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3D printing, industry-universitycooperation found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2. (Intelligence Integrated SW Research Center,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Korea.)
  3. (The School of Mechanical Eng., Yeungnam University, Korea. )



Additive manufacturing, Powder bed fusion, Heat transfer analysis, Macro-scale analysis

1. 서 론

적층 제조공정 중 PBF(Powder Bed Fusion)는 Build plate 위 얇게 도포된 금속분말에 고에너지 열원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용융 및 응고시켜 적층하는 방식이다[1, 2]. 이때 국부적인 영역에서 금속분말의 용융과 응고가 연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큰 온도 구배가 유발된다. 또한 재료의 지속적인 용융과 응고 및 단면적의 비균일성으로 인해 열전달 경로 불균일이 발생하고, 불완전한 용융, 불규칙한 표면 형성, 미세구조의 변형 및 품질 저하가 야기된다. 이에 따라 제품의 치수 오차, 왜곡, 박리, 균열과 같은 결함이 발생 된다[3].

따라서, 적층 제조공정에서 레이저 출력, 스캔 속도, 스캔 전략 등에 대한 공정 변수 최적화를 위한 실험 연구들이 진행되고[4], 특히, 열응력과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5, 6].

특히, support의 형상 및 개수에 따라 금속분말 사용량, 잔존 분말 회수율, 제조 안정성, 공정 시간 등이 달라지며, 특히 3D프린팅으로 양산하기 위해선 공정상 필수적이면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후공정을 단순화해야 하므로 공정 설계 시 support를 최대한 필요한 부분에만 부품과의 접점을 최소화하여 나중에 제거가 쉽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면적 변화에 따른 3D 모델을 분석하여 적층 위치별 온도분포 경향 및 열 누적을 분석하고, 열전달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수치해석을 통한 온도분포 결과값을 기반으로 단면적 변화에 따른 적층 위치별 온도분포 경향 및 거동을 분석하고, 적층 공정 중 온도분포 개선을 위한 support 형상의 설계 자료 구축 및 품질 확보를 위한 공정 모델 설계에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본 론

2.1 적층 공정 최적 파라메타 조건 도출

적층 공정의 파라메타 선정을 위해 Veltz 3D M160 장비를 활용하였으며, 사용된 금속 소재는 STS630 분말을 사용하였다. laser power는 150~190 [Watt], scan speed는 550~950 [mm/s]의 window test 진행하고 적층 파라메타 조건 및 상대밀도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출력물의 상대밀도(면밀도)는 내부의 치밀한 정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물성임으로 상대밀도가 99.98%(목표치:99.80%) 영역에서 출력 속도가 빠르고 에너지 소모가 낮은 공정 조건 laser power는 170[W], scan speed는 750 [mm/s]을 도출하였다.

Fig. 1 Process parameter conditions and relative density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1-1.png../../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1-2.png

2.2 수치해석 모델

적층 제조공정의 열응력 및 열변형 최소화를 위해서는 우선 온도분포 해석이 수행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열 유동 해석 방법 중 유사한 열 이력을 가지는 연속적인 layer를 하나의 layer로 통합하여 해석에 반영하고 동시에 가열하고 냉각되는 방식의 매크로 해석(layer heat input source)을 수행하였다.

그림 2에서는 20×20×20[mm] 모델의 실제 적층 시편과 온도분포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적층 공정 분석용 상용 소프트웨어인 vAMpire/MacroⓇ의 경우에는 복셀 메쉬 생성 시 오토메쉬(automesh)가 활용되며, 복잡한 형상이나 구조에 대해 3D 공간을 정육면체로 효율적으로 분할 하여 자동 메쉬를 생성한다. 복셀 메쉬 크기의 grid dependency 검토를 위해 1mm에서 순차적으로 크기를 줄여 0.4mm 이하일 때 온도가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복셀 메쉬 크기를 0.4mm로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2 Completed build and result of numerical thermal analysis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2.png

표 1에서는 PBF 적층 제조공정 시 사용된 공정 파라메타를 보여준다. laser power는 170[W], Scan speed는 750[mm/s], Hatch distance는 110[$\mu m$], 적층 두께는 40[$\mu m$]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실험 시 사용된 금속 소재는 STS630 소재의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표 2에서 화학적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Table 1 Experimental parameters

Laser

power

170

[W]

Base plate

temperature

50

[°C]

Deposition

thickness

40

[𝜇m]

Chamber

temperature

27

[°C]

Hatch

distance

110

[𝜇m]

Chamber oxygen

concentration

0.2

[%]

Scan

speed

750

[mm/s]

Fume

Flow rate

30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STS630[wt%]

C

S

Ni

Si

Mn

Cr

Cu

Mo

O

N

P

0.02

0.01

4.39

0.47

0.39

15.98

3.56

0.01

0.05

0.02

NA

표 3에서는 상용프로그램인 vAMpire/MacroⓇ 열 해석 시 적용된 공정 파라메타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해석 시 공정 파라메타는 해석 프로그램에서 금속 소재 선정 시 지원하는 데이터값으로 Beam efficiency 50%, Emissivity for radiation 0.5,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7.5[W/m^2·K], Deposition temperature of layer 1427[°C]로 선정하였으며, 위 4가지 공정 파라메타는 열전달 해석 시 지배방정식에 영향을 미치고, layer thickness, Dwell time의 경우 실험 조건과 동일한 값으로 선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Table 3 Processing parameters for analysis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

7.5 [W/m^2·K]

Beam

efficiency

50 [%]

emissivity for

radiation

0.5 [-]

layer

thickness

40 [𝜇m]

Deposition

temperature of layer

1427 [C°]

Dwell

time

10 [s]

Processing time

for each layer

Deposition area/(hatch distance × beam scan speed) + dwell

수치해석모델의 신뢰성을 위하여 그림 3에서 온도분포해석 데이터와 실험 데이터의 비교를 나타내었으며, 실험 데이터는 온도분포 영역에서 레이저 조사부터 리코딩 이전까지의 layer 별 가열-냉각 온도 누적 이력을 적층 시 높이에 따른 실시간 열 누적 이력에 대한 온도 값 측정하였으며, 온도분포해석 데이터는 층별 평균 열 누적 온도 이력의 수치해석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적층 IR 카메라로 측정한 온도 이력 데이터값과 vAMpire/MacroⓇ의 해석 결과 온도 이력 데이터값들을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PCC) 분석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피어슨 상관계수란 두 변수 간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량한 수치이며, 상관계수의 값은 +1에서 –1의 값을 가지고, +1은 완벽한 양의 선형 상관관계, 0은 선형 상관 관계없음, –1은 완벽한 음의 선형 상관 관계를 의미한다. 분석한 두 데이터 간의 상관계수는 0.985로 거의 완벽한 선형 상관관계를 가지며, 층별 평균 누적 온도차는 0.8°C로 매우 유사한 온도 이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실험을 통해 온도분포해석 결과값이 실 적층 시 열 누적에 따른 온도 이력을 잘 대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3 Comparis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data and experimental data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3.png

2.3 아트 수전 모델의 온도분포 해석

3D 모델 분석을 통해 공정 시 단면적 변화에 따른 최대온도에 도달하는 위치값을 예측하고, 3D 모델 온도분포 해석을 통해 층별 온도 이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림 4(a)에서는 아트수전의 모델을 보여준다. 적용 모델은 온도분포 해석을 통한 불균일한 단면적 변화에 따른 열누적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층 하부의 단면적과 적층상부의 단면적 크기가 서로 다르며 설계 자유도가 우수하고 예술적인 형태가 포함된 아트 수전을 선정하였으며, 내부 유로의 형상은 적층 오리엔테이션을 기준으로 내부 support가 생성되지 않는 물방울 형상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Fig. 4 Analysis result of faucet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4.png

그림 4(b)에서는 적용 모델의 온도분포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그림 4(c)에서는 z축 방향으로 76mm 이후 구간부터 단면적 변화에 따른 높이 구간에서 1114.2°C 이상의 열 누적으로 인한 적층결함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z축 기준 76.4mm 높이 구간의 층별 최대 누적 온도는 1114.2°C, 최소 누적 온도는 834.7°C를 나타내었다.

2.3.1 general support 모델의 수치해석

그림 5(a)에서는 general support 모델의 형상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general support(block support)는 오버행을 기준으로 3D 모델의 형상을 지지하는 support의 한 종류로 그림 5(b)에서는 general support 모델의 온도분포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general support의 경우 그림 5(c)에서와 같이 z축 방향으로 84mm 이후부터 최대온도 873.1°C 이상의 열 누적이 지속됨을 알 수 있다. 이때 z축 기준 84.0mm 높이 구간의 층별 최대 누적 온도는 873.1°C, 최소 누적 온도는 543.2°C를 나타내었다.

Fig. 5 Analysis result of general support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5.png

2.3.2 wall support 모델의 수치해석

그림 6(a)에서는 wall support 모델의 형상을 보여준다. wall support는 지정한 면(1면)을 기준으로 3D 모델 형상의 측면을 지지하는 support의 한 종류로 그림 6(b)에서는 wall support 모델의 온도분포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3D 모델 형상의 열 누적을 wall support 모델의 적용으로 열전달 경로가 확보됨에 따라 위치별 누적 온도의 방열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wall support의 경우 z축 방향으로 84mm 이후부터 최대온도 817.3°C로 general support 기준 최대온도 55.8°C 낮아짐을 확인하였으나, z축 기준 100.8mm 이후부터 840°C 이상의 열 누적이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림 6(c)와 같이 z축 기준 100.8mm 높이 구간의 층별 최대 누적 온도는 840.0°C, 최소 누적 온도는 543.8°C를 보여준다. 이는 열 배출 단면적이 작아질수록 적층 상부 열 누적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Fig. 6 Analysis result of wall support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6.png

2.3.3 개선된 wall support 모델의 수치해석

그림 7(a)에서는 개선된 wall support 모델의 형상을 보여준다. 3차원 형상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열 누적 최소화를 위하여 wall support의 위치와 지정한 면(3면)을 확장하여 적용한 개선된 wall support 모델의 온도분포해석 결과를 그림 7(b)에 나타내었다.

Fig. 7 Analysis result of modified wall support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7.png

그림 7(c)에서 z축 기준으로 100.8mm의 높이 구간의 층별 온도를 살펴보면 최대 누적 온도는 761.3°C, 최소 누적 온도는 591.2°C로 나타났다.

개선된 wall support의 경우에는 z축 방향으로 84mm 이후부터 최대온도 744.7°C로 general support 기준 최대온도 128.4°C(14.7%) 낮아짐을 확인하였으며, z축 방향으로 100.8mm 이후부터 761.3°C로 wall support 기준 최대온도가 78.7°C(17.3%) 낮아짐을 표 4 확인할 수 있으며, 그림 8에서는 support 모델에 따른 위치별 온도 이력들을 나타내었다.

Fig. 8 Comparis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results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8.png

Table 4 Comparison the effect of support at heights of 84.0mm and 100.8mm

Support

type

General

support

Wall

support

Modified

wall support

Height

T max

873.1°C

817.3°C

744.7°C

84.0mm

920.0°C

840.0°C

761.3°C

100.8mm

2.4 아트 수전 적층 제조 및 검증 평가

그림 9 PBF 적층 제조를 통해 성형된 아트 수전의 build이다. general support 모델로 적층을 수행한 결과인데, 적층 높이 약 84mm 구간에서부터 단면적 변화에 따른 열 누적으로 인한 과열 구간이 발생하였다. wall support 모델로 적층을 수행한 결과인데, 적층 높이 약 100.8mm 구간에서부터 단면적 변화에 따른 열 누적으로 인한 과열 구간이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 Results of general support model and wall support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9.png

한편 그림 10, 그림 11은 개선된 wall support 모델로 적층을 수행한 것이며 적층 불량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build를 볼 수 있다. 앞에서 수행한 해석 결과를 볼 때 최대 적층 온도를 나타내는 높이 84mm와 100.8mm 두 경우 모두 양호한 적층 결과를 나타냈다.

Fig. 10 Modified wall support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10.png

Fig. 11 Result of faucet model using the PBF method

../../Resources/kiee/KIEE.2024.73.2.412/fig11.png

전술한 매크로 열전달 해석 및 분석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전략(build strategy)단계에서 열전달 해석을 통해 support의 형상 따른 온도 이력의 제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제시한 바와 같이 적층에 따른 층별 온도 이력을 분석하여 적층결함의 원인이 단면적 변화에 따른 overheating과 비정상 온도분포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BF 적층 공정에서 단면적 변화에 따른 열 누적 현상을 과도-복합 열전달 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열 누적 최소화를 위한 support의 형상에 따른 온도분포 이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vAMpire/MacroⓇ 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치해석 결과값과 PBF 적층 시 층별 IR 온도 측정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데이터 간의 상관계수가 0.985로 거의 완벽한 선형 상관관계의 온도분포 이력을 가지는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2. 적층 하부의 열 배출 단면적이 작아질수록 적층 상부 열 누적량은 증가하며 이는 단면적의 불균일성에 의한 열전달 경로의 부족 현상으로 수치해석 기반 단면적에 따른 열 누적 경향을 통해 확인하였다.

3. 열 누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general support, wall support 및 개선된 wall support 모델의 방열 효과 차이를 정량적 분석하였다.

4. 단면적 변화에 따른 열 누적 현상을 최소화하고 매크로 열전달 해석을 기반으로 공정 적층 전략(build strategy) 단계에서 build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공정 설계 모델(support)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적층결함 및 열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도-복합 열전달 해석을 통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5. 향후 매크로 열전달 해석 기반의 적층 공정 변수 최적화 및 잔류응력과 열변형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공정 적층 해석 연구와 사전 적층결함 예측을 통해 대형 부품 복잡 형상모델의 build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적층 공정 해석 시뮬레이션 데이터 구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Development of 3D printing digital transformation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process metadata’ (No. 20026245), which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Planning &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References

1 
Mower, T. M. and Long, M. J., “Mechanical behavior of additive manufactured, powder-bed laser-fused materials,” Mat. Sci. Eng, vol. 651, 198-213, 2016.DOI
2 
Herzog, D., Seyda, V. and Wycisk, E., Emmelmann, C., “Additive manufacturing of metals,” Acta Mater., vol. 117, 371-392, 2016.DOI
3 
W. J. Sames, F. A. List, S. Pannala, R. R. Dehoff and S. S. Babu, “The metallurgy and processing science of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Int. Mater. Rev, 61 (5), 315-360, 2016.DOI
4 
Alissultan Aliyev, Kwang-Kyu Lee, and Dong-Gyu Ahn, “Effects of deposition strategies on therm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inconel 718 deposited region on AISI 1045 substrate with a cantilever structure by LENS proces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36, 4695- 4705. 2022.DOI
5 
Seok-Chul Yun, Jae-Ho Shin, Jae-Woong Kim, and Kyunsuk Choi, “A Study 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for Supports to Minimize Heat Accumulation due to Changes in Cross-Sectional Area of 3D Model during the Additive Manufacturing,”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33-33, 2023.URL
6 
M. Bayat, C. G. Klingaa, S. Mohanty, D. De Baere, J. Thorborg, N. S. Tiedje, and J.H. Hattel, “Part-scale thermo-mechanical modelling of distortions in Laser Powder Bed Fusion - Analysis of the sequential flash heating method with experimental validation,” Addit. Manuf, 36, 101508, 2022.DOI

저자소개

윤석철 (Seok-Chul Yun)
../../Resources/kiee/KIEE.2024.73.2.412/au1.png

He received his B.Sc.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Korea, in 2007. He received his M.Sc.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Korea, in 2009.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at 3D printing, industry- universitycooperation found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신재호 (Jaeho Shin)
../../Resources/kiee/KIEE.2024.73.2.412/au2.png

He received his B.Sc.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Korea, in 2008.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Korea, in 2014.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at Intelligence Integrated SW Research Center, Intelligent Information R&D Division,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Korea.

김재웅 (Jae-Woong Kim)
../../Resources/kiee/KIEE.2024.73.2.412/au3.png

received his B.Sc. degree from Ajou University, Korea, in 1982. He received his M.Sc. and Ph.D. degree in Mech. and Production Eng. fro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1984 and 199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Mechanical Eng., Yeungnam University, Korea.

최균석 (Kyunsuk Choi)
../../Resources/kiee/KIEE.2024.73.2.412/au4.png

He received his B.Sc. and M.Sc. degree in Metallurgical Engineering from Inha University, in 2001 and 2003.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Korea, in 2017.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Industry-University Convergence,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