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VR resolver, IPMSM, Fault Diagnosis Algorithm, FEM, Static Eccentricity Fault (SEF), Induced Voltage

1. 서 론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및 내연기관 모빌리티의 배출가스의 배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친환경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모빌리티의 구동 전동기는 고효율, 고출력, 소형화 및 신뢰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친환경 모빌리티 중 전기자동차는 구동 전동기의 고효율, 고출력 및 소형화에 유리한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1]. 반면, IPMSM은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WFSM)과 달리 회전자에 자석이 활용되어, 불가역 감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IPMSM은 편심으로 인한 철손 증가로 인해 불가역 감자가 발생할 수 있다[2]. 편심이 발생할 경우, 구동 전동기의 토크 정밀도 하락과 소음 진동이 증가할 수 있고, 결함 정도에 따라서, 베어링 소손으로 이루어져 큰 사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IPMSM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편심에 대한 진단은 필수적이다. 기존의 전동기 고장 진단 기법으로는 Motor Current Signature Analysis (MCSA)가 많이 활용된다. MCSA는 전류 센서 신호를 취득하여, 고장을 진단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MCSA 기법은 편심 고장에서 진단을 실패할 수 있다[3]. 따라서 MCSA 기법만으로는 정확한 고장진단 수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편심 고장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고장진단이 뒤받쳐주어야한다. 본 논문은 위치센서인 VR 레졸버의 출력 신호를 활용하여 정적 편심 (SEF)을 진단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IPMSM을 구동할 경우에는 위치센서를 통해 위치 신호를 취득한 후, 인버터에서 벡터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토크 제어를 수행한다. 위치 신호를 얻기 위한 위치센서로 홀 센서, 엔코더, 레졸버 등이 활용되고 있다. 이 중 레졸버는 가장 견고하고, 높은 정격 온도를 가지고 있어, 전기 모빌리티의 위치센서로 채택되고 있다. VR 레졸버는 브러쉬리스 레졸버에 비해 정밀도가 낮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 모빌리티 응용 분야에서는 토크 리플에 내성이 있기 때문에 전기 모빌리티에서 채택하고 있다[4].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구동 전동기의 정적 편심 진단을 VR 레졸버를 활용하면, 추가적인 센서 없이 MCSA기법이 편심을 정확하게 진단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여, 정확한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2장에서는 레졸버의 IPMSM의 정적 편심이 VR 레졸버의 출력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정적 편심 진단을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4장에서는 제안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2. IPMSM의 정적 편심 고장으로 인한 VR 레졸버의 영향

2.1 레졸버의 유기전압과 각도 도출

Fig. 1과 같이 일반적으로 레졸버의 고정자는 여자권선과 Sin 권선, Cos 권선으로 둘러싸인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회전자의 종류에 따라, 권선형 레졸버와 VR 레졸버로 분류된다. 권선형 레졸버의 회전자는 자성체에 권선이 둘러싸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VR 레졸버의 회전자는 돌극형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VR 레졸버의 출력신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V_{input}=V_{1}\sin\omega_{e}t$
(2)
$I_{e =}\dfrac{V}{\sqrt{R_{e}^{2}+\omega_{e}^{2}L_{e}^{2}}}\sin(\omega_{e}t-\tan^{-1}(\dfrac{\omega_{e}L_{e}}{R_{e}}))$
(3)
$L_{e-\sin}=L_{M}\sin(P\theta)$
(4)
$L_{e-\cos}=L_{M}\cos(P\theta)$
(5)
$L_{M}=\dfrac{N_{e}N_{1,\: 2}}{R}$
(6)
$\lambda_{\sin}=L_{e-\sin}I_{e}$
(7)
$\lambda_{\cos}=L_{e-\cos}I_{e}$

여기서, $V_{input}$는 레졸버 입력단에 인가하는 정현파 형태의 여자전압, $\omega_{\begin{aligned}e\\\end{aligned}}$ 는 인가한 전압의 주파수, $R_{e}$는 여자권선의 전기저항, $I_{e}$ 는 여자전류, $L_{e-\sin}$ 여자권선과 Sin 권선의 상호인덕턴스, $L_{e-\cos}$은 여자권선과 Cos 권선의 상호인덕턴스이다. $L_{M}$은 상호인덕턴스의 최댓값, $R$은 자기저항이다. $\lambda_{\sin ,\: \cos}$은 Sin, Cos 권선의 쇄교자속이다. VR 레졸버는 회전형 변압기로 식 (1) 과 같이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식 (2)와 같이 여자권선에 전류가 입력된다.

(8)
$\begin{align*} V_{\sin =}\dfrac{V_{1}}{\sqrt{R_{e}^{2}+\omega_{e}^{2}L_{e}^{2}}}L_{M}\omega_{e}[P\dfrac{d\theta /dt}{\omega_{e}}\cos(P\theta)\sin(\omega_{e}t\\ -\tan^{-1}(\dfrac{\omega_{e}L_{e}}{R_{e}}))+\sin(P\theta)\cos(\omega_{e}t-\tan^{-1}(\dfrac{\omega_{e}L_{e}}{R_{e}}))] \end{align*}$
(9)
$\begin{align*} V_{\cos =}\dfrac{V_{1}}{\sqrt{R_{e}^{2}+\omega_{e}^{2}L_{e}^{2}}}L_{M}\omega_{e}[-P\dfrac{d\theta /dt}{\omega_{e}}\sin(P\theta)\sin(\omega_{e}t\\ -\tan^{-1}(\dfrac{\omega_{e}L_{e}}{R_{e}}))+\cos(P\theta)\cos(\omega_{e}t-\tan^{-1}(\dfrac{\omega_{e}L_{e}}{R_{e}}))] \end{align*}$
(10)
$\theta_{cal}=\tan^{-1}(\dfrac{V_{\sin -env}}{V_{\cos -env}})$

여자권선에 전류가 인가되면, Sin, Cos 권선에는 식 (8), (9) 와 같이 전압이 유기된다. 식 (8), (9)에서 Sin, Cos권선의 유기전압은 속도 기전력 부분과 변압기 기전력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입력 전압의 주파수에 비해, 기계적 주파수가 매우 작으므로, 유기전압에서 속도 기전력 항은 무시할 수 있다[5]. Sin, Cos 권선의 신호를 Resolver to Digital Converter (RDC) 에서 유기전압의 엔벨로프를 진행하여, 식 (10)의 수식을 통해 위치각을 도출한다[6].

그림 1. VR 레졸버 기본 원리

Fig. 1. Principles of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png

2.2 IPMSM의 정적 편심에 따른 레졸버의 자기 선속 변화

IPMSM에서 정적 편심이 일어나면, Fig. 2와 같이 공극의 길이가 달라진다. 그에 따라, 자기저항에 변화가 생겨, 정적 편심이 일어난 부분에서 자속밀도가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IPMSM의 자기 선속

Fig. 2. Magnetic flux of IPMSM (a) Normal condition (b) SEF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2.png

IPMSM의 위치센서로 사용되는 레졸버는 Fig. 3과 같이 한 축으로 연동되어 있다. 그에 따라, IPMSM이 정적 편심이 일어날 때, 레졸버에서도 정적 편심이 발생하게 되어 Cos 권선과 Sin 권선의 인덕턴스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식 (5), (8), (9) 에 의해, 정적 편심이 일어나면 Sin, Cos 권선의 출력 신호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 IPMSM의 레졸버 모델

Fig. 3. Resolver Model of IPMSM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3.png

또한, 유한 소요 해석법을 통해 레졸버의 자기 선속이 집중되는 현상을 Fig. 4를 통해서 도출하였다.

그림 4. 레졸버의 자기 선속

Fig. 4. Magnetic flux of VR resolver (a) Normal condition (b) SEF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4.png

2.3 IPMSM의 정적 편심 시 레졸버 등가회로

IPMSM의 정적 편심으로 인해, 레졸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Fig. 5 와 같이 레졸버 회로도를 도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레졸버 등가회로에서 코어 부분이 공극보다 투자율이 훨씬 크기 때문에 공극 부분의 자기저항만 고려하여, Fig. 6과 같이 간단한 자기 등가회로를 도출하였다.

그림 5. 레졸버 회로도

Fig. 5. Circuit diagram of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5.png

등가회로의 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레졸버의 고정자 및 회전자 사이의 거리의 식이 필요하다. 레졸버의 돌극에 따른 함수를 Fig. 7과 같이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고정자 측과 회전자 측의 거리에 대한 식을 도출하였다.

그림 6. 레졸버 등가회로

Fig. 6. Equivalent circuit of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6.png

그림 7. 레졸버 회전자 구조의 함수

Fig. 7. Function of resolver rotor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7.png
(11)
$l_{air-gap}=l_{air-\max}-(\int_{-\dfrac{\pi l_{S}}{2(l_{s}+l_{s o})}}^{\dfrac{\pi l_{S}}{2(l_{s}+l_{s o})}}R(p\theta -(k-3)\dfrac{2\pi p}{z})d\theta)/l_{s})$
(12)
$R_{air-gap=}\dfrac{l_{air-gap}}{\mu(l_{stack}l_{s})}$
(13)
$\begin{align*} V_{\sin =}\dfrac{3V_{1}N_{e}N_{1}}{\sqrt{R_{e}^{2}+\omega_{e}^{2}L_{e}^{2}}}\omega_{e}\cos(\omega_{e}t-\tan^{-1}(\dfrac{\omega_{e}L_{e}}{R_{e}}))\\ \times[(P_{(2k-1)}+P_{2k}+P_{(2k+1)})-(P_{(2k+1)}+P_{(2k+2)}+P_{(2k+3)})] \end{align*} $
(14)
$\begin{align*} V_{\cos =}\dfrac{3V_{1}N_{e}N_{2}}{\sqrt{R_{e}^{2}+\omega_{e}^{2}L_{e}^{2}}}\omega_{e}\cos(\omega_{e}t-\tan^{-1}(\dfrac{\omega_{e}L_{e}}{R_{e}}))\\ \times[(P_{(2k)}+P_{(2k+1)}+P_{(2k+2)})-(P_{(2k+2)}+P_{(2k+3)}+P_{(2k+4)})] \end{align*}$

여기서 $l_{air-gap}$은 공극의 거리, $l_{air-\max}$ 는 최대 공극길이, $p$ 는 극 수, $l_{s}$ 는 쇄교되는 치의 길이, $l_{so}$는 슬롯 오프닝 길이, z는 슬롯 수, $R_{air-gap}$은 공극 자기저항, $P$ 는 퍼머언스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IPMSM에 정적 편심이 일어나면 Fig. 8과 같이, $l_{air-\max}$ 가 바뀌게된다. $l_{air-\max}$ 에 변화가 생기게되면, 식(11), (12)에 의해 공극 자기저항이 변화하게 된다.

그림 8. 정상 상태와 정적 편심 상태의 $l_{air-\max}$ 비교

Fig. 8. comparison of $l_{air-\max}$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8.png

공극 자기저항이 바뀌면, Sin 유기 전압과 Cos 유기 전압이 식 (13), (14)에 의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 IPMSM의 레졸버와 편심 상태의 IPMSM의 레졸버의 유기전압이 다르게 도출되게 때문에, 심각도에 따른 유기전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IPMSM의 편심을 진단 할 수 있다.

3. 레졸버의 고장진단 알고리즘

레졸버를 활용한 고장진단 알고리즘은 Fig. 9 순서대로 진행된다. RDC에서 유기전압의 엔벨로프를 진행하여, 알고리즘을 통해 위치 신호를 도출한다. Sin, Cos 권선 유기전압의 최댓값을 정상상태의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마진 오차율보다 커질 경우 고장으로 분석한다.

그림 9. 레졸버를 활용한 고장진단 알고리즘

Fig. 9. Fault diagnosis algorithm using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9.png
(15)
$\epsilon_{\sin}=(V_{\sin -output}-V_{\sin -ref})/V_{\sin -ref}\times 100$
(16)
$\epsilon_{\cos}=(V_{\cos -output}-V_{\cos -ref})/V_{\cos -ref}\times 100$

여기서 오차율을 $\epsilon_{\sin ,\: \cos}$로 정의하였고, 식 (15), (16)과 같다. $V_{\sin -ref}$는 정상 상태 IPMSM의 레졸버 Sin권선의 출력 유기전압의 최댓값의 평균 데이터이고, $V_{\cos -ref}$는 정상 상태 IPMSM의 레졸버 Cos권선의 출력 유기전압의 최댓값의 평균 데이터이다. $V_{\sin -output}$은 레졸버의 Sin 권선 출력신호, $V_{\cos -output}$은 레졸버의 Cos 권선 출력신호이다. $\epsilon_{\sin}$나 $\epsilon_{\cos}$가 정상 상태의 마진보다 클 경우, 정적 편심으로 진단한다.

4. 시뮬레이션 & 실험 결과

4.1 시뮬레이션 & 실험 이용된 모델 Spec.

시뮬레이션과 계측실험에 이용된 IPMSM 모델 및 사양 Fig. 10, Table 1과 같다. 6극 9슬롯 IPMSM 전동기를 활용했으며, 공극의 길이는 1 mm 이다. VR 레졸버의 모델 및 사양은 Fig. 11, Table 2와 같다. 3X 회전자 타입의 12슬롯 레졸버를 활용했으며, 공극의 길이는 0.355 mm 이다.

그림 10. IPMSM 모델

Fig. 10. Model of IPMSM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0.png

그림 11. VR 레졸버 모델

Fig. 11. Model of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1.png

표 1 IPMSM 사양

Table 1 IPMSM Specifications

Parameter

Value

Unit

Slot

9

-

Pole

6

-

Stator Outer Dia /

Inner Dia

100 / 54

mm

Rotor Outer Dia /

Inner Dia

54 / 10

mm

Stack Length

40

mm

Air gap

1

mm

표 2 VR 레졸버 사양

Table 2 VR resolver Specifications

Parameter

Value

Unit

Vrms

5

V

Frequency

10

kHz

Slot / Rotor type

12 / 3X

-

Stator Outer Dia /

Inner Dia

37 / 20

mm

Rotor Outer Dia /

Inner Dia

19.28 / 12

mm

Stack Length

7.1

mm

Air gap

0.355

mm

일반적으로, 레졸버의 공극은 IPMSM에 비해 작기 때문에, IPMSM의 편심의 심각도보다 레졸버에서의 편심의 심각도가 더 크게 발생한다. 본 해석에 활용된 모델의 경우, IPMSM은 공극이 1 mm이고, 레졸버의 공극은 0.355 mm이다. Table 3과 같이, IPMSM에서 정적 편심이 일어나게 되면, IPMSM에 비해 레졸버에서 편심정도가 심하게 발생된다.

표 3 IPMSM과 Resolver의 편심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SEF severity between IPMSM and VR Resolver

Air gap Min [mm]

구분

IPMSM

Resolver

IPMSM Normal

1

0.355

IPMSM SEF (10%)

0.9

0.255

IPMSM SEF (20%)

0.8

0.155

IPMSM SEF (30%)

0.7

0.055

4.2 레졸버 유기전압 시뮬레이션 결과

$V_{\sin -output}$ 과 $V_{\cos -output}$ 을 도출하기 위해, VR 레졸버를 Fig. 11과 같이 모델링을 수행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하였다. 유한 요소 해석은 12슬롯 3X인 VR 레졸버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3장의 고장진단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Fig. 12, 13과 같이 각각 정상 상태와 정적 편심 상태의 레졸버 모델링을 진행한 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1000 rpm에서 수행하였다.

그림 12. 정상 상태 레졸버 모델링

Fig. 12. Modeling of Normal condition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2.png

그림 13. 정적 편심 상태 레졸버 모델링

Fig. 13. Modeling of SEF condition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3.png

레졸버의 정적편심의 심각도 기준은 IPMSM의 정적 편심 기준으로 해석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Fig. 14와 같이 도출되었다, Sin과 Cos 권선 중 정적 편심을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큰 Sin 권선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상 상태의 레졸버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3.5 V로 도출되었다. IPMSM의 정적 편심 (10%) 상태의 레졸버의 경우 Fig .14(b) 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3.63 V로 도출되었다. IPMSM의 정적 편심 (20%) 상태의 레졸버의 경우 Fig .14(c) 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4.24 V 로 도출되었다. IPMSM의 정적 편심 (30%) 상태의 레졸버의 경우 Fig .14(d) 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6.18 V로 도출되었다. 레졸버 유기전압 시뮬레이션 결과, Fig. 15 와 같이 정적 편심의 심각도와 유기전압이 비례하는 경향을 도출하였다.

그림 14. VR 레졸버 시뮬레이션 결과

Fig. 14. Simulation results of VR resolver (a) Normal condition (b) SEF (10%) condition (c) SEF (20%) condition (d) SEF (30%)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4-1.png../../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4-2.png

그림 15. 레졸버 시뮬레이션 결과표

Fig. 15. Result table of VR resolver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5.png

Fig. 14와 같이 시뮬레이션은 실험과는 다르게, 정상 상태 레졸버에서 외란이 존재하지않기 때문에 거의 동일한 최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의 $V_{\sin -ref}$와 정상 상태의 동작 중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거의 동일하게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정상 상태의 오차율 범위가 0으로 도출되었다.

표 4 시뮬레이션 결과 오차율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 error rates

Induced Voltage [V]

$\epsilon$ [%]

$V_{\sin -ref}$

3.50

-

Normal

3.50

0

SEF (10%)

3.63

3.71

SEF (20%)

4.23

20.86

SEF (30%)

6.18

76.57

4.3 레졸버 유기전압 실험 결과

정적 편심은 Fig. 16과 같이 하우징의 앞 커버와 뒷 커버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레졸버의 유기전압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 셋업은 Fig. 17, 18 과 같다. 레졸버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사양은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레졸버의 사양과 동일하다.

그림 16. IPMSM의 정적 편심 구현 벙법

Fig. 16. Implementation of SEF in IPMSM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6.png

그림 17. VR 레졸버 형상

Fig. 17. Structure of VR resolver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7.png

그림 18. 실험 셋업

Fig. 18. Experiment setup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8.png

실험 결과 Fig. 19와 같이 도출되었고, C1는 Sin 권선, C2는 Cos 권선의 유기전압이다. 3장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조건과 동일하게 오차율이 크게 도출된 Sin 권선의 유기전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상 상태의 IPMSM의 레졸버의 경우 Fig. 19(a)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3.42 V 로 도출되었다. 정적 편심 결함 (10%) 상태의 IPMSM의 레졸버의 경우 Fig. 19(b)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3.60 V 로 도출되었다. 정적 편심 (20%) 상태의 IPMSM의 레졸버의 경우 Fig. 19(c)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3.92 V 로 도출되었다. 정적 편심 결함 (30%) 상태의 IPMSM의 레졸버의 경우 Fig. 19(d)와 같이, 유기전압의 최댓값이 5.67 V 로 도출되었다. 레졸버 유기전압 실험 결과, Fig. 20과 같이 정적 편심의 심각도와 유기전압의 크기가 비례하는 경향을 도출하였다.

그림 19. VR 레졸버 실험 결과

Fig. 19. Experiment results of VR resolver (a) Normal condition (b) SEF (10%) condition (c) SEF (20%) condition (d) SEF (30%) condition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19.png

그림 20. 레졸버 실험 결과표

Fig. 20. Result table of VR resolver Experiment

../../Resources/kiee/KIEE.2024.73.3.523/fig20.png

(15)의 오차율 수식을 적용하였을 때, 오차율을 Table 5와 같이 정리하였다. 식 (15)의 $V_{\sin -ref}$는 정상 상태 최댓값의 평균값을 통해 3.42 V로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과 달리 실험에서는 외란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상 상태의 경우 오차율이 0.58 % 로 도출되었다. 정적 편심 (10%)일 경우에는 오차율이 5.26 %로 도출되었고, 정적 편심 결함 (20%)일 경우에는 오차율이 14.62 %로 도출되었다. 정적 편심 (30%)일 경우에는 오차율이 가장 큰 65.79 %로 도출되었다. Table 5 결과를 이용하여, 마진 오차율을 정상에서 발생하는 오차율보다 크게 설정한 후, Fig. 9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정상 상태 IPMSM의 레졸버 유기전압 데이터를 토대로 $V_{\sin -ref}$, $V_{\cos -ref}$의 도출과 정상 상태의 오차율 범위 도출이 이 알고리즘의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표 5 실험 계측 결과 오차율 비교

Table 5 Comparison of error rates of experimental measurement results

Induced Voltage [V]

$\epsilon$ [%]

$V_{\sin -ref}$

3.42

-

Normal

3.44

0.58

SEF (10%)

3.60

5.26

SEF (20%)

3.92

14.62

SEF (30%)

5.67

65.79

4. 결 론

본 논문은 IPMSM의 정적 편심이 일어났을 경우, 레졸버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IPMSM의 정적 편심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고장 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IPMSM의 위치센서인 레졸버의 Sin, Cos의 유기전압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이 알고리즘의 경우, 추가적인 센서 없이 정적 편심을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고장진단 기법인 MCSA는 편심 진단에 어려움을 가지기 때문에, 제안된 알고리즘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면, 고장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dustrial Strategic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of Korea Planning &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EIT) (No. 20018501).

References

1 
J. Hur,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terior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in 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5, no. 6, pp. 2316–2323, Jun 2008.DOI
2 
J. -K. Kang and J. Hur, “Fault Mechanism Analysis of Irreversible Demagnetization Due to the Dynamic Eccentricity of IPMSM for EV Traction,” in IEEE Access, vol. 10, pp. 64483-64494, 2022.DOI
3 
J. -H. Im, J. -K. Kang, and J. Hur, “Static and Dynamic Eccentricity Faults Diagnosis in PM Synchronous Motor Using Planar Search Coil,”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2022.DOI
4 
L. Sun, “Analysis and Improvement on the Structure of Variable Reluctance Resolvers,” i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44, no. 8, pp. 2002-2008, Aug. 2008.DOI
5 
M. Bahari and Z. Nasiri-Gheidari,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C-flux and DC-flux resolvers,” Scientia Iranica, Aug. 2020.DOI
6 
M. Bahari, Z. Nasiri-Gheidari, and F. Tootoonchian, “Modeling, Performance Analyzing, and Prototyping of Variable Reluctance Resolver With Toroidal Winding,” in IEEE Sensors Journal, vol. 21, no. 4, pp. 4425-4432, 15 Feb.15, 2021.DOI

저자소개

이성원(Sung-Won Lee)
../../Resources/kiee/KIEE.2024.73.3.523/au1.png

He was born in Cheonan, Korea.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in 2023,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He is currently pursuing a M.S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tor design, motor control, and fault diagnosis of motors.

강준규(Jun-Kyu Kang)
../../Resources/kiee/KIEE.2024.73.3.523/au2.png

He was born in Nonsan, Korea,.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in 2016 and 2019, respectively, from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From 2018 to 2021, he was a researcher at R&D Center, Mcsys co., Ltd, Incheon, Korea, where he worked on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 traction motor system. He is currently pursuing a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tor design, motor control, and fault diagnosis of motors.

김수환(Su-Hwan Kim)
../../Resources/kiee/KIEE.2024.73.3.523/au3.png

He was born in Incheon, Korea.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in 2023,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He is currently pursuing a M.S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tor design, motor control, and fault diagnosis of motors.

허 진(Jin Hur)
../../Resources/kiee/KIEE.2024.73.3.523/au4.png

He who is studying the field of motor design and fault diagnosis for electrification in the automobile, is a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nd the director of the Future Mobility Research Center. From 1999 to 2000, 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 at Texas A&M Univ., and from 2000 to 2001, he was a research professor at Hanyang Univ. From 2002 to 2007, I worked at the Intelligent Mechatronics Research Center of th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as a principle researcher and Director of the center. From 2008 to 2015, he served as an associate professor of electrical eng. at Univ. of Ulsan, and has been a professor of electrical eng. at Incheon University since September 2015. He has published more than 250 technical papers in international journals and conferences proceedings in the field of electric motor design and fault diagnosis. He is the inventor or co-inventor of more than 30 Korean and international patents. In addition, he won many outstanding awards, including the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ward in 2016 and the Minister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ward in 2017.From 2009 to 2011, he was the associate editor of IEEE Vehicular Technology, and now the associate editor of IEEE Transaction on Power Electro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