5 
Ji-Min Lee, Yoon-Hee Lee, Yeon-Joung Bae, Jeong-Jae Lee, 2012,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Evaluate the Regional Preparedness Level for Rural Ag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8, No. 4, pp. 69-78DOI
6 
Mi-Young Hong, Eun-Jung Kim, 2015,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Food R&D for Realizing Smart Agriculture, KISTEPGoogle Search
7 
Yeoh-Hyun, Sung-Jin Kim, 2019, Status of Smart Farm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cations Socie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Vol. 36, No. 3, pp. 25-31Google Search
8 
Seng-Kyoun Jo, Se-Han Kim, 2020, Digital twin-based smart livestock house-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5, No. 8, pp. 1472-1481Google Search
9 
Da-Hyun Kim, Jun-Ho Ahn, Sung-Wook Yoon, 2022, Climate and Images Analyzes Application for Field Smart Farming System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No. 6, pp. 884-889Google Search
10 
Ye-Rin Lim, Min-Kyu Lim, 2021, QoS Level 3: Synchronous Communication Mechanism of MQTT Protocol in the Internet of Thing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6, pp. 893-904Google Search
11 
Sang-Woo Lee, Sun-Woo Kim, 2015, Trends and prospects of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cations Society, Vol. 32, No. 2, pp. 81-88Google Search
12 
F. Daniş Serhan, Ali Taylan Cemgil, 2017, Model-based localization and tracking using bluetooth low-energy beacons, Sensors, Vol. 17, No. 11DOI
13 
Mackey Andrew, 2020, Improving BLE beacon proximity estimation accuracy through Bayesian filtering,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Vol. 7, No. 4, pp. 3160-3169DOI
14 
Sung-Yong Park, Jong-Hoon Park, Hae-Hyun Wang, Jin- Hong Noh, Wook-Yeol Heo, 2014, Localization using Fuzzy- Extended Kalman Filt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2, pp. 277-283DOI
15 
L. Bai, F. Ciravegna, R. Bond, M. Mulvenna, 2020, A low cost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bluetooth low energy, Ieee Access, Vol. 8, pp. 136858-136871DOI

저자소개

김정주 (Jung-Ju Kim)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au1.png

He received his B.S., M.S. degree and Ph.D. degree in Dept. of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professor in Dept. of Robotics at Hoseo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pattern recognition, image processing, deep learning, embedded system application, and automotive mobile robot.

E-mail : jjkim@hoseo.edu

김기원 (Gi- Won Kim)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au2.png

He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in automotive engineering in 2023 through Woosong college and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He is currently M.S. candidate degree in robotics and automation at Hoseo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machine learning, computer vision

최재훈 (Jae-Hoon Choi)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au3.png

He is currently bachelor's degree in Dept. of Robotics at Hoseo University, Dangjin, Korea since 2021.

His research interests pattern recognition, computer vision, image processing, deep learning, embedded system application, and automotive mobile robot.

김기현 (Ki-Hyun Kim)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au4.png

Ki-Hyun Kim earned a master's degree from Ho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From 2023 to present, he is working on his PhD in Automotive ICT Engineering.

His areas of interest include waste high-temperature reduction and fuel cells, and he is conducting related research at JECT Co., Ltd.

배정현 (Jung-Hyoun Bae)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au5.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 in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Hoseo University, Asan, Korea, in 2009, 201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He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R&D center at Azita co., Ltd., a Electronic Control company.

His research interests sensors, embedded system application, and IoT network.

구경완 (Kyung-Wan Koo)
../../Resources/kiee/KIEE.2023.72.12.1795/au6.png

1983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1992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Ph.D.) 1987~1989 Hyundai Elec- tronics Senior Researcher.

1989~1994 Assistant Professor, Dept. of Electronics, Chungcheong Junior College.

1994~2005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Electronic and Information Engi- neering, Yeungdong University.

2005~present Professor, Department of Automotive ICT Engi- neering, Hoseo University.

E-mail : alarmkoo@hoseo.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