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E-mail:taegeun1520@gamil.com)



Transmission line fault, Fault classification, Deep learning, fault simulation

1. 서 론

전력은 발전소에서 생산하여, 송전선을 통해 각 지역으로 전송된다. 송전선은 국가별로 정해진 규격에 따라 설치되어 운영되고, 국내의 경우 765kV, 345kV, 154kV 규격의 송전선로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송전선에서 발생한 고장을 선로 고장이라 하고, 이는 낙뢰, 수목접촉, 크레인접촉 등의 외부요인과 설비의 노화와 같은 내부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1].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장은 평형 고장과 불평형 고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3상 시스템에서 발생 가능한 선로 고장유형은 평형 고장인 3상 단락(Three phase to ground fault, LLL) 유형 1개와 불평형 고장인 1선 지락(Single line to ground fault, SLG) 유형 3개, 2선 지락(Double line to ground fault, DLG) 유형 3개, 선간 단락(Line to line fault, LL) 3개로 총 10가지이다[2].

선로 고장 발생 시, 설비의 정격보다 큰 고장 전류로 인해 설비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연결된 주변 설비에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선로 고장이 발생하면 큰 고장 전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계통에 연결된 차단기가 동작하고 해당 선로를 계통으로부터 분리한다. 일시적인 고장은 차단기가 일정 시간 동안 개폐 동작을 진행하기에 자동으로 고장이 복구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차단기의 개폐 동작에도 고장이 해소되지 않아 전문 인력을 투입하여 고장을 복구해야 한다. 선로 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유형과 원인을 올바르게 파악하면 적절한 장비와 전문 인력을 투입하여 선로 고장률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고장 유형과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로 고장에 관련하여 고장 탐지, 고장 유형 분류, 고장 원인 분류 등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선로 고장에 관련한 선행연구에는 고장 파형의 시간-주파수 영역 분석기법, 기계학습 기법, 규칙 기반 기법, 딥러닝 기법 등이 사용되었다. 시간-주파수 영역 분석기법은 고장 파형의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고장 파형 해석 시 주파수 분석과 비교하여 강점을 나타내고, 주로 기계학습 기법과 함께 사용된다[3-7]. 규칙 기반 기법은 분류하고자 하는 환경에 맞게 설정된 특정 규칙에 따라 분류를 할 수 있으므로 실험한 환경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상대적으로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구현된다[8-14]. 또한, 최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선로 고장에 관련한 선행연구도 다수 진행되고 있다[15-20].

시간-주파수 영역 분석기법과 기계학습이 혼합된 선행연구에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웨이블릿 패킷변환(Wavelet packet transform, WPT), 최대 중첩 이산 웨이블릿 변환(Maximal overlap discrete wavelet transform, MODWT) 등 웨이블릿 변환 기반의 기법이 사용되었고, 기계학습 기법으로는 결정트리(Decision Tree, D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등이 사용되었다.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활용한 선행연구로, 고장 파형 실효값의 웨이블릿 에너지로 서포트 벡터 머신을 학습하여 고장 탐지를 진행한 연구[3-4], 고장 파형 실효값의 웨이블릿 에너지로 결정 트리를 학습하여 송전선로의 고장 원인을 분류한 연구[5], 고장 파형 각 상의 이산 웨이블릿 변환 파형으로 서포트 벡터 머신을 훈련하여 각 상의 고장 탐지를 통해 고장 유형을 분류하고 고장 위치 탐지를 진행한 연구[6]가 진행되었다. 웨이블릿 패킷변환을 활용한 선행연구로, 고장 파형의 웨이블릿 에너지와 엔트로피로 서포트 벡터 머신을 훈련하여 고장 유형 분류와 고장 위치 탐지를 진행한 연구[7]가 있다. 고장 파형 각 상의 웨이블릿 에너지 간 비율을 활용하여 최대 중첩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8]가 있다.

규칙 기반 기법을 적용한 선행연구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WT)을 통해 고주파수 대역 필터링을 진행하여 퍼지 로직(Fuzzy logic, FL)으로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9], 고장 파형의 이산 웨이블릿 변환 파형을 활용한 퍼지 로직으로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10], 고장 파형의 웨이블릿 에너지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FT)한 주파수 영역 값을 활용하여 퍼지 로직으로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11], 고장 파형을 사용하여 퍼지 로직으로 고장 원인을 분류한 연구[12-14] 등이 있다.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선행연구로는 고장 파형의 다중 해상도 분석과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사용하여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15], 고장 파형의 순시값으로 인공신경망을 훈련하여 고장 탐지를 진행한 연구[16],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17], 고장 유형 분류와 고장 위치를 탐지한 연구[18,19], 고장 원인을 분류한 연구[20],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사용하여 고장 유형을 분류한 연구[21]가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기존 송전선로 고장 분류 연구들은 분류모델의 훈련 및 검증에 사용할 실 계통 송전선로의 고장 데이터가 부족하기에 PSCAD, MATLAB, EMTP 등과 같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생성한 고장 데이터로 훈련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이에 대부분 선행연구에서는 98% 이상의 고장 유형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실 계통 고장 데이터는 고장 데이터의 취득 시 잡음, 고장 원인 파라미터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시뮬레이션으로 생성한 고장 데이터와 차이가 있다. 이 차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중 대표적인 분류모델 형태[6,7,19,21]를 선정하여 분류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실 계통의 선로 고장 데이터로 분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들은 실 계통 고장 데이터 분류에서 큰 성능 저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장 데이터의 시계열 특성을 학습할 수 있는 장단기 메모리(Long short term memory, LSTM)와 비시계열 특징을 특성을 학습하는 인공신경망을 혼합하여 사용한 고장 분류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고장 데이터 분류 기법은 실 계통 고장 데이터에도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본 론

2.1 기술 배경

이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구현한 선행연구와 제안하는 기법에 사용되는 기술을 설명한다. 선행연구 중 시간-주파수 영역 분석기법으로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웨이블릿 패킷변환이 사용되었고, 분류모델로는 서포트 벡터 머신, 인공신경망, 합성곱신경망이 사용되었다. 제안하는 모델은 고장 파형의 시계열 특성과 비시계열 특성을 모두 반영하기 위해 장단기 메모리층과 인공신경망층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1.1 이산 웨이블릿 변환

이산 웨이블릿 변환은 시간 영역의 신호를 시간-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분석할 수 있는 변환기법으로 신호 해석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산 웨이블릿 변환은 사용자가 설정한 레벨만큼의 저주파 대역의 필터와 고주파 대역의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분해하는 것으로 개념도는 <그림 1>과 같다. 이때 $x[t]$는 원신호, $h$는 고주파 대역 필터, $g$는 저주파 대역 필터, 아래 화살표는 다운 샘플링 과정을 의미한다. 그림에서의 Level은 신호의 분해 레벨로, 필터를 거친 횟수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림 1. 이산 웨이블릿 변환 개념도

Fig. 1. The concept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1.png

<그림 2>는 원신호와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생성된 파형을 이해가 쉽도록 스케일을 맞추어 도시하였다. 고장이 발생한 시점에서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생성된 파형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이산 웨이블릿 변환 파형 예시

Fig. 2. The example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2.png

선행연구에서는 <그림 2>와 같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파형을 분류모델에 사용하는 연구와, 이산 웨이블릿 변환 파형의 에너지 또는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웨이블릿 분류모델에 사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웨이블릿 에너지($E$)는 수식(1)과 같이 이산 웨이블릿 변환 값의 제곱의 합으로 정의되고, 웨이블릿 엔트로피($e$)는 수식 (2)와 같이 이산 웨이블릿 변환 값의 합으로 정의된다. 이때 $n$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 값의 개수, $w_{c}$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 값(wavelet coefficient)을 의미한다.

(1)
$E =\sum_{k=1}^{n}(w_{c})^{2}$
(2)
$e =\sum_{k=1}^{n}(w_{c})$

2.1.2 웨이블릿 패킷 변환

신호 분해 레벨이 증가할수록 저주파 대역 필터를 거친 신호에서만 추가적인 필터링이 진행되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달리, 웨이블릿 패킷변환은 신호 분해 레벨이 증가하면, 고주파 대역 필터와 저주파 대역 필터에서 출력된 모든 신호가 다시 고주파 대역 필터와 저주파 대역 필터를 거치는 특징이 있다. 웨이블릿 패킷변환의 연산 과정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동일하지만 더 많은 수의 주파수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 웨이블릿 변환보다 신호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웨이블릿 패킷변환의 개념도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웨이블릿 패킷 변환 개념도

Fig. 3. The concept of wavelet packet transform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3.png

2.1.3 서포트 백터 머신

서포트 벡터 머신은 기계학습 기법의 하나로, 지도학습에 해당하며, 분류 또는 회귀 분석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서포트 벡터 머신은 데이터 간의 군집을 나누는 초평면(Hyper-plane)을 찾고 결정 서포트 벡터의 마진(Margin)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찾아 학습한다. 학습 데이터가 선형인 경우, 간단하게 선형 분류가 가능하고, 비선형인 경우에는 커널 함수를 사용하여 비선형 분류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선행연구의 서포트 벡터 머신은 입력 데이터로는 각 상의 이산 웨이블릿 변환 파형 또는 각 상의 웨이블릿 에너지와 엔트로피가 사용되었고, 각 상의 고장 여부가 0 또는 1로 출력되도록 구현하였다.

2.1.4 인공신경망

인공신경망은 신경세포의 구조를 본떠 만든 네트워크 구조로, 입력층의 데이터가 잠재층과 활성화 함수를 거쳐 출력으로 나타난다. <그림 4>는 인공신경망의 예시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신경망의 가중치(weight)와 편향(bias)을 학습하여 데이터를 표현하는 모델을 생성한다. 인공신경망은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함으로 비선형 구조의 데이터 분포를 표현하는 함수를 훈련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의 출력은 수식 (3)과 같이 계산되고, 이때 $w_{i}$는 잠재층의 가중치, $b$는 편향, $f$는 활성화 함수를 의미한다.

그림 4. 인공신경망 구조 예시

Fig. 4. The example of neural network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4.png
(3)
$y= f(\sum_{i=1}^{n}w_{i}x_{i}+b)$

2.1.5 합성곱신경망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은 기존의 인공신경망에 합성곱층(Convolution layer)과 풀링층(Pooling layer)이 추가된 신경망이다. 사용자가 지정한 크기의 필터(filter)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특성 맵(feature)을 계산한다. 합성곱신경망은 데이터의 특성을 신경망 스스로 추출하여 학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이미지 처리나 음성 처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2.1.6 장단기 메모리

장단기 메모리는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기반의 기법의 하나로, <그림 5>과 같은 순환 구조로 구성된다. 이전 셀에서 학습한 데이터를 다음 셀로 전달하여 셀 간의 관계를 학습할 수 있어, 시계열 데이터 학습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순환신경망은 기울기 소실 또는 기울기 폭주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계열 데이터의 장기 의존 관계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림 5. 순환신경망의 구조 예시

Fig. 5. The example of recurrent neural network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5.png

시계열 데이터의 장기 의존성을 높인 기법인 장단기 메모리셀은 <그림 6>과 같이 게이트 구조로 망각게이트(forget gate), 입력게이트(input gate), 출력게이트(output gate) 3개의 게이트로 구성된다. 망각게이트($f_{t}$)는 내부의 가중치($W_{f}$) 값으로 과거 데이터의 반영 비율을 결정한다. 0에 가까울수록 과거 정보($h_{t-1}$)를 적게 반영하고, 1에 가까울수록 과거 정보를 많이 반영한다. 입력게이트는 새로운 정보의 저장 여부, 출력게이트는 출력될 정보를 결정한다.

그림 6. 장단기 메모리셀 구조

Fig. 6. The structure of long-short term memory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6.png

장단기 메모리셀의 각 게이트 계산 수식은 다음과 같다.

(4)
${f}_{{t}}={sigmoid}(W_{f}[h_{t-1},\: X_{t}]+b)$
(5)
${i}_{{t}}={sigmoid}(W_{i}[h_{t-1},\: X_{t}]+b)$
(6)
${o}_{{t}}={sigmoid}(W_{o}[h_{t-1},\: X_{t}]+b)$
(7)
$\widetilde{{c}_{{t}}}=\tan h(W_{c}[h_{t-1},\: X_{t}]+b)$

장단기 메모리셀의 최종 출력은 셀 상태($c_{t}$)와 출력($h_{t}$)이고,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8)
${c}_{{t}}={f}_{{t}}*{c}_{{t}-1}+{i}_{{t}}*\widetilde{{c}_{{t}}}$
(9)
$h_{t}={o}_{{t}}*\tan{h}({c}_{{t}})$

2.2 선행연구 분류모델 구현

선행연구의 고장 유형 분류모델 중 <그림 7>과 같은 4가지 구조[6,7,19,21]를 구현하였다. 모델 (a)와 (b)는 서포트 벡터 머신을 동일하게 사용한 모델이다. 그러나, (a) 모델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 (b) 모델은 웨이블릿 패킷변환이 사용되었다. 분류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a) 모델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 파형이 사용되었고, (b) 모델은 웨이블릿 에너지와 엔트로피가 사용되었다. (b) 모델 구조를 제안한 선행연구에서는 지락 고장 여부를 중성 전류의 절대값과 각 상 절대값들을 기반으로 한 수식으로 검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락 고장 검출 모델 또한 각 상의 구조와 동일하게 단순화하여 구현하였다.

모델 (c)와 (d)는 입력 데이터로 전압, 전류의 순시값이 동일하게 사용되었고, 분류 알고리즘으로 (c) 모델은 인공신경망, (d) 모델은 합성곱신경망이 사용되었다.

그림 7. 선행연구 분류모델 구조

Fig. 7. The structure of prior classification models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7.png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웨이블릿 패킷변환에 사용된 마더 웨이블릿은 선행연구와 동일한 Symlet4를 사용하였다. 서포트 벡터 머신의 파라미터는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아 (a)와 (b) 모델 동일하게 지정하여 구성하였다. (c) 모델의 인공신경망의 잠재층 개수와 뉴런 수는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아 잠재층 3개와 뉴런 수는 각각 16개, 32개, 64개로 구성하였다. (d) 모델의 합성곱신경망은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구조로 동일하게 구현하여 훈련하였다.

2.3 딥러닝 기반 고장유형 분류모델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딥러닝 기반 고장 유형 분류모델 구조는 <그림 8>과 같다. 제안하는 모델은 크게 데이터 전처리, 시계열 특성 학습층, 비시계열 특성 학습층으로 구성하였다.

데이터 전처리는 분류모델의 입력으로 받은 전압, 전류의 순시값을 최대 정규화하는 과정과, 실효값의 비율을 계산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압, 전류의 순시값을 분류모델의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의 스케일을 맞추는 정규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최대 정규화 수식은 다음과 같다.

(10)
$X_{t}=\dfrac{x_{t}}{x_{\max}}$

실효값의 비율은 3상 간의 고장 크기 비율을 고려하기 위해 각 상의 실효값을 3상 실효값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실효값 비율 계산 수식은 다음과 같다.

(11)
$R_{x}=\dfrac{r_{x}}{r_{A}+r_{B}+r_{C}}$

전처리된 데이터는 장단기 메모리와 인공신경망의 혼합 모델에 입력으로 사용된다. 장단기 메모리는 고장 발생 시 파형의 시계열 특성을 학습시키기 위해 사용하였고, 인공신경망은 고장 발생 시 각 상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입력 데이터로는 전압, 전류의 순시값과 각 상의 실효값의 비율을 사용하였다. 고장 데이터의 시계열 특성은 정상 상태의 데이터보다 복잡한 고장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고장 특성의 시계열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전압, 전류의 순시값을 장단기 메모리층으로 학습하였다. 또한 고장 파형의 추가적인 정보를 학습하기 위해 실효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각 상의 실효값의 비율은 시계열 특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장단기 메모리층의 결과와 함께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학습하였다.

장단기 메모리층과 인공신경망층의 개수는 실험적으로 선정하여 장단기 메모리층 4개, 인공신경망층 3개로 구성하였다. 장단기 메모리층의 입력에는 시퀀스가 192개, 특성이 7개인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즉, 고장 파형의 데이터 포인트 192개가 고장파형의 시계열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시퀀스로 사용하였고, 각 상의 전압, 전류와 중성전류 총 7개의 데이터가 각 시퀀스의 특성으로 사용되었다. 인공신경망층의 입력으로는 각 상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비율이 계산되어 1차원으로 입력되었다.

그림 8. 딥러닝 기반 고장 유형 분류모델 구조

Fig. 8. The structure of deep learning based fault classification model(proposed)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8.png

2.4 실험 및 결과

2.4.1 시뮬레이션 기반 고장 데이터 생성

송전선로의 선로 고장을 모의하기 위해 PS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국내 345-154kV 계통을 단순화하여 <그림 9>와 같이 구성하였다. 실계통 고장 상황과 최대한 유사하게 모의하기 위해 국내 실계통의 부하 및 변압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였다. 고장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고장유형, 송전선로 길이, 위상 각을 <표 1>과 같이 구성하여 총 700개의 고장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선행연구 분류모델 학습에는 고장 파형의 고장 전 1주기와 고장 후 2주기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추출된 학습데이터 예시는 <그림 10>과 같다. 전체 시뮬레이션 데이터 중 70%는 훈련 데이터로, 10%는 검증 데이터로, 20%는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그림 9. PSCAD 시뮬레이션 계통도

Fig. 9. The schematic of PSCAD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9.png

그림 10. 시뮬레이션 고장 그래프 파형

Fig. 10. The waveform of simulation fault

../../Resources/kiee/KIEE.2024.73.3.585/fig10.png

표 1 PSCAD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Table 1 The parameters of PSCAD simulation

고장유형

AG, BG, CG, ABG, ACG, BCG, AB, AC, BC, ABC

송전선로길이(km)

10 ~ 100km (10km 간격)

위상(°)

0 ~ 180° (30° 간격)

2.4.2 시뮬레이션 및 실계통 고장 데이터 분류 정확도 분석

2.2절에서 구현한 선행연구 분류모델과 딥러닝 기반 고장유형 분류모델을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70%를 사용하여 훈련하고, 훈련 데이터의 과적합 방지를 위해 10%의 데이터로 검증한 후, 20% 데이터를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추가적인 검증을 위해 국내 실 계통에서 발생한 송전선로 고장 데이터 25개를 사용하여 분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 계통에서 발생한 송전선로 고장 데이터는 154kV와 345kV 송전선로에서 발생한 고장으로 BG 고장 9개, CG 고장 5개, AB 고장 2개, BC 고장 4개, ABC 고장 5개로 구성되어있다. 각 모델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훈련 및 검증 결과와 실 계통 고장 데이터의 분류 결과는 <표 2>와 같다.

(a), (b) 모델은 각 상의 고장을 분류한 모델로 종합 분류 정확도는 각상의 최소 분류 정확도를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값 중 최솟값을 최종 분류 정확도로 간주한다. 시뮬레이션 환경의 검증 데이터는 훈련 데이터와 동일한 파라미터 내에서 생성된 데이터로 훈련 데이터 분류 정확도와 검증 데이터 분류 정확도, 테스트 데이터 분류 정확도에서 유사한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실계통 고장 데이터와 취득 시 잡음, 고장 발생 원인 파라미터의 불확실성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계통 고장 데이터 분류 정확도는 큰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각 모델별 분류 정확도

Table 2 The results of each classification models

분류 정확도(%)

모델

시뮬레이션 데이터

실계통

데이터

훈련 데이터

검증 데이터

테스트 데이터

(a)

A

79.3

80.6

81.6

8.0

B

80.3

83.9

78.9

80.0

C

80.1

87.1

78.2

60.0

G

69.8

75.8

69.4

48.0

(b)

A

100

100

100

72.0

B

100

100

100

100

C

100

100

100

96.0

G

99.8

100

100

64.0

(c)

-

100

100

99.5

56.0

(d)

-

100

100

100

52.0

제안모델

-

100

100

100

96.0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b), (c), (d) 모델 모두 시뮬레이션 환경에서는 매우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계통 고장 데이터 분류 정확도는 (b), (c), (d) 모델 각각 64%, 56%, 52%로 낮게 나타났다. (a) 모델은 시뮬레이션 데이터에서도 성능이 낮게 나온 것은 적절한 초평면을 학습하기에 데이터의 개수가 부족한 것으로 추정한다. ((a) 모델을 제안한 선행연구[6]는 약 12만 개의 고장데이터를 사용하여 훈련을 진행하였다.)

(b) 모델은 웨이블릿 패킷변환을 사용한 모델로,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a) 모델보다 더 많은 시간-주파수 영역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실계통 고장 데이터 분류 성능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한다. (c) 모델의 경우, 인공신경망에 입력되는 각 상의 전압 및 전류가 신경망에 연결되기 위해 1차원 데이터로 재구축 후 학습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상간의 관계와 시계열적인 특성이 1차원으로 배열된 전압 및 전류값들 사이에서 학습되기 어려울 것으로 추측한다. (d) 모델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모델과 동일하게 구현하였다. 해당 모델의 합성곱 과정은 고장 파형 데이터 구조와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 구성하여 실계통 분류 정확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한다. (c) 모델과 (d) 모델의 결과를 통해,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모델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모델의 시계열 특성과 비시계열 특성 학습구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그림 8>의 구조에 실효값 비율 계산을 제외하고 장단기 메모리만을 사용한 분류모델을 학습하여 분류 정확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장단기 메모리만을 사용한 모델은 시뮬레이션 데이터에서 100%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나, 실 계통 고장 데이터의 분류 정확도는 60%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모델은 시뮬레이션 데이터에서 100%의 분류정확도와 실 계통 고장 데이터에서 96%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해당 결과를 통해 제안한 분류모델이 고장 파형의 시계열 특성과 비시계열 특성을 학습하기에 적합한 구조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장단기 메모리 기반 고장 유형 분류모델은 시뮬레이션 환경 데이터에서 100%의 분류 정확도와 실계통 고장 데이터에서는 96%(25개중 24개)로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실효값의 비율이 인공신경망에 입력되어 각 특징을 갖는 데이터가 적절한 신경망에 훈련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제안하는 모델이 올바르게 분류하지 못한 1가지 고장은 기록된 라벨이 ABC 고장이지만 분류모델이 AG 고장으로 오분류하였다. 해당 데이터 파형을 분석한 결과, 입력 데이터로 사용된 고장 파형의 고장 후 2주기 동안은 A상의 전압과 전류에만 고장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제안 모델에 입력된 데이터의 길이(고장 후 2주기) 내에서는 AG 고장으로 오분류한 것으로 분석한다. 이는 제안하는 모델이 고장 발생 후의 일정 시간 동안의 데이터만를 사용하기에 더 많은 시간 후에 결과가 나오는 진전 고장의 최종 고장 결과를 분류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실 계통 고장 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송전선로 고장 유형 분류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고장 유형 분류 선행연구의 대표적인 모델을 선정하여 분류모델을 구현하고 실계통 고장 데이터를 검증함으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은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매우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나, 실 계통 고장 데이터의 분류에서 낮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시뮬레이션 환경과 실 계통 환경과의 파라미터, 측정 잡음 등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과, 실 계통 고장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모델 구조의 한계점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장 데이터의 시계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장단기 메모리의 활용과 각 상간의 특징을 반영하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는 두 단계 구조를 제안하였다. 실계통 고장 데이터 25개로 검증한 결과, 제안한 분류모델은 96%의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향후 연구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고정된 입력 길이 및 고정된 고장 발생 시점의 정보만으로 분류를 진행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고장 파형 입력을 사용하여 모델을 훈련하고 검증할 계획이다. 추가적으로 송전선로에서 다중 고장, 진전 고장이 발생할 때의 고장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모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착수 기초연구개발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과제번호: R22XO02-19).

References

1 
L. Hanging, H. Xiaonan, Y. Haoyang, L. Fan, and L. Zhongjian, “Transmission line fault-cause identification method for large-scale new energy grid connection scenarios,” Global Energy Interconnection, pp. 362-374, 2022.DOI
2 
A. Yadav and Y. Dash, “An overview of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fault detection, fault classification, fault location, and fault direction discrimination,” Advances in Artificial Neural Systems, Volume 2014, 2014.DOI
3 
M. Singh, K. B. Panigrahi and P. R. Maheshwari, “Transmission line 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Trends in Electrical and Computer Technology, pp. 15-22, 2011.DOI
4 
H. Livani and Y. C. Evrenosoğlu, “A fault classification method in power systems using DWT and SVM classifier,” Pes T&d 2012, pp. 1-5, 2012.URL
5 
S. H. Asman, N. F. Ab Aziz, U. A. Ungku Amirulddin, and M. Z. A. Kadir, “Decision tree method for fault causes classification based on rms-dwt analysis in 275 kv transmission lines network,” Applied Sciences, 11(9), 4031, 2021.DOI
6 
X. G. Magagula, Y. Hamam, J. A. Jordaan, and A. A. Yusuff,, “A fault classification and localization method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2017 IEEE AFRICON, 1337-1343, 2017.URL
7 
P. Ray and D. P. Mishra,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fault classification and location of a long transmission line,”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19, no. 3, pp. 1368-1380, 2016.DOI
8 
F. B. Costa, B. A. Souza, and N. S. D. Brito, “Real-time classification of transmission line faults based on maximal overlap discrete wavelet transform,” PES T&D 2012, pp. 1-8, 2012.DOI
9 
O. A Youssef, “Combined fuzzy-logic wavelet-based fault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power system relayi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9, no. 2, pp. 582- 589, 2004.DOI
10 
A. K Pradhan, A. Routray, S. Pati, and D. K. Pradhan, “Wavelet fuzzy combined approach for fault classification of a series-compensated transmission line,”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9, no. 4, pp. 1612-1618, 2004.DOI
11 
J. Zhang, Z. Y. He, S. Lin, Y. B. Zhang, and Q. Q. Qian “An ANFIS-based fault classification approach in power distribu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49, pp. 243-252, 2013.DOI
12 
L. Xu, M. Y. Chow, and L. S. Taylor, “Power distribution fault cause identification with imbalanced data using the data mining-based fuzzy classification -algorithm,”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2, no. 1, pp. 164-171, 2007.DOI
13 
Y. L. Liang, K. J. Li, Z. Ma, and & W. J. Lee, “Typical fault cause recognition of single-phase-to-ground fault for overhead lines in nonsolidly earthed distribution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6, no. 6, pp. 6298-6306, 2020.DOI
14 
L. Xu, M. Y. Chow, and L. S. Taylor, “Using the data mining based fuzzy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power distribution fault cause identification with imbalanced data,” 2006 IEEE PES Power Systems Conference and Exposition, pp. 1228-1233, 2006.DOI
15 
Z. He, S. Lin, Y. Deng, X. Li and Q. Qian., “A rough membership neural network approach for fault classification in transmission l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61, pp. 429-439, 2014.DOI
16 
M. Sanaye-Pasand and H. Khorashadi-Zadeh, “Transmission line fault detection & phase selection using AN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Systems Transients, pp. 1-6, 2003.URL
17 
T. Dalstein and B. Kulicke, “Neural network approach to fault classification for high speed protective relayi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10, no. 2, pp. 1002- 1011, 1995.DOI
18 
S. R Fahim, Y. Sarker, O. K. Islam, S. K Sarker, M. F. Ishraque, and S. K. Das, “An intelligent approach of fault class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line,” 201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ical, and Electronic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PEEIACON), pp. 53-56, 2019.DOI
19 
M. U. Usman, J. Ospina and M. O. Faruque, “Fault classification and location identification in a smart distribution network using ANN,” 2018 IEEE power &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ESGM), pp. 1-6, 2018.DOI
20 
T. Ayer, J. Chhatwal, O. Alagoz, C. E. K. J. Woods, and E. S. Burnside, “Comparison of logistic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in breast cancer risk estimation,” Radiographics, vol. 30, no. 1, pp. 13-22, 2010.DOI
21 
P. Rai, N.D. Londhe, and R. Raj, “Fault classification in power system distribution network integrated with distributed generators using CNN,”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192, 106914, 2021.DOI

저자소개

김태근(Taegeun Kim)
../../Resources/kiee/KIEE.2024.73.3.585/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South Korea, in 2020. Currently, 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ttps://orcid.org/0000-0002-6676-4869

E-mail: taegeun1520@gmail.com

임세헌(Seheon Lim)
../../Resources/kiee/KIEE.2024.73.3.585/au2.png

She received her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8. Currently, she is pursuing Ph.D.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ttps://orcid.org/0000-0001-7049-4163

E-mail: seheon0223@naver.com

송경민(Kyungmin Song)
../../Resources/kiee/KIEE.2024.73.3.585/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22. Currently, he is pursuing M.E. degree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https://orcid.org/0009-0008-8286-1416

E-mail: songlk111@naver.com

윤성국(Sung-Guk Yoon)
../../Resources/kiee/KIEE.2024.73.3.585/au4.png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6 and 201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ith Soongsil University as an associ ate professor.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energy big data, game theory for power system, and power system optimization.

https://orcid.org/0000-0002-8987-6628

E-mail: sgyoon@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