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Power system modeling, Gas system modeling, Optimization, Power System stability, Integrated Power-Gas system

1. 서 론

최근 탈탄소화로 인한 신재생 에너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전력계통의 경우 생산과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휘발성 성격이 강하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해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재생에너지원의 특징인 기후에 따른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전력계통에서의 운영과 신뢰도 예측을 어렵게 하고 있다[1].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력을 저장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사용하여 계통의 부하량이 적을 땐 저장, 반대의 경우에는 방출하여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완화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대용량의 경우 경제성 문제나 화재 등의 이유로 문제를 해결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다른 방법은 전력 - 가스 계통의 연계로 인한 에너지 전환을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 증가 및 과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2]. 따라서 계통을 연계하고,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력, 가스 각 계통의 시뮬레이션 툴만 상용화되어 있을 뿐 두 계통을 연계한 시뮬레이션 툴 기술은 존재하지만, 단순히 발전기를 추가하여 계산하거나, 가스 계통 해석의 부재 같은 미흡한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두 계통의 연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선 모델링이 필수적이며 두 계통의 에너지 흐름 계산 방법을 통일화시켜 적용해야 한다.

가스계통을 해석하는 다른 문헌들은 가스 계통의 복잡성으로 인해 가정을 포함한 웨이머스 방정식을 활용하여 가스 계통을 모델링하여 전력조류계산 방법과 동일하게 가스 계통의 흐름을 계산한다[3]. 또한, 컴프레서의 가스 흐름을 전력흐름과 유사하게 적용하여 제안한다[4].

통합계통을 해석하는 다른 문헌들의 경우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한 각 계통의 미지수들을 계산하여 검증하며[5], Krawczyk- Moore 방법을 활용하여 발전량, 부하량 변화에 따른 계통의 변화를 계산하기도 한다[6]. 마지막으로 최적화를 활용하여 통합계통의 경제성 평가를 진행한다[7].

본문에서는 전력-가스 통합계통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전력조류 계산 방법을 활용하여 전력계통을 모델링하며, 시뮬레이션 툴과 비교를 통해 모델링 방법을 검증한다. 또한 [3]에서의 방법으로 가스 계통을 모델링하고 전력조류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가스 계통을 해석한다. 그리고 [3]의 계통과의 비교하여 모델링 방법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선로 과부하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적용하여 전력계통에서의 과부하율의 합을 최소로 하는 목적함수를 통해 통합계통을 최적화한다.

2. 전력계통 모델링

전력계통은 크게 슬랙, 발전기, 부하 모선으로 구성된다. 슬랙모선은 Swing,기준 모선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발전기 모선 중 계통 내의 송전 손실분을 흡수 조정하는 모선으로 기능한다. 발전기 모선은 전력의 공급을, 부하 모선은 전력 수요를 담당한다. 전력계통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을 전력조류 계산이라 표현하며 표 1에서의 제어값(기지량)을 통해 상태값(미지량)을 구해 계통의 흐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전력계통 모델링은 전력조류계산의 power balance 방정식을 활용하며, Newton- Raphson 방법을 적용하여 흐름을 계산한다. power balance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1)
$P_{i}=\sum_{k=1}^{n}\left | Y_{ik}\right |\left | V_{i}\right |\left | V_{k}\right |\cos(\theta_{ik}+\delta_{k}-\delta_{i})$
(2)
$Q_{i}= -\sum_{k=1}^{n}\left | Y_{ik}\right |\left | V_{i}\right |\left | V_{k}\right |\sin(\theta_{ik}+\delta_{k}-\delta_{i})$

여기서,

$\delta_{i}$ = i 버스의 전압 위상, $P_{i}$ = i 버스의 유효전력

$Y_{ik}$ = I와 k버스 사이의 어드미턴스, $Q_{i}$ = i 버스의 무효전력

$\theta_{ik}$ = 어드미턴스 각도 $V_{i}$ = i 버스의 전압

표 1 전력계통 모선별 제어값, 미지값

Table 1 Control and unknown value by bus

모선의 종류

제어값(기지량)

상태값(미지량)

발전기 모선

$P_{G}$,$V_{G}$

$Q_{G}$,$\delta_{G}$

부하 모선

$P_{R}$,$V_{R}$

$V_{R}$,$\delta_{R}$

슬랙 모선

$V_{S}$,$\delta_{S}$

$P_{S}$,$Q_{S}$,$P_{L}$

그림 1은 IEEE 3 bus의 계통도이다. 1번 bus 는 슬랙모선이며 전압값, 위상값의 기준이 된다. 2번 bus는 부하모선이며 부하량에 따라 전력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번 bus는 발전기모선으로 전압, 전력의 제어가 가능하다. 위 그림의 단위는 전부 pu(per unit)값이며, 절대량이 아니라 기준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기준은 100MW로 설정하였다.

검증을 위해 그림 1과 같은 계통에서 모델링을 통한 전력조류 계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표 2는 시뮬레이션 툴(PSS/E) 값과 시뮬레이션(Python) 값을 비교한 결과이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슬랙 모선(P)값에서의 차이가 나지 않아 허용할 정도의 오차로 판단하였다.

그림 1. IEEE 3 bus 계통도

Fig. 1. IEEE 3 bus pow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1.png

표 2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한 전력계통 모델링 검증

Table 2 Validate power system modeling with simulation tools

시뮬레이션종류

PSS/E

Python

발전기 모선(V)

1.03$\angle -0.2005^{\circ}$

1.03$\angle -0.2003^{\circ}$

부하 모선(V)

1.0118$\angle -1.5871^{\circ}$

1.0118$\angle -1.5887^{\circ}$

슬랙 모선(P)

0.5195

0.5195

3. 가스 계통 모델링

3.1 가스 계통 요소

가스 네트워크는 가스 공급원, 가스 소비원, 파이프라인, 컴프레서, 밸브, 레귤레이터, 저장 탱크 같은 장치들로 구성된다. 가스 공급원에서 공급받은 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소비원으로 이동한다. 컴프레서는 가스를 잘 흘려보내기 위해 주입된 가스의 압력을 높이고, 밸브는 가스를 흘려보내거나 차단하고, 레귤레이터는 정해진 압력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밸브나 레귤레이터 같은 장치들을 포함하지 않는 간략화한 가스 계통의 계산을 위해 파이프라인에서의 가스 흐름만 설명한다. 가스 계통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파이프라인과 컴프레서가 포함된 가스 계통

Fig. 2. Gas system with pipelines and compressor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2.png

3.2 파이프라인 모델링

수평 파이프라인에서의 가스 흐름은 시작 노드i와 끝 노드j의 압력 차에 의해서 결정된다. 가스 흐름은 가스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T_{0}$ = 520°R, $P_{0}$ = 14.65 psia에서 계산한다(단위는 standard ft3/hr, 또는 SCF/hr로 표현된다.). 웨이머스 방정식을 사용하여 간략화한 가스 흐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3].

(3)
$f_{k}= f_{kij}= S_{ij}M_{k}\sqrt{S_{ij}(\pi_{i}^{2}-\pi_{j}^{2})},\: [SCF/hr]$

여기서,

$f_{kij}$ = 파이프라인 가스 흐름 (SCF/hr),

$S_{ij}$ = +1 ($π_{i}\ge π_{j}$),

= -1 ($π_{i}< π_{j}$),

$π_{i}$ = 노드i의 가스 흐름 (psia), $π_{j}$ = 노드j의 가스 흐름 (psia),

$M_{k}=\epsilon\dfrac{36.124T_{0}D_{k}^{8/3}}{\pi_{0}\sqrt{GL_{k}T_{ka}Z_{a}}}$,

$\epsilon$ = 파이프라인 효율, $T_{0}$ = 표준온도 (°R),

$D_{k}$ = 노드 사이 파이프라인 직경 (inch), $π_{0}$ = 표준압력 (psia),

$G$ = 기체 비중 (공기 = 1, 가스 = 0.6), $Z_{a}$ = 평균 가스 압축률.

$L_{k}$ = 노드 사이 파이프라인 길이 (miles), $T_{ka}$ = 평균 기체 온도 (°R),

3.3 컴프레서 모델링

컴프레서는 에너지 손실을 보상하고 가스를 이동시키기 위해 노드 사이에 설치되어 주입된 가스의 압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컴프레서는 작동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가장 경제적인 에너지원은 천연가스이고, 증기나 전기도 에너지원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컴프레서의 가스 흐름은 파이프라인에서의 가스 흐름과는 다르게 마력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컴프레서의 마력은 다음과 같다[3].

(4)
$H_{k}=H_{kij}=B_{k}f_{k}[(\dfrac{\pi_{j}}{\pi_{i}})^{Z_{ki}(\dfrac{\alpha -1}{\alpha})}-1],\: [HP]$

여기서,

$B_{k}=\dfrac{3554.58T_{ki}}{\eta_{k}}(\dfrac{\alpha -1}{\alpha})$,

$f_{k}$ = 컴프레서로 흐르는 가스 흐름 (SCF/hr),

$π_{i}$ = 컴프레서 주입노드i의 가스 흐름 (psia),

$π_{j}$ = 컴프레서 방출노드의 가스 흐름 (psia).

$Z_{ki}$ = 컴프레서 입구에서의 가스 압축률, $\alpha$ = 비열비,

$T_{ki}$ = 컴프레서 흡입 온도(°R), $\eta_{k}$ = 컴프레서 효율.

3.4 파이프라인을 포함한 컴프레서의 가스흐름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컴프레서를 포함한 파이프라인은 그림 3과 같다[4].

그림 3. 컴프레서 모델

Fig. 3. Compressor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3.png

그림 3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5)
$\begin{cases} \begin{matrix}f_{mi}= f_{com}+ f_{cp}&\\f_{com}= f_{out}= f_{jn}&\end{matrix}&\\ f_{jn}= M_{k}\sqrt{\pi_{j}^{^{2}}-\pi_{n}^{2}}& \end{cases}$

$M_{k}$는 (3)의 방정식에 있는 상수이다. $f_{com}$은 컴프레서로 흐르는 가스 흐름, $f_{cp}$는 컴프레서가 사용하는 가스 흐름, $f_{out}$은 컴프레서가 방출하는 가스 흐름이다. $f_{cp}$에 관한 식은 (6)이다.

(6)
$f_{cp}=\alpha_{Tk}+\beta_{Tk}H_{kij}+\gamma_{Tk}H_{kij}^{2}$

여기서 Hk = Hkij는 (4)식의 컴프레서의 마력, $\alpha_{Tk},\: \beta_{Tk},\: \gamma_{Tk}$는 가스 터빈 연료 계수이다.

그림 4. 14 Node 가스 계통도

Fig. 4. 14 Node gas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4-1.png../../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4-2.png

4. 가스 계통 흐름계산

4.1 전력계통 해석 관점에서의 가스 계통

전력계통에선 전압이 전류의 흐름과 연관이 있고, 가스 계통에서는 노드의 압력이 가스의 흐름과 연관이 있다. 전력조류 계산의 기지값과 미지값을 가스 계통의 흐름 계산에 활용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가스 흐름 계산의 경우 전력계통의 방법과 다르게 각 노드의 압력과 가스 주입을 목표로 계산된다. 다음은 각 노드 타입에 대한 설명이다.

표 3 전력계통과 가스 계통의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power system and gas system

타입

전력계통

가스계통

요소

전선,

변압기

파이프라인,

컴프레서

변수

전압, 위상,

유효전력,무효전력

압력,

가스주입

노드 타입

Slack bus,

Load bus

Know injection node,

Known pressure node

○ Known injection node: 가스 주입량을 알고 있고 압력을 미지값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력계통의 부하 모선과 유사하다. 이러한 타입의 노드만으론 가스 흐름 계산의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어서 다른 타입의 노드가 필요하다.

○ Known pressure node: 노드의 압력을 알고 있고, 노드의 가스 주입량을 미지값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력계통의 Slack 모선과 유사하다. 이러한 타입의 노드만 있는 것은 이미 결과를 알고있는 것과 다름없기에, 마찬가지로 다른 타입의 노드가 필요하다. 따라서 노드의 타입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4.2 가스 흐름계산

전력조류 계산 방법과 같이 가스 계통의 흐름계산도 키르히호프의 제 1법칙을 이용하여 계산된 가스 흐름 방정식에 Newton-Raphson방법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가스계통에서 적용하는 방법은 각 노드의 가스 흐름의 합이 0인 것을 전제로 계산한다. 식으로 나타내면 (7)과 같다.

(7)
$(A+U)f + w -T\tau = 0$

여기서,

$A_{ik}$ = 파이프라인 가스 흐름 방향 행렬, $f$ = 가스 흐름 벡터,

$U_{ik}$ = 컴프레서 가스 흐름 방향 행렬, $w$ = 가스 주입,

$T_{ik}$ = 컴프레서 가스 사용 방향 행렬,

$\tau$ = 컴프레서 가스 사용 벡터.

$\tau$는 식(6)의 $f_{cp}$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4.3 시뮬레이션 및 검증

위 그림은 [3]의 14 node 가스 계통도이다. 가스 계통의 경우 계통 데이터가 많지 않고, 해석된 자료가 없기에 [3]의 데이터 값을 그대로 가져와 계산하였다. Python을 이용해 전력조류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각 node의 압력값을 계산하였다.

표 4 가스 계통 데이터, 시뮬레이션 결과값 비교

Table 4 Compare gas system data and simulation results

Node

데이터 값

Python시뮬레이션결과값

압력(psia)

압력(psi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000

683

672

551

882

499

898

729

1000

498

1100

698

729

654

1000

683

672

548

877

495

892

720

1000

483

1100

696

727

651

5. 전력 – 가스 통합계통 시뮬레이션

5.1 계통도

전력 - 가스 통합계통의 경우, 전 계통을 합치는 것이 아닌 그림 5처럼 두 계통이 물리적으로 연계되어있더라도 별개의 계통으로 취급하며 두 계통간의 연결지점만이 각 계통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림 5는 변형된 ieee 6 bus 전력계통과 [3]의 가스 계통을 연계한 계통이다. 전력계통의 경우 1번 bus를 slack bus로 하여 2,3번 발전기 bus, 4,5,6 부하 bus로 구성되어있다(여기서 버스 5의 부하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함). 또한 가스계통에서 1개의 소스노드(1번)와 4개의 부하노드(2,3,12,13번)로 이루어져있고, 14번 노드와 3번 bus가 일치하여 연계된 것으로 표현한다.

그림 5. 전력-가스 통합 계통

Fig. 5. Integrated power-gas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5.png

5.2 전력 - 가스 통합계통 최적화

최적화의 목적함수는 다음 수식으로 표현한다.

(8)
$\min\Sigma\dfrac{L_{p}(Y)}{L_{H}(Y)}B(Y)$

LP(Y)는 각 선로의 부하량을 나타내고, LH(Y)는 각 선로에 허용되는 부하량을 나타내며, B(Y)는 각 선로의 연결 행렬이다. 따라서 목적함수는 각 선로의 과부하율의 합의 최소화가 된다. 그림 6과 같은 선로의 과부하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림 6. 선로 예시

Fig. 6. power line example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6.png
(9)
$V\times I^{*}= A\angle C^{\circ}\times(\dfrac{A\angle C^{\circ}- B\angle D^{\circ}}{Z})$

(9)의 식은 선로 부하율을 계산하는 식이다. 이것을 선로의 허용부하량으로 나누어 퍼센트로 환산하면 과부하율이 된다.

(10)
$(과부하율)=\dfrac{(선로부하량)}{(선로 허용부하량)}\;\;\;\;\;\;\;\times 100[\%]$

또한 최적화에 필요한 추가 제약조건은 다음과 같다.

전력계통 추가 제약조건

(11)
$P_{\min}\le P_{slack}\le P_{\max}$

전력계통 추가 제약조건은 위와 같고, 식(1),(2)를 통해 전력 조류 계산 또한 제약에 포함한다.

가스 계통 추가 제약조건

(12)
$f_{S}= f_{L}$
(13)
$\pi_{\min}$ ≤ $\dfrac{\pi_{5}}{\pi_{4}}$,$\dfrac{\pi_{7}}{\pi_{6}}$,$\dfrac{\pi_{9}}{\pi_{8}}$,$\dfrac{\pi_{11}}{\pi_{10}}$ ≤ $\pi_{\max}$

$f_{s}$는 가스 공급원에서의 가스 흐름이고 $f_{L}$은 가스 부하에서의 가스 흐름이다. 가스 제약조건은 위와 같고 압력비를 최대, 최소로 설정하여 컴프레서의 방향을 설정한다. 또한 (3)-(7) 식을 활용하여 가스 흐름을 제약에 추가한다. 에너지 전환은 에너지원의 단위를 J로 바꾼 뒤, 다시 맞는 에너지원으로 단위를 변경하여 효율을 곱해주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14)
$1[SCF]= 2869.2045[J]$
(15)
$1[J]=2.7778*10^{-7}[KWh]$

표 5 최적화 알고리즘

Table 5 Optimization algorithm

알고리즘 : 통합계통 최적화

Input : 목적함수, 24시간동안 반복

Output : 각 계통의 에너지 흐름 및 전압,위상,전력,가스압력등

Data set (계통의 데이터 설정)

Power system = (1),(2),(11)

Gas system = (3),(4),(5),(6),(7),(12),(13)

Integration = (14),(15),Generator 3, Node 14

con = Power system, Gas system, Integration

Optimize.minimize(objective function(with inegration))

Optimize.minimize(objective function(without inegration))

Retrun result

표 5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위 최적화는 Python 라이브러리인 scipy를 활용하였고, scipy의 최적화 기본값인 Nelder-Mead로 솔버를 사용하였다. 또한 최적화에서 사용된 변수는 전력조류 계산에서의 미지값(전압, 위상 등)과 가스 계통에서의 미지값(압력, 가스주입량 등)을 도출한다.

5.4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는 그림 7과 8에 나타낸다. 그림 7은 부하량이 많을 때(가스 계통에서 전력계통으로 에너지 전환), 가스 계통과 연계 유무에 따라 나태내었다. 연계를 하지않은 계통은 slack bus에서 대응을 하게끔 설정하였고, 그로 인해 과부하율이 높은 선로는 다르지만, 연계를 통해 선로들의 과부하가 완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00%가 넘는 과부하율을 가진 선로의 수, 연계를 하지않은 계통은 비교적 높은 과부하율을 갖고있는 선로(200%이상)도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림 8은 발전량이 많을 때(전력계통에서 가스 계통으로의 에너지 전환)가스 계통과 연계 유무에 따라 나타내었다. 연계를 하지 않은 계통에서 발전량의 증가는 slack bus의 발전량을 음수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slack bus의 발전량이 양수가 되는 조건까지만 발전량을 증가시켰다. 그림 8의 그래프에는 과부하율이 100%가 넘는 선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연계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연계를 한 경우의 선로가 과부하율이 완화되는 효과를 보여준다.

그림 7. 연계 유무에 따른 선로별 과부하율(부하량 大)

Fig. 7. Overload rate by line with or without integration(Overload)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7.png

그림 8. 연계 유무에 따른 선로별 과부하율(발전량 多)

Fig. 8. Overload rate by line with or without integration(Overgeneration)

../../Resources/kiee/KIEE.2024.73.2.447/fig8.png

6. 결론 및 future work

전력 – 가스 계통 통합을 위한 각 계통의 모델링 방법과 흐름 계산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전력조류 계산 방법을 가스 계통에 적용시켜 통합계통의 에너지 흐름에 대해 시뮬레이션하였고 전력 – 가스 통합 계통이 재생에너지의 예상치 못한 출력으로 인한 계통 과부하 문제를 완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는 가스 계통과 전력계통의 시간적 특성을 포함한 통합 계통의 동적 시뮬레이션과 동적 연계 계통에서 이벤트에 따라 계통의 안정도를 발전기의 스윙 방정식을 통해 판별하고 그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3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 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214000000560)

본 과제(결과물)는 2023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입니다. (2021RIS-002)

References

1 
Javed, M. S., Jurasz, J., Guezgouz, M., Canales, F. A., Ruggles, T. H., and Ma, T. “Impact of multi-annual renewable energy variability on the optimal sizing of off-grid system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83, 2023.DOI
2 
Zhao Pengfei, Lu Xi, Gu Chenghong, Ai Qian, Liu Hong, Cao Zhidong, Bian Yuankai, & Li Shuangqi, “Volt-VAR -pressure optimization of integrated energy systems with hydrogen inject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6, no. 3, pp. 2403-2415, 2020.URL
3 
Li, Qing, Seungwon An, and Thomas W. Gedra. “Solving natural gas loadflow problems using electric loadflow techniques,” Proceedings of the North American Power Symposium, pp. 1-7, 2003.URL
4 
Shi Jiaqi, Wang Ling, & Zang Jianhua, “Generalized energy flow analysis considering electricity gas and heat subsystems in local-area energy systems integration,” Energies, vol. 10, no. 4 (2017): pp. 514, 2017.DOI
5 
Jia Wenhao, Ding Tao, Huang Can, Wang Zekai, Zhou Quan, and Shahidehpour Mohmmad, “Convex optimization of integrated power-gas energy flow model with applications to probabilistic energy flow,”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6, no. 2, pp. 1432-1441, 2020.DOI
6 
Wang, Shouxiang, and Shuangchen Yuan, “Interval Energy Flow Analysis in Integrated Electrical and Natural-Gas Systems Considering Uncertainties,” Energies, vol. 12, no. 11, pp. 2043, 2019.DOI
7 
Seungwon An,, Li Qing, and Thomas W. Gedra. “Natural gas and electricity optimal power flow,” 2003 IEEE 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IEEE Cat. no. 03CH37495). vol. 1. IEEE, pp. 138-143, 2003.DOI

저자소개

고대원 (Daewon Go)
../../Resources/kiee/KIEE.2024.73.2.447/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Korea, in 2023 and working toward the M.S. degree. He is studying integrated power- gas system and simulation technique in the power system.

His e-mail address is qns8182@naver.com

https://orcid.org/0009-0008-8699-5470

이동호 (Dongho Lee)
../../Resources/kiee/KIEE.2024.73.2.447/au2.png

He received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ntro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smart energy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fer.

His e-mail address is dongho.lee864@gmail.com

https://orcid.org/0000-0002-8739-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