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Earthquakes, 3-axis seismic test, Cable tray, Non-structural electrical equipment

1. 서 론

2018년 국토교통부령 『건축물의 구조 기준』등에 관한 규칙과 2019년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기계와 전기 비구조 요소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기계, 전기 시스템을 지지하는 부착물 및 장비에 비구조요소 내진 설비를 시행해야 한다. 적용범위는 건축물이 특등급인 건물 인명안전을 위한 전기설비에 설치되어야 한다[7].

미국, 유럽 등 국외에서는 법적으로 설치나 기술을 제시하는 것보다 학회, 협회 코드 또는 제조업체의 시방 및 계산서 지침을 보고 설계 및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진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자영재해 중 하나로,그피해 규모가 매우크다.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경주와 포항등에서 강진이 발생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1].비구조요소 전기설비는 건축물의 구조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전기설비로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등이 있다[2][3]. 지진 발생 시 건축물의 구조체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설비가 파손되거나 전기 공급이 중단될 수 있어 이에 따른 다양한 대책이 요구된다[4]. 최근 전기설비의 내진대책을 위해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KECG)에서 KECG 9701-2019(건축전기설비 정착부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을 제정되었다[5]. 여기에는 비구조요소 전기설비의 내진설계 방법과 시공 방법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내진 성능평가는 지진의 방향(X축, Y축, Z축)과 지진의 3가지 진동 주파수(저주파, 중주파, 고주파)에 대한 내진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샘플을 제작하여 시험기계에 현장 설치조건과 동일하게 설치하였다. 그리고 비구조요소 전기설비의 6방향(전후, 좌우, 상하) 내진 시험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2. 본 론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등의 비구조요소 전기설비에 대한 내진 시험은 설비가 구축된 지점을 기준점으로 분석이 가능하다[6]. 내진 시험은 설치된 설비를 기준점으로 지진의 방향(X축, Y축, Z축)과 지진의 3가지 진동 주파수(저주파, 중주파, 고주파)에 대한 내진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전기설비의 지진에 의한 파손과 단전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다향한 특성 분석을 통해 내진 설비를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진시험을 위해 그림 1과 같이 6방향 내진 시험을 위한 실험대상 기기를 구성하였다.

우선, 내진시험기에 대상물을 고정하고 Shake Table과 Fixture 대상기기 하단부에 볼트너트 m16*37개, Fixture 대상기기 상단부에 볼트너트 m12*7개를 고정하여 시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대상 기기(Component under test)과 가속계를 설치하였다. 가속도계 센서는 시험대상 기기 3축(X, Y, Z)에 부착하고 그림 1과 같이 시험 방향을 동일하게 하였다. 그림 1의 ①은 Fixture 기기의 가속도계 센서 ②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대상물의 가속도계 센서를 보여준다.

그림 1. 내진 시험을 위한 실험장치 구성 사진

Fig. 1. Photo of experimental equipment for earthquake resistant testing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1.png

2.1 전기설비 비구조요소

전기설비 비구조요소 설치 대상은 그림 2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Hanger(단일 Hanger, 양쪽 Hanger)로 구분된다.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설치방법은 모두 내진지지대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내진지지대 고정방법은 내력벽 고정방법과 빔 클램프 고정방법로 나뉜다. 그리고 내진앵커는 반드시 내력벽에 설치해야 하며, 절대 조적벽과 간이벽에 설치해서는 안된다. 간이벽과 조적벽 등에 설치하면 앵커의 전단, 인발응력 및 모멘트로 인해 간이 및 조적벽이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빔 클램프 사용 시에는 반드시 허용하중(ADS)을 확인하고, 주요(Main) 구조 빔에 설치하며 허용하중 범위 내에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시험성적서, 구조계산서 같은 서류를 첨부해야 한다.

그림 2. 케이블 트레이 조립 형태

Fig. 2. Cable tray assembly type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2.png

2.2 변전소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내진 지지대 방식(단일, 양쪽 Hanger)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내진 지지대 방식에는 2가지가 있으며, Rigid와 Non Rigid로 나뉜다. Rigid 방식은 고정된 지지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파이프, 앵글 U- Channel 등이 사용되며, 중량이 큰 경우 U-Channel을 주로 사용한다.

그림 3그림 4에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지지대의 설치 사진을 보여준다. 그림 3에서 Rigid 방식 내진지지대는 1. 상부 고정대, 2. 하부 고정대, 3. 케이블 트레이 내진 지지대, 4. 하부 U-Channel, 5. 전산볼트 보강대(Stiffner), 6. Stiffner 보강볼트, 7. 전산볼트 등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방법으로는 횡방향 내진 지지대, 종방향 내진 지지대, 4방향 내진지지대로 나뉘며 횡방향 내진 지지대는 최대 12[m], 종방향 내진 지지대는 최대 24[m]설치하며, 4방향 내진 지지대는 횡방향과 종방향 내진에 대해 동시에 할 수 있는 지지대를 의미한다.

그림 3. 케이블 트레이용 Rigid 방식 내진 지지대 구성

Fig. 3. Rigid seismic support structure for cable tray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3.png

그림 4는 케이블 트레이용 Non Rigid 방식 내진 지지대의 구성은 보여준다. 내진 케이블 지지대의 구성은 1. 상부 고정대, 2. 하부 고정대, 3. 내진 케이블 지지대, 4. 하부 U-Channel, 5. 전산볼트 보강지지 Stiffner, 6. Stiffner 보강볼트, 7. 전산볼트로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4. 케이블 트레이용 Non Rigid 방식 내진 지지대 구성

Fig. 4. Non rigid seismic support structure for cable tray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4.png

한편 Non Rigid 방식은 Rigid 방식의 내진지지대를 제외한 방식으로 케이블을 이용한 방식을 말한다. 주로 높이가 높을 경우 와 설치 여건이 어려울 때 사용하고 설치는 약간 복잡하다.

Non Rigid 방식 내진 케이블 지지대도 횡방향 내진 지지대, 종방향 내진 지지대, 4방향 내진 지지대로 나뉘며 횡방향 내진 지지대는 최대 12[m], 종방향 내진 지지대는 최대 24[m]설치하며, 4방향 내진 지지대는 횡방향과 종방향 내진에 대해 동시에 할 수 있는 지지대를 의미한다.

상부 고정대 방식은 Rigid와 Non Rigid 모두 내진앵커와 빔 클램프 고정 방식이 적용된다.

그림 5. 진동대 시험을 위한 요구응답스펙트럼

Fig. 5. Required response spectrum for shake table testing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5.png

2.3 전산볼트 보강대(Rod Screw Stiffener)

Rod Stiffener는 Hanger rod 보강 장치로 좌굴 인장 및 압축 하중을 보강한다. 지진 발생 시 Hanger rod는 단순히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의 고정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지진 억제 장치에 의해 생성된 반력에 저항해해야 한다. 지진이 발생하면 천정에 매달려 있는 비구조요소에는 바닥 U-Channel과 케이블 트레이 모두에 수직 압축 반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바닥 U-Channel 사용될 때 인장 반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압축 및 인장 반력은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 전선관 자중으로 인해 인장 하중을 초과할 수 있다.압축 반력은 행거 로드가 좌굴을 일으킬 만큼 충분히 클 수 있으며, 지지되는 고정 하중에 인장 반력이 추가되면 행거 로드 또는 앵커가 장력에 실패할 수 있다. Hanger rod의 압축 하중이 Hanger rod의 좌굴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 보강재를 사용하거나 더 큰 Hanger rod를 사용해야 한다. Hanger rod가 무한대로 커질 수 없어 이를 보강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Stiffener이다. Stiffener는 U-Channel, 보강볼트로 구성된다.

2.4 케이블 트레이 내진 시험의 설비사항 및 조건

내진 시험을 위해 우선 지진동 역할을 하는 잔동대가 핵심적인 구성 요건으로 필요하다. 다음으로 시험대상 설비에서 증폭되어 나타난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시험대상 설비의 흔들리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험을 하고 측정값이 나오면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기가 필요하다. 시험 순서는 본 시험을 하기에 앞서 실험대상물과 내진 시험장치간 내진 공진 시험을 하며 시험방법은 X축(전후), Y축(좌우), Z축(상하)으로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육안을 확인하고 검사를 통해 결과를 분석한다. 내진 시험을 위한 설비 사양은 표 1에 제시하였다.

표 1 내진시험 장치 사양

Table 1 Seismic test equipment specifications

Test facility

RIG1

MAST(Multi-Axial Shaking Test System) Seismic simulation test system

Table size

4000 x 4000 [mm]

Frequency range

1 ~ 100 [Hz]

Max. Velocity

Vertical & Horizontal axis: 1.80 [m/s]

Max. Actuator Force

Vertical axis: 1000 [kN] Horizontal axis: 500 [kN]

Max. Stroke

Vertical & Horizontal axis: 360 [mm] (p-p)

표 2 가속도계 설치 위치

Table 2 Accelerometer installation location

설치위치

가속도계

설치방향

Shake table

Ch1

X축(전후)

Ch2

Y축(좌우)

Ch3

Z축(상하)

Fixture

Ch13

Z축(상하)

Ch14

X축(전후)

Ch15

Y축(좌우)

시험대상 기기

Ch16

Z축(상하)

Ch17

X축(전후)

Ch18

Y축(좌우)

가속도계 방향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케이블 트레이 내진 시험은 실험 시험기준에 따라 X축(전후), Y축(좌우), Z축(상하) 6개의 방향으로 시험을 진행한다. 전산볼트와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고 있는 내진 지지대(U-Channel Type)의 전산볼트 고정대(Rod stiffner)가 지진에 견디는지 알아보는 시험이다. Shake table과 Fixture, 시험대상 기기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였고 부착 위치는 방향은 바닥고정과 전산볼트 상부 볼트방향이다.

표 3 진동대 시험을 위한 내진 매개변수

Table 3 Shake table test parameters

BUILDING CODE

TEST CRITERIA

SDS (g)

z/h

HORIZONTAL

(g)

VERTICAL

(g)

AFLX-H

ARIG-H

AFLX-V

ARIG-V

KBC 2019

AC156

-2010

0.52

1

0.83

0.62

0.35

0.14

내진 시험의 조건은 표 3과 같은 데이터를 적용했다. 시험대상 기기에 적용되어야 하는 지진의 강도는 해당 설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설계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시험에 적용되는 요구응답스펙트럼(Required response spectrum)은 식 (1)~식 (4)에 나타나있다. 식에서 보듯이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SDS)와 높이계수비(z/h)의 함수에 의해 요구응답스펙트럼의 크기가 결정된다[12].

(1)
$A_{FLX-H}= S_{DS}(1+2\dfrac{z}{h})$
(2)
$A_{RIG-H}= 0.4 S_{DS}(1+2\dfrac{z}{h})$
(3)
$A_{FLX-V}= 0.67 S_{DS}$
(4)
$A_{RIG-V}= 0.27 S_{DS}$

여기서 $A_{FLX-H}$, $A_{RIG-H}$는 각 연성요소(Flexible component)와 강성요소(Rigid component)의 수평방향 스펙트럼 가속도이고 $A_{FLX-H}$는 1.6$S_{DS}$이하로 제한된다.그리고 $A_{FLX-V}$, $A_{RIG-V}$는 연성요소와 강성요소의 수직방향 스펙트럼 가속도, $z/h$는 높이 계수비(height factor ratio), $S_{DS}$는 설계지진에 대한 단주기의 응답스펙트럼 가속도 표 4는 시험 전과 시험 후 외관 및 성능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허용기준에 적정한 검사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표 5에 최대 가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3축 케이블 트레이 내진 시험을 1회 수행하였으며 시험응답 스펙트럼 가속도(TRS)는 요구 응답 스펙트럼(RRS) 1.3~33.3Hz 범위내에서 시험하였다. 내진 시험 결과 가진되는 3축에 대한 독립성도 확인되었다. 최대가속도 측정 결과 X축(전후), Y축(좌우), Z축(상하) 안정된 값을 보였다.

표 4 시험 전후 검사결과

Table 4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test

점검 항목

허용기준

결과

시험 전 검사

시험대상 기기에 대하여 이송, 취급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변형/파손 없을 것

변형/파손 없음

기능 요구 사항 및 테스트는 사전 테스트된 기능 성능을 확인한다.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음

시험 후 검사

구성 요소 부착 시스템의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해야 한다.

구조적 건전성 유지할 것

변형/파손 없음

고정된 시험대상 기기가 이탈되지 않고 지진 발생 시 다른 건물

구성품이 손상되거나 사람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탈

없을 것

이탈 없음

시험대상 기기의 하중 저항 부재에 대해 변형과 같은 구조적 손상은 허용되고, 시험대상 기기의 하중 저항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 부재 및 조인트는 경미한 파열 및 이상은 허용된다.

변형/파손 없을 것

변형/파손 없음

지진 발생 후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음

표 5 3축에 대한 내진 시험 결과

Table 5 Seismic test results for 3 axes

구 분

최대가속도(g)

X축(전후)

Y축(좌우)

Z축(상하)

AC156-2010 [SDS:0.52g, z/h:1]

Shake table

0.65

0.66

0.28

Fixture

0.77

0.71

0.34

시험대상 기기

1.15

2.27

0.51

그림 6그림 7에 전체 시간이력 데이터를 나타낸다. 그림 6은 내진시험 응답스펙트럼으로 내진설계의 검증을 위한 시험검증 시 시험대상 설비에 실제로 인가된 지진가속도를 주파수의 함수로 표현한 것이다. 표 3에서 $S_{DS}$가 0.52으로 파형에서 보듯이 요구 응답 스펙트럼(RRS) 1.3~33.3Hz 범위에서 $A_{FLX-H}$가 1.6$S_{DS}$이내 범위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림 6. 시험설비에 대한 인가된 지진가속도에 대한 주파수

Fig. 6. Frequency for seismic acceleration applied to the facility under test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6.png

그림 7. 시험설비에 대해 3축가속도 측정값

Fig. 7. 3-axis acceleration measurements for test equipment

../../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7-1.png../../Resources/kiee/KIEE.2024.73.3.601/fig7-2.png

그림 7은 Shake table, Fixture, 시험대상 기기에 대해 30초 동안 설계가속도를 인가하였을 때 응답파형을 보여준다.

이 시험이 필요한 이유는 시험대상체에 대한 진동대가진에 의한 반응결과가 원래 설계 강도를 견디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며, 파형에서 보듯이 각 설비별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내진 지지대를 SPS-F KOCED (비구조요소 진동대시험방법) 방법에 따라 건축물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기준 진동대 시험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진시험과 내진 가속도시험(SDS:0.52g, z/h :1)을 조건으로 케이블 트레이 지진에 대하여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실험 모델은 현장 건축물과 똑같이 재현하기 위해 설계하였다. 하지만 상부 고정을 볼트로 체결하고 실험하였다. 현장에서는 내진 앵커를 사용해야 한다. 내진 앵커는 내진 실험과 승인을 통해 전단응력, 인발응력, 압축응력 및 허용응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설계 시 이를 적용하면 된다.

(2) 시험 절차에 진행된 결과는 케이블 트레이, 상부 고정대, 하부 고정대, 지지대, 스티프너 고정대, 볼트 등 모든 부문에 손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SDS:0.52g, z/h:1 환경에서 케이블 트레이가 흔들림에 대해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연구를 통해 케이블트레이,버스덕트,전선관의 내진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이를 바탕으로 케이블 트레이 버스덕트,전선관의 내진 안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ASCE/SEI 7-10,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2010.DOI
2 
NFPA 13,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prinkler System.URL
3 
FEMA E-74.URL
4 
SMACNA Restraint Manual.URL
5 
ASHARE Practical Guide to SEISMIC RESTRAINT, pp. 81~96, Suspended Ductwork.URL
6 
Seismic test method for broadcasting communication equipment: Anouncement by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2020- 92, pp. 55~69, 2020.URL
7 
Korea construction standards center, KDS 41 17 00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URL
8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fire fighting facilities national fire agency notice, article 9~13, February, 2021.URL
9 
General rules for building structure standards, KDS 10 05 : 3URL
10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used molded transformer anchored on concrete slab : The Korean Society and Vibration Engineering 2020 December 1, 2020.URL
11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school facilities ministry education notice 2020-223, April, 2020.URL
12 
Shaking table test method for evaluating seismic performance of suspended ceilings, SPS-F KOCED 0007-7419:2021.URL

저자소개

김종남(Jong-Nam Kim)
../../Resources/kiee/KIEE.2024.73.3.601/au1.png

- 2016년 3월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 2023년 와이에스에프에스(주)대표이사

- 2022년 8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박사과정

조호령(Ho-Ryung Cho)
../../Resources/kiee/KIEE.2024.73.3.601/au2.png

- 2021년 2월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공학석사)

- 2008년 ~ 2016년 ㈜평일 기술연구소장

- 2016년 4월~2023년 2월 ㈜디투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상무

- 2023년 4월 현재 (주)오씨에스솔루션 대표

- 2022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박사과정

김재문(Jae-Moon Kim)
../../Resources/kiee/KIEE.2024.73.3.601/au3.png

- 2000년 2월 : 성균관대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 2000년 3월 ~ 2004년 2월 : 현대모비스(주)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4년 3월 ~ 2012년 2월 : 한국철도대학 철도차량전기과 교수

- 2006년 1월 ~ 현재 :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전문위원

- 2013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